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091Y1 -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 Google Patents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91Y1
KR200471091Y1 KR2020130000764U KR20130000764U KR200471091Y1 KR 200471091 Y1 KR200471091 Y1 KR 200471091Y1 KR 2020130000764 U KR2020130000764 U KR 2020130000764U KR 20130000764 U KR20130000764 U KR 20130000764U KR 200471091 Y1 KR200471091 Y1 KR 200471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utsole
fastening unit
roller
sk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2020130000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3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스케이트 또는 스케이팅신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갑피의 저부에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와,
내측에는 베어링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쌍을 이루는 한 쌍의 롤러와,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측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긴 체결유니트와,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긴 체결유니트를 삽입하여긴 체결유니트의 외측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도록 내측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긴 너트타입 체결유니트가 짝을 이루는 한 쌍의 체결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상기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체결유니트는 아웃솔을 기준으로 앞 부분 및 뒷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Skating Keds}
본 고안은 갑피와 아웃솔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신발에 대하여,
인라인스케이트와 같은 스케이팅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부여하는 스케이팅신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에 롤러를 탈부착하여서 평상시에는 신발로서만 전용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롤러를 부착한 경우에는 롤러 스케이트로서 기능을 발휘하여 인라인스케이트처럼 사용할 수 있는 스케이팅신발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케이팅신발에는,
아웃솔의 뒤축 부분에 하나의 롤러를 구비한 힐리스(heelyss)라는 제품이 공용되고 있다
또한, 킥롤러라는 제품이 신발의 아웃솔로부터 신발 저부로 출입을 하면서 신발과 인라인스케이트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배경기술에는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선 출원된 등록특허 제10-0940036호가 있는 바,
신발의 저면 외측을 따라 배치되는 마찰부; 상기 신발의 저면 내측을 따라 배치되는 롤러들;을 포함하며,
보행시 상기 롤러들의 내측 모서리는 접지하지 않고, 상기 마찰부 및 상기 롤러들의 외측 모서리가 각각 접지하고,
스케이팅시 상기 마찰부는 접지하지 않고, 상기 롤러들만이 접지하는 스케이팅신발이다.
하지만, 상기 배경기술의 스케이팅신발은 신발 바닥 부분에 부착되기 때문에 신발 사용자가 중심을 잡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롤러를 이탈시킬 수 없도록 아예 고정되어 있거나, 설령 롤러를 이탈시킬 수 있다고 하더라도 롤러가 너무 쉽게 빠져 안전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상의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에 롤러를 부착하여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은,
저부에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내측에는 베어링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쌍을 이루는 한 쌍의 롤러,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상기 회전축, 상기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체결유니트는 아웃솔을 기준으로 앞 부분 및 뒷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갑피 및 아웃솔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신발의 구성에 더하여, 손쉽게 롤러를 부착하여서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롤러가 부착된 스케이팅신발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라고 하더라도 신발의 내측 및 외측 양측에서 지지를 하여 주므로 중심을 잡기 쉬운 장점이 있고,
롤러와 브레이크의 조합된 것을 장착한 경우에는 상기 등록특허 제10-0940036호와 같이 진행중에 아무조작 없이 보행 및 스케이팅을 바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인라인스케이트의 측면도
도 2는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구성의 일 부분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일부를 저면에서 투시하여 보인 저면도
도 5는 구성의 일 부분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관한 도시로서,
도 6은 구성의 일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아웃솔 부분만 정단면도로 도시한 스케이팅신발의 정면도
도 8은 기울임 동작을 정면에서 예시한 동작도
도 2 내지 도 8의 도시와 함께 본 고안의 구성을 상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스케이팅신발은 신발 상부에 갑피를 구비하고 저부에 아웃솔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솔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내측에는 베어링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쌍을 이루는 한 쌍의 롤러 및,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상기 회전축, 상기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체결유니트는 아웃솔을 기준으로 앞 부분 및 뒷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더하여, 회전축의 양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쪽 체결유니트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나사부와 상기 체결유니트의 나사부가 나사체결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아웃솔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 내측에는 베어링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쌍을 이루는 한 쌍의 롤러; 및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상대적으로 긴 체결유니트와,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긴 체결유니트와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상대적으로 짧은 짧은 체결유니트가 짝을 이루는 한 쌍의 체결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 상기 한 쌍의 롤러, 상기 한쌍의 체결유니트는 아웃솔을 기준으로 앞 부분 및 뒷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아웃솔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 내측에는 베어링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쌍을 이루는 한 쌍의 롤러; 및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측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긴 체결유니트와,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긴 체결유니트를 삽입하여 긴 체결유니트의 외측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도록 내측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긴 너트타입 체결유니트가 짝을 이루는 한 쌍의 체결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상기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체결유니트는 아웃솔을 기준으로 앞 부분 및 뒷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유니트의 헤드 중앙부에는 고정구로 고정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 내에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으로 롤러가 형성되며,
나사결합에 의해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며, 고정부, 회전축 및 한 쌍의 롤러는 아웃솔을 기준으로 앞 부분 및 뒷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개개의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도시에서, 신발(100)은 통상의 운동화와 같이 저부에 아웃솔(120)을 구비한 신발이다. 신발의 측면에는 양쪽으로 두개씩 총 4개의 롤러(200)가 형성된다.
롤러(200)는 아웃솔(120)에 부착되어 있다.
사실, 상기 롤러(200)는 아웃솔(200)에 고정된다기보다, 도구 또는 손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아웃솔에 부착되어 있다.
즉, 롤러(200)는 손으로 간편하게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1과 같이 고정구(300)를 이용하여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일의 경우에, 손을 이용하여 롤러를 풀고 조이는 경우에는 고정부(220, 도 3 참조)의 헤드(220a)에 손으로 고정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헤드를 크게 형성하고 측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주름을 형성하게 된다.
도면에서, 측면의 롤러(200)는 고정구(300)를 이용하여 풀거나 조이게 된다. 고정부의 헤드(220a)의 중앙에는 고정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22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부(260)는 아웃솔 내부에 형성된다. 고정부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그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강도가 강한 플라스틱제나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
롤러를 제거하고 신발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정부의 강도가 비록 강하다 하더라도, 고정부는 아웃솔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신발 착용자는 고정부의 딱딱함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아웃솔의 쿠션감을 느낄 수가 있다.
따라서, 신발 착용자는 별다른 거부감 없이 신발로서 본 고안의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을 착용할 수 있다.
회전축(240)은 고정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축(240)은 롤러의 회전시 중심축의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쌍으로 이루는 한 쌍의 롤러(200)는 내측에 원할한 회전을 위해서 베어링(20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체결유니트(220)는 상기 롤러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회전축과 결합되는 데, 회전축과 결합되는 반대편에는 상기 베어링(200a)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220a)가 형성된다. 체결유니트(220)의 헤드(220a) 직경을 베어링(200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체결유니트(220)와 회전축(240)이 분리되지 않는 한, 롤러가 빠지지 않는다.
체결유니트(220)와 회전축(240)이 용접 등으로 완전 고정될 수도 있으나, 그렇게 되면 신발에서 롤러를 제거할 수 없음으로, 신발에서 롤러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체결유니트와 회전축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유니트와 회전축의 결합은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240)의 양측면에는 나사부(240a)가 형성되고, 양쪽 체결유니트(220)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220c)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나사부(240a)와 상기 체결유니트의 나사부(220a)가 나사체결되어 결합된다.
도 3에서는 회전축의 나사부(240a)는 외측나사를, 체결유니트의 나사부(220a)는 내측 나사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축에 내측 나사를, 체결유니트에 외측 나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체결유니트(220)의 헤드(220b) 중앙에는 고정구(300) 등 도구를 이용하여 체결유니트와 회전축을 분리 또는 체결할 수 있도록 삽입홈(220b)이 형성된다. 삽입홈(220b)은 사각홈 또는 육각홈 등의 다각홈이나,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 또는 일자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홈의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십자홈이 형성된다.
한편, 체결유니트와 회전축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데, 체결유니트와 회전축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를 양측의 롤러(200)와 고정부(260)의 내부를 관통시켜, 양쪽으로 롤러의 외측에서 너트를 이용하여 롤러를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의 저면도로서, 도 3의 실시예에 대응된다. 점선은 아웃솔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260), 회전축(240), 연결부(28)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을 참조하면, 고정부(260), 회전축(240), 한 쌍의 롤러(200), 한 쌍의 체결유니트(220)는 아웃솔을 기준으로 앞부분 및 뒷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28)는 아웃솔을 기준으로 앞 부분의 고정부와 뒷 부분의 고정부를 연결하여 고정지지하는 연결부(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28) 또한, 고정부(260)와 같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그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강도가 강한 플라스틱제나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또한, 아웃솔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신발 착용자는 고정부의 딱딱함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아웃솔의 쿠션감을 느낄 수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회전축을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긴 체결유니트와 짧은 체결유니트 만을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4와 관련하여 상기 연결부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2개의 체결유니트 모두 긴 체결유니트이다.
2개의 체결유니트 중 하나는 볼트형이며, 다른 하나는 너트타입이다. 볼트형 긴 체결유니트(221)와 너트타입 긴 체결유니트(223)가 짝을 이루어 한 쌍의 체결유니트(220)를 형성한다.
2개의 체결유니트가 나사결합됨으로, 볼트형 체결유니트는 외측 나사선이, 너트타입 체결유니트는 내측 나사선이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는, 전술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등록특허 제10-0940036호와 같은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와 같이 한 쪽 롤러를 대신하여 체결유니트(220)의 단부에 마찰력이 강한 소재 가령 고무뭉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400)를 장착(fx)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400)는 지면과 접촉시에 브레이킹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유니트(220)로부터 상기 롤러(200)처럼 회전하면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롤러처럼 베어링(200a)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400)는 상기 체결유니트(220)에 단단하게 끼워져 고정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측면도(side view)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400)의 저면은 평면(plane) 형태를 취해서 지면과의 접촉면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통하여, 스케이팅의 모드에서는 도 8의 예시와 같이 발목을 옆으로 젖혀서 브레이크(400)가 배치된 측을 들어 올려서 지면(ground)과의 마찰을 해제시키고, 롤러(200) 만을 지면에 접촉하여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행의 모드로 돌아설 때에는 젖힌 발목을 정상으로 반듯하게 하고 스케이팅신발을 바로 놓아서 상기 브레이크(400)가 지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 러한 구성에 있어서 최대의 장점은, 상기 롤러를 이탈시키지 않고도 바로 보행을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100: 신발 120: 아웃솔 200: 롤러
200a: 베어링 220: 체결유니트 221: 긴 체결유니트
400: 브레이크

Claims (2)

  1. 갑피 및 아웃솔을 구비한 스케이팅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와,
    내측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며,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와,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측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긴 체결유니트와,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긴 체결유니트를 삽입하여긴 체결유니트의 외측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도록 내측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는 긴 너트타입 체결유니트가 짝을 이루는 한 쌍의 체결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 상기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체결유니트;는 아웃솔을 기준으로 앞 부분 및 뒷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한 쪽 롤러를 대신하여 체결유니트의 단부에 브레이크가 고정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브레이크의 저면은 평면 형태를 취해서 지면과의 접촉면을 극대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KR2020130000764U 2013-01-29 2013-01-29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KR200471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64U KR200471091Y1 (ko) 2013-01-29 2013-01-29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64U KR200471091Y1 (ko) 2013-01-29 2013-01-29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91Y1 true KR200471091Y1 (ko) 2014-02-06

Family

ID=5141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64U KR200471091Y1 (ko) 2013-01-29 2013-01-29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881A (ko) 2021-06-07 2022-12-14 이현태 탈부착 스케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02Y1 (ko) 2001-06-29 2001-11-16 훙룽 후앙 양기능 롤러 스케이트
KR100940036B1 (ko) 2008-11-07 2010-02-12 박경희 스케이팅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02Y1 (ko) 2001-06-29 2001-11-16 훙룽 후앙 양기능 롤러 스케이트
KR100940036B1 (ko) 2008-11-07 2010-02-12 박경희 스케이팅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881A (ko) 2021-06-07 2022-12-14 이현태 탈부착 스케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5393B2 (ja) 装着型デバイス
US7341261B2 (en) Skate
US20140033575A1 (en) Hockey skate boot including a tongue with one or more comfort channels
US6880833B2 (en) Modular roller skate apparatus
KR200471091Y1 (ko)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US20080265532A1 (en) Roller skate
KR20080050559A (ko) 바퀴달린 신발
KR102091830B1 (ko) 기능성 신발 및 신발용 기능성 유닛
KR101256365B1 (ko)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
US20080134542A1 (en) Shoe heel structure
KR200419496Y1 (ko) 바퀴 달린 신발
KR101900613B1 (ko) 기능성 신발 및 신발용 기능성 유닛
US20110057400A1 (en) Wheeled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wheeled footwear
EP3838355B1 (en) Sole with a removable gliding system
KR200324899Y1 (ko)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된 롤링슈즈
KR20060084476A (ko) 신발착탈용 롤러스케이트
CN205759593U (zh) 一种滑轮可收放式溜冰鞋
KR200426711Y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101741064B1 (ko)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KR200397974Y1 (ko) 골프화용 스파이크의 결합 구조
KR100822049B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200326938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08219Y1 (ko) 인라인 스케이트
CA2709320C (en) Combination structure for shoe shell
KR200412979Y1 (ko)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