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502Y1 - 아크소호용 그리드 - Google Patents

아크소호용 그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502Y1
KR200470502Y1 KR2020120006438U KR20120006438U KR200470502Y1 KR 200470502 Y1 KR200470502 Y1 KR 200470502Y1 KR 2020120006438 U KR2020120006438 U KR 2020120006438U KR 20120006438 U KR20120006438 U KR 20120006438U KR 200470502 Y1 KR200470502 Y1 KR 200470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arc
bent
fixe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42Venting arrangements for arc ch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6Metal parts
    • H01H9/362Mounting of plates in arc cha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아크소호용 그리드는, 그리드에 수직방향을 따라 뾰족하게 돌출된 제1 절곡부를 두는 동시에 그 제1 절곡선의 반대쪽을 향해 수평방향을 따라 뾰족하게 돌출되는 제2 절곡선을 갖는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돌출된 부위에서의 소호 효과를 높이는 대신 그 제1 절곡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리드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높은 소효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크소호용 그리드{GRID TO REMOVE ARC}
본 고안은 아크소호용 그리드에 관한것으로, 특히 전자 접촉기에 적용되어 아크를 소호시키는 그리드에 관한 것이다.
아크(arc)는 단락전류 발생시 전원측 접촉단자(고정코어)와 가동측 접촉단자(가동코어)가 떨어질 때에 발생하는데, 전류 차단시 양쪽 접촉자 사이의 접점에서 전류의 관성에 의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호장치는 그리드(grid)라 불리는 자성판을 이용하여 아크를 냉각시키는 동시에 분할하여 짧게 해주는 방법으로 소호하게 된다. 이러한 그리드는 그 그리드가 적용되는 기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접촉기에 적용되는 그리드에 대해 살펴본다.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도 1과 같이, 케이스를 이루는 하부프레임(1) 및 상부프레임(2)과, 하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코어(3)와, 고정코어를 여자시키는 코일(4)과, 고정코어(3)가 여자될 때 그 고정코어(3)에 흡착되고 고정코어(3)의 자기력이 상실되면 스프링(5)의 힘에 의해 고정코어(3)로부터 떨어지는 가동코어(6)와, 가동코어(6)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가동코어(6)와 함께 이동하는 크로스바(7)와, 크로스바(7)에 고정된 가동접점대(8)와, 상부프레임(2)에 고정된 고정접점대(9)와, 상부프레임(2)에 결합되어 아크를 소호시키는 그리드(1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그리드(10)는 전체적으로는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측면부(11)(11)와, 양쪽 측면부(11)(11) 사이에 공간부(10a)를 형성하도록 그 양쪽 측면부(11)(11)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측면부(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측면부(11)(11)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반면, 제2 측면부(12)는 브이(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접촉기는 코일(4)에 전류가 인가되면, 고정코어(3)가 여자됨과 동시에 가동코어(6)가 고정코어(3)쪽으로 흡인된다. 이때, 고정코어(3)에 고정된 크로스바(7)와 가동접점대(8)가 가동코어(6)와 함께 이동하면서 가동접점대(8)가 고정접점대(9)에 접속되어 폐로를 구성하게 되며, 고정코어(3)의 자기력이 상실되면 스프링(5)의 힘에 의해 가동코어(6)가 고정코어(3)로부터 떨어져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가동접점대(8)도 고정접점대(9)로부터 개리된다.
전자 접촉기에서 가동접점대(8)가 고정접점대(9)에 접속되거나 가동접점대(8)가 고정접점대(9)로부터 개리될 때 각 접점대 사이에서 아크(Arc)가 발생하게 된다. 이 아크는 그리드(10)쪽으로 형성된 공간(10a)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호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아크소호용 그리드에서는, 아크가 제1 측면부(11)(11)의 평평한 부위보다 제2 측면부(12)의 브이(V)자 모양으로 꺾인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12a)로 더 빠르게 유도되므로 잦은 개폐시 제2 측면부(12)의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12a)가 안쪽으로 수축되는 변형이 발생하여 소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제2 측면부의 돌출부가 안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소호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아크소호용 그리드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크소호용 그리드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는, 편판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측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측면부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양쪽의 제1 측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그리드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부에는 그리드의 수직방향과 반대방향인 그리드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아크소호용 그리드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측면부는 2개의 평면이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직선으로 된 적어도 한 개의 제1 절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절곡선의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는 2개의 평면이 상기 제1 절곡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절곡선을 갖도록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를 이루는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를 여자시키는 코일; 상기 고정코어가 여자될 때 상기 고정코어에 흡착되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상기 가동코어와 함께 이동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에 고정된 가동접점대;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접점대 및 그리드;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는 전술한 특징을 갖는 전자 접촉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아크소호용 그리드는, 그리드에 수직방향을 따라 뾰족하게 돌출된 제1 절곡부를 두는 동시에 그 제1 절곡선의 반대쪽을 향해 수평방향을 따라 뾰족하게 돌출되는 제2 절곡선을 갖는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돌출된 부위에서의 소호 효과를 높이는 대신 그 제1 절곡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리드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높은 소효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 접촉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그리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자 접촉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그리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II-II"선단면도,
도 7은 도 4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그리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아크소호용 그리드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전자 접촉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그리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II-II"선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서 그리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아크소호용 그리드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는, 케이스를 이루는 하부프레임(1) 및 상부프레임(2)과, 하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코어(3)와, 고정코어를 여자시키는 코일(4)과, 고정코어가 여자될 때 고정코어에 흡착되고 고정코어의 자기력이 상실되면 스프링(5)의 힘에 의해 고정코어로 부터 떨어지는 가동코어(6)와, 가동코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가동코어와 함께 이동하는 크로스바(7)와, 크로스바에 고정된 가동접점대(8)와, 상부프레임(2)에 고정된 고정접점대(9)와, 상부프레임(2)에 결합되어 아크를 소호시키는 그리드(100)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그리드(100)는 전체적으로는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측면부(110)(110)와, 양쪽 측면부(110)(110) 사이에 가동접점대(8)가 움직이도록 공간부(101)를 형성하도록 그 양쪽 측면부(110)(110)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측면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부(110)(110)는 평판으로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반면, 제2 측면부(120)는 곡면으로 절곡될 수도 있지만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시키기 위해 두 개의 평면이 서로 연결되는 브이(V)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제2 측면부(120)는 2개의 평면이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직선으로 된 적어도 한 개의 제1 절곡선(121)이 형성되고, 제1 절곡선(121)의 중간에는 그 제1 절곡선(121)이 형성되는 그리드의 수직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2)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22)는 곡면지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5에서와 같이 2개의 평면(123)이 제1 절곡선(12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절곡선(124)을 갖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이 아크에 대한 소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절곡부(122)는 제1 절곡선(12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그리드의 제2 측면부(120)가 변형되더라도 좌우 대칭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아크소호용 그리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접촉기는 코일(4)에 전류가 인가되면, 고정코어(3)가 여자됨과 동시에 가동코어(6)가 고정코어(3)쪽으로 흡인된다. 그러면, 고정코어(3)에 고정된 크로스바(7)와 가동접점대(8)가 가동코어(6)와 함께 이동하면서 가동접점대(8)가 고정접점대(9)에 접속되어 폐로를 구성하게 된다.
반면, 고정코어(3)의 자기력이 상실되면서 스프링(5)의 힘에 의해 가동코어(6)가 고정코어(3)로부터 떨어져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가동접점대(8)도 고정접점대(9)로부터 개리된다.
이와 같이, 전자 접촉기에서 가동접점대(8)가 고정접점대(9)에 접속되거나 가동접점대(8)가 고정접점대(9)로부터 개리되는 과정에서 각 접점대 사이에는 아크(Arc)가 발생되고, 이 아크는 그리드(100)쪽으로 형성된 공간부(101)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호된다.
여기서, 아크가 효과적으로 소호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리드(100)의 재질이 중요할 수 있다. 하지만 그리드(100)의 형상에 따라서도 소호능력의 차이가 상당히 크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아크는 평평한 부위보다는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로 빠르게 유도되어 소호되므로 그리드(100)는 뾰족한 부위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리드(100)에 뾰족하게 돌출된 부위를 두게 되면 그 돌출된 부위가 잦은 개폐시 안쪽으로 수축되는 변형이 발생하여 오히려 소호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그리드(100)에 수직방향을 따라 뾰족하게 돌출된 제1 절곡선(121)을 두는 동시에 그 제1 절곡선(121)의 반대쪽을 향해 수평방향을 따라 뾰족하게 돌출되는 제2 절곡선(124)을 갖는 절곡부(122)를 형성함으로써 돌출된 부위에서의 소호 효과를 높이는 대신 그 제1 절곡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하부케이스 2 : 상부케이스
7 : 크로스바 8 : 가동접점대
100 : 그리드 101 : 공간부
110 : 제1 측면부 120 : 제2 측면부
121 : 제1 절곡선 122 : 절곡부
123 : 평면 124 : 제2 절곡선

Claims (3)

  1. 아크소호용 그리드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는,
    편판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측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측면부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양쪽의 제1 측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그리드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부에는 그리드의 수직방향과 반대방향인 그리드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아크소호용 그리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부는 2개의 평면이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직선으로 된 적어도 한 개의 제1 절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선의 중간에 형성되는 아크소호용 그리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절곡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아크소호용 그리드.
KR2020120006438U 2012-07-19 2012-07-19 아크소호용 그리드 KR200470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38U KR200470502Y1 (ko) 2012-07-19 2012-07-19 아크소호용 그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38U KR200470502Y1 (ko) 2012-07-19 2012-07-19 아크소호용 그리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502Y1 true KR200470502Y1 (ko) 2013-12-19

Family

ID=5371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438U KR200470502Y1 (ko) 2012-07-19 2012-07-19 아크소호용 그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09A (ko) * 2018-07-09 2020-01-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09A (ko) * 2018-07-09 2020-01-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102549302B1 (ko) * 2018-07-09 2023-06-30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087B2 (ja) 電磁リレー
US9336965B2 (en) Sealed contact device
US10636602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2688084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10176952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150262777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5964419B2 (ja) 電磁開閉器
CN201051474Y (zh) 小体积防震电磁继电器
KR200470502Y1 (ko) 아크소호용 그리드
KR101276905B1 (ko) 전자 접촉기
US8884728B2 (en) Stationary contact arm assembly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12912985A (zh) 触点装置
RU2016133364A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ой цепи
TWI538003B (zh) A switch with a latch mechanism
JP6124173B2 (ja) 電磁リレー
KR200476957Y1 (ko) 전자접촉기
JP5492649B2 (ja) 回路遮断器
KR20160051097A (ko) 전자접촉기 크로스바 구조
JP5523594B2 (ja) 開閉器
CN111868869B (zh) 电磁接触器
KR200456567Y1 (ko) 전자접촉기의 아크소호장치
KR102508804B1 (ko) 직류 차단기용 자기소호장치
JP6207227B2 (ja) 電磁接触器
CN218351371U (zh) 用于接触器的灭弧组件和接触器
JP6234872B2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