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140B1 -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 Google Patents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140B1
KR102306140B1 KR1020190064968A KR20190064968A KR102306140B1 KR 102306140 B1 KR102306140 B1 KR 102306140B1 KR 1020190064968 A KR1020190064968 A KR 1020190064968A KR 20190064968 A KR20190064968 A KR 20190064968A KR 102306140 B1 KR102306140 B1 KR 102306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furniture
rod
plate
ty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890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신영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목재 filed Critical (주)신영목재
Priority to KR102019006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14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가구의 평평한 부분을 이루는 판상부와 판상부 하부의 다리부 사이에 구비되어 판상부의 높이가 가변 조절되게 하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1 봉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2 봉 수용부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 및,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1 봉 수용부와 상기 제2 봉 수용부로 끼워져 상기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의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설치 바닥면에 대한 높낮이가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책상으로 사용될 때에 아이들의 성장 속도에 맞춰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자세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 HEIGHT ADJUSTING DEVICE FOR FURNITURE AND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
본 발명은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과 같은 목재 가구의 높낮이가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책상, 걸상, 파티션 등 각종의 가구는 주 재질이 목재로 되어 있고, 제작할 때에는 저면이 수평한 상태로 제작된다.
그러나, 가구가 놓이게 되는 장소의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수평 상태로 이루어지지 아니한 바닥면에 가구를 놓게 되면, 가구의 좌정 상태가 일정치 않게 되어 수평을 따로 잡아서 가구를 지지해야되고, 또한 실내온도에 의하여 서서히 건조되는 과정에서 변형이 생겨 이를 사용 도중에 수평을 잡아주지 못하게 되면 소음을 발생케 하는 원인이 된다거나 가구를 이루는 각 부재 간에 이격이 생기게 되어 고가인 가구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종이나 신문 등을 여러번 접어 고임 목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가구의 저면부에 끼워 넣을 때 너무나 번거롭고 힘이 들며 가구의 수평조절에도 별다르게 큰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었다.
또한, 이러한 고임 목은 시간이 경과하면 찢어지고, 더럽혀져서 청결하고 깨끗한 주거 생활의 청결요건에 어긋나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남아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기존에는 저면에 나사를 직접 취부하는 방식의 수평조절장치가 있었으나, 가구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방식의 수평조절장치는 수평을 맞출 때에도 장치 전체를 직접 돌려서 맞추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힘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가구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81698호(2000년02월29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구는 특히 어린 아이들이 책상으로 사용할 때에 아이들의 성장 속도에 맞추어 높낮이를 조절하기가 까다롭기 때문에 아이들의 자세가 나빠지고 허리 통증을 유발하며 시력 저하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81698호(2000년02월29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바닥면에 대한 높낮이가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책상으로 사용될 때에 아이들의 성장 속도에 맞춰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자세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구의 평평한 부분을 이루는 판상부와 판상부 하부의 다리부 사이에 구비되어 판상부의 높이가 가변 조절되게 하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1 봉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2 봉 수용부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 및,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1 봉 수용부와 상기 제2 봉 수용부로 끼워져 상기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의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봉 수용부의 측부와 상기 제2 봉 수용부의 측부에는 상기 높이조절 봉이 높이조절된 상태가 고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체결수단이 끼워져 체결되게 체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 봉의 상단과 하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구의 평평한 부분을 이루는 판상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리부에 구비되어 다리부의 길이가 가변 조절되게 하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1 봉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 상기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제2 봉 수용부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 및,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1 봉 수용부와 상기 제2 봉 수용부로 끼워져 상기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의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가구의 평평한 부분을 이루는 판상부; 상기 판상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상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판상부와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판상부의 높이가 가변 조절되게 하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구용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판상부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1 봉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2 봉 수용부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 및,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1 봉 수용부와 상기 제2 봉 수용부로 끼워져 상기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의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판상부는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동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각각 상이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바닥면에 대한 높낮이가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책상으로 사용될 때에 아이들의 성장 속도에 맞춰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자세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가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가구의 측면도,
도 6은 금속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의 다리부를 갖는 가구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높이조절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10)의 평평한 부분을 이루는 판상부(20)와 판상부(20) 하부의 다리부(30) 사이에 구비되어 판상부(20)의 높이가 가변 조절되게 하는 것으로서, 판상부(2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1 봉 수용부(111)가 형성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와, 다리부(30)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2 봉 수용부(121)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제1 봉 수용부(111) 및 제2 봉 수용부(121)로 끼워져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 및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의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봉(13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설치 바닥면에 대한 높낮이가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책상으로 사용될 때에 아이들의 성장 속도에 맞춰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자세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둥근 원판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판상부(20)의 하부면에 결합되게 나사못이나 피스 등이 둘레에 체결되는 상부 베이스(110a)와, 상부 베이스(110a)의 중심부에서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를 향해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되 내부로 높이조절 봉(130)의 상부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부를 통해 내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1 봉 수용부(111)를 포함한다.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둥근 원판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다리부(30)의 상면에 결합되게 나사못이나 피스 등이 둘레에 체결되는 하부 베이스(120a)와, 하부 베이스(120a)의 중심부에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를 향해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되 내부로 높이조절 봉(130)의 하부가 끼워져 결합되게 상부를 통해 내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2 봉 수용부(121)를 포함한다.
이때, 다리부(30)의 중심부에는 제2 봉 수용부(121)의 내부와 연통 되게 형성되어 높이조절 봉(130)이 좀더 깊이 들어가 판상부(20)에 대한 판상부(20)의 높이가 좀더 낮아지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 봉 수용 홈이 추가로 더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30)는 목재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봉 수용부(111)의 측부와 제2 봉 수용부(121)의 측부에는 높이조절 봉(130)이 높이조절된 상태가 고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육각 렌치 볼트와 같은 고정체결수단(140)이 끼워져 체결되게 체결부(11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리부(30)에 대한 판상부(20)의 높이가 조절되게 제1 봉 수용부(111)와 제2 봉 수용부(121)로 각각 삽입되는 높이조절 봉(130)의 상단 및 하단의 깊이를 조절하여 고정체결수단(140)을 체결부(113)로 끼워 돌려 조여줌으로써, 대략 3 cm 정도의 범위 안에서 다리부(30)에 대한 판상부(20)의 높이가 조절되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 봉(130)의 상단과 하단에는 나사산(1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 봉(13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131)은 수나사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봉 수용부(111)와 제2 봉 수용부(121)의 내주면에는 이에 대응되게 암나나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 봉(130)이 제1 봉 수용부(111)와 제2 봉 수용부(121)로 삽입되는 깊이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고정체결수단(140)으로 고정되기 전에 높이조절 봉(130)이 쉽게 변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10)의 평평한 부분을 이루는 판상부(20)와, 판상부(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판상부(20)를 지지하는 다리부(30)와, 판상부(20) 및 다리부(30)의 사이에 구비되어 판상부(20)의 높이가 가변 조절되게 하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1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설치 바닥면에 대한 높낮이가 손쉽고 간편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책상으로 사용될 때에 아이들의 성장 속도에 맞춰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여 자세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가구(1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상부(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동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20)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경사진 구배를 이루게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아이나 학생 또는 어른들도 독서하거나 공부할 때에 자세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시력 저하도 막으며 편리하게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판상부(20)와 다리부(30)는 목재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부(30)는 사각기둥의 형태뿐만 아니라 그외 다양한 형태의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구용 높이조절장치는(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2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1 봉 수용부(111)가 형성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와, 다리부(30)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2 봉 수용부(121)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제1 봉 수용부(111) 및 제2 봉 수용부(121)로 끼워져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 및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의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봉(130)을 포함한다.
이하, 가구용 높이조절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언급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20)는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동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구용 높이조절장치(100)에 의해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각각 상이하게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 각도 조절된 판상부(20)의 일측에 책을 올려놓고 편리하게 독서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의 독서 자세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시력 저하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20)의 일측과 타측의 사이에는 상호 회동 절첩이 가능해지도록 회동 경첩(21)이 구비되고,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의 상부에는 판상부(20)와의 사이에 회동 힌지(115)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동 경첩(21)에 의해 판상부(20)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동 각도가 조절되어 경사지게 되더라도 회동 힌지(115)에 의해 판상부(20)의 경사진 일측 하부에 구비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는 수직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판상부(20)의 경사진 일측 하부에 구비된 다리부(30)가 설치 바닥부에 대해 수직을 유지하여 판상부(20)의 경사진 일측 하부를 제대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고, 판상부(20)의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더라도 각각의 하부에 배치된 가구용 높이조절장치(100)들에 의해 이에 맞게 높이가 조절되어 판상부(20)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용 높이조절장치(100)는 가구(10)의 평평한 부분을 이루는 판상부(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리부(30)에 구비되어 다리부(30)의 길이가 가변 조절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리부(30)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제1 봉 수용부(111)가 형성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와,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중심부에는 제2 봉 수용부(121)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제1 봉 수용부(111) 및 제2 봉 수용부(121)로 끼워져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 및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의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봉(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높이조절장치(100)를 목재가 아닌 철재와 같은 금속 재질로 된 파이프 형상의 다리부(30)를 갖는 가구(10)에 적용하여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가 설치면에 대해 다리부(30)를 지지하며, 높이조절 봉(미도시)이 끼워지는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면에 대한 판상부(20)의 높이가 용이하게 가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용 높이조절장치(100)를 각각의 다리부(30)의 하부에 결합할 때에 서로 마주보게 되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110) 또는 한 쌍의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120)의 일측으로는 상대를 향해 연장되는 측 파이프 수용부(150)가 구비되고, 이들 측 파이프 수용부(150)에는 다리부(30)에 가로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 파이프(16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리부(30)에 의한 판상부(20)의 지지가 흔들림이 없이 이음 파이프(160)에 의해 지지 강도가 보강되어 더욱 견고한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가구 20 : 판상부
30 : 다리부 100 :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110 :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 111 : 제1 봉 수용부
113 ; 체결부 120 :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
121 : 제2 봉 수용부 130 : 높이조절 봉
131 : 나사산 140 : 고정체결수단

Claims (6)

  1. 가구의 평평한 부분을 이루는 판상부와 판상부 하부의 다리부 사이에 구비되어 판상부의 높이가 가변 조절되게 하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1 봉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2 봉 수용부가 형성된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 및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봉 수용부의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1 봉 수용부와 상기 제2 봉 수용부로 끼워져 상기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의 사이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 봉;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형 고정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형 고정부 각각은,
    상기 제1 봉 수용부의 측부와 상기 제2 봉 수용부의 측부에 상기 높이조절 봉이 높이조절된 상태가 고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체결수단이 끼워져 체결되도록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는,
    중심부에 상기 제2 봉 수용부의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 봉이 들어가 상기 판상부의 높이가 더욱 낮아지게 조절되도록 형성된 봉 수용 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4968A 2019-05-31 2019-05-31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306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968A KR102306140B1 (ko) 2019-05-31 2019-05-31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968A KR102306140B1 (ko) 2019-05-31 2019-05-31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890A KR20200137890A (ko) 2020-12-09
KR102306140B1 true KR102306140B1 (ko) 2021-09-28

Family

ID=7378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968A KR102306140B1 (ko) 2019-05-31 2019-05-31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1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565Y1 (ko) * 1999-05-20 2000-05-15 박재성 오디오 기기의 스피커 장식대
KR200256061Y1 (ko) * 2001-08-24 2001-12-13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상. 하 조절구를 갖는 조립식 가구의 기둥
KR200318560Y1 (ko) * 2003-03-25 2003-06-28 김기봉 조립식 가구 기둥의 높이조절장치
KR200365395Y1 (ko) * 2004-07-20 2004-10-22 이장희 높이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책상
CN207693187U (zh) * 2017-05-22 2018-08-07 吕欣妍 一种内旋转伸缩调整台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698Y1 (ko) 1999-12-28 2000-05-15 서대하 목재용 가구류의 상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565Y1 (ko) * 1999-05-20 2000-05-15 박재성 오디오 기기의 스피커 장식대
KR200256061Y1 (ko) * 2001-08-24 2001-12-13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상. 하 조절구를 갖는 조립식 가구의 기둥
KR200318560Y1 (ko) * 2003-03-25 2003-06-28 김기봉 조립식 가구 기둥의 높이조절장치
KR200365395Y1 (ko) * 2004-07-20 2004-10-22 이장희 높이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책상
CN207693187U (zh) * 2017-05-22 2018-08-07 吕欣妍 一种内旋转伸缩调整台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890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529B2 (en) Clamp assembly for use with adjustable bed rail cross support members
WO2001028385B1 (en) Combination bedding foundation and adjustable height bed frame
US6918563B2 (en) Stand with foldable leg units
KR101583262B1 (ko) 낚시대 받침기구
US20030177957A1 (en) Stand for reading materials and laptop computers
KR102306140B1 (ko)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1358077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US7607397B2 (en) Device for a wiggle-free table
KR102317285B1 (ko) 낚시대 받침틀 파지기능을 구비한 전폭 조절식 좌대받침틀
US5549072A (en) Boat seat stand
US8196882B2 (en) Movable pole support
US6477726B2 (en) Mattress support and method
KR200478599Y1 (ko) 야외용 높이조절 테이블 다리
GB2323274A (en) Chair or bed raiser
KR100500568B1 (ko) 책, 걸상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구조
KR200415062Y1 (ko) 가구용 높이조절구
US20190264862A1 (en) Pivoting leg assemblies for self-leveling devices
US6216997B1 (en) Tree stand
KR200320254Y1 (ko)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KR101791659B1 (ko) 4개의 지지점을 구비한 가구
WO2019180544A1 (en) Universal support bases for supporting modular and varied articles of furniture
KR2002659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
KR200399635Y1 (ko) 가구용 다리의 높이조절구
KR102367070B1 (ko)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KR20210000950U (ko) 가구용 높이조절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