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62Y1 -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 - Google Patents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62Y1
KR200470162Y1 KR2020110009925U KR20110009925U KR200470162Y1 KR 200470162 Y1 KR200470162 Y1 KR 200470162Y1 KR 2020110009925 U KR2020110009925 U KR 2020110009925U KR 20110009925 U KR20110009925 U KR 20110009925U KR 200470162 Y1 KR200470162 Y1 KR 200470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fan
temperature
drying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950U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2020110009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6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15Post-treatment of dried fruits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절기 곶감 건조시 곶감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건조장 바닥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건조장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팬을 돌려 상부를 향하여 사방으로 불어줌으로써 대류작용에 의해 건조장 내부의 온도를 영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캐스터가 부착된 원통형 몸체(10); 상기 몸체 내측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팬(20); 상기 몸체 내측의 상부에 설치되는 히터(30); 상기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온풍 확산용 그릴(40);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송풍팬과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기(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는 온풍기에서 방출하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설정부와 상기 온풍 확산용 그릴의 외측에 부착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설정부에서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신호가 감지된 경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은 즉시 차단하고, 송풍팬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수분간 지연 후 차단하여 히터를 식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 {A FAN HEATER FOR PERSIMMON DRYING RACK}
본 고안은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동절기 곶감 건조시 곶감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건조장 바닥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건조장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팬을 돌려 상부를 향하여 사방으로 불어줌으로써 대류작용에 의해 건조장 내부의 온도를 영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곶감은 10월에서부터 11월 사이에 생감을 따서 껍질을 박피한 후 줄이나 행거에 매달아 건조장에서 30~45일 정도를 건조시킴으로써 만들어지는데, 건조장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게 되면 감이 얼어서 온전한 곶감이 만들어지지 않고 쉽게 변질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곶감 건조장은 통풍이 잘 되어야 하는데 곶감의 건조시기에 비가 오거나 습한 기후가 지속될 경우에는 곶감 표면에 곰팡이가 피거나 세균에 의해 부패하는 등 곶감의 품질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쳐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곶감 건조시 건조장 내부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비가 오거나 습한 기후에도 불구하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곶감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캐스터가 부착된 원통형 몸체와, 상기 몸체 내측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몸체 내측의 상부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온풍 확산용 그릴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송풍팬과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외기의 유입시 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온풍기에서 방출하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설정부와 상기 온풍 확산용 그릴의 외측에 부착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설정부에서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신호가 감지된 경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은 즉시 차단하고, 송풍팬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수분간 지연 후 차단하여 히터를 식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곶감 건조장의 내부 공기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온풍을 공급하게 되므로 곶감 건조장이 영하로 떨어져 건조 중인 곶감이 동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곶감 건조장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대류시킴으로써 건조장의 통풍성을 확보하여 곰팡이가 스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곶감을 생산할 수 있으며, 송풍팬은 히터의 정지 후에도 수분간 동작 한 후 정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히터의 과열로 인해 건조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온풍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캐스터(12)가 부착된 원통형 몸체(10); 상기 몸체(10) 내측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팬(20); 상기 몸체(10) 내측의 상부에 설치되는 히터(30);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온풍 확산용 그릴(40); 및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송풍팬(20)과 히터(30)를 제어하는 제어기(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10)는 도면상에서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이나 다각형 통체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한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용 비드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10)는 금속 판체를 가공하여 용접 또는 리벳팅 결합하는 것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몸체(10)의 하부와 상부는 외부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몸체(10)의 하부 둘레에는 지면에서 5~10cm정도 뜬 상태를 이루도록 3~5개 정도의 캐스터(12)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캐스터(12)는 온풍기의 이동을 원활히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캐스터(12) 자체에 구비된 브레이크를 걸어줌으로써 온풍기 가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온풍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부호 14는 몸체(10)의 외측에 부착되는 운반용 손잡이이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송풍기(20)의 회전에 의해 외기가 몸체(10) 내부로 유입될 때 먼지를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하여 미세한 망 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필터(6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필터(60)는 오염시 간편하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몸체(10)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송풍팬(20)은 모터(22)와 팬(2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류 전원의 공급시 모터(22)가 구동되어 팬(24)이 회전하게 되면 몸체(10)의 하부에서 몸체(10)의 상부를 향하여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터(22)는 몸체(10) 내측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 고정브라켓(14)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22)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히터(30)는 튜브의 내부에 전원의 공급에 의해 가열되는 열선이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상으로 구부려져 몸체(10) 의 내면에 닿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히터(30)의 표면에는 송풍기(20)에 의해 발생된 바람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표면에 다수의 방열핀(32)이 부착되어 있어 숭풍팬(20)에 의해 공급된 외기와 접촉하여 외기를 가열시킨 후 상방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온풍 확산용 그릴(40)은 히터(30)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송풍기(20)와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외기를 다시 건조장 외부로 불어낼 때 온풍이 수직 상부로만 방출되지 않고 사방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상방 외측으로 경사진 동심원상의 복수의 가이드 링(42)과 이 가이드 링(42)을 지지하기 위한 십자형의 브라켓(44)으로 이루어져 있어 십자형의 브라켓(44)이 몸체(10)의 상부에 고정볼트(46)로 조립된다.
한편, 상기 제어기(50)는 온풍기에서 방출하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설정부(52)와 상기 온풍 확산용 그릴(40)의 외측에 부착된 온도센서(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54)로부터 온도설정부(52)에서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신호가 감지된 경우 히터(30)로 공급되는 전원은 즉시 차단하고, 송풍팬(20)의 모터(22)로 공급되는 전원은 수 분간 지연 후 차단하여 히터(30)를 충분히 식힐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건조장에서의 화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건조기의 취급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도설정부(42)는 설정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42a,42b)과 설정된 온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2c)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온도설정부의 구성은 공지의 공조기 등에서 온도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중 부호 51은 제어기(50)에 설치된 온/오프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P)이 널려있는 곶감 건조장(F)의 바닥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설정온도가 될때까지 히터(30)와 송풍팬(20)의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온도센서(54)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도설정부(52)의 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히터(30)로 공급되는 전원은 즉시 차단되고 송풍팬(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수 분간 더 공급되었다가 차단됨으로써 가열되었던 히터(30)를 충분히 식혀주어 건조장 내부에서의 화재발생이나 화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온도센서(54)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다시 히터(30)와 송풍팬(20)이 동작되어 건조장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본 고안의 온풍기는 건조장의 규모에 따라서 작은 규모의 건조장인 경우에는 건조장 중앙에 하나만 설치하면 되며, 큰 규모의 건조장인 경우에는 일정 간격마다 온풍기를 배치하여 건조장 전체에 걸쳐 균일한 온풍이 공급되도록 하면 된다.
10 : 몸체 12 : 캐스터
14 : 운반용 손잡이 20 : 송풍팬
22 : 모터 24 : 팬
30 : 히터 32 : 방열핀
40 : 온풍 확산용 그릴 42 : 가이드 링
44 : 십자형 브라켓 46 : 고정볼트
50 : 제어기 51 : 온/오프스위치
52 : 온도설정부 54 : 온도센서
60 : 필터

Claims (4)

  1. 상,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캐스터(12)가 부착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측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팬(20)과, 상기 몸체(10) 내측의 상부에 설치되는 히터(3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온풍 확산용 그릴(40)과,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송풍팬(20)과 히터(30)를 제어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에 있어서;
    상기 온풍 확산용 그릴(40)은 상방 외측으로 경사진 동심원상의 복수의 가이드 링(42)과 이 가이드 링(42)을 지지하기 위한 십자형 브라켓(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10009925U 2011-11-09 2011-11-09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 KR200470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925U KR200470162Y1 (ko) 2011-11-09 2011-11-09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925U KR200470162Y1 (ko) 2011-11-09 2011-11-09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50U KR20130002950U (ko) 2013-05-20
KR200470162Y1 true KR200470162Y1 (ko) 2013-11-29

Family

ID=5074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925U KR200470162Y1 (ko) 2011-11-09 2011-11-09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6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551A (ko) * 1995-11-30 1997-06-24 배순훈 식기건조기용 히터발열부 과열방지회로
KR200424159Y1 (ko) * 2006-05-29 2006-08-16 이혜정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37956Y1 (ko) 2007-04-24 2008-01-14 장문갑 농수산물 건조기
KR20090005706U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시스웍스 농수산물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551A (ko) * 1995-11-30 1997-06-24 배순훈 식기건조기용 히터발열부 과열방지회로
KR200424159Y1 (ko) * 2006-05-29 2006-08-16 이혜정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37956Y1 (ko) 2007-04-24 2008-01-14 장문갑 농수산물 건조기
KR20090005706U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시스웍스 농수산물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50U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613961B1 (pt) Structure and process for curing tobacco
NO326062B1 (no) Fremgangsmate og apparat for ekstrahering av fuktighet og/eller mugg fra en bygningskonstruksjon.
KR101874163B1 (ko) 상온 건조 시스템
JP2007170743A (ja) 遠赤外線乾燥システム、およびドラム型乾燥機、ならびに布団乾燥施設とそれを用いた布団遠赤外線乾燥方法
KR101308893B1 (ko) 축사용 환풍기
CN206909267U (zh) 一种自动光照和自动变温的植物培育箱
KR101118671B1 (ko) 원적외선방사히터가 구비된 오징어건조장치
CN207123129U (zh) 升降式假发干燥系统
KR200470162Y1 (ko) 곶감 건조장용 온풍기
KR101452161B1 (ko) 농산물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방법
JP2009101276A (ja) 汚泥乾燥装置及び汚泥乾燥方法
JP2006254883A (ja) 渋抜き装置を備えた柿の乾燥干し機器
KR100978454B1 (ko) 공기 순환 장치
CN206637971U (zh) 鼓风干燥箱
EP1752578A1 (en) Wall mounted electrical clothes drier
CN205897811U (zh) 一种用于食品和药材的烘干设备
KR101827896B1 (ko) 컨테이너형 곶감 건조기
CN209214230U (zh) 一种压制植物腊叶标本的烘干装置
KR102445397B1 (ko) 습기제거 및 공기순환을 갖는 건조기
KR102147546B1 (ko) 에너지 절감형 재배챔버
CN211322873U (zh) 一种茶叶萎凋设备
RU1842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пожарных рукавов в жарком климатическом поясе в теплый период года
KR20030010904A (ko) 세탁물 건조장치
CN207556189U (zh) 一种佛香的高效烘干装置
JP2003343974A (ja) 傘自動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