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47Y1 - 채변 기구 - Google Patents

채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47Y1
KR200471147Y1 KR2020130000407U KR20130000407U KR200471147Y1 KR 200471147 Y1 KR200471147 Y1 KR 200471147Y1 KR 2020130000407 U KR2020130000407 U KR 2020130000407U KR 20130000407 U KR20130000407 U KR 20130000407U KR 200471147 Y1 KR200471147 Y1 KR 200471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ces
length
joints
collec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판석
우수식
정수룡
Original Assignee
임판석
우수식
정수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판석, 우수식, 정수룡 filed Critical 임판석
Priority to KR2020130000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세식 변기로 배출된 대변에 대해서도 채집이 가능한 위생용 채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채변 기구는 변기에 배출된 대변의 일부를 채집하기 위한 채집부 및 상기 채집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관절들로 이루어진 몸체부로 이루어진 채변 막대와, 채변 막대의 채집부로부터 채집된 대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닥 및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지고, 벽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턱을 구비하는 채변 용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길이 조절 가능한 채변 막대를 통하여 수세식 변기로 배출된 대변에 대해서도 채집이 가능하고, 채변 용기에 구비된 턱과 채집 막대의 채집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하여 채집부에서 채집된 대변을 손쉽게 분리시킴으로써, 수세식 변기에 배출된 대변을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변 기구{FECES COLLECTION DEVICE}
본 고안은 채변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세식 변기에 배출된 대변에 대해서도 채집이 가능한 위생용 채변 기구에 관한 것이다.
학교, 보건소, 병원 등에서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인 대변 검사를 위하여 학생 또는 검사 대상자의 대변을 채집한다. 이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별한 채변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1회용 젓가락, 나무젓가락, 핀셋 등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대변을 채집하고 있다.
한편, 일부 사람들은 보건소, 병원 등에서 제공하는 채변 기구를 이용하여 대변을 채집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채변 기구(1)는 채집한 대변을 수납하기 위한 채변 용기(2)와, 채변 용기를 커버하는 뚜껑(3)과, 뚜껑(3)의 내측면에 숟가락 형상으로 대변을 채취하기 위한 채집부(4)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의 채변 기구(1)는 대변을 채집하기 위한 채집부(4)와 채집된 대변을 수납하기 위한 채변 용기(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종래의 채변 기구(1)는 대변을 수집하는 채변 용기(2)의 뚜껑(3)에 채집부(3)가 형성되어 위생적이고 편리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채변 기구(1)는 종래의 재래식 화장실, 즉 쪼그려 앉아서 대변을 보는 변기에서 대변을 채집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현재의 대부분 화장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세식 화장실에서는 채집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병원 등에서는 아직도 종래의 채변 기구(1)를 검사 대상자에게 지급하고 대변을 수집하도록 하고 있으며, 수세식 화장실을 사용하는 검사 대상자는 상기 종래의 채변 기구(1)를 이용하여 대변을 수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수세식 화장실에 배출된 대변에 대해서도 채집하기 위한 채변 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수세식 변기로 배출되어 변기의 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이상의 깊이에 위치한 대변에 대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채집 막대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채변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채집 막대에 채집된 대변을 채변 용기로 용이하게 분리 적출하기 위하여 채변 용기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턱을 구비하여 효율적으로 대변을 수납할 수 있는 채변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채집 막대의 최소 길이를 채변 용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 수단을 통하여 채집 막대와 채집 용기를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는 채변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변기구는 사람이 변기에 배출한 대변을 채집하기 위한 것으로 채변 막대와 채변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채변 막대는 상기 변기에 배출된 대변의 일부를 채집하기 위한 채집부, 및 상기 채집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관절들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채변 용기는 상기 채변 막대의 채집부로부터 채집된 대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닥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턱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채집 막대의 채집부와 상기 채집 용기의 턱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상기 채집부로부터 상기 채집된 대변이 상기 채변 용기로 수집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채집 막대의 몸체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관절들이 서로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거나 상기 복수개 관절들의 길이만큼 늘어나는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 때, 상기 몸체부의 관절들은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의 관절이 더 큰 너비의 관절의 내부로 겹쳐지는 방식으로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채집 막대의 몸체부는 상기 복수개의 관절들 사이에 각각 구비된 경첩(hinge)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첩에 의한 상기 관절들의 접힘 동작에 의하여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거나 상기 복수개 관절들의 길이만큼 늘어나는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 때, 상기 몸체부의 경첩들이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서로 이웃하는 경첩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채집 막대의 몸체부는 상기 복수개의 관절들의 사이에 각각 구비된 회전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절들은 상기 회전심을 기준으로 서로 접혀서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거나 상기 복수개의 관절들의 길이만큼 늘어나는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 때, 상기 몸체부의 회전심들이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서로 이웃하는 회전심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채변 막대가 상기 채변 용기의 바닥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채변 막대의 최소 길이는 상기 채변 용기 바닥의 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보다 작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채변 용기는 상기 바닥의 외측면에 상기 채변 막대를 탈착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채변 막대는 최소 길이로 조절된 후 상기 채변 용기의 고정 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채변 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길이 조절 가능한 채집 막대를 이용하여 대변을 채집함으로써, 수세식 변기로 배출된 대변에 대해서도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둘째, 대변을 채집한 채변 막대를 채변 용기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턱에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대변을 채변 용기로 용이하게 분리 적출시킬 수 있다.
셋째, 길이 조절 가능한 채변 막대를 최소 길이로 조절한 후 채변 용기의 바닥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채변 막대와 채변 용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채변 기구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변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채변 막대가 접히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변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채변 막대가 접히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변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변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변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변 막대와 채변 용기가 대변을 수집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변 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변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채변 막대가 접히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변 막대(100)는 변기에 배출된 대변의 일부를 채집하기 위한 채집부(110)와 채집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120)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채집부(110)는 변기에 배출된 대변의 일부를 효율적으로 채집하기 위하여 숟가락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채집부(110)는 대변의 일부를 채집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20)는 복수개의 관절들(121, 122, 123, 124, 125)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관절들(121, 122, 123, 124, 125)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직경 또는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몸체부(120)의 관절들(121, 122, 123, 124, 125)은 서로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거나 복수개의 관전들의 길이만큼 늘어나도록 길이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20)의 관절들(121, 122, 123, 124, 125)은 서로 다른 너비(직경)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직경)의 관절들이 더 큰 너비(직경)의 내부로 겹쳐지는 방식으로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 수 있다. 일 예로, 가장 큰 너비를 갖는 몸체부(120)의 관절(125)에 나머지 관전들(121, 122, 123, 124)이 삽입됨으로써, 몸체부(120)의 길이는 하나의 관절(125) 길이만큼 조절될 수 있다. 즉, 겹상자 방식에 의하여 몸체부(12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변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채변 막대가 접히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변 막대(100)는 변기에 배출된 대변의 일부를 채집하기 위한 채집부(110)와 채집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12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120)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의 복수개의 관절들(126, 127, 128)로 이루어진다. 이 때, 몸체부(120)의 관절들(126, 127, 128) 사이에 경첩(hinge, 130)이 더 구비된다.
경첩(130)은 관절들(126, 127, 128)이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접히도록 한다. 한편, 경첩(13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경첩은 몸체부(120)의 관절들(126, 127, 128)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경첩(130a)은 채집부(110)에 인접하는 관절(126)과 중간에 위치한 관절(127)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경첩(130b)은 중간에 위치한 관절(127)과 말단에 위치한 관절(128)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때, 관절들(126, 127, 128)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히도록, 제1 경첩(130a)과 제2 경첩(130b)은 서로 반대되는 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120)는 경첩(130)에 의하여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거나, 복수개의 관절들의 길이만큼 늘어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변 막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변 막대(100)의 몸체부(120)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의 복수개의 관절들(126, 127, 128)로 이루어진다. 이 때, 몸체부(120)의 관절들(126, 127, 128) 사이에 회전심(132)이 더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심(132a)은 채집부(110)에 인접하는 관절(126)과 중간에 위치한 관절(127)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회전심(132b)은 중간에 위치한 관절(127)과 말단에 위치한 관절(128)의 사이에 위치한다.
회전심(132)은 관절들(126, 127, 128)이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회전심(132)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회전심(132)은 몸체부(120)의 관절들(126, 127, 128)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심(132a)과 제2 회전심(132b)은 관전들(126, 127, 128)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즉, 제1 회전심(132a)이 관절들(126, 127)이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회전심(132b)는 관절들(127, 128)이 반시계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회전심(132)은 180도 이하로만 회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회전심(132)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이 회전심(132)의 인접한 위치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20)는 회전심(132)에 의하여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거나, 복수개의 관절들의 길이만큼 늘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수세식 변기에서 바닥까지의 깊이는 약 15㎝ 전후이므로, 몸체부(120)의 길이가 15㎝ 이상 되도록 조절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집 막대(100)는 수세식 변기에 배출된 대변에 대해서도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변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변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변 용기(200)는 바닥(210), 벽체(220) 및 턱(230a, 230b)으로 이루어진다.
바닥(210)은 채변 막대(100)가 채집한 대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바닥면을 제공하고, 벽체(220)는 바닥(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채집한 대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벽면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턱(230a, 230b)은 벽체(2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 예로, 턱(230a)은 벽체(2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턱(230b)은 벽체(220)의 내측면 중 일부, 즉 반원 정도가 아닌 일정 길이를 갖는 호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턱(230a, 230b)은 벽체(2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기만 하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턱(230a, 230b)은 바닥(21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변 막대와 채변 용기가 대변을 수집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변 기구는 변기, 특히 수세식 변기로부터 대변의 일부를 채집한 채변 막대(100)의 채집부(110)와 채변 용기(200)의 턱(230)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채집부(110)로부터 대변이 채변 용기(200)의 바닥(210)에 떨어져 수집된다. 즉, 수세식 변기의 깊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채변 막대(100)에 의하여 채집된 대변을 채변 용기(200)에 구비된 턱(230)에 긁어서 위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만일, 채변 용기(200)의 턱(230)이 없으면, 채변 용기(200)의 벽체(220)에 긁어서 채변 용기(200)의 외부로 대변이 튀거나, 채변 용기(200)의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닫을 경우 사람의 손에 묻거나 벽체(220)의 외측면을 따라 대변이 흘러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변 기구는 채변 용기(200)의 내부에 턱(230)을 구비함으로써, 채변 막대(100)의 채집부(110)로부터 대변을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수납,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 수단(240)은 채변 용기(200)의 바닥(2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채변 막대(100)를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채변 막대(100)는 채변 용기(200)의 바닥(210)의 직경보다 작게 되도록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만일 채변 용기(200)의 바닥(210)이 사각형이라면, 채변 막대(100)의 길이는 채변 용기(200) 바닥(210)의 대각선 길이보다 작게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채변 막대(100)가 최소 길이로 조절된 후, 채변 용기(200)의 고정 수단(240)에 고정되어, 채변 기구가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채변 막대(100)와 채변 용기(200)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변 기구는 종래의 채변 기구와는 달리 수세식 변기에 배출된 대변에 대해서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이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세식 변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채변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재래식 변기 또는 신문지 등을 바닥에 깔고 배출한 대변에서 채집을 하는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기본적인 채변 기구, 채변 막대, 채변 용기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서술한 것일 뿐,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 일체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1 : 종래의 채변 기구 100 : 채변 막대
110 : 채집부 120 : 몸체부
130, 130a, 130b : 경첩 132, 132a, 132b : 회전심
200 : 채변 용기 210 : 바닥
220 : 벽체 230 : 턱
240 : 고정 수단

Claims (10)

  1. 사람이 변기에 배출한 대변을 채집하기 위한 채변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기에 배출된 대변의 일부를 채집하기 위한 채집부, 및 상기 채집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관절들로 이루어진 몸체부로 이루어진 채변 막대;
    상기 채변 막대의 채집부로부터 채집된 대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닥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턱을 구비하는 채변 용기를 포함하는 채변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 막대의 채집부와 상기 채집 용기의 턱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상기 채집부로부터 상기 채집된 대변이 상기 채변 용기로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 막대의 몸체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관절들이 서로 간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거나 상기 복수개 관절들의 길이만큼 늘어나는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관절들은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의 관절이 더 큰 너비의 관절의 내부로 겹쳐지는 방식으로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 막대의 몸체부는 상기 복수개의 관절들 사이에 각각 구비된 경첩(hinge)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첩에 의한 상기 관절들의 접힘 동작에 의하여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거나 상기 복수개의 관절들의 길이만큼 늘어나는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경첩들이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서로 이웃하는 경첩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 막대의 몸체부는 상기 복수개의 관절들의 사이에 각각 구비된 회전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절들은 상기 회전심을 기준으로 서로 접혀서 하나의 관절 길이로 줄어들거나 상기 복수개의 관절들의 길이만큼 늘어나는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심들이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서로 이웃하는 회전심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변 막대가 상기 채변 용기의 바닥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채변 막대의 최소 길이는 상기 채변 용기 바닥의 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변 용기는 상기 바닥의 외측면에 상기 채변 막대를 탈착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채변 막대는 최소 길이로 조절된 후 상기 채변 용기의 고정 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변 기구.
KR2020130000407U 2013-01-16 2013-01-16 채변 기구 KR200471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07U KR200471147Y1 (ko) 2013-01-16 2013-01-16 채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07U KR200471147Y1 (ko) 2013-01-16 2013-01-16 채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147Y1 true KR200471147Y1 (ko) 2014-02-06

Family

ID=5141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407U KR200471147Y1 (ko) 2013-01-16 2013-01-16 채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4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915A (ja) * 1993-09-16 1995-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採便具および採便容器
JP2005249392A (ja) 2004-03-01 2005-09-15 Tfb Inc 検体採取用容器
KR20100042614A (ko) * 2010-03-04 2010-04-26 나인성 시약오염방지를 위한 스푼 장착식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915A (ja) * 1993-09-16 1995-03-31 Dainippon Printing Co Ltd 採便具および採便容器
JP2005249392A (ja) 2004-03-01 2005-09-15 Tfb Inc 検体採取用容器
KR20100042614A (ko) * 2010-03-04 2010-04-26 나인성 시약오염방지를 위한 스푼 장착식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19623T3 (en) URINARY COLLECTION FOR WOMEN
US20090048569A1 (en) Disposable female urinary aid
US20110030130A1 (en) PP flushable urinating device for women
US20180008238A1 (en) Bodily fluids specimen collection device
US7530121B2 (en) Portable disposable urination capture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US5852832A (en) Portable toilet seat
US20070044213A1 (en) Flushable urination assisting device
KR200471150Y1 (ko) 채변 기구
KR200471147Y1 (ko) 채변 기구
KR20140115827A (ko) 채변 기구
US6401263B2 (en) Portable urinal apparatus
JP5587828B2 (ja) 携帯トイレ及び汚物処理器具
JP3170414U (ja) 大便収容用具
US200901993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venting post urination drip
KR200437903Y1 (ko) 좌변기의 덮개
TWI657782B (zh) 拋棄式容置袋
GB2415386A (en) Urinary aid device for females
JP6965498B2 (ja) 簡易トイレ
CN211049917U (zh) 一种更换垃圾袋的抽拉式护理椅
CN217792779U (zh) 一种坐便器
US20240148542A1 (en) Morning Erections Urine Collection Device
JP2021037329A (ja) 簡易トイレ
CN2899692Y (zh) 一种座便器盖
CN201085548Y (zh) 一种有泄水孔的盥洗盆
JP3088124U (ja) 便器補助具及び便器補助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