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064B1 -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064B1
KR101741064B1 KR1020150160738A KR20150160738A KR101741064B1 KR 101741064 B1 KR101741064 B1 KR 101741064B1 KR 1020150160738 A KR1020150160738 A KR 1020150160738A KR 20150160738 A KR20150160738 A KR 20150160738A KR 101741064 B1 KR101741064 B1 KR 10174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wheel
foot plate
wing portions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086A (ko
Inventor
최승준
Original Assignee
최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준 filed Critical 최승준
Priority to KR102015016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0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13Devic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kate but not fixed to it, e.g. supporting frames, sail, sticks, auxiliary wheel a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간편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숙달 정도에 따라 보조 바퀴 사용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과, 상기 신발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가 구비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면에 신발에 체결되는 회전결합구가 돌출 형성되어 신발의 하부에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신발을 감싸도록 하여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날개부와, 상기 발판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바퀴가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바퀴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발의 밑창에는 회전결합구가 체결 고정되는 회전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Attachable Inline Skates}
본 발명은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간편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숙달 정도에 따라 보조 바퀴 사용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블레이드라 칭하는 인라인스케이트는 운동, 레크레이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계절과 관계없이 어디서나 간편하게 즐길 수 있어 어린이나 청소년 뿐만 아니라 일반 청, 장년층까지 애용하고 있다.
이 같은 인라인스케이트의 종류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피트니스 인라인스케이트, 숙련자들을 위한 레이싱 인라인스케이트, 점프 등 다양한 기술을 구사할 수 있는 어그레시브 인라인스케이트 등이 있고, 최근에는 오프로드 인라인스케이트, 피겨 인라인스케이트와 같은 특수 목적을 위한 전문적인 인라인스케이드들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일반인들이 즐겨타는 피트니스 인라인스케이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 형상의 슈즈와, 슈즈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구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구는 다시 실제적으로 슈즈에 고정 장착되는 런너 또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샤프트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5개 또는 4개의 롤러 또는 휠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상기 슈즈를 신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편리한 인라인스케이트의 사용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해 슈즈와 결합구를 착탈식으로 구성한 인라인스케이트들이 다수 개발되었는데, 그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2284호에는 인라인 스케이트와 신발의 부착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1)의 밑창(2)의 앞뒤 저면에 암단추(3)와 말굽형 결합홈(4)을 각각 배치하여 형성하고 인라인 스케이트(5)의 발판(6)의 상면에는 상대적으로 결합되는 숫단추(3a)와 말굽형 결합돌조(4a)를 형성하여 신발 밑창(2)에 스케이트 발판(6)에 대고 누루면 단추(3)(3a)끼리 결합시키는 동시 결합홈(4)에 결합돌조(4a)가 결합되어 간단한 구조로서 간편하게 인라인 스케이트를 신발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단순한 단추(3)(3a)끼리의 결합 및 결합홈(4)과 결합돌조(4a)의 결합으로는 신발(1)과 발판(6)의 결합력이 약하여 사용 도중 신발(1)과 발판(6)이 분리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고, 그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의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신발(1)이 발목부분까지 높게 형성되어 있어 계절에 따라 사용자가 신발(1)을 착용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0349호에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휠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휠 프레임과, 변환돌기를 구비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휠 프레임과 힌지결합되며,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이 안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면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된 발목 고정부와, 사용자의 발에 의한 하방 가압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발판이 회전하여 상기 휠 중 최후방의 휠의 회전을 억제하여 브레이크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발판의 하부에 부착되는 브레이크편과, 상기 브레이크편이 상기 휠로부터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산형돌기와 복수의 보행모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발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 프레임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모듈과, 상기 브레이크모드에서 보행모드로의 변환과, 상기 보행모드에서 주행모드로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모듈과의 걸림을 실행하는 모드변환편을 가지는 모드변환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평상시 착용하는 신발을 인라인스케이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신발과 발판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부(140)만으로 신발과 발판을 고정시키므로 사용도중 신발이 발판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구조가 너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바퀴가 일렬로 구성되어 인라인스케이트를 처음 접하는 어린이들이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2284호(2005.01.10.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0349호(2013.11.2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신발과의 결합이 가능하여 날씨 및 계절과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단순하여 보관이 용이한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숙달 정도에 따라 보조 바퀴 사용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라인스케이트를 처음 접하는 어린이나 초보자들도 쉽게 착용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과, 상기 신발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가 구비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면에 신발에 체결되는 회전결합구가 돌출 형성되어 신발의 하부에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신발을 감싸도록 하여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날개부와, 상기 발판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바퀴가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바퀴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발의 밑창에는 회전결합구가 체결 고정되는 회전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날개부는 발판의 전방에 형성되어 발등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와, 발판의 후방에 형성되어 발목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와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와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에는 서로 간의 결합을 위해 암,수 밸크로테이프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판의 하부에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퀴고정프레임의 상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퀴고정프레임의 상부 중앙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와 대응되는 위치의 발판에는 고정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퀴는 바퀴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체결 고정되는 메인바퀴와, 상기 메인바퀴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신발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날씨 및 계절과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숙달 정도에 따라 보조바퀴 사용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라인스케이트를 처음 접하는 어린이나 초보자들도 쉽게 착용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숙련도에 따라 메인바퀴에 결합되는 보조바퀴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와 신발의 부착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신발과 결합구의 체결방법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결합구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발판과 바퀴고정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신발과 결합구의 체결방법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결합구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발판과 바퀴고정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신발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간편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숙달 정도에 따라 보조바퀴(260) 사용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신발(100)과 결합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신발(1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후술할 발판(210)의 상부에 안치되어 제1 및 제2날개부(220,230)에 의해 결합구(200)에 고정 결합되므로, 운동화, 부츠 등 다양한 형상의 신발(100)이 모두 사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결합구(200)와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인라인스케이트(10) 또는 신발(100)로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신발(100)의 저면 즉, 밑창의 하부에는 회전결합홈(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결합홈(110)은 신발(100)과 결합구(200)를 체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결합홈(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결합구(200)의 발판(210) 상면에는 회전결합구(212)가 돌출 형성되어 신발(100)을 발판(210)과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발판(210)에 얹어 놓은 상태에서 신발(100)을 90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결합구(212)가 회전결합홈(110)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어 신발(100)과 발판(210)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대로, 신발(100)과 발판(2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신발(100)을 반대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시키면, 회전결합구(212)가 회전결합홈(110)으로부터 분리되어 신발(100)과 결합구(200)를 분리시키킬 수 있다.
다음, 상기 결합구(200)는 신발(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신발(100)을 인라인스케이트(10)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발판(210), 제1 및 제2날개부(220,230), 바퀴고정프레임(240) 및 바퀴(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판(210)은 상부에 신발(100)이 안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발판(210)의 상부에는 신발(100)에 형성된 회전결합홈(110)에 체결되는 회전결합구(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발판(210)의 하부에는 바퀴고정프레임(240)이 결합되는 슬라이드홈(2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판(21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214)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214)은 바퀴고정프레임(240)을 발판(210)에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1 및 제2날개부(220,230)는 발판(21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발판(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신발(100)을 감싸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2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a,230a)와, 발판(2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b,230b)로 분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a,230a)는 발판(210)의 상부에 체결된 신발(100)의 발등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a,230a)의 외측 단부에는 각각 암,수 밸크로 테이프(222,232)가 구비되어,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a,230a)가 발등 부분을 감싼 상태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b,230b)는 신발(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목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된 것으로, 마찬가지로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b,230b)의 외측 단부에는 각각 암,수 밸크로 테이프(222,232)가 구비되어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b,230b)가 사용자의 발목 앞쪽에서 'X'자 형상으로 교차된 후 발목 뒤쪽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a,230a)와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b,230b)를 이용하여 신발(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등 부분과 발목 부분을 감싼 상태에서 결합시킴으로써 단순한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신발(100)과 결합구(20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발목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상기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b,230b)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 부분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발목 부분이 상향으로 돌출되지 않은 일반 운동화 형태의 신발(10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10)를 안전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a,230a)와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220b,230b)는 모두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발(100) 크기나 종류에 관계없이 신발(100)과 결합구(20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바퀴고정프레임(240)은 바퀴(250)를 발판(21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ㅠ'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는 발판(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그 내측으로 바퀴(2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판(210)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16)은 바퀴고정프레임(240)의 상부 형상과 동일한 'ㅠ'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바퀴고정프레임(240)의 상부가 슬라이드홈(216)을 통해 발판(210)의 하부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퀴고정프레임(240)의 하부에는 바퀴축(252)이 관통되는 관통공(248)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바퀴(250) 및 바퀴축(252)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퀴(250)와 바퀴축(252)을 바퀴고정프레임(24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 즉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체결수단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와셔 및 베어링 등의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바퀴의 결합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퀴고정프레임(24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24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42)에는 탄성스프링(244)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246)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구(246)는 발판(210)에 형성된 관통홀(214)에 삽입되어 바퀴고정프레임(240)이 발판(21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바퀴고정프레임(240)을 발판(210)의 슬라이드홈(216)에 결합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고정구(246)를 아래로 누른 상태에서 슬라이드 결합시키게 되고, 상기 고정구(246)가 발판(210)에 형성된 관통홀(214)의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탄성스프링(244)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어 관통홀(214)의 내측에서 고정되므로, 상기 바퀴고정프레임(240)이 발판(210)에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바퀴고정프레임(240)을 발판(2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발판(210)의 상부에서 신발(100)을 분리시킨 후, 발판(210)에 형성된 관통홀(214)의 상부를 통해 손가락이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구(246)를 아래로 누른 상태에서 바퀴고정프레임(240)을 발판(2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1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퀴를 메인바퀴(250)와 보조바퀴(260)로 분리 구성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바퀴고정프레임(240)의 하부 내측에 일렬로 설치되는 바퀴를 메인바퀴(250)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바퀴(250)의 양측으로 보조바퀴(26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최근 들어 인라인스케이트의 최초 사용 연령이 점점 어려져 어린이들이 인라인스케이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처음부터 일렬로 설치된 바퀴(250) 즉, 메인바퀴(250)만으로 이루어진 인라인스케이트를 사용하게 되면, 안전사고 발생의 확률이 높아지므로, 메인바퀴(250)의 양측으로 메인바퀴(25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보조바퀴(26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처음 인라인스케이트(10)를 접하는 사람들이 보다 안전하게 인라인스케이트(10)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바퀴(250)의 외측으로 보조바퀴(260)를 결합시키는 구성은 바퀴고정프레임(240)에 결합되는 바퀴축(252)을 메인바퀴(25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하거나, 상기 보조바퀴(26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보조바퀴축(262)을 보조바퀴(260)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보조바퀴축(262)이 메인바퀴(250)의 외측에 체결되도록 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10)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신발(100)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날씨 및 계절과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숙달 정도에 따라 보조바퀴(260) 사용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라인스케이트(10)를 처음 접하는 어린이나 초보자들도 쉽게 착용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숙련도에 따라 메인바퀴(250)에 결합되는보조바퀴(260)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판을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제1 및 제2날개부(220,230)의 결합을 위한 방식으로 똑딱 단추를 사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과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간편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숙달 정도에 따라 보조 바퀴 사용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10 : 인라인스케이트 100 : 신발
110 : 회전결합홈 200 : 결합구
210 : 발판 212 : 회전결합구
214 : 관통홀 220 : 제1날개부
220a : 전방 제1날개부 220b : 후방 제1날개부
222 : 암밸크로테이프 230 : 제2날개부
230a : 전방 제2날개부 230b : 후방 제2날개부
232 : 수밸크로테이프 240 : 바퀴고정프레임
242 : 수용홈 244 : 탄성스프링
246 : 고정구 248 : 관통공
250 : (메인) 바퀴 252 : 바퀴축
260 : 보조바퀴 262 : 보조바퀴축

Claims (6)

  1. 사용자가 착용하는 신발과, 상기 신발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가 구비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면에 신발에 체결되는 회전결합구가 돌출 형성되어 신발의 하부에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신발을 감싸도록 하여 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날개부와, 상기 발판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바퀴가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바퀴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발의 밑창에는 회전결합구가 체결 고정되는 회전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날개부는 발판의 전방에 형성되어 발등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와, 발판의 후방에 형성되어 발목 부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는 사용자의 발목 앞쪽에서 'X'자 형상으로 교차된 후 발목 뒤쪽에서 서로 결합되며,
    상기 발판의 하부에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퀴고정프레임의 상부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바퀴고정프레임의 상부 중앙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구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와 대응되는 위치의 발판에는 고정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퀴는 바퀴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체결 고정되는 메인바퀴와, 상기 메인바퀴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와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방 제1 및 제2날개부와 후방 제1 및 제2날개부에는 서로 간의 결합을 위해 암,수 밸크로테이프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60738A 2015-11-16 2015-11-16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KR10174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38A KR101741064B1 (ko) 2015-11-16 2015-11-16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38A KR101741064B1 (ko) 2015-11-16 2015-11-16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86A KR20170057086A (ko) 2017-05-24
KR101741064B1 true KR101741064B1 (ko) 2017-05-30

Family

ID=5905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38A KR101741064B1 (ko) 2015-11-16 2015-11-16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0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497Y1 (ko) * 1996-10-28 1999-06-15 김진광 신발과 분리된 롤러스케이트
KR200313413Y1 (ko) * 2003-02-04 2003-05-16 박동열 교환가능한 스파이크가 장착된 골프화
KR200333050Y1 (ko) * 2003-08-19 2003-11-12 (주)케이씨 탈부착이 용이한 인라인 스케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497Y1 (ko) * 1996-10-28 1999-06-15 김진광 신발과 분리된 롤러스케이트
KR200313413Y1 (ko) * 2003-02-04 2003-05-16 박동열 교환가능한 스파이크가 장착된 골프화
KR200333050Y1 (ko) * 2003-08-19 2003-11-12 (주)케이씨 탈부착이 용이한 인라인 스케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86A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701A (en) In line roller skate assembly having training wheels
US2810213A (en) Footgear
ES2245524A1 (es) Aparato y metodo de talonaje.
JP2007520241A (ja) ジャンプ用の履物
KR200390119Y1 (ko) 스케이트 보드 기능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0967653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US20080265532A1 (en) Roller skate
US20060038361A1 (en) Roller skate
KR101741064B1 (ko)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KR200392500Y1 (ko) 발판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
KR20110100897A (ko) 인라인 스케이트
US6402162B1 (en) Dual-purpose roller skate
JP2562889Y2 (ja) ホッピングローラースケート
KR200308285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101430211B1 (ko) 신발착용이 가능한 인라인스케이트
KR102004616B1 (ko) 운동화 착탈 2열 인라인 스케이트
KR20090012874U (ko) 다용도 스케이트
US7036829B2 (en) Retractable skates and method therefor
JPH0257949B2 (ko)
KR101292610B1 (ko) 기능성 신발
KR200337494Y1 (ko) 착탈식 롤러 보드
KR20050041317A (ko) 인라인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25200Y1 (ko) 힐링 슈즈
EP3354149B1 (en) Footwear item-skate with multiple interchangeable blades for ice and skating rinks
KR200378791Y1 (ko) 다기능 조립식 인라인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