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816Y1 -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 Google Patents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816Y1
KR200469816Y1 KR2020110011769U KR20110011769U KR200469816Y1 KR 200469816 Y1 KR200469816 Y1 KR 200469816Y1 KR 2020110011769 U KR2020110011769 U KR 2020110011769U KR 20110011769 U KR20110011769 U KR 20110011769U KR 200469816 Y1 KR200469816 Y1 KR 200469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net
wheel
ba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221U (ko
Inventor
이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
Priority to KR2020110011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81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2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14Ty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al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9/00Pick-ups for loaders, chaff-cutters, balers, field-threshers, or the like, i.e. attachments for picking-up hay or the like field cro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료 작물의 베일 성형 후 네트로 바인딩 및 절단하는 네트장치에 있어서, 커터부재에 연동 작동되어 네트롤러에 축 고정된 래치휠을 래치바에 의해 구속함으로써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바인딩이 끝난 네트에 텐션을 가하는 래치구조를 구비하여 네트의 끝단을 깔끔하게 절단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작업속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는, 조사료 작물의 베일 성형 후 네트 바인딩 및 절단하는 공지의 베일러용 네트장치에 있어서, 베일러의 프레임(100) 외측 양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본체(20); 상기 본체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휠홈(23)이 형성된 래치휠(20); 및 상기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하단에 상기 휠홈에 대응되는 돌기 형상의 스토퍼(34)가 돌출 형성된 래치바(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Latch structure in net wrapping device for baler}
본 고안은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료 작물의 베일 성형 후 네트로 바인딩 및 절단하는 네트장치에 있어서, 커터부재에 연동 작동되어 네트롤러에 축 고정된 래치휠을 래치바에 의해 구속함으로써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바인딩이 끝난 네트에 텐션을 가하는 래치구조를 구비하여 네트의 끝단을 깔끔하게 절단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작업속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일러(Baler)는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어 목초나 건초, 옥수수와 같은 조사료 작물을 픽업하고 효율적인 보관을 위해 일정한 형태로 압축 결속하여 베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베일러에서 배출된 베일은 첨가제 처리 및 비닐랩 작업 후 사일리지로 잘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절단하여 가축에게 사료로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베일러의 구조를 보면,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조사료 작물을 픽업하여 프레임 내부로 공급하는 작물공급장치,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작물을 압축 결속하는 베일성형장치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트랙터에 구비된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일성형장치의 전방에는 일정한 폭의 네트(그물망)를 베일성형장치 내로 공급하여 회전 압축되는 작물(베일)의 외부를 바인딩 함으로써 조사료 작물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네트장치가 설치되고, 이러한 네트장치 내에는 베일의 바인딩 작업이 완료된 네트의 끝단을 절단하는 커터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즉, 네트를 유입하는 롤러 축의 회전수에 의해 베일을 바인딩하기 위한 네트의 유입량을 미리 설정하고 바인딩이 완료되면 커터부재에 의해 네트의 끝단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네트장치는 바인딩이 끝난 후에 네트가 느슨해진 상태로 있음에 따라 상기 커터부재로 네트를 절단 시 끝단이 깔끔하게 절단되지 않기 때문에 보기에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이후 연속되는 베일 바인딩 및 네트 커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전체적인 작업속도가 지연되고 네트가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베일러용 네트장치에 있어서, 바인딩이 작업이 끝난 네트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롤러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래치구조에 의하여 네트의 끝단에 장력(Tension)을 부여함과 아울러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하고 깔끔한 커팅이 가능하여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는, 조사료 작물의 베일 성형 후 네트 바인딩 및 절단하는 공지의 베일러용 네트장치에 있어서, 베일러의 프레임 외측 양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휠홈이 형성된 래치휠; 및 상기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하단에 상기 휠홈에 대응되는 돌기 형상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래치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래치바는 라운드 형상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고, 이러한 래치바는 상기 래치휠을 향해 밀착되게 밀어줌과 아울러 상기 본체에 탄력 고정되도록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래치구조는 상기 본체에 대한 래치바의 회전을 일정범위 내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래치바 타단의 회전 궤적을 따라 본체 상에 라운드 형상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가이드공;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도록 래치바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과 가이드공에 관통 결합되고 가이드공에 걸린 상태로 래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볼트핀;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에 따르면, 네트로 베일의 바인딩 작업을 완료 후 커터부재로 네트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네트가 느슨해지지 않고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깔끔하게 절단 처리가 가능하므로 외관이 좋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 아니라 네트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래치구조가 구비된 베일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2a 및 도2b는 본 고안의 래치구조가 설치된 네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래치구조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치바와 래치휠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래치바와 커터부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7a는 래치바가 래치휠의 구속을 해제했을 때 네트가 바인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b는 래치바가 래치휠을 구속했을 때 네트가 눌려 당겨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a는 본 고안에 따른 네트의 바인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b는 본 고안에 따른 네트의 절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고안의 래치바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의 래치구조가 구비된 베일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래치구조(L)는 베일러(B)의 네트장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래치구조가 적용되는 베일러 및 네트장치는 공지의 것이며, 본 고안의 래치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베일러 및 네트장치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베일러(B)는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100)이 히치부(101)에 의해 트랙터(미도시)에 견인되어 이동하고, 각 구성요소의 구동력을 트랙터로부터 기어박스(102)로 전달받아 작동하게 된다.
프레임(100)은 한 쌍의 바퀴(103)에 의해 지지되고, 프레임의 내부 측벽에는 실린더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동롤러(104)나 체인,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작물을 베일로 형성하는 베일성형장치가 구비되며, 그 중앙에는 작물이 수용되어 베일이 형성되는 공간인 챔버(105)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일성형장치의 전방 소정 위치에는 챔버(105) 내로 네트(N)를 공급하여 베일을 바인딩 및 네트를 절단하기 위한 네트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네트장치는 베일성형장치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어 네트가 감긴 랩롤(106)이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대(107), 상기 거치대의 상방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챔버로 공급되는 네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08),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방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재로부터 네트를 유입하는 네트롤러(109), 상기 네트롤러에 인접 설치되어 바인딩이 끝난 네트의 끝단을 절단하는 커터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부재는 프레임 상에 설치된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베일성형장치의 구동롤러의 회전수 및 베일 외부를 바인딩하는 네트롤러의 회전수를 감지케 하여 작동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수는 미리 설정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110b는 커터부재의 칼날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고안의 래치구조가 설치된 네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따르면, 상기 네트롤러(109)의 하방에 인접 설치되는 구동롤러(104R)의 축(104a)에는 제1벨트풀리(111)가 장착되어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되고, 상기 네트롤러의 축(109a)에는 V벨트(112)에 의해 상기 제1벨트풀리와 연결되는 제2벨트풀리(113)가 장착되며, 상기 제2벨트풀리의 근접 위치에는 느슨한 상태로 있는 V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유압 또는 전자압 실린더 로드(114)에 연결 작동되는 아이들러(115)가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아이들러가 V벨트에 밀착 회전시 네트롤러가 회전됨과 아울러 네트를 챔버 쪽으로 밀어주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네트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래치구조가 적용되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네트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래치구조(L)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L)는, 본체(10); 래치휠(20) 및 래치바(30)를 포함하되, 이들 구성요소는 베일러(B)의 프레임 외측 양단에 각각 본체(10)가 고정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장자리에 다수의 체결공(11a,11b)이 형성되어 볼트나 나사를 이용하여 베일러의 프레임(100) 외측에 체결 고정되고, 그 우측 상단부(108a)에는 베일러 프레임의 가이드부재(108)가 결합된다.
상기 본체(1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휠축이 삽입 설치되도록 축공(12)이 관통 형성되고, 중앙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고정축(13)이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어 후술하는 래치바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고정축(13)의 선단부는 래치바의 일단이 삽입 고정된 상태로 체결하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나사산(13a)이 형성되거나 또는 고정핀으로 고정 가능하도록 핀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래치휠(20)은 상기 본체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중심부에 와셔(21)를 매개로 휠축(22)이 구비되고 상기 휠축의 후단이 본체의 축공(12)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구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서로 연동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즉, 래치휠은 상기 휠축(22)이 구동롤러와 V벨트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네트롤러의 축(109a)에 연결(축이음)되어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순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네트(N)는 네트롤러를 따라 챔버로 유입되어 베일 외부를 바인딩하게 된다.
또한, 래치휠(20)은 상기 휠축과의 사이에 와셔(21)가 밀착되게 삽입되어 양자 간의 조임력을 강하게 해줌과 아울러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며, 이러한 래치휠(2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톱니 형상의 휠홈(23)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래치바(30)는 상기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래치휠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래치바는 라운드 형상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고 그 일단은 본체에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일단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33)이 상기 본체의 고정축에 부시(31)를 매개로 삽입 고정됨과 아울러 토션스프링(32)에 의해 탄력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의 선단부에 볼트(35)가 체결되어 래치바의 일단이 고정축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32)은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래치바의 배면에 돌출 형성된 제1지지축(32a)에, 타단은 본체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제2지지축(32b)에 지지되어 래치바를 밀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상기 래치바(30)의 하단에는 상기 래치휠의 휠홈에 대응하도록 돌기 형상의 스토퍼(34)가 돌출 형성되고, 래치바의 타단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부재의 브래킷(110a)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공(110c)을 통해 볼트핀(43)으로 일체되게 조립되어 커터부재의 상하 작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베일 외부를 네트(N)로 바인딩하는 과정에서 구동롤러와 연동되는 네트롤러(109)가 회전 작동하면서 네트롤러의 축에 연결된 래치휠(20)이 정회전을 할 경우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는 챔버 내로 유입이 되고, 이때 상기 래치바(130)는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휠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네트 바인딩이 완료되어 급정지 시 역회전에 이르게 되어 네트가(N) 약간 풀리면서 느슨해지게 되는데, 이때, 래치바(30)의 타단이 커터부재와 함께 하향 이동하면서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바의 스토퍼(34)가 래치휠의 휠홈(23)에 맞물리도록 걸리게 되고, 또한 토션스프링(32)의 미는 힘에 의해 스토퍼가 휠홈에 밀착되면서 래치휠이 구동롤러의 회전방향(네트 바인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 네트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팽한 상태에서 절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터부재는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연결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커터 상승로드(110d)에 연결되어 상기 커터 상승로드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상향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래치바(30)의 일단이 본체의 고정축에 고정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되, 래치바의 회전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그 회전이동거리를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래치바 타단의 회전 궤적을 따라 본체 상에 라운드 형상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가이드공(41)과,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도록 래치바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공(42) 및 상기 결합공 및 가이드공에 관통 결합되고 가이드공에 걸린 상태로 래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볼트핀(43)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핀(43)이 결합공(42) 및 가이드공(41)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공의 길이만큼만 회전 이동하면서 회전각도가 제어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볼트핀(43)의 말단은 상기 커터부재의 브래킷 체결공(110c)에 체결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공(41)의 길이는 커터부재의 상하 작동 거리만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볼트핀(43)을 결합공(42)에 관통시킨 후 가이드공(41)에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편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래치바의 타단에 결합공 및 회전핀을 따로 구비할 필요 없이 상기 가이드공과 대향하는 래치바의 타단 내측에 가이드공에 삽입되는 돌기 등(미도시)을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래치구조는, 베일의 바인딩 시에는 래치바가 래치휠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 위치하고 있고, 바인딩이 완료될 시에는 래치바가 커터부재와 함께 내려오면서 래치휠의 휠홈에 걸린 상태에 위치하여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네트가 팽팽하게 당겨짐에 따라 끝단이 깔끔하게 절단될 수 있는 것이다.
10 : 본체 11a,11b : 체결공
12 : 축공 13 : 고정축
20 : 래치휠 21 : 와셔
22 : 휠축 23 : 휠홈
30 : 래치바 31 : 부시
32 : 토션스프링 32a,32b : 제1,2지지축
33 : 고정공 34 : 스토퍼
35 : 볼트 또는 핀 41 : 가이드공
42 : 결합공 43 : 볼트핀
B : 베일러 L : 래치구조
N : 네트

Claims (5)

  1. 조사료 작물의 베일 성형 후 네트 바인딩 및 절단하는 공지의 베일러용 네트장치에 있어서,
    베일러의 프레임 외측 양단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휠홈이 형성된 래치휠; 및
    상기 래치휠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하단에 상기 휠홈에 대응되는 돌기 형상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래치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바는 라운드 형상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바는 상기 래치휠을 향해 밀착되게 밀어줌과 아울러 상기 본체에 탄력 고정되도록 토션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래치바의 회전을 일정범위 내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래치바 타단의 회전 궤적을 따라 본체 상에 라운드 형상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가이드공; 상기 가이드공에 대응되도록 래치바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과 가이드공에 관통 결합되고 가이드공에 걸린 상태로 래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볼트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KR2020110011769U 2011-12-29 2011-12-29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KR200469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69U KR200469816Y1 (ko) 2011-12-29 2011-12-29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69U KR200469816Y1 (ko) 2011-12-29 2011-12-29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21U KR20130004221U (ko) 2013-07-09
KR200469816Y1 true KR200469816Y1 (ko) 2013-11-12

Family

ID=5074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769U KR200469816Y1 (ko) 2011-12-29 2011-12-29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8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679A (ko)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라이브맥 미니베일러
KR102512390B1 (ko) 2022-07-11 2023-03-22 주식회사 라이브맥 베일러 네트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345B1 (ko) * 2019-11-13 2020-07-21 주식회사 라이브맥 네트 감김량 조절장치를 구비한 베일러
CN116897707B (zh) * 2023-09-12 2023-11-17 黑龙江派尔农业科技有限公司 具有卷网切刀和刹车同步结构的打捆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9526A (en) 1987-02-02 1988-10-25 Deere & Company Machine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of crop
JPH1015092A (ja) * 1996-07-01 1998-01-20 Sanko Kk 高所作業用安全器具
KR19990036921U (ko) * 1999-03-17 1999-10-05 허대진 파렛트의짐고정용벨트구조
US6073523A (en) 1998-04-06 2000-06-13 Yugenkaisha Shinjo Seisakusho Screw-driv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9526A (en) 1987-02-02 1988-10-25 Deere & Company Machine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of crop
JPH1015092A (ja) * 1996-07-01 1998-01-20 Sanko Kk 高所作業用安全器具
US6073523A (en) 1998-04-06 2000-06-13 Yugenkaisha Shinjo Seisakusho Screw-driving apparatus
KR19990036921U (ko) * 1999-03-17 1999-10-05 허대진 파렛트의짐고정용벨트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679A (ko)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라이브맥 미니베일러
KR102512390B1 (ko) 2022-07-11 2023-03-22 주식회사 라이브맥 베일러 네트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21U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816Y1 (ko) 베일러용 네트장치에서의 래치구조
US11825773B2 (en) High capacity baler
RU2578612C2 (ru) Рулонный пресс-подборщик с боковыми направляющими для прессовального ремня
US8240117B1 (en) Pickup helper feeding roll
US3964246A (en) Rotary baler
EP2836062B1 (en) A round baler with a belt assembly
US9936646B2 (en) Light weight needle construction for delivering twine in a large square baler
US4336750A (en) Stray crop buildup expeller for rotary balers
US9883632B2 (en) Strap gripper for an agricultural baler
DE2947442C2 (ko)
US7296393B1 (en) Stuffer center crank bearing
KR101346276B1 (ko) 랩핑기 일체형 베일러
CN202697266U (zh) 青贮黄贮收获机
KR102043257B1 (ko) 베일러 픽업 구조
US20230031888A1 (en) Square baler needle lockout device
US6681688B1 (en) Round baler with self aligning knives for twine wrapper
KR200462487Y1 (ko) 농업용 호스릴
US20140326149A1 (en) Crop contacting roller driven by bale forming belts
DE1782021A1 (de) Ballenpresse
DE2319071C3 (de) Zuführeinrichtung für eine Aufsammelballenpresse
DE102004042935B4 (de) Aufnahme- und Sammelpresse
JPH0728826Y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KR20210023178A (ko) 쵸퍼형 원형 베일러
KR20150001749U (ko) 베일러용 이젝터
JPH0724995Y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