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938Y1 -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 Google Patents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938Y1
KR200470938Y1 KR2020130007534U KR20130007534U KR200470938Y1 KR 200470938 Y1 KR200470938 Y1 KR 200470938Y1 KR 2020130007534 U KR2020130007534 U KR 2020130007534U KR 20130007534 U KR20130007534 U KR 20130007534U KR 200470938 Y1 KR200470938 Y1 KR 200470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nion
face
wearer
anion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철
Original Assignee
이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철 filed Critical 이희철
Priority to KR2020130007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938Y1/ko
Priority to PCT/KR2014/007212 priority patent/WO20150341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185Securing goggles or spectacles on helmet sh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053Imaging affecting physical property or radiation sensitive material, or producing nonplanar or printing surface -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binder containing
    • Y10S430/1055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 Y10S430/114Initiator containing
    • Y10S430/115Cationic or anionic

Abstract

본 고안은 안면 보호용 썬캡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두부(頭部)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안면 마스크에 음이온 풍(風) 발생기를 결합하여 일상에서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동시에, 음이온 풍을 통해 호흡기로 유입되는 유해물질 차단막을 형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황사와 미세먼지 등과 같이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들이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안면 보호용 썬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양부와, 상기 차양부를 착용자의 두부(頭部)에 장착하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코로나 방전을 통해 음이온 풍을 발생하는 음이온 풍 발생부를 포함하는 썬 캡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이 용이하고, 야외 활동시 강한 자외선을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피부 노화 및 피부 질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음이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의 일부는 청정하고, 음이온 풍을 통해 공기중에 부유되는 유해물질이 호흡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SUN CAP FOR PROTECTING FACE WITH ANION WIND GENERATOR}
본 고안은 안면 보호용 썬 캡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두부(頭部)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안면 마스크에 음이온 풍(風) 발생기를 결합하여 일상에서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동시에, 음이온 풍을 통해 호흡기로 유입되는 유해물질 차단막을 형성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황사와 미세먼지 등과 같이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들이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안면 보호용 썬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일상은 항상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업화에 따른 각종 매연과 같은 산업공해와 공기 중을 부유하는 미세먼지, 그리고 알레르기(allergy)를 유발하는 꽃가루를 비롯하여 황사,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근(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 등의 바이러스가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등 심각한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중의 부유하는 유해물질들을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 청정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일정한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공기 중의 부유하는 유해물질들을 완벽하게 청정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지면이나 기타 부수적인 장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휴대가 불가능하여 이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상의 제약이 많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4050호(등록일 : 2002.10.22.)에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마사지용 마스크가 제안된 바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94050호는 얼굴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마스크에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하여 청청된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아울러 압지봉과 자석, 저주파 코일을 마스크 내측에 구비하여 안면의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피로해소 증진 및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20-0294050호는 마스크가 얼굴 전면을 가리도록 장착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야외 활동이 불가능하여 실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기술적 한계로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을 완벽하게 청정시키는 것이 어렵고, 음이온 발생시 다량의 오존이 발생되기 때문에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장시간 흡입시에는 호흡기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KR 20-0294050 Y1, 2002. 10. 22.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 상태에서 야외 활동이 가능하도록 썬 캡(sun cap) 구조로 이루어져 야외 활동시 강한 자외선을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피부 노화 및 피부 질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음이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의 일부는 청정하고, 음이온풍을 통해 공기중에 부유되는 유해물질이 호흡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음이온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이온과 음이온 풍 발생시 오존(O3)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착용자의 안면(顔面)의 일정 부분을 덮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양부(10)와, 상기 차양부(10)가 장착되고, 일정한 탄성력으로 상기 착용자의 두부(頭部)의 양측부를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차양부(10)를 상기 착용자의 두부에 고정하는 장착부(20)와, 상기 장착부(20)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으로 음이온 풍을 발생하여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상기 음이온 풍이 흐르도록 제공하되, 상기 음이온풍의 풍속에 의해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에어 커튼(1)을 형성하여 유해물질이 상기 차양부(10)와 상기 착용자의 안면 사이로 유입되어 상기 착용자의 호흡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음이온 풍 발생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이온 풍 발생부(30)는 인쇄회로기판(32-1)과, 충전용 배터리(4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전압을 코로나 방전을 위한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방전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인버터(32-2)를 포함하는 제어부(32)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2-1) 상에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 실장된 침형상의 다수의 방전 에미터로 이루어진 방전전극(33)과, 상기 방전전극(33)과 대향하도록 상기 방전전극(33)과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배출구(34a)를 갖는 격자형 접지전극(34)을 포함하되, 상기 방전전극(33)과 상기 접지전극(34)은 상기 승압 인버터(32-2)로부터 제공되는 방전전압을 제공받아 그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상기 음이온 풍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음이온 풍을 상기 접지전극(34)의 배출구(34a)를 통해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방전 에미터는 각각 티타늄(Ti) 재질의 곡률 다침 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이온 풍 발생부(30)는 상기 장착부(2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2)의 상기 승압 인버터(32-2)를 통해 승압되는 방전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방전전극(33)과 상기 접지전극(34)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음이온 풍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정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20)는 안경 다리 구조 또는 밴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양부와, 상기 차양부를 착용자의 두부(頭部)에 장착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코로나 방전을 통해 음이온 풍을 발생하는 음이온 풍 발생부를 포함하는 썬 캡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이 용이하고, 야외 활동시 강한 자외선을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피부 노화 및 피부 질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음이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의 일부는 청정하고, 음이온 풍을 통해 공기중에 부유되는 유해물질이 호흡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음이온 풍 발생부를 구성하는 방전전극을 다수의 침형 방전 에미터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침형 방전 에미터를 티타늄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일정 풍속을 갖는 오존(O3)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음이온 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용 썬 캡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면 보호용 썬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면 보호용 썬 캡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면 보호용 썬 캡의 착용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용 썬 캡을 통해 형성된 에어 커튼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방전이 일어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용 썬 캡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면 보호용 썬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용 썬 캡은 차양부(10)와, 차양부(10)를 착용자의 두부(頭部)에 장착하는 장착부(20)와, 장착부(20)에 설치되어 코로나 방전을 통해 음이온 풍(風)을 발생하는 음이온 풍 발생부(3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면 보호용 썬 캡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면 보호용 썬 캡의 착용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양부(10)는 일례로 양측부가 장착부(2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거나, 접착제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혹은 별도의 나사 부재를 통해 나사 체결되어 착용자의 안면(顔面)의 일정 부분,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이마에서 인중까지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안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한다.
차양부(10)는 착용자의 안면으로 입사되는 빛, 특히 자외선이 안면으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은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자외선 차단 필름이 코팅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안경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밴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경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차양부(10)가 체결되는 프레임(21)과, 프레임(21)과 피봇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접혀지고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템플(22)과, 템플(22)의 종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를 감싸는 엔드 피스(23)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 하부에 장착부(20)를 지지하기 설치된 코받이(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 풍 발생부(3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0)의 프레임(2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차양부(10)의 내측면으로 음이온 풍(風)을 발생하고, 발생된 음이온 풍을 차양부(10)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흐르도록 제공하여 차양부(10)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에어 커튼(1)을 형성하여 유해물질이 차양부(10)와 착용자의 안면 사이로 유입되어 착용자의 호흡기관(코 및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음이온 풍 발생부(3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용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이온 풍을 발생하기 위하여 제어부(32)와, 방전전극(33)과, 접지전극(34)을 포함한다. 또한, 조정부(35)를 더 포함한다.
충전용 배터리(40)로는 일례로 대략 3.7V의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리튬이온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충전용 배터리(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0), 바람직하게는 충전용 배터리(31)의 중량에 따라 안면 보호용 썬 캡의 무게 중심(안면 보호용 썬 캡이 앞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을 고려하여 템플(22)의 후방측(엔드 피스 방향) 종단부의 일측부에 마련된 배터리 수납부(25)에 수납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부(25)는 디자인 특성을 고려하여 장착부(20)의 템플(22)과 사출 성형공정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다. 또한, 충전용 배터리(40)를 인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하여 개폐부(도시되지 않음)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충전용 배터리(31)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충전홀더(도시되지 않음) 또는 USB 포트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수납부(25)에는 외부 상용전원 110V/220V를 입력받아 그 내부에 장착되는 충전용 배터리(4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면 보호용 썬 캡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2), 방전전극(33) 및 접지전극(34)이 챔버(3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챔버(31)는 장착부(20)의 프레임(2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장착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그 내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통해 발생된 음이온 풍을 차양부(10)의 내측면으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챔버(31)에 수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제어부(32), 방전전극(33) 및 접지전극(34)은 장착부(20)의 프레임(21)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32)는 음이온 풍을 발생하는 회로부로서, 음이온 풍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들이 마련된 인쇄회로기판(32-1)과, 인쇄회로기판(3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쇄회로기판(32-1)의 회로를 통해 충전용 배터리(4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전압을 코로나 방전을 위한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방전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인버터(32-2)를 포함한다.
방전전극(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풍속을 갖는 음이온 풍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32-1) 상에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 실장되는 침형상의 다수의 방전 에미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침형의 방전 에미터들은 인쇄회로기판(32-1)을 통해 접지되며, 곡률 다침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방전전극(33)으로, 일정 풍속을 갖는 음이온 풍을 발생하여 차양부(10)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에어 커튼(1, 도 6참조)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방전 에미터를 배치한다. 본 고안에서는 일례로 4개의 방전 에미터들을 설치하여 150mm/sec 정도의 풍속을 갖는 음이온 풍을 발생하여 에어 커튼(1)을 형성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보호용 썬 캡을 통해 형성된 에어 커튼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이온 풍에 의해 차양부(10)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에어 커튼(1)은 착용자의 코와 입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유해물질 차단막으로 기능한다.
즉, 에어 커튼(1)은 공기 중을 부유하는 각종 매연과 같은 산업공해와 공기 중을 부유하는 미세먼지, 그리고 알레르기(allergy)를 유발하는 꽃가루를 비롯하여 황사, 중증 급성 호흡기 중후근(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 등의 바이러스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전극(33)의 방전 에미터들은 각각 접지전극(34)과 대향하도록 인쇄회로기판(32-1)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방전전극(33)은 접지전극(34)과 대략 0.7~0.8cm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0.7~0.8cm의 간극으로 대전하여 음이온 풍을 발생하여 접지전극(34)을 통해 방출한다.
또한, 상기 방전 에미터들은 침형으로 이루어지되, 텅스텐(W) 또는 티타늄(Ti)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방전전극(33)과 접지전극(34) 사이에 일어나는 코로나 방전시 생성되는 오존(O3)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오존 생성률이 낮은 티타늄(Ti) 재질로 형성한다.
접지전극(34)은 방전전극(33)과 대향하도록 방전전극(34)과 차양부(10)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접지전극(34)은 인쇄회로기판(3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접지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배출구(34a)를 갖는 격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접지전극(34)은 코로나 방전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벌집 형상(육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음이온 풍이 배출되는 배출구(34a)가 벌집 형상을 갖도록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코로나 방전은 매우 높은 전압과 매우 낮은 전류를 특징으로 하는 방전 방식으로서, 방전을 일으키려면 방전전극(33)과 접지전극(34)을 구성하여 높은 전압을 인가한다.
낮은 전압에서는 방전전극(33)과 접지전극(34) 사이가 공기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분리되고, 이런 상태에서 양전극 사이의 전압을 증가시키면 양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데, 이 전압을 코로나 개시전압이라 한다. 이와 같은 코로나 개시전압은 전압, 선간 거리, 선의 굵기와 표면상태, 주위의 기상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코로나 개시전압을 인가한 이후에는 방전전극(33)과 접지전극(34) 사이의 공기 중의 전자들이 강력한 전기장에 의해 운동 에너지를 받아 중성기체 분자들과 충돌하여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때 중성분자는 자신의 전자 하나를 잃고 양이온으로 된다.
한편, 가속된 전자는 다시 다른 양이온과 충돌하여 또 다른 전자를 발생시키며, 이와 같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전자들이 계속 충돌에 의한 전자를 발생시켜 전자사태(Electron Avalanche)를 일으키고 방전 전극 주변에는 얇은 발광영역이 나타난다.
코로나 방전영역 근처에 있던 전자가 양극인 방전전극(33)을 향하여 끌려가는 도중에 중성기체, 예컨대 질소, 산소 등과 충돌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성기체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어 접지전극으로 이동하고, 새로 발생한 전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계속 방전전극(33) 쪽으로 이동하며 새로운 충돌을 일으켜 전자사태를 가져온다.
본 고안에 따른 조정부(35)는 착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제어부(32)를 제어하여 승압 인버터(32-2)를 통해 승압되는 방전전압을 조정하여 방전전극(33)과 접지전극(34)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풍의 세기를 조정한다.
이러한 조정부(35)는 디자인 특성과 조작성을 고려하여 템플(22)과 사출 성형공정시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수납부(25)가 마련된 반대측 템플에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방전이 일어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은 정(+)의 코로나 방전에 의한 방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부(-)의 코로나 방전에 의한 방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 코로나의 경우에 있어서는, 코로나 방전영역(101) 근처에 있던 전자(e)가 양극인 방전전극(33)을 향하여 끌려가는 도중에 중성기체와 같은 질소(N), 산소 등과 충돌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성기체(N)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N+)이 되어 접지전극(34)으로 이동하고, 새로 발생한 전자(e)는 계속 방전전극(33) 쪽으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충돌을 일으켜 전자사태를 가져온다.
한편, 접지전극(34)으로 이동하던 양이온(N+)은 유해물질과 같은 부유물(102)을 하전시키는 한편, 다수의 침형 방전 에미터로 이루어진 방전전극(33)에 의해 가속되어 일정한 풍속을 갖고 접지전극(34)으로 이동하고, 결국, 접지전극(34)의 배출구(34a)를 통해 차양부(10)의 내측면으로 배출되어 에어 커튼(1)을 형성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의 코로나의 경우에 있어서는, 방전전극(33)에 있던 전자(e)들이 접지전극(34)을 향하여 끌려가게 되는데, 코로나 방전영역(101) 내에서 중성기체(N)와의 충돌은 전술한 정(+)의 코로나 방전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전자(e)는 계속 접지전극(34)을 향하여 끌려가고 양이온(N+)은 방전전극(33)을 향하게 되며 코로나 방전영역(101)을 벗어난 전자(e)가 중성기체(N)에 달라붙어 음이온(N-)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음이온(N-)은 다수의 침형 방전 에미터에 의해 가속되어 일정한 풍속을 갖고 접지전극(34)으로 이동하여 결국 음이온 풍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음이온 풍은 접지전극(34)의 배출구(34a)를 통해 차양부(10)의 내측면으로 배출되어 에어 커튼(1)을 형성하여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의 코로나 방전에서는 양이온이 발생하고, 부(-)의 코로나 방전에서는 음이온이 발생하게 되지만 어느 경우이든 유해물질과 같은 부유물을 하전시키는 한편, 다수의 침형 방전 에미터를 통해 일정한 풍속을 갖는 이온 풍을 발생시켜 에어 커튼(1)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면 보호용 썬캡은 정(+)의 코로나 방전 또는 부(-)의 코로나 방전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부(-)의 코로나 방전을 적용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에어 커튼
10 : 차양부
20 : 장착부
21 : 프레임
22 : 템플
23 : 엔드 피스
24 : 코받이
30 : 음이온 풍 발생부
31 : 챔버
32 : 제어부
33 : 방전전극
34 : 접지전극
34-1 : 배출홀
40 : 충전용 배터리

Claims (5)

  1. 삭제
  2. 착용자의 안면(顔面)의 일정 부분을 덮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양부(10);
    상기 차양부(10)가 장착되고, 일정한 탄성력으로 상기 착용자의 두부(頭部)의 양측부를 감싸도록 착용되어 상기 차양부(10)를 상기 착용자의 두부에 고정하는 장착부(20); 및
    상기 장착부(20)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으로 음이온 풍을 발생하여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상기 음이온 풍이 흐르도록 제공하되, 상기 음이온풍의 풍속에 의해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에어 커튼(1)을 형성하여 유해물질이 상기 차양부(10)와 상기 착용자의 안면 사이로 유입되어 상기 착용자의 호흡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음이온 풍 발생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풍 발생부(30)는,
    인쇄회로기판(32-1)과, 충전용 배터리(4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전압을 코로나 방전을 위한 고전압으로 승압하여 방전전압을 출력하는 승압 인버터(32-2)를 포함하는 제어부(32);
    상기 인쇄회로기판(32-1) 상에 서로 평행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 실장된 침형상의 다수의 방전 에미터로 이루어진 방전전극(33); 및
    상기 방전전극(33)과 대향하도록 상기 방전전극(33)과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배출구(34a)를 갖는 격자형 접지전극(34)을 포함하되,
    상기 방전전극(33)과 상기 접지전극(34)은 상기 승압 인버터(32-2)로부터 제공되는 방전전압을 제공받아 그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상기 음이온 풍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음이온 풍을 상기 접지전극(34)의 배출구(34a)를 통해 상기 차양부(10)의 내측면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방전 에미터는 각각 티타늄(Ti) 재질의 곡률 다침 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풍 발생부(30)는 상기 장착부(2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2)의 상기 승압 인버터(32-2)를 통해 승압되는 방전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방전전극(33)과 상기 접지전극(34)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음이온 풍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정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0)는 안경 다리 구조 또는 밴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KR2020130007534U 2013-09-09 2013-09-09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KR200470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34U KR200470938Y1 (ko) 2013-09-09 2013-09-09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PCT/KR2014/007212 WO2015034183A1 (ko) 2013-09-09 2014-08-05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34U KR200470938Y1 (ko) 2013-09-09 2013-09-09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938Y1 true KR200470938Y1 (ko) 2014-01-27

Family

ID=5141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534U KR200470938Y1 (ko) 2013-09-09 2013-09-09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0938Y1 (ko)
WO (1) WO201503418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66Y1 (ko) 2014-05-20 2014-10-15 이희철 음이온 풍 발생 모듈을 구비한 헬멧
KR101803531B1 (ko) * 2017-07-10 2017-12-28 이인환 자외선 차단 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융합한 썬바이저
KR200489396Y1 (ko) * 2018-06-04 2019-06-11 정규백 통기성이 뛰어난 안면 그늘막
KR102048177B1 (ko) * 2019-04-23 2019-11-22 김기영 안경형 미세먼지 차단 및 유해가스 중화 장치
KR102245721B1 (ko) 2020-10-26 2021-04-28 강미현 항균 안면 가림막
WO2022093743A1 (en) * 2020-10-26 2022-05-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Jet air curtain for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5481B (zh) * 2018-08-25 2023-10-03 广东雅思电子有限公司 太阳能美容面罩及其制备方法
CN110200744A (zh) * 2019-06-04 2019-09-06 苏州科技大学 一种小型化负离子护目眼镜的设计制备方法及负离子护目眼镜
WO2022104440A1 (en) * 2020-11-20 2022-05-27 Kacavenda Dijana Protective anti-virus visor with built-in ophthalmic glasses
BR102021007373A2 (pt) * 2021-04-16 2022-10-25 Sociedade Beneficente Israelita Brasileira Hospital Albert Einstein Protetor facial, sistema de monitoramento e formação de barreira no mesm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872U (ko) * 1989-07-10 1991-02-28
JP3020872U (ja) 1995-07-24 1996-02-06 一也 早川 静電式空気清浄装置
KR200191269Y1 (ko) * 1999-10-18 2000-08-16 지종기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초음파 폐수처리장치
KR200260975Y1 (ko) * 2001-10-29 2002-01-17 김광수 음이온발생기를 구비한 모자
JP3110496U (ja) * 2005-02-18 2005-06-23 有限会社工房利匠 花粉等遮蔽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05Y1 (ko) * 2002-01-16 2002-04-03 윤호섭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컴퓨터 본체
JP4170051B2 (ja) * 2002-09-02 2008-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用イオン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872U (ko) * 1989-07-10 1991-02-28
JP3020872U (ja) 1995-07-24 1996-02-06 一也 早川 静電式空気清浄装置
KR200191269Y1 (ko) * 1999-10-18 2000-08-16 지종기 중공사막 필터를 이용한 초음파 폐수처리장치
KR200260975Y1 (ko) * 2001-10-29 2002-01-17 김광수 음이온발생기를 구비한 모자
JP3110496U (ja) * 2005-02-18 2005-06-23 有限会社工房利匠 花粉等遮蔽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66Y1 (ko) 2014-05-20 2014-10-15 이희철 음이온 풍 발생 모듈을 구비한 헬멧
KR101803531B1 (ko) * 2017-07-10 2017-12-28 이인환 자외선 차단 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융합한 썬바이저
WO2019013416A1 (ko) * 2017-07-10 2019-01-17 이인환 자외선 차단 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융합한 썬바이저
KR200489396Y1 (ko) * 2018-06-04 2019-06-11 정규백 통기성이 뛰어난 안면 그늘막
KR102048177B1 (ko) * 2019-04-23 2019-11-22 김기영 안경형 미세먼지 차단 및 유해가스 중화 장치
KR102245721B1 (ko) 2020-10-26 2021-04-28 강미현 항균 안면 가림막
WO2022093743A1 (en) * 2020-10-26 2022-05-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Jet air curtain for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4183A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938Y1 (ko) 음이온 풍 발생기를 구비한 안면 보호용 썬 캡
KR200474765Y1 (ko) 목걸이형 음이온 풍 발생장치
CN103585844B (zh) 多功能电子口罩
KR200474766Y1 (ko) 음이온 풍 발생 모듈을 구비한 헬멧
JP4747674B2 (ja) 花粉防護装置
CN104814544A (zh) 一种智能穿戴设备
US10675489B2 (en) Air purifier having an electret module
CN205761767U (zh) 一种静电集尘装置
KR20170025527A (ko) 전기집진 살균 마스크
CN204655581U (zh) 一种便携式负离子空气净化装置
KR102062236B1 (ko) 음이온 방출 목걸이
KR20170097938A (ko) 전기집진기가 장착된 공기청정마스크
CN205250400U (zh) 口罩
KR20200120785A (ko)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US20220288266A1 (en) Mask with ultraviolet disinfection of inhaled and exhaled air
CN105249569A (zh) 电磁式防护装置
US20210393842A1 (en) Face mash
CN204815427U (zh) 便携式空气净化器
KR101602112B1 (ko) 공기 청정기
CN208075116U (zh) 新型净化腔和室内净化器
RU137205U1 (ru) Фильтрующий противогаз с источником отрицательных ионов
CN106824533A (zh) 口罩
CN207653657U (zh) 一种具有防雾霾功能的太阳能面罩帽
KR102053506B1 (ko) 무동력 풍향기능을 갖는 음이온 발생기의 음이온 발생노즐
KR20150145667A (ko) 비접촉식 휴대용 미세먼지 방진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