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582B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3582B1 KR101863582B1 KR1020160002040A KR20160002040A KR101863582B1 KR 101863582 B1 KR101863582 B1 KR 101863582B1 KR 1020160002040 A KR1020160002040 A KR 1020160002040A KR 20160002040 A KR20160002040 A KR 20160002040A KR 101863582 B1 KR101863582 B1 KR 1018635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fixture
- circumferential surface
- along
- retre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27—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cammed or eccentrical surfaces co-operating by relative rotation of the telescoping members or by rotation of an external co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우터파이프, 그리고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측에 텔레스코픽 구조로 삽입되는 이너파이프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연결부분을 감싸게 되고, 전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된 홀딩부, 그리고 상기 홀딩부의 후방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단턱부를 갖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외측에 회전 동작 및 진퇴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주면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는 경사면,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후방에 상기 단턱부와 접하도록 돌출 형성된 대응단턱부를 갖는 진퇴체;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의 단턱부는 고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걸림부, 그리고 상기 걸림부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체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나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퇴체의 대응단턱부는 상기 걸림부와 접하도록 진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대응걸림부, 그리고 상기 대응걸림부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진퇴체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어 상기 나선부와 접하게 되는 대응나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파이프 연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고정체에 끼워진 진퇴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너파이프를 용이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으며, 이너파이프 및 아우터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연결부분을 감싸게 되고, 전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된 홀딩부, 그리고 상기 홀딩부의 후방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단턱부를 갖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외측에 회전 동작 및 진퇴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주면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는 경사면,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후방에 상기 단턱부와 접하도록 돌출 형성된 대응단턱부를 갖는 진퇴체;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의 단턱부는 고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걸림부, 그리고 상기 걸림부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체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나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퇴체의 대응단턱부는 상기 걸림부와 접하도록 진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대응걸림부, 그리고 상기 대응걸림부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진퇴체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어 상기 나선부와 접하게 되는 대응나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파이프 연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고정체에 끼워진 진퇴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너파이프를 용이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으며, 이너파이프 및 아우터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 파이프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 파이프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646호(2014.07.15.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이동파이프가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상부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몸체 일측에는 작동홀과 타측에는 걸림홀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홀의 외측에는 힌지편을 형성하며 하단 내경에는 고정파이프가 삽입되는 하부몸체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몸체 내경 상측으로는 중앙에 이동파이프홀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편과 일측으로는 작동홀에 돌출되도록 작동편을 형성한 잠금링을 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한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의 잠금링에 형성된 작동편을 회전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손잡이편을 형성한 손잡이를 힌지편에 힌지 형성한 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잠금링을 이동파이프의 중심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하거나 수평하게 배치함으로써 이동파이프가 고정되거나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동파이프와 잠금링의 접촉면적이 협소하여 이동파이프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동파이프와 잠금링의 접촉부에 응력이 집중됨에 따라 그 접촉부가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길이조절장치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부품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용이하고, 각 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아우터파이프, 그리고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측에 텔레스코픽 구조로 삽입되는 이너파이프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연결부분을 감싸게 되고, 전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된 홀딩부, 그리고 상기 홀딩부의 후방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단턱부를 갖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외측에 회전 동작 및 진퇴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주면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는 경사면,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후방에 상기 단턱부와 접하도록 돌출 형성된 대응단턱부를 갖는 진퇴체;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의 단턱부는 고정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걸림부, 그리고 상기 걸림부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체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나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퇴체의 대응단턱부는 상기 걸림부와 접하도록 진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대응걸림부, 그리고 상기 대응걸림부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진퇴체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어 상기 나선부와 접하게 되는 대응나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고정체에 끼워진 진퇴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너파이프를 용이하게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으며, 이너파이프 및 아우터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진퇴체의 진퇴 동작 및 회전 동작 시 진퇴체와 고정체가 이루는 구조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진퇴체의 진퇴 동작 및 회전 동작 시 진퇴체와 고정체가 이루는 구조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아우터파이프(10), 그리고 아우터파이프(10)의 내측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삽입되는 이너파이프(20)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고정체(100) 및 진퇴체(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아우터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는 각종 행거용 파이프, 진공청소기의 흡입파이프 등 길이조절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파이프 형태의 물품이 해당할 수 있다.
고정체(100)는 아우터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의 연결부분을 감싸게 되는 것으로서,
전단부에 형성되어 이너파이프(20)의 외주면을 진퇴 동작 가능하게 감싸게 되는 홀딩부(110); 그리고
홀딩부(110)의 후방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단턱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체(100)의 후부(後部) 내측에는 아우터파이프(10)가 삽입 고정되고, 고정체(100)의 전부(前部) 내측에는 이너파이프(20)가 상기 홀딩부(110)에 의해 진퇴 동작 가능하게 삽입된다.
고정체(100)의 전단부에는 고정체(10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고정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둘 이상의 슬릿(150)이 형성되며, 상기 홀딩부(110)는 이 슬릿(150)에 의하여 상호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갈라진 둘 이상의 분체(分體, 111)로 이루어지게 된다.
홀딩부(110)는 전방을 향하여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진퇴체(200)의 전진 동작에 의해 점차 내측으로 좁혀져 이너파이프(20)를 고정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110)의 내주면에는 논슬립패드(140)가 부착될 수 있다. 논슬립패드(140)는 고무와 같이 마찰력이 큰 재질로 이루어져 이너파이프(20)와 접하도록 부착되며, 이에 따라 홀딩부(110)에 의해 고정된 이너파이프(20)가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고정체(100)는 그 후부의 외주면이 전부의 외주면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단턱부(120)는 고정체(100)의 외주면에 직경 차이가 발생하는 경계면을 따라 형성된다.
단턱부(120)는 고정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걸림부(121), 그리고 걸림부(121)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나선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걸림부(121) 및 나선부(122)는 각각 고정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나선부(122)는 인접한 두 걸림부(121) 중 일측 걸림부(121)의 전단부와 타측 걸림부(12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진퇴체(2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체(100)의 외측에 회전 동작 및 진퇴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고정체(100)의 홀딩부(110) 외주면과 접하도록 내주면 전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10); 그리고
고정체(100)의 단턱부(120)와 접하도록 상기 경사면(21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된 대응단턱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퇴체(200)는 그 후부의 내주면이 전부의 내주면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대응단턱부(220)는 진퇴체(200)의 내주면에 직경 차이가 발생하는 경계면을 따라 형성된다.
대응단턱부(220)는 고정체(100)의 걸림부(121)와 접하도록 진퇴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대응걸림부(221), 그리고 대응걸림부(221)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진퇴체(200)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어 고정체(100)의 나선부(122)와 접하게 되는 대응나선부(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응걸림부(221) 및 대응나선부(222)는 상기 걸림부(121) 및 나선부(122)와 마찬가지로 각각 진퇴체(200)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대응나선부(222)는 인접한 두 대응걸림부(221) 중 일측 대응걸림부(221)의 전단부와 타측 대응걸림부(22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고정체(100)의 단턱부(120)와 진퇴체(200)의 대응단턱부(220)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단턱부(120)와 대응단턱부(220)는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퇴체(200)가 고정체(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어 진퇴체(200)의 후퇴 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단턱부(120)와 대응단턱부(220)가 맞물린 상태에서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21)와 대응걸림부(221)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진퇴체(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대응나선부(222)가 나선부(122)를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진퇴체(200)가 전진 동작하게 되고, 이 전진 동작에 의해 진퇴체(200)의 경사면(210)이 고정체(100)의 홀딩부(110)를 내측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홀딩부(110)의 내측에 삽입된 이너파이프(20)가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걸림부(121)와 대응걸림부(221)가 접하도록 진퇴체(200)를 회전 동작 및 후퇴 동작시켜 홀딩부(110)의 고정력을 해제시킴으로써 아우터파이프(10) 및 이너파이프(20)가 이루는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길이조절이 완료되면 걸림부(121)와 대응걸림부(221)가 이격되도록 진퇴체(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너파이프(2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홀딩부(110)가 이너파이프(20)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게 됨으로써 이너파이프(20) 및 아우터파이프(10)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장치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설명하되,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고정체(100)와 진퇴체(200)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3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압축스프링(300)은 공지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고정체(100)의 후부를 감싸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압축스프링(300)의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고정체(100)의 후단부에는 고정체(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압축스프링(30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방지지(130)가 형성되고, 진퇴체(200)에는 상기 후방지지부(13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진퇴체(2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압축스프링(30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230)가 형성된다.
결국, 압축스프링(300)은 고정체(100)와 진퇴체(2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진퇴체(200)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홀딩부(110)가 이너파이프(20)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하면,
고정체(100)의 단턱부(120)는 걸림부(121)에 요입 형성된 걸림홈(12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진퇴체(200)의 대응단턱부(220)는 대응걸림부(221)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23)으로 진입하게 되는 걸림돌기(2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진퇴체(200)가 후퇴 동작한 상태에서 걸림돌기(223)가 걸림홈(123)으로 진입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압축스프링(300)에 의한 진퇴체(200)의 전진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걸림돌기(223)가 걸림홈(123)으로 진입하도록 진퇴체(200)를 후퇴 동작 및 회전 동작시켜 진퇴체(200)가 후퇴 동작한 상태, 즉 홀딩부(110)가 이너파이프(20)를 고정해제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아우터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가 이루는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이 완료되면 걸림돌기(223)가 걸림홈(123)에서 빠져나오도록 진퇴체(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너파이프(20)를 다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설명하되,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제2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고정체(100), 진퇴체(200) 및 압축스프링(300)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고정체(100)의 단턱부(120)와 진퇴체(200)의 대응단턱부(220)가 이루는 구조에 있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즉,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하면,
고정체(100)의 단턱부(120)는 고정체(100)의 후방을 향하여 요입 형성된 함몰부(124), 그리고 함몰부(124)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나선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진퇴체(200)의 대응단턱부(220)는 진퇴체(20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융기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턱부(120)의 함몰부(124) 및 나선부(122)는 각각 고정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나선부(122)는 인접한 두 함몰부(124)의 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124)는 나선부(122)에 의하여 도면상 상측에 위치한 내벽의 길이가 하측에 위치한 내벽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대응단턱부(220)의 융기부(224)는 함몰부(124) 및 나선부(122)와 마찬가지로 진퇴체(200)의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융기부(224)의 단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퇴체(200)가 전진 동작한 상태에서 함몰부(124)의 상측 내벽의 단부와 하측 내벽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융기부(224)의 단부는 함몰부(124)의 하측 내벽을 향한 회전 동작이 제한되되 함몰부(124)의 상측 내벽을 향한 회전 동작에 의해 단턱부(120)의 나선부(122)와 접할 수 있게 배치된다.
또한, 융기부(224)의 단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퇴체(200)가 후퇴 동작한 상태에서 단턱부(120)의 함몰부(124)로 진입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300)에 의해 전진 동작한 상태의 진퇴체(200)를 회전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224)가 나선부(122)를 타고 이동하게 함으로써 진퇴체(200)의 경사면(210)이 고정체(100)의 홀딩부(110)를 더욱 가압하게 하여 홀딩부(110)의 내측에 삽입된 이너파이프(2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224)가 함몰부(124)에 위치할 때까지 진퇴체(2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진퇴체(200)를 후퇴 동작시킴으로써 홀딩부(110)의 고정력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하면,
함몰부(124)는 이에 진입한 융기부(224)가 진퇴체(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는 너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고정체(100)의 외주면 후단부에는 안내돌기(160)가 돌출 형성되며,
진퇴체(200)의 후단부에는 안내돌기(160)가 위치하게 되는 안내홈(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내홈(240)은
안내돌기(160)가 진퇴체(200)의 진퇴 동작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진퇴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안내홈(241);
제1안내홈(241)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안내돌기(160)가 후퇴 동작한 진퇴체(200)의 회전 동작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진퇴체(2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제2안내홈(242); 그리고
제2안내홈(24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1안내홈(241)에 연결되고, 안내돌기(160)가 전진 동작한 진퇴체(200)의 회전 동작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진퇴체(2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제2안내홈(2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안내홈(240)에 대한 안내돌기(16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이너파이프(20)의 고정 또는 고정해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퇴체(200)가 후퇴 동작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160)가 제1안내홈(242)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진퇴체(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진퇴체(200)가 후퇴 동작한 상태, 즉 홀딩부(110)가 이너파이프(20)를 고정해제한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정체
110 : 홀딩부
111 : 본체
120 : 단턱부
121 : 걸림부 122 : 나선부
123 : 걸림홈 124 : 함몰부
130 : 후방지지부
140 : 논슬립패드
150 : 슬릿
160 : 안내돌기
200 : 진퇴체
210 : 경사면
220 : 대응단턱부
221 : 대응걸림부 222 : 대응나선부
223 : 걸림돌기 224 : 융기부
230 : 전방지지부
240 : 안내홈
241 : 제1안내홈 242 : 제2안내홈
243 : 제3안내홈
300 : 압축스프링
110 : 홀딩부
111 : 본체
120 : 단턱부
121 : 걸림부 122 : 나선부
123 : 걸림홈 124 : 함몰부
130 : 후방지지부
140 : 논슬립패드
150 : 슬릿
160 : 안내돌기
200 : 진퇴체
210 : 경사면
220 : 대응단턱부
221 : 대응걸림부 222 : 대응나선부
223 : 걸림돌기 224 : 융기부
230 : 전방지지부
240 : 안내홈
241 : 제1안내홈 242 : 제2안내홈
243 : 제3안내홈
300 : 압축스프링
Claims (6)
- 아우터파이프(10), 그리고 상기 아우터파이프(10)의 내측에 텔레스코픽 구조로 삽입되는 이너파이프(20)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아우터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의 연결부분을 감싸게 되고, 전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된 홀딩부(110), 그리고 상기 홀딩부(110)의 후방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단턱부(120)를 갖는 고정체(100); 및
상기 고정체(100)의 외측에 회전 동작 및 진퇴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주면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11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는 경사면(210), 그리고 상기 경사면(210)의 후방에 상기 단턱부(120)와 접하도록 돌출 형성된 대응단턱부(220)를 갖는 진퇴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100)의 단턱부(120)는, 고정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걸림부(121), 그리고 상기 걸림부(121)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나선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퇴체(200)의 대응단턱부(220)는, 상기 걸림부(121)와 접하도록 진퇴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대응걸림부(221), 그리고 상기 대응걸림부(221)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진퇴체(200)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어 상기 나선부(122)와 접하게 되는 대응나선부(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00)와 상기 진퇴체(2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진퇴체(200)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3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100)의 후단부에는 고정체(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압축스프링(30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진퇴체(200)에는 상기 후방지지부(13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진퇴체(2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30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120)는 상기 걸림부(121)에 요입 형성된 걸림홈(12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대응단턱부(220)는 상기 대응걸림부(221)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23)으로 진입하게 되는 걸림돌기(2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 아우터파이프(10), 그리고 상기 아우터파이프(10)의 내측에 텔레스코픽 구조로 삽입되는 이너파이프(20)를 상호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아우터파이프(10)와 이너파이프(20)의 연결부분을 감싸게 되고, 전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외주면의 직경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된 홀딩부(110), 그리고 상기 홀딩부(110)의 후방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단턱부(120)를 갖는 고정체(100); 및
상기 고정체(100)의 외측에 회전 동작 및 진퇴 동작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주면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딩부(11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는 경사면(210), 그리고 상기 경사면(210)의 후방에 상기 단턱부(120)와 접하도록 돌출 형성된 대응단턱부(220)를 갖는 진퇴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100)의 단턱부(120)는, 고정체(100)의 후방을 향하여 요입 형성된 함몰부(124), 그리고 상기 함몰부(124)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고정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나선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퇴체(200)의 대응단턱부(220)는, 진퇴체(20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진퇴체(200)가 전진 동작한 상태에서 상기 단턱부(120)의 나선부(122)와 접할 수 있게 배치되고, 진퇴체(200)가 후퇴 동작한 상태에서 상기 단턱부(120)의 함몰부(124)로 진입하게 되는 융기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124)는 이에 진입한 상기 융기부(224)가 상기 진퇴체(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는 너비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체(100)의 외주면 후단부에는 안내돌기(16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진퇴체(200)의 후단부에는 상기 안내돌기(160)가 위치하게 되는 안내홈(240)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240)은
상기 안내돌기(160)가 상기 진퇴체(200)의 진퇴 동작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진퇴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안내홈(241);
상기 제1안내홈(241)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돌기(160)가 후퇴 동작한 상기 진퇴체(200)의 회전 동작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진퇴체(2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제2안내홈(242); 그리고
상기 제2안내홈(24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안내홈(241)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돌기(160)가 전진 동작한 상기 진퇴체(200)의 회전 동작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진퇴체(2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제3안내홈(2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110)의 내주면에는 논슬립패드(14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2040A KR101863582B1 (ko) | 2016-01-07 | 2016-01-07 | 파이프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2040A KR101863582B1 (ko) | 2016-01-07 | 2016-01-07 | 파이프 연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2814A KR20170082814A (ko) | 2017-07-17 |
KR101863582B1 true KR101863582B1 (ko) | 2018-07-05 |
Family
ID=5944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2040A KR101863582B1 (ko) | 2016-01-07 | 2016-01-07 | 파이프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358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31752B (zh) * | 2018-11-14 | 2021-02-02 | 北京大艾机器人科技有限公司 | 可伸缩结构及具有其的外骨骼机器人 |
CN114088247B (zh) * | 2021-11-19 | 2023-11-10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便携移动式变压器温度计快速除湿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3186B1 (ko) | 2004-12-16 | 2005-04-14 | 라기천 |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장치 |
JP3881889B2 (ja) | 1999-06-14 | 2007-02-14 | 正記 山崎 | ねじ機構 |
KR101556964B1 (ko) | 2014-12-30 | 2015-10-05 | 박수경 | 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조립체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77709U (ko) * | 1980-10-28 | 1982-05-13 |
-
2016
- 2016-01-07 KR KR1020160002040A patent/KR1018635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81889B2 (ja) | 1999-06-14 | 2007-02-14 | 正記 山崎 | ねじ機構 |
KR100483186B1 (ko) | 2004-12-16 | 2005-04-14 | 라기천 |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장치 |
KR101556964B1 (ko) | 2014-12-30 | 2015-10-05 | 박수경 | 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2814A (ko) | 2017-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0046021A (ja) | 伸縮ロッドおよびこの伸縮ロッドを用いた柄付き用具 | |
KR101863582B1 (ko) | 파이프 연결장치 | |
US9534628B1 (en) | Folding device for baby carriage | |
US6675674B2 (en) | Locating/controlling structure for telescopic tube | |
CN104937486A (zh) | 用于摄像-摄影设备的支承头 | |
TWI555942B (zh) | Telescopic positioning structure | |
JP2014042813A5 (ko) | ||
US7607855B2 (en) | Positioning sleeve for a telescopic rod | |
CN105378558A (zh) | 伸缩装置 | |
GB2419386A (en) | Latching hose connection that can be released by relative rotation | |
GB2514082A (en) | Telescoping connection between tubular members | |
JP5918377B2 (ja) | 伸縮装置 | |
KR101556964B1 (ko) | 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조립체 | |
KR200430967Y1 (ko) | 조립식 지팡이 | |
JP4937765B2 (ja) | シリンジ | |
US8356381B2 (en) | Structure for automatically rotating a spiral rod | |
KR20160125124A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 기구 | |
US20180272380A1 (en) | Roller device | |
JP6235829B2 (ja) | 清掃具 | |
KR101772164B1 (ko) | 청소기용 파이프 연결 장치 | |
KR200365744Y1 (ko) | 다용도 지주봉의 길이조절장치 | |
JP2015094465A (ja) | 伸縮棒及び傘スタンド | |
EP1949812A1 (en) | Positioning sleeve for a telescopic rod | |
JP2000205220A (ja) | 管状機構 | |
CN217187641U (zh) | 一种单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