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512Y1 - 실리콘 노즐 - Google Patents

실리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512Y1
KR200470512Y1 KR2020130005732U KR20130005732U KR200470512Y1 KR 200470512 Y1 KR200470512 Y1 KR 200470512Y1 KR 2020130005732 U KR2020130005732 U KR 2020130005732U KR 20130005732 U KR20130005732 U KR 20130005732U KR 200470512 Y1 KR200470512 Y1 KR 200470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wrinkle
length
ba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남
Original Assignee
전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남 filed Critical 전병남
Priority to KR2020130005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05C17/00506Means for connecting the outlet element to, or for disconnecting it from, the hand tool or its container
    • B05C17/00509Means for connecting the outlet element to, or for disconnecting it from, the hand tool or its container of the bayon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05C17/00516Shape or geometry of the outlet orifice or the outlet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Nozz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사현장이나 가정에서 각종 마무리 작업에 사용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 구석부위에 정확하게 실리콘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실리콘 노즐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건 체결부와 실리콘 배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주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부는, 상기 주름부의 상단부에 다수개의 주름을 가지는 제1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주름부의 주름 개수 보다 일정 개수가 적은 주름을 가진 제2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리콘 노즐{Silicon nozzle}
본 고안은 실리콘 작업시 사용되는 실리콘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공사현장이나 가정에서 각종 마무리 작업에 사용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 구석부위에 정확하게 실리콘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리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은 공사 현장이나 가정에서 각종 마무리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유리와 창문틀 사이의 틈을 메움하거나 건물의 내외벽 마무리 공사 또는 가정의 목욕탕과 싱크대 마무리 작업 등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때, 실리콘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실리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실리콘 건에 사용하여 실리콘용기 내부의 실리콘을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실리콘건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협소하거나 깊숙한 장소에 정확하게 실리콘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콘 건에 실리콘 노즐을 체결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 손쉽게 도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9598호(2010. 07.15 등록)는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실리콘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해 점차 뾰족해지는 원뿔 대통형의 형상을 갖는 노즐에 있어서, 전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외주면에 돌출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가이드부가 접합하고자 하는 부위를 안내하도록 지지하여 비숙련자인 사용자도 작업 위치에 정확하게 실리콘을 도포할 수 있게 되고, 노즐의 몸체부를 만곡지게 절곡하여 형성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하고, 노즐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연장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깊숙한 곳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와 능률을 향상시킨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5707호(2013. 01.16 공개)는 실리콘튜브용 노즐은 실리콘튜브에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부와, 암나사부에 연결되어 실리콘의 원활한 토출을 위한 원통부가 형성되고, 이어서 실리콘이 사다리꼴로 토출되도록 사다리꼴 뿔형태의 토출구멍과 구조물 사이에 공간에 노즐의 끝부분이 들어가도록 노즐의 외형이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며, 또한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노즐이 빠지지 않게 노즐의 양쪽에 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노즐의 외형이 사다리꼴 뿔형태로 구성되면서 양쪽이 지지편이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물 사이에 공간으로 노즐의 끝부분이 빠져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노즐을 이동시켜 작업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실리콘 노즐은 몸체부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부를 형성하며, 이때 실리콘 노즐은 배출구가 접합 부위의 접합하고자 하는 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안내할 수 있으나 배출구의 형상이 원으로 되어 있어서 골고루 실리콘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실리콘 노즐은 토출구멍이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실리콘 노즐 작업을 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959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5707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을 배출하기 위해 초승달 형상의 말단부를 가진 실리콘 노즐에 각도조절 가능한 주름부를 포함한 실리콘 노즐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에 따르면, 실리콘건에 결합되는 실리콘건 체결부 및 상기 실리콘건 체결부에 연결되고, 실리콘을 배출하기 위하여 초승달 형상의 말단부를 가지며, 일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말단부로 갈수록 납작하게 형성된 실리콘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건 체결부와 상기 실리콘건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 개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부는 상단부에 다수개의 주름을 가지는 제1 주름부와,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주름부의 주름 간격 보다 좁은 간격을 가진 제2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부는 상단부에 다수개의 주름을 가지는 제1 주름부와,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주름부의 주름 개수보다 일정 개수가 적은 주름을 가진 제2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건 체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실리콘건에 결합되어 길이를 연장하는 길이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건 체결부 또는 상기 길이연장부는 밀폐가능한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실리콘건 체결부와 실리콘 배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다수 개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부; 상기 주름부의 양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안착홈이 구비되는 한 쌍의 홈부; 상기 한 쌍의 홈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링부; 및 상기 한 쌍의 링부 사이를 연결하며 설치되어,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주름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부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홈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링부 내주면 안쪽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홈부의 내주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부를 고정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링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 각각에 연장된 제1 바 및 제2 바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가 상기 제2 바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바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를 체결시켜 길이를 고정하는 길이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바에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바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기 누름체를 눌러 상기 누름체의 말단부에 형성된 누름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려 길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실리콘 배출부의 말단부의 형상이 실리콘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 구석부위에 정확하게 실리콘이 배출되어 사용상의 효율성은 물론 편리성이 뛰어나며, 각도조절이 가능한 실리콘 노즐을 구성함으로써, 여러 각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실리콘을 도포할 수 있게 되므로 실리콘 노즐의 기능성 및 상품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노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 노즐 주름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 노즐 주름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길이연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변형된 실리콘 노즐의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체결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노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링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있는 각도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실리콘 노즐에 대한 각도조절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는 도 7의 실리콘 노즐에 대한 각도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노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노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리콘 노즐(10)은 실리콘건 체결부(100) 및 실리콘 배출부(200)를 포함한다.
실리콘건 체결부(100)는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기 위해 실리콘건에 결합되며, 실리콘건 체결부(100)의 투입구 내부 둘레에는 나사산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실리콘건 체결부(100)는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연결된 실리콘 배출부(200)는 실리콘을 배출하기 위하여 말단부(210)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는 실리콘 배출부(200)의 일측면(220)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말단부(210)로 갈수록 납작하게 형성된다.
또한, 실리콘 배출부(200)는 실리콘 노즐(10)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실리콘 배출부의 말단부(210)에 위치하는 토출 구멍으로 실리콘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배출부(200)의 말단부(210)에 위치한 토출 구멍은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때 미세한 부분까지 실리콘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실리콘 배출부(200)의 토출 구멍은 초승달 형상과 달리 타원형상,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 노즐 주름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리콘 노즐(10)은 주름부(300)를 포함하며, 주름부(300)는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실리콘 배출부(2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실리콘 건을 사용할 때 협소한 장소에서의 실리콘을 도포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이때 실리콘 노즐을 이용하면 협소한 장소에서도 골고루 토출시킬 수 있다.
실리콘 배출부(200)는 실리콘 노즐(10)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실리콘 배출부(200)는 실리콘 노즐(10)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실리콘 배출부(200)의 말단부에서 실리콘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실리콘 배출부(200) 사이에 위치한 주름부(300)는 제1 주름부(310) 및 제2 주름부(320)를 포함하며, 제1 주름부(310)와 제2 주름부(320)의 주름은 요철 패턴의 형상을 가지며, 제1 주름부(310)와 제2 주름부(320)의 주름의 개수는 동일하다. 또한 제1 주름부(310)는 주름부(300)의 상단부에 다수개의 주름을 가지며, 제2 주름부(320)는 주름부(3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제1 주름부(310)의 주름 간격보다 좁은 간격을 가진다.
또한 제2 주름부(320)는 형성되지 않거나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실리콘 노즐(10)의 형상이 일정부분 휘어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주름부(310)의 요철 피치 간격(L1)은 제2 주름부(320)의 요철 피지 간격(L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300)를 움직여 실리콘 노즐(1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주름부(310)는 외측 방향에, 제2 주름부(320)는 내측 방향으로 위치한 형상으로 휘어질 때 제1 주름부(310)의 주름 간격이 제2 주름부(320)의 주름 간격보다 넓기 때문에 제1 주름부(310)가 제2 주름부(320)에 비해 잘 휘어지며, 이때 실리콘의 말단부 형상을 유지시키면서 유용하게 실리콘을 배출시킬 수 있다.
실리콘건 체결부(100)에서 실리콘 배출부(200)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하는데 이는 직경이 좁아질수록 압력을 강화시키면서 외부로 실리콘이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주름부(300)가 두 영역에 형성되어, 실리콘 노즐(10)이 일정부분 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 노즐 주름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리콘 노즐(10)은 주름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름부(300)는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실리콘 배출부(2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실리콘 건을 사용할 때 협소한 장소에서의 실리콘을 도포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이때 실리콘 노즐을 이용하면 협소한 장소에서도 골고루 토출시킬 수 있다.
실리콘 배출부(200)는 실리콘 노즐(10)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실리콘 배출부(200)의 말단부에서 실리콘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실리콘 배출부(200) 사이에 위치한 주름부(300)는 제1 주름부(310)와 제2 주름부(320)를 포함한다.
제1 주름부(310)는 주름부(300)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주름을 가지며, 주름은 실리콘 노즐(1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상태의 주름이 형성된다. 제2 주름부(320)는 주름부(3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제1 주름부(310)의 주름 개수보다 일정 개수가 적은 주름을 가지며, 제2 주름부(320)의 주름은 제1 주름부(310)의 형상과 유사한 요철상태의 주름이 형성된다. 주름부(300)를 움직여 실리콘 노즐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주름부(310)는 외측 방향에, 제2 주름부(320)는 내측 방향으로 위치한 형상으로 휘어질 때 실리콘의 말단부 형상을 유지시켜 유용하게 실리콘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주름부(310)는 주름부(300)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주름을 가지며, 주름은 실리콘 노즐의 길이방향으로 요철상태의 주름이 형성되며, 제1 주름부(310)는 요철상태의 주름과 직선이 교차 형성될 수 있다. 제2 주름부(320)는 주름부(3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제1 주름부(310)의 주름 개수보다 일정 개수가 적은 주름을 가질 수 있다. 주름부(300)를 움직여 실리콘 노즐(1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주름부(310)는 외측 방향에, 제2 주름부(320)는 내측 방향으로 위치한 형상으로 휘어질 때 실리콘의 말단부 형상을 유지시키면서 유용하게 실리콘을 배출시킬 수 있다.
실리콘건 체결부(100)에서 실리콘 배출부(200)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하는데 이는 직경이 좁아질수록 압력을 강화시키면서 외부로 실리콘이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연장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리콘 노즐(10)은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연결되고, 실리콘건에 결합되어 길이를 연장하는 길이연장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연장부(700)는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결합하는 노즐체결영역(710), 길이몸통영역(720), 실리콘건과 체결되는 실리콘건 체결영역(730)을 포함하며, 이는, 실리콘 노즐이 어느 영역에서 길이가 부족하여 실리콘 토출이 힘들 경우 길이연장부(700)를 사용하여 길이를 연장하여 깊거나 어두운 곳까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노즐체결영역(710)은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노즐체결영역(710) 및 실리콘건 체결부(10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으며, 내주면 및 외주면에 서로 상대적인 치수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길이몸통영역(720)은 도면에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리콘건체결영역(730)은 실리콘건과 체결될 수 있으며,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 노즐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연결된 실리콘 배출부(200)는 실리콘을 배출하기 위하여 말단부(210)는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리콘 배출부(200)의 일측면(220)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말단부(210)로 갈수록 납작하게 형성되며, 실리콘 배출부(2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실리콘을 배출할 때 어느 부분에서든 잘라서 더욱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직경이 좁아질수록 압력을 강화시키면서 외부로 실리콘이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리콘 노즐의 체결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리콘건 체결부(100)는 실리콘건과 체결될 수 있고, 길이연장부(700)는 실리콘건 체결부(100) 또는 실리콘건과 체결될 수 있다.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실리콘건 체결시, 체결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는 길이연장부(700)로 표현되어 있지만, 실리콘건 체결부(100) 투입구 내부 또는 외부 둘레에는 나사산이 포함되어 있으며, 나사선에는 도 6의 (a)와 같이 고무링(800)을 설치할 수 있고, 도 6의 (b)와 같이 돌기(8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6의 (c)와 같이 홈(820)을 형성하여 실리콘건과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밀착 결합할 수 있으며, 또는 실리콘건 내부 또는 내부에 고무링,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상대적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길이연장부(700)는 또한 위에서 설명한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실리콘건 체결부(100) 또는 실리콘건과 상대적인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노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리콘 노즐(10)은 주름부(300), 홈부(400), 링부(500), 각도조절부(600)를 포함한다.
실리콘 건을 사용할 때 협소한 장소에서의 실리콘을 도포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이때 실리콘 노즐을 이용하면 협소한 장소에서도 골고루 토출시킬 수 있다.
실리콘 배출부(200)는 실리콘 노즐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실리콘 배출부(200)는 실리콘 노즐(10)의 끝단부에 위치하며, 실리콘 배출부의 말단부에서 실리콘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주름부(300)는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실리콘 배출부(200)의 사이에 위치하며, 다수 개의 요철 형태의 주름이 형성되며, 실리콘 배출시 요철 형태의 주름은 실리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인 완만한 라운드 또는 잔주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홈부(400)는 주름부(300)의 양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더욱 자세히는 홈부(400)는 실리콘 배출부(200)와 주름부(300) 사이 및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주름부(300)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한 쌍의 링부(500)는 한 쌍의 홈부(400)에 각각 삽입되며, 링부(500)는 홈부(400)에 억지 끼워 맞추어 삽입시키거나, 체결수단에 의해 삽입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링부(50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각도조절부(600)는, 길이를 조절하여 주름부(300)의 각도를 조절하며, 압력에 의해 주름부(300)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절된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건 체결부(100)에서 실리콘 배출부(200)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하는데 이는 직경이 좁아질수록 압력을 강화시키면서 외부로 실리콘이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도 8는 도 7에 있는 링부(5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링부(500)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홈부(40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10)는 수용홈(511), 스프링(514), 돌기(515)를 포함하며, 탄성부재(510)는 링부(500)의 내측면에서 다수 개 구비할 수 있다.
홈부(400)는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탄성부재(510)를 삽입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안착홈(410)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홈(511)은 링부(500) 내주면 안쪽에는 다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수용홈(511)은 수용공간(512) 및 유동공간(513)을 포함한다.
수용공간(512)은 스프링(514) 또는 돌기(515)를 수용할 수 있으며, 유동공간(513)은 양측에 스토퍼(516)가 구비되어, 스토퍼(516)에 의해 수용공간(512)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돌기(515)가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스프링(514)은 다수개의 수용홈(511)에 수용되도록 각각 삽입되며 홈부(400)의 내주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다. 홈부(400)의 외주면에 의해 스프링(514)이 링부(500)의 외주면 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안착홈(410)의 공간에 의해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압축된 스프링(514)이 다시 복귀된다.
스프링(514) 직경은 유동공간(5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는 유동공간(513)의 외측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514)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515)의 위치 이동을 도와준다.
돌기(515)는 스프링(514)에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514)의 탄성에 의해 홈부(400)의 안착홈(410)에 삽입되어 홈부(4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515)는 구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경사진 측면을 갖는 다각면체로 형성되어 안착홈(410)에 삽입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링부(500)의 내측면에서 한 개의 탄성부재(510)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의 탄성부재(510)는 다수 개의 탄성부재(510)의 구성과 동일하며, 홈부(400)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410)에 한 개의 탄성부재(510)를 안착 고정하는 구조인 것이다.
도 9는 도 7에 있는 각도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각도조절부(600)는 한 쌍의 회동부재(610), 길이조절부재(610), 길이고정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600)는 한 쌍의 링부(50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하기 위해, 링부(500) 각각에 각도조절부(600)를 연결하기 위하여 결합공(522)이 포함된 결합수단(520)을 구비할 수 있다.
회동부재(610)는 회동바(612) 및 회동볼(6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동부재(610)는 회동볼(614)이 결합공(522)에 끼워져 회동바(612)가 결합수단(52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길이조절부재(620)는 한 쌍의 회동부재(610) 각각에 연장된 제1 바(631) 및 제2 바(633)를 포함하며, 제1 바(631)는 회동부재(610)의 좌측에 제2 바(633)는 회동부재(610)의 우측에 형성되어 제1 바(631)가 제2 바(633)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 바(633)가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고정부재(630)는 길이조절부재(620)가 임의로 길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바(631)와 제2 바(633)를 체결시켜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길이고정부재(630)는 제1 바(631)의 상측면 전체 또는 일부에 다수개의 걸림홈(6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의 걸림홈(632)은 다수개의 요철패턴으로 형성된다.
제1 바(631)가 삽입결합되는 제2 바(633)는 제1 바(631)를 수용할 수 있게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제2 바(633)의 상단부에는 제1 바(631)와 제2 바(633)를 체결시켜 길이를 고정하기 위한 누름체(634)를 결합될 수 있다.
누름체(634)는 누름체(634)의 내부 및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된 누름스프링(635)과 스프링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누름돌기(6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누름체(634)를 눌렀을 때 누름체(634)의 말단부에 형성된 누름돌기(636)가 제1 바(631)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632)에 걸려 제1 바(631)와 제2 바(633)가 체결되어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길이고정부재(630)는 제1 바(631)의 상측면 전체 또는 일부에 다수개의 걸림홈(6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바(633)의 상단부에는 핀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체결핀(미도시)을 핀홈(미도시)에 꽂아 걸림홈(632)에 체결되도록 하여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길이고정부재(630)는 제1 바(631)의 상측면 전체 또는 일부에 다수개의 걸림홈(6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바(633)의 측면부 또는 상면부에는 체결집게(미도시)가 구비되어 걸림홈(632)에 꽂아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실리콘 노즐에 대한 각도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리콘 노즐(10)은 주름부(300), 한 쌍의 홈부(400), 한 쌍의 링부(500), 각도조절부(600)를 포함하며, 이 때의 실리콘 노즐은 한 개의 각도조절부(600)가 설치된다.
각도조절부(600)가 하나일 때, 각도조절부(600)는 주름부(300)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링부(500)를 연결하여 각도조절부(600)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 개의 각도조절부(600)가 설치될 때, 회동부재(610)가 링부(500)의 결합수단(52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주름부(300)는 실리콘 노즐(10)의 전후 이동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된다.
도 11은 도 7의 실리콘 노즐에 대한 각도조절부(6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리콘 노즐은 주름부(300), 한 쌍의 홈부(400), 한 쌍의 링부(500), 각도조절부(600)를 포함하며, 이 때의 실리콘 노즐은 적어도 두 개의 각도조절부(600)가 설치된다.
각도조절부(600)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일 때, 각도조절부(600)는 주름부(30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한 쌍의 링부(500) 양측에 연결하여 각도조절부(600)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적어도 두 개의 각도조절부(600)가 설치될 때, 회동부재(610)가 링부(500)의 결합수단(52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주름부(300)는 실리콘 노즐(10)의 전후 이동 및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실리콘건 체결부 200 : 실리콘 배출부
300 : 주름부 310 : 제1 주름부
320 : 제2 주름부 400 : 홈부
410 : 안착홈 500 : 링부
510 : 탄성부재 510 : 탄성부재
511 : 수용홈 514 : 스프링
515 : 돌기 516 : 스토퍼
600 : 각도조절부 610 : 회동부재
620 : 길이조절부재 630 : 길이고정부재
631 : 제1 바 632 : 제2 바
633 : 누름체 700 : 길이연장부

Claims (10)

  1. 실리콘을 도포하기 위한 실리콘건에 결합되는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실리콘을 배출하기 위한 실리콘 배출부(200)를 포함하는 실리콘 노즐(10)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배출부(200)는,
    상기 실리콘건 체결부(100)에 연결되고, 실리콘을 배출하기 위하여 초승달 형상의 말단부(210)를 가지며, 일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말단부(210)로 갈수록 납작하게 형성되며;
    상기 말단부(210)는 상기 실리콘 노즐(10)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토출 구멍을 가지며, 상기 토출 구멍은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리콘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노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상기 실리콘건 배출부(200)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 개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노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300)는,
    상기 주름부(300)의 상단부에 다수개의 주름을 가지는 제1 주름부(310)와,
    상기 주름부(3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주름부(310)의 주름 간격 보다 좁은 간격을 가진 제2 주름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노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300)는,
    상기 주름부(300)의 상단부에 다수개의 주름을 가지는 제1 주름부(310)와,
    상기 주름부(30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주름부(310)의 주름 개수 보다 일정 개수가 적은 주름을 가진 제2 주름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노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건 체결부(100)에 연결되고, 상기 실리콘건에 결합되어 길이를 연장하는 길이연장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노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건 체결부(100) 또는 상기 길이연장부(700)는 고무링(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노즐.
  7. 실리콘을 도포하기 위한 실리콘건에 결합되는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실리콘을 배출하기 위한 실리콘 배출부(200)를 포함하는 실리콘 노즐(10)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건 체결부(100)와 상기 실리콘 배출부(200)의 사이에 위치하며, 다수 개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부(300);
    상기 주름부(300)의 양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400);
    상기 한 쌍의 홈부(400)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링부(500); 및
    상기 한 쌍의 링부(50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어,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주름부(300)의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길이를 고정하는 각도조절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600)는,
    상기 한 쌍의 링부(500)에 구비된 결합수단(520)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링부(5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610)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610) 각각에 연장된 제1 바(631) 및 제2 바(6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631)가 상기 제2 바(633)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바(633)가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재(620)와,
    상기 제1 바(631)와 상기 제2 바(633)를 체결시켜 길이를 고정하는 길이고정부재(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노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500)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홈부(40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탄성부재(5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510)는,
    상기 링부(500) 내주면 안쪽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용홈(511)과,
    상기 수용홈(511)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홈부(400)의 내주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514)과,
    상기 스프링(514)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514)의 탄성에 의해 상기 홈부(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410)에 삽입되어 상기 홈부(400)를 고정하는 돌기(5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노즐.
  9. 삭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고정부재(630)는,
    상기 제1 바(631)에 다수개의 걸림홈(632)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바(633)의 상단부에 결합된 누름체(634)를 눌러 상기 누름체(634)의 말단부에 형성된 누름돌기(636)가 상기 걸림홈(632)에 걸려 길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노즐.
KR2020130005732U 2013-07-11 2013-07-11 실리콘 노즐 KR200470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732U KR200470512Y1 (ko) 2013-07-11 2013-07-11 실리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732U KR200470512Y1 (ko) 2013-07-11 2013-07-11 실리콘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512Y1 true KR200470512Y1 (ko) 2013-12-23

Family

ID=5357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732U KR200470512Y1 (ko) 2013-07-11 2013-07-11 실리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362B1 (ko) * 2023-07-03 2023-12-05 정희찬 다목적 실리콘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559Y1 (ko) * 2006-09-20 2006-12-11 권영민 실리콘 용기의 배출구조
JP2007331838A (ja) 2006-03-31 2007-12-27 Ethicon Inc 泡および噴霧を放出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ー
US20090214866A1 (en) 2005-02-05 2009-08-27 Evonik Degussa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tal oxide powders
KR200449598Y1 (ko) * 2009-11-24 2010-07-22 이석목 실리콘 용기의 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4866A1 (en) 2005-02-05 2009-08-27 Evonik Degussa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tal oxide powders
JP2007331838A (ja) 2006-03-31 2007-12-27 Ethicon Inc 泡および噴霧を放出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ー
KR200433559Y1 (ko) * 2006-09-20 2006-12-11 권영민 실리콘 용기의 배출구조
KR200449598Y1 (ko) * 2009-11-24 2010-07-22 이석목 실리콘 용기의 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362B1 (ko) * 2023-07-03 2023-12-05 정희찬 다목적 실리콘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9641B2 (ja) 食器洗浄機の水噴霧装置
CN106763039B (zh) 一种应用于伸缩管的锁紧结构
KR200470512Y1 (ko) 실리콘 노즐
US9723960B2 (en) Vacuum nozzle
US20170241146A1 (en) Device for smoothing of viscose building material
KR20130005707A (ko) 실리콘튜브용 노즐
KR20160000098U (ko) 회전 가능한 실리콘 노즐
CN201082008Y (zh) 多功能刷
CN214052128U (zh) 一种伸缩花洒
KR20110115213A (ko) 세척기 겸용 샤워기
KR10186358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EP3374092B1 (en) A paint roller, an assembly of a paint frame with such paint roller, and a method for painting using said roller
KR20150002402U (ko) 실리콘 노즐
JP6315364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433860Y1 (ko) 관절형 샤워기
JP6391313B2 (ja) イヤーマフの支持構造
BR102012004957A2 (pt) espremedor e instrumento de limpeza
CN205125614U (zh) 一种可折叠的摇椅
CN204199846U (zh) 一种帐篷架
KR200410390Y1 (ko) 회전거울 지지구
CN204363873U (zh) 鼻腔清洁刷
CN104730824B (zh) 短焦投影设备
TWI564208B (zh) A steering device that can telescure handle height
CN109185640A (zh) 可折弯控制的伸缩杆
JP5891185B2 (ja) 連結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干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