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19Y1 - 다기능 스포밴드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포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19Y1
KR200470119Y1 KR2020130003559U KR20130003559U KR200470119Y1 KR 200470119 Y1 KR200470119 Y1 KR 200470119Y1 KR 2020130003559 U KR2020130003559 U KR 2020130003559U KR 20130003559 U KR20130003559 U KR 20130003559U KR 200470119 Y1 KR200470119 Y1 KR 200470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insertion space
body insertion
sew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윤
Original Assignee
메디스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스포(주) filed Critical 메디스포(주)
Priority to KR2020130003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19Y1/ko
Priority to CN201480026287.3A priority patent/CN105339054A/zh
Priority to PCT/KR2014/004001 priority patent/WO20141820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1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스포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가지며 탄성을 갖는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가 반으로 접혀진 후, 상기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봉제되어 형성되는 봉제부와; 상기 반으로 접혀진 밴드본체에 일정간격으로 봉제되어 상기 밴드본체를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선과; 상기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의 전면에 형성되어 기준위치에 대한 각 신체삽입공간별 힘인가량을 표시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체삽입공간은 홀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 중 가운데에 위치한 접힘공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운데 접힘공간에는 상기 식별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스포밴드{MULTI-FUNCTION SPORT BAND}
본 고안은 스포밴드에 관한 것으로, 운동부위와 운동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스포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밴드 운동기구는 강한 탄성력을 지닌 밴드를 신체의 특정부위를 이용해 밀거나 당겨서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 효과를 얻게 한다. 밴드 운동기구는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인 운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애용하고 있다.
이러한 밴드 운동기구는 공개특허 제10-2010-0129095호 "복대를 겸한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에 개시된 바 있다.
밴드 운동기구를 이용한 가장 대표적인 운동방법은 일자로 길게 형성된 고탄력 밴드의 양단부를 양손으로 잡고 밴드의 가운데 부분에 발이나 무릎과 같은 신체 특정 부위를 건 상태에서 해당 신체 부위를 밀면서 폈다가 접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스포밴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포밴드(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밴드의 양단(11, 13)을 일측면에 봉제하여 형성된다. 밴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봉제되어 복수개의 파지공간을 형성하고, 각 파지공간의 전면에는 숫자가 형성된다.
여기서, 종래 스포밴드(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가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포밴드(10)를 반으로 접어 사용할 경우 힘이 얼마나 인가되는지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 스포밴드(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짝수개로 형성되므로, 반으로 접어 사용할 때 손을 파지할 공간이 없어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밴드의 양단(11,13)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봉제되는데, 봉제실(A)이 힘이 인가되는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봉제되므로, 힘이 인가될 때 봉제실로 하중이 집중되어 봉제영역이 끊어지게 되어 제품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스포밴드(10) 제품의 특성상 밴드의 양 끝단을 주로 파지하게 되는데, 봉제부가 형성된 끝단을 파지하였을 때, 봉제부가 손에 직접 접촉되어 그립감이 안 좋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으로 접어 사용하거나 펼쳐서 사용할 때 모두 힘의 인가량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다기능 스포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시접부분을 밴드본체의 가운데 영역에 형성하여 제품 하중 방향에 나란하게 봉제선이 형성되어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 수명의 연장을 꾀할 수 있는 다기능 스포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기능 스포밴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기능 스포밴드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탄성을 갖는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가 반으로 접혀진 후, 상기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봉제되어 형성되는 봉제부와; 상기 반으로 접혀진 밴드본체에 일정간격으로 봉제되어 상기 밴드본체를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선과; 상기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의 전면에 형성되어 기준위치에 대한 각 신체삽입공간별 힘인가량을 표시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체삽입공간은 홀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 중 가운데에 위치한 접힘공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운데 접힘공간에는 상기 식별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봉제부는 상기 접힘공간을 형성하는 양측 구획선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봉제부는 상기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접혀진 후 힘의 인가방향과 나란하게 봉제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의 배면에는 일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면식별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포밴드는 식별부를 중심으로부터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접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펼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봉제부가 스포밴드의 접힘공간 영역에 수평하게 접혀져서 형성되므로 미관이 깔끔하며 힘의 인가에 의해 봉제라인이 파열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스포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밴드의 전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포밴드를 접어서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밴드를 펼쳐서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밴드(100)의 전면 사시도와 배면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포밴드(100)는 탄성을 갖는 스포밴드본체(110)와, 스포밴드본체(110)를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A)으로 구획하는 구획선(120)과,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A)의 상면에 형성되는 식별부(130)를 포함한다.
스포밴드본체(1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탄성부재(111)로 형성된다. 스포밴드본체(110)는 탄성부재(111)의 양단이 서로 봉제되어 고리 형상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리 형상의 스포밴드본체(110)를 접은 후 일정 간격으로 구획선(120)을 형성하여 내부에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A)을 형성한다.
신체삽입공간(A)은 운동 시에 사용자의 손, 발, 무릎, 팔 등의 신체가 삽입되어 힘이 인가되도록 하고, 운동 효과가 나타나게 한다.
탄성부재(111)는 고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탄성부재(111)의 일단(113)과 타단(115)은 서로 결합되어 봉제부를 형성한다. 일단(113)과 타단(115)은 각각 제1접힘단(113a)과 제2접힘단(115a)이 일정 길이 만큼 접혀진 후 봉제된다.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힘단(113a)과 제2접힘단(115a)은 탄성부재(111)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접혀진다. 그리고, 봉제실(117)이 탄성부재(11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봉제된다.
즉, 봉제실(117)이 수평방향으로 한번 봉제되고, 구획선(120)을 형성하는 구획실이 다시 한번 수직방향으로 봉제하게 된다. 이렇게 봉제실(117)이 탄성부재(111)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봉제되므로, 사용자의 힘의 인가방향과 동일하게 봉제실(117)이 배치된다.
따라서, 하중이 인가되어 탄성밴드본체(110)가 신장되거나 수축될 때 봉제실(117)이 함께 이동되므로 봉제실(117)로 인가되는 하중이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봉제실(117) 영역이 끊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과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접힘단(113a)과 제2접힘단(115a)이 신체삽입공간(A)의 구획선(120)에 의해 은폐되므로 제품의 미관도 보다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접힘단(113a)와 제2접힘단(115a)이 봉제실(117)에 의해 봉제되어 밴드본체(1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가 삽입될 때 간섭되지 않는다.
구획선(120)은 접혀진 스포밴드본체(110)를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A)으로 구획한다. 구획선(120)은 탄성부재(111)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봉제되어 형성한다. 구획선(120)은 봉제실을 미세간격으로 봉제하여 큰 하중이 반복하여 인가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구획선(120)은 스포밴드본체(110)를 홀수개의 신체삽입공간(A)을 갖도록 구획한다. 이에 의해 스포밴드본체(110)는 가운데 배치되는 접힘공간(B)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A)을 갖게 된다.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A)의 전면에는 식별부(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포밴드(100)는 총 9개의 신체삽입공간(A)이 형성된다. 이 중 5번째에 위치한 가운데 신체삽입공간(A)이 접힘공간(B)으로 작용한다. 즉, 접힘공간(B)을 중심으로 스포밴드(100)가 좌우 대칭되게 접혀질 수 있다.
접힘공간(B)의 전면에는 식별부(130)가 형성되지 않는다. 접힘공간(B)의 전면에는 상호를 형성하여 광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식별부(130)는 스포밴드(100)를 사용할 때 각 신체삽입공간(A)에 신체를 삽입하고 운동했을 때, 얼마만큼의 힘이 인가되는지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한다. 일례로, 1이라고 쓰여진 신체삽입공간(A)에 발을 끼우고 2라고 쓰여진 신체삽입공간(A)에 손을 끼우고 힘을 인가하면 신체삽입공간(A) 한 칸의 탄성력의 2배만큼의 힘이 사용자에게 작용하는 것이고, 4라고 쓰여진 신체삽입공간(A)에 손을 끼우고 힘을 인가하면 4배만큼의 힘이 사용자에게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밴드(100)를 반으로 접고 한 손은 1이라고 쓰여진 신체삽입공간(A)에 손을 끼우고, 나머지 손은 접힘공간(B)에 끼우고 사용할 경우, 4라고 쓰여진 힘의 2배, 총 8배의 힘이 인가된다.
한편, 스포밴드(100)의 배면(100a)에는 도 2의 아랫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신체삽입공간(A)에 배면식별부(130a)가 형성된다. 배면식별부(130a)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숫자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스포밴드(100)를 길게 잡고 힘을 인가할 경우 힘의 인가량을 인식할 수 있다.
식별부(130)와 배면식별부(130a)는 스포밴드본체(110)를 제조할 때 바탕색상과 상이한 색상의 실로 직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부(130)와 배면식별부(130a)는 자수기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인쇄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밴드(100)의 사용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포밴드(100)를 이용해 운동하고자 하는 운동부위를 선택한다. 그리고, 운동부위에 따라 스포밴드(100)를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운동을 할 경우, 스포밴드(100)를 반으로 접는다. 사용자는 식별부(130)가 "1"이라고 표시된 첫 번째 신체삽입공간(A)에 한 손을 삽입하고, 접힘공간(B)에 나머지 손을 삽입한다.
그리고 양쪽으로 당겨서 팔 운동과 어깨운동 등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은 상태에서 운동을 하게 되므로 운동효과가 배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를 이용한 어깨운동을 할 경우, 스포밴드(100)를 펼치고 식별부(130)가 "1"이라고 표시된 첫 번째 신체삽입공간(A)에 발을 삽입하고, 배면식별부(130a)가 "7" 또는 "8"을 가리키는 신체삽입공간(A)에 양손을 삽입하고 팔과 어깨를 아래 위로 이동시키며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포밴드(100)를 허리에 감아 허리운동을 하거나, 양발로 스포밴드(100)를 밟고 양손을 스포밴드(100)의 양단을 신장 또는 수축하여 스쿼트 자세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맨손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자세에 스포밴드(100)를 도입하여 운동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포밴드는 식별부를 중심으로부터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접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펼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봉제부가 스포밴드의 접힘공간 영역에 수평하게 접혀져서 형성되므로 미관이 깔끔하며 힘의 인가에 의해 봉제라인이 파열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스포밴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스포밴드 110 : 밴드본체
111 : 탄성부재 113 : 일단
113a : 제1접힘단 115 : 타단
115a : 제2접힘단 117: 봉제실
120 : 구획선 130 : 식별부
130a : 배면식별부
A : 신체삽입공간
B : 접힘공간

Claims (3)

  1. 일정 길이를 가지며 탄성을 갖는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가 반으로 접혀진 후, 상기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봉제되어 형성되는 봉제부와;
    상기 반으로 접혀진 밴드본체에 일정간격으로 봉제되어 상기 밴드본체를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선과;
    상기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의 전면에 형성되어 기준위치에 대한 각 신체삽입공간별 힘인가량을 표시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체삽입공간은 홀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 중 가운데에 위치한 접힘공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운데 접힘공간에는 상기 식별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부는 상기 접힘공간을 형성하는 양측 구획선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봉제부는 상기 밴드본체의 양단부가 내측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접혀진 후 힘의 인가방향과 나란하게 봉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신체삽입공간의 배면에는 일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면식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밴드.
KR2020130003559U 2013-05-07 2013-05-07 다기능 스포밴드 KR200470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59U KR200470119Y1 (ko) 2013-05-07 2013-05-07 다기능 스포밴드
CN201480026287.3A CN105339054A (zh) 2013-05-07 2014-05-07 多功能运动带
PCT/KR2014/004001 WO2014182037A1 (ko) 2013-05-07 2014-05-07 다기능 스포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59U KR200470119Y1 (ko) 2013-05-07 2013-05-07 다기능 스포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119Y1 true KR200470119Y1 (ko) 2013-11-29

Family

ID=5074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559U KR200470119Y1 (ko) 2013-05-07 2013-05-07 다기능 스포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70119Y1 (ko)
CN (1) CN105339054A (ko)
WO (1) WO20141820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063A (ko) * 2013-12-04 2015-06-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고정부 및 발 고정부를 갖는 운동용 탄력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4387B2 (ja) * 2015-02-04 2019-06-05 株式会社Toscom 筋力トレーニング支援バンド
US20190388716A1 (en) * 2018-06-26 2019-12-26 Msa Technology, Llc Trauma Relief Strap Assembly for Safety Harn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359A (en) 1992-02-27 1997-04-29 Dean; Lewis Apparatus for stretching muscles and use thereof
KR100606336B1 (ko) 2005-12-12 2006-07-28 강순구 다목적 운동기구
JP3145458U (ja) * 2008-07-26 2008-10-09 幸子 西山 ストレッチ用バンド
US8343018B2 (en) 2006-12-05 2013-01-01 Moulton Kelly J Muscle tension stra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664B1 (ko) * 2007-08-24 2012-06-11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스포츠 플라자 가압 근력 트레이닝 장치 및 가압 근력 트레이닝용 벨트
CN202492029U (zh) * 2011-11-23 2012-10-17 雄喀尔·白科日 带有钢的伸缩性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359A (en) 1992-02-27 1997-04-29 Dean; Lewis Apparatus for stretching muscles and use thereof
KR100606336B1 (ko) 2005-12-12 2006-07-28 강순구 다목적 운동기구
US8343018B2 (en) 2006-12-05 2013-01-01 Moulton Kelly J Muscle tension strap
JP3145458U (ja) * 2008-07-26 2008-10-09 幸子 西山 ストレッチ用バン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063A (ko) * 2013-12-04 2015-06-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고정부 및 발 고정부를 갖는 운동용 탄력밴드
KR101636694B1 (ko) 2013-12-04 2016-07-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고정부 및 발 고정부를 갖는 운동용 탄력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39054A (zh) 2016-02-17
WO2014182037A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119Y1 (ko) 다기능 스포밴드
CN107072364B (zh) 组合式包系统
US20180332907A1 (en) Athletic garment with integrated hanging pocket
KR101290109B1 (ko) 손수건용 파우치
US20170056735A1 (en) Pocketed towel made of a plurality of fabrics
JP3175830U (ja) 鞄用持ち手
KR101374393B1 (ko) 보자기 및 이를 이용한 가방의 제조방법
JP3149976U (ja) 鞄用持ち手および鞄
JPWO2005023032A1 (ja) 長尺帯体、及びその長尺帯体への線状切欠孔の縫製方法
US20160324233A1 (en) Body Wrapping
JP3229887U (ja) ゴルフ用ウェア
JP3175195U (ja) 多形態バッグ
JP3191642U (ja) 買い物袋
JP3193318U (ja) 折り畳み式バスケット
JP3202435U (ja) サブバッグ
JP6370973B2 (ja) ポケット及びポケットを有する衣服
KR200486460Y1 (ko)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
JP2003339904A (ja) 簡易トレーニング用具
JP3207441U (ja) 下半身衣類用パッケージ
JP3103723U (ja) バッグに転用できる上衣
JP3205172U (ja) 傘収容鞄
JP3175061U (ja) レッグウォーマー
JP3188752U (ja) 浴用ボディタオル
JP3170664U (ja) ショッピングバッグ
US20180078025A1 (en) Michif cell phone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