KR200471172Y1 - 책상 부착형 독서대 - Google Patents

책상 부착형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72Y1
KR200471172Y1 KR2020120012062U KR20120012062U KR200471172Y1 KR 200471172 Y1 KR200471172 Y1 KR 200471172Y1 KR 2020120012062 U KR2020120012062 U KR 2020120012062U KR 20120012062 U KR20120012062 U KR 20120012062U KR 200471172 Y1 KR200471172 Y1 KR 200471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reading
rotating bar
bundle
horizonta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377U (ko
Inventor
조영희
Original Assignee
조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희 filed Critical 조영희
Priority to KR2020120012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7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 부착형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서판의 기울기, 높이, 전후 길이 및 좌우 위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학교나 독서실의 책상 상판에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책상 부착형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독서판을 아래 위로 슬라이딩시키면서 독서대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독서판의 각도와 전후방향 길이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상 부착형 독서대{READING STAND FOR ATTACHING A DESK}
본 고안은 책상 부착형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서판의 기울기, 높이, 전후 길이 및 좌우 위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학교나 독서실의 책상 상판에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책상 부착형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상 등에서 책을 일정한 각도로 받쳐 세워서 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며, 통상 책상에서 사용시 독서대를 전개시켜 사용하고 있다.
특히, 독서실에서는 별도의 독서대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개인적으로 갖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책상에 독서대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독서대를 구비하는 독서실용 책상(특허공개공보 :10-2010-0135644)"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독서대(20)는 책상(10)의 전면판(12)에서 상단부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내부는 하향 개방되도록 한 장방형의 가이드판(21)과, 가이드판(21)에 하향 개방된 저면을 통해 슬라이딩 출입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가이드판(21)으로부터 하향 인출되어 거치대를 형성하는 독서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원하는 독서대의 기울기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와 독서대 간의 거리 조절이 불가능하고, 책상의 잉여공간에 대한 독서대의 위치 조절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독서대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없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KR 10-2010-0135644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평회전바와 독서판이 연결되는 부위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서판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책상 부착형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독서대의 하부를 볼트로 책상의 상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책상 부착형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평회전바와 세로바가 돌출부 등에 의해 서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독서판을 움직이면서 독서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 부착형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책상(50)의 상판에 각도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독서대로서, 책이 거치되는 판으로서, 뒷면 좌우측 끝부분에 두 개의 가이드레일(104)이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독서판(102)과; 상기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활주이동하는 좌우측 두 개의 슬라이드뭉치(106)와; 좌우 양쪽 끝부분이 상기 두 개의 슬라이드뭉치(106)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끼워져서 상기 슬라이드뭉치(106)와 함께 상기 두 개의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활주이동하며, 바깥쪽 옆면에 길이방향으로 회전바 측면홈(108b)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평회전바(108)와; 위쪽에는 상기 수평회전바(108)가 관통하는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회전바(108)가 상기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의 안쪽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바 측면홈(108b)과 대응되는 돌출부(110b)가 형성되는 세로바(110)와; 상기 세로바(110)의 아래쪽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세로바 브라켓(112)이 윗면에 형성되고, 상기 책상(50)의 상판에 볼트(114d)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받침대(114);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뭉치(106)는 볼트(106c)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상부뭉치(106a)와 하부뭉치(106b)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뭉치(106a)와 상기 하부뭉치(106b)에서 서로 만나는 면에는 각각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뭉치(106a)와 상기 하부뭉치(106b)를 결합했을 때, 아래 위의 두 개의 반원형의 홈이 만나서 하나의 원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바(110)의 아래쪽의 양측면에는 단면이 다각형인 측면돌기(110c)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측면돌기(110c) 완충링(110d)이 끼워져서 상기 세로바 브라켓(1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독서판을 아래 위로 슬라이딩시키면서 독서대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독서판의 각도와 전후방향 길이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책상의 상판에 항구적으로 독서대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세로바와 수평회전바가 함께 연동되므로, 사용자가 의도했던 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독서대를 구비하는 독서실용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가 설치된 책상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독서대의 뒷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독서판과 수평회전바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세로바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바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고정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고정받침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흡착판을 책상의 상판에 압착시켰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흡착볼트 손잡이를 눕혔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독서판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독서판을 눕히거나 세우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독서판을 직각으로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세로바가 스토퍼에 밀착되도록 제일 아래쪽으로 눕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 부착형 독서대"(이하, '독서대'라 함)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가 설치된 책상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독서대의 뒷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독서판과 수평회전바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독서대(100)는 크게 독서판(102), 수평회전바(108), 세로바(110), 고정받침대(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책상(50) 상판에서의 위치와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수평회전바(108)는 독서판(102)의 뒷면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수평회전바(108)는 양쪽 끝부분에 슬라이드뭉치(106)가 설치되는데, 슬라이드뭉치(106)는 독서판(102)의 뒷면 좌우측 끝부분에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활주이동한다. 즉, 수평회전바(108)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회전바(108)의 양쪽 끝이 독서판(102)의 뒷면을 따라 세로방향(상하방향)으로 활주이동하므로, 독서판(102)이 전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책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세로바(110)는 전체적으로 길쭉하고 납작한 사각형 형태이며, 위쪽에는 수평회전바(108)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아래쪽에는 고정받침대(114)의 윗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세로바(110)의 구조와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고정받침대(114)는 책상(50)의 상판에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고정되며, 고정받침대(114)의 윗면에는 세로바(110)의 아래쪽 부분이 힌지결합되어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어서 독서판(102)의 각도를 이중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고정받침대(114)의 구조와 설치 방식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독서판(102)의 뒷면에는 좌우측 끝부분에 가이드레일(104)이 세로방향으로 설치된다. 좌우측의 가이드레일(104)에는 슬라이드뭉치(106)가 각각 끼워지며, 슬라이드뭉치(106)는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활주이동한다.
슬라이드뭉치(106)는 상부뭉치(106a)와 하부뭉치(106b)로 나뉘어지는데, 상부뭉치(106a)와 하부뭉치(106b)는 볼트(106c)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부뭉치(106a)와 하부뭉치(106b)에서 서로 만나는 면에는 각각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는데, 상부뭉치(106a)와 하부뭉치(106b)를 결합했을 때, 아래 위의 두 개의 반원형의 홈이 만나서 하나의 원형 홈이 된다. 이 원형 홈에 수평회전바(108)의 양쪽 끝부분이 끼워진다. 따라서 수평회전바(108)는 슬라이드뭉치(106)와 함께 독서판(102)의 뒷면에서 세로방향으로 활주이동하게 된다.
수평회전바(108)를 슬라이드뭉치(106)의 원형 홈에 끼울 때, 고무나 우레탄, 실리콘 재질의 오링(108a)을 수평회전바(108)의 끝부분에 끼운 상태에서 삽입한다. 슬라이드뭉치(106) 내부에 삽입된 오링(108a)은 수평회전바(108)가 힘없이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뭉치(106a)와 하부뭉치(106b) 사이에 수평회전바(108)의 끝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06c)를 채우면 상부뭉치(106a)와 하부뭉치(106b)가 수평회전바(108)를 강하게 압착하게 된다. 이러한 압착력은 오링(108a)에 의해 더 커지게 되며, 독서판(102)의 각도는 사용자가 조절한 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뭉치(106b)와 독서판(102) 사이에는 스프링(106d)이 삽입된다. 스프링(106d)은 슬라이드뭉치(106)를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발휘하는데, 이러한 힘에 의해 가이드레일(104)과 슬라이드뭉치(106) 사이에 밀착력이 증대되고, 독서판(102)이 상하로 미끄러져 내려오지 않게 된다.
도 5는 세로바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세로바(110)는 위쪽에서는 수평회전바(108)를 파지하고, 아래쪽에서는 고정받침대(114)에 장착되어 독서대(100)의 높이와 전후 방향 길이를 조절한다.
세로바(110)의 위쪽에는 가로방향으로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이 형성된다.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의 내부에는 수평회전바(108)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사용자는 독서판(102)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수평회전바(108)가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독서판(102)의 좌우 위치가 조절된다.
세로바(110)의 아래쪽의 양측면에는 측면돌기(110c)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측면돌기(110c)는 단면의 모양이 다각형으로서, 측면돌기(110c)에는 완충링(110d)이 끼워진다. 고무나 우레탄, 실리콘 재질의 완충링(110d)은 대략 원통형으로서, 가운데에는 중심축방향으로 측면돌기 관통공(110e)이 형성된다. 측면돌기 관통공(110e)은 측면돌기(110c)의 단면의 모양과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세로바(110)가 측면돌기(110c)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의 범위내에서 회전하면 완충링(110d)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회전바(108)의 바깥쪽 옆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바 측면홈(108b)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의 안쪽 벽면에는 역시 길이방향으로 돌출부(110b)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회전바 측면홈(108b)과 돌출부(110b)는 위치나 크기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돌출부(110b)가 회전바 측면홈(108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평회전바(108)가 돌출부(110b)에 의해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 내부에서 헛돌지 않고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바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도 5에서와 다른 점은 수평회전바(108')의 단면의 모양이 원형이 아닌 다각형으로서,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의 단면의 모양도 수평회전바(108')의 단면의 모양과 동일한 다각형이다. 따라서 수평회전바(108')가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의 내부에서 헛돌지 않게 된다.
한편, 도 7은 고정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고정받침대(114)의 윗면에는 세로바 브라켓(112)이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세로바 브라켓(112)은 슬라이드뭉치(106)와 유사하게 상부와 하부의 몸체로 나뉘어지며, 볼트 등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와 하부의 몸체 사이에는 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세로바(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돌기(110c)에 끼워진 완충링(110d)이 삽입된다. 따라서 세로바(110)가 완충링(110d)에 의해 어느 정도 회전이 제한되는 가운데 세로바 브라켓(112)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세로바(110)의 회전에 따라 독서판(102)의 각도와 전후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그리고 고정받침대(114)는 고정받침대 뚜껑(114a)과 고정받침대 베이스(114b)로 구성된다.
고정받침대 뚜껑(114a)은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윗면에는 세로바 브라켓(112)이 부착된다. 그리고 옆면의 안쪽 아랫부분에는 나사산(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고정받침대 베이스(114b)는 윗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밑면에는 볼트(114d)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여러 개 형성된다. 그리고 옆면 바깥쪽 윗부분에는 나사산(114c)이 형성되는데, 고정받침대 뚜껑(114a)의 옆면 안쪽 아랫부분에 형성된 나사산과 만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받침대 뚜껑(114a)과 고정받침대 베이스(114b)는 서로 나사결합된다.
고정받침대 베이스(114b)의 밑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볼트(114d)가 채워지며, 이러한 볼트(114d)에 의해 고정받침대(114)가 책상(50)의 상판에 고정된다.
사용자는 고정받침대 베이스(114b)를 책상(50) 위의 적당한 위치에 올려놓고, 볼트(114d)로 고정시킨 후, 고정받침대 뚜껑(114a)을 고정받침대 베이스(114b)에 결합하여 독서대(100)를 설치한다.
사용자가 독서대(100)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려면 볼트(114d)를 풀어서 고정받침대(114)를 책상(50)으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고정받침대 뚜껑(114a)의 윗면 앞쪽에는 스토퍼(114e)가 돌출 형성된다. 스토퍼(114e)는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된 형태로서, 세로바(110)를 앞쪽으로 최대한 눕혔을 때, 세로바(110)의 아랫부분과 접촉하면서 세로바(110)가 더 이상 아래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책의 무게나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압력을 지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114e)의 크기나 높이는 독서대(100)의 사용환경이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고정받침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흡착판을 책상의 상판에 압착시켰을 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흡착볼트 손잡이를 눕혔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볼트(114d)로 고정받침대(114)를 고정함으로써 쉽게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구성이었지만, 도 8에 도시된 고정받침대(116)는 흡착판(118)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쉽게 독서대(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새로운 방식의 고정받침대(116)는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고정받침대 뚜껑(116a)과, 윗면과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고정받침대 베이스(116b)로 이루어진다.
고정받침대 뚜껑(116a)의 윗면 가운데에는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116a-1)가 형성되며, 오목부(116a-1)의 가운데에는 상하방향으로 볼트관통공(116a-2)이 형성된다.
오목부(116a-1) 내부에는 와셔(122)를 끼운 상태에서 흡착볼트(120)가 들어가서 볼트관통공(116a-2)을 통해 흡착볼트(120)의 몸체가 관통한다. 따라서 흡착볼트 머리(120a)는 오목부(116a-1)에 안착되며, 흡착볼트 몸통(120b)는 볼트관통공(116a-2)을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내려온다.
흡착볼트 머리(120a)에는 반원형이면서 회전가능한 상태인 흡착볼트 손잡이(120c)가 설치된다. 흡착볼트 손잡이(120c)는 사용자가 흡착볼트(1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직각으로 세워서 손으로 돌린 후, 다시 눕히면 오목부(116a-1) 내부에 들어가게 된다.
고정받침대(116)의 윗면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형태의 세로바 브라켓(112)이 설치되어 세로바(1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세로바(1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16a-3)가 동일하게 돌출 형성된다.
고정받침대 뚜껑(116a)의 옆면 안쪽 아랫부분과, 고정받침대 베이스(116b)의 옆면 바깥쪽 윗부분에는 나사산(116b-1)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고정받침대 뚜껑(116a)과 고정받침대 베이스(116b)가 나사결합된다.
흡착판(118)은 고정받침대 베이스(116b)의 개방된 밑면을 통해 삽입되는데, 흡착판(118)의 윗면 가운데에는 위쪽으로 길쭉하게 연장되는 볼트 삽입구(118a)가 형성된다. 볼트 삽입구(118a)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흡착볼트 몸통(120b)이 삽입된다. 따라서 흡착볼트(120)와 흡착판(118)은 나사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흡착볼트(120)의 회전에 따라 흡착판(118)이 위 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볼트(120)를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흡착판(118)이 책상(50)의 상판과 가까이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에도 흡착볼트 몸통(120b)은 흡착판(118)의 볼트 삽입구(118a)의 내부에 상당부분 삽입되어 나사결합이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책상(50)의 상판에 독서대(100)를 부착하기 위해서 자리를 잡고, 흡착판(118)을 상판에 붙인 후, 흡착볼트(120)를 조여주면, 흡착볼트 몸통(120b)이 볼트 삽입구(118a) 내부로 들어가면서 흡착판(118)의 밑면의 오목한 부분이 위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면서 흡착판(118)의 밑면과 상판의 윗면이 만나서 생기는 공간이 커지면서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흡착판(118)이 책상(50)의 상판에 결합된다.
흡착볼트(120)와 고정받침대 뚜껑(116a)의 윗면 사이에는 와셔(122)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볼트(120)가 비교적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착볼트(120)를 강하게 조이면서 독서대(10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 11에서와 같이 회전이 끝나면 흡착볼트 손잡이(120c)를 눕혀서 오목부(116a-1)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흡착볼트 손잡이(120c)가 납작하게 누워지기 때문에 윗부분에 있는 세로바(11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고정받침대 뚜껑(114a, 116a)과 고정받침대 베이스(114b, 116b)가 나사산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방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받침대 뚜껑(114a, 116a)의 옆면 안쪽 아랫부분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고, 고정받침대 베이스(114b, 116b)의 옆면 바깥쪽 윗부분에 반대되는 형태의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하여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독서판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독서판을 눕히거나 세우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독서판을 직각으로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와 같이, 사용자는 독서판(102)을 상하로 슬라이딩 시키면서 책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이, 세로바(110)를 세우거나 눕히고, 독서판(102)을 세우거나 눕히면서 책의 각도와 앞뒤 방향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독서판(102)과 세로바(110)를 직각으로 세우면 독서판(102)과 세로바(110)가 완전히 밀착한 상태가 되면서 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5는 세로바가 스토퍼에 밀착되도록 제일 아래쪽으로 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세로바(110)는 스토퍼(114e, 116a-3)의 윗면과 접촉하면서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독서대 102 : 독서판
104 : 가이드 레일 106 : 슬라이드 뭉치
108 : 수평회전바 110 : 세로바
112 : 세로바 브라켓 114, 116 : 고정받침대
118 : 흡착판 120 : 흡착볼트
122 : 와셔

Claims (3)

  1. 책상(50)의 상판에 각도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독서대로서,
    책이 거치되는 판으로서, 뒷면 좌우측 끝부분에 두 개의 가이드레일(104)이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독서판(102)과;
    상기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활주이동하는 좌우측 두 개의 슬라이드뭉치(106)와;
    좌우 양쪽 끝부분이 상기 두 개의 슬라이드뭉치(106)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끼워져서 상기 슬라이드뭉치(106)와 함께 상기 두 개의 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활주이동하며, 바깥쪽 옆면에 길이방향으로 회전바 측면홈(108b)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평회전바(108)와;
    위쪽에는 상기 수평회전바(108)가 관통하는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회전바(108)가 상기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회전바 관통공(110a)의 안쪽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바 측면홈(108b)과 대응되는 돌출부(110b)가 형성되는 세로바(110)와;
    상기 세로바(110)의 아래쪽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세로바 브라켓(112)이 윗면에 형성되고, 상기 책상(50)의 상판에 볼트(114d)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받침대(114);를 포함하는, 책상 부착형 독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뭉치(106)는
    볼트(106c)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상부뭉치(106a)와 하부뭉치(106b)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뭉치(106a)와 상기 하부뭉치(106b)에서 서로 만나는 면에는 각각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뭉치(106a)와 상기 하부뭉치(106b)를 결합했을 때, 아래 위의 두 개의 반원형의 홈이 만나서 하나의 원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부착형 독서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110)의 아래쪽의 양측면에는 단면이 다각형인 측면돌기(110c)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측면돌기(110c) 완충링(110d)이 끼워져서 상기 세로바 브라켓(1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부착형 독서대.
KR2020120012062U 2012-12-21 2012-12-21 책상 부착형 독서대 KR200471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62U KR200471172Y1 (ko) 2012-12-21 2012-12-21 책상 부착형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62U KR200471172Y1 (ko) 2012-12-21 2012-12-21 책상 부착형 독서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080U Division KR200470139Y1 (ko) 2012-06-15 2012-06-15 책상 부착형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377U KR20130007377U (ko) 2013-12-26
KR200471172Y1 true KR200471172Y1 (ko) 2014-02-07

Family

ID=5141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062U KR200471172Y1 (ko) 2012-12-21 2012-12-21 책상 부착형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9854A (zh) * 2019-12-20 2020-05-08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翻书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1042A (zh) * 2019-06-25 2019-08-20 苏州市职业大学 一种残疾人多功能电脑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183U (ja) * 2006-07-18 2006-10-19 雲飛 王 回転式書見/筆記台
KR100696601B1 (ko) * 2003-08-26 2007-03-20 나상훈 만능 독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601B1 (ko) * 2003-08-26 2007-03-20 나상훈 만능 독서대
JP3126183U (ja) * 2006-07-18 2006-10-19 雲飛 王 回転式書見/筆記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9854A (zh) * 2019-12-20 2020-05-08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翻书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377U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321B2 (en) Computer table for a furniture
US11553795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a mobile pivotable dry erase board
KR200471172Y1 (ko) 책상 부착형 독서대
KR200471171Y1 (ko) 책상 부착형 독서대
KR20041383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KR200471173Y1 (ko) 책상 부착형 독서대
KR200470139Y1 (ko) 책상 부착형 독서대
RU2530868C2 (ru)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стойка для компьютерного стола
KR200392786Y1 (ko) 휴대가 가능한 교탁
KR101361699B1 (ko) 책상 부착형 독서대
JP4826833B2 (ja) 回転椅子の回転規制装置
KR101033756B1 (ko)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독서대
CN204698104U (zh) 一种适用于书本的简易型阅读台
KR101207364B1 (ko) 확장판을 구비한 책상
CN203934832U (zh) 倾斜度可调式学习桌
KR102042730B1 (ko) 노트북용 독서대
CN207514520U (zh) 一种显示器旋转支撑架
CN207341435U (zh) 一种图书馆阅览桌
KR20120120605A (ko) 거리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책걸상
JP3109811U (ja) 調節自在な読書デスク
CN204240001U (zh) 一种平板电脑支座
KR20130053598A (ko) 책걸상의 회전식 높이조절장치
KR200467813Y1 (ko) 독서대
KR102306140B1 (ko)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CN210603305U (zh) 一种测绘仪可拆卸固定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