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479Y1 - 화분 보호 덮개 - Google Patents

화분 보호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479Y1
KR200469479Y1 KR2020110004227U KR20110004227U KR200469479Y1 KR 200469479 Y1 KR200469479 Y1 KR 200469479Y1 KR 2020110004227 U KR2020110004227 U KR 2020110004227U KR 20110004227 U KR20110004227 U KR 20110004227U KR 200469479 Y1 KR200469479 Y1 KR 200469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pot
cover body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067U (ko
Inventor
김성문
Original Assignee
김성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문 filed Critical 김성문
Priority to KR2020110004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7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보호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화분(100)의 상단에 씌워지되, 주개구부(52)를 제외한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복수개의 망체(51)가 형성되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하고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주덮개몸체(5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급스런 외관과 미려한 데코레이션으로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기존 화분과 달리 화분 덮개가 있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식물이 상하지 않아 선물하기에 좋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 보호 덮개{A flower pot protection cover}
본 고안은 화분 보호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스런 외관과 미려한 데코레이션으로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기존 화분과 달리 화분 덮개가 있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식물이 상하지 않아 선물하기에 좋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화분 보호 덮개는 화분의 흙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게 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 보호 덮개는 화분이 넘어지거나 또는 물을 주는 과정에서 흙이 외부로 유출되므로 식물의 성장환경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화분이 넘어지거나 뒤집어 지면 화분에 담긴 화분 흙이 쏟아진다. 이 때문에, 화분의 배치 및 전시 도중에 넘어지지 않게 주의를 해야 하며, 이들의 이동, 특히 소포나 택배 등의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한다. 즉, 화분은 운반 도중 화분 흙이 쏟아지지 않게 해야 하므로, 화분이 기울어지지 않게 운반을 하거나, 화분에 덮개를 씌워 혹시 화분이 기울어지거나 뒤집어 지는 경우에 화분 흙이 쏟아지지 않게 하는 등, 더 많은 주의와 경비가 소요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사람이나 애완동물들이 화분 흙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분 덮개가 제안되고 있는데, 식물의 줄기 부분을 제외한 화분의 최상층 부분을 천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덮고 노끈 등으로 조여줌으로써 목적을 달성하며, 화분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도 보여준다.
상술한 방식의 화분덮개는 화분 흙이 쏟아지거나 날리는 것을 방지해줄 수는 있지만, 그 도구의 제조 및 설치가 복잡하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화분 흙이 화분 내에서 움직이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게다가, 소형화분에 심겨진 연약식물 또는 로제트형 식물을 심은 화분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즉, 연약 식물이나 로제트형 식물은 화분 흙의 요동에 의해 뿌리와 줄기 등에 손상을 받기 쉬울 뿐만 아니라, 화분 흙의 요동 시에 상기 연약한 식물 또는 로제트형 식물도 함께 움직이는데, 이때 화분 덮개에 부딪혀 오히려 더 많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연약식물 또는 로제트형 식물을 위해서는, 화분의 흙이 요동하지 않거나, 요동할 경우에도 뿌리나 줄기가 손상 받지 않게 해줄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특허등록 제0218661호(출원번호 제1997-0051514호)가 등록된바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화분의 토양에 물주기 및 통기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화분상부의 흙부분을 커버하는 흙덮기부(2)와, 화분(1)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흙덮기부(2)의 둘레에 부착된 고정커버(6)와, 화분(1)의 측면상부를 압박하도록 상기 고정커버(6)의 외단에 부착된 탄성밴드(8)와, 나무줄기(20)를 삽입할 때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 흙덮기부(2)의 중앙홀(3)로부터 상기 탄성밴드(8)까지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체결부(7)를 구비하고 있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되어 있는 일실시 예에서, 상기 흙덮기부(2)는 나무줄기(20)가 관통되는 중앙홀(3)이 형성된 중앙의 원호부(4)와, 화분(1)의 토양에 물주기 및 통기가 되도록 상기 원호부(4)둘레에 형성된 망체(5)로 구성된다. 상기 원호부(4)는 상기 중앙홀(3)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의 일정폭을 갖는 다수개의 원호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원호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다수의 연결부(9)에 의해 상호연결된 구조이므로, 상기 원호사이에는 물과 공기가 유통되는 통공(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호부(4)는 상기 연결부(9)와 연결되는 부분에 종방향으로 요홈부(13)가 형성되어 있어서, 나무줄기(20)의 굵기와 식재위치에 맞추어 상기 원호부(4)의 해당부분을 잘라내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망체(5)는 물과 공기가 용이하게 유통할 수 있고 유아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는 크기의 망목인 통기공이 무수히 형성된 원호형상의 플레이트이다. 상기 원호부(4)와 망체(5)는 가요성을 갖도록 합성수지재질이고, 상기 고정커버(6)는 부직포나 천 또는 가요성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되어 있어서 화분의 상부외주면을 덮어 씌우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밴드(8)는 고무 또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재질을 상기 고정커버(6)의 원주외단에 결합시킨 구조이다. 상기 체결부(7)는 나무줄기(20)를 중앙홀(3)에 삽입시킨 후 상기 원호부(4), 망체(5), 고정커버(6) 및 탄성밴드(8)를 체결시키도록 매직테이프, 지퍼, 단추 등의 고정수단을 갖추고 있다. 상기 탄성밴드(8)는 고정커버(6)의 외단에 부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부착하는 대신 고정커버(6)내부에 고무줄 또는 용수철 등 탄성부재를 내감시킬 수 있다. 도1d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는 도1a에 도시한 일실시예의 흙덮기부(2)의 원호부(4)가 물과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부직포 등 섬유재질의 중앙커버(11)로 대치되며, 상기 중앙홀(3)의 외주부에는 중앙탄성밴드(12)가 부착되어 있다. 도1e에 도시되어 있는 또 다른 실시예는 흙덮기부(2)가 도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원호부(4)와 망체(5)의 이중구조가 아니라 전부 망체(5)로만 구성되어 있고, 중앙에 나무줄기(20)가 통과할 수 있는 중앙홀(3)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홀(3)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의한 화분보호덮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체결부(7)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화분의 나무줄기(20)가 상기 체결부(7)를 통해 중앙홀(3)에 위치하도록 화분보호덮개를 화분의 상부에 씌운 다음, 상기 체결부(7)에 형성된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흙덮기부(2)와 고정커버(6)는 화분상부를 덮게 되고 상기 고정커버(6)의 외단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밴드(8)에 의해 화분의 측면상부를 압박하게 된다. 여기서, 나무줄기(20)가 화분의 중앙에 식재되어 있어서 화분보호덮개의 중앙홀(3)과 일치된다면 도1e와 같은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나무줄기(20)의 굵기와 식재위치가 상기 중앙홀(3)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1a과 도1d에서와 같은 실시예를 사용하게 된다. 도1a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1f의 사용상태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나무줄기(20)의 굵기와 식재위치가 중앙홀(3)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원호부(4)에 형성된 요홈부(13)를 따라 해당부분을 잘라내어 나무줄기(20)의 위치를 상기 화분보호덮개의 중앙홀(3)부근의 적당한 위치로 맞출 수 있다. 또한 도1d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분보호덮개의 중앙이 부직포 등 섬유재질인 중앙커버(11)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3)의 외주부에 중앙탄성밴드(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식재의 위치와 나무줄기(20)의 다양한 굵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화분에 화분보호덮개를 설치하면 상부의 원호부(4)와 망체(5)를 통하여 통기뿐만 아니라 물이나 비료를 주는데도 지장이 없으며, 토양을 보충하거나 화분갈이를 할 경우 단지 상기 체결부(7)를 해제하고 나무줄기(20)를 중앙홀(3)에서 빼내기만 하면 용이하게 본 발명의 화분보호덮개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흙덮기부(2) 또는 고정커버(6) 등을 다양한 색채로 장식할 경우 관상용으로서의 화분의 기능을 더욱 강화시켜줄 수 있다. 또한, 유아, 애완동물 등이 화분의 토양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화분보호덮개에서 고정커버(6)와 체결부(7)를 제거시킨 흙덮기부(2)만을 사용하여 화분상부의 흙부분에 놓음으로써, 미관상 흙부분을 가리기 위한 용도나 물을 줄 때 흙탕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도 체결부(7)가 제거된 부분의 반경방향 절개부를 통해 나무줄기(20)를 중앙홀(3)에 위치시켜서 화분상부의 흙부분에 상기 흙덮기부(2)를 놓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고급스런 외관과 미려한 데코레이션으로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구조적으로 화분 보호 덮개가 취약하여 흙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안전한 배송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기술은 보호 덮개가 취약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식물이 쉽게 상하게 되어 선물하기가 적당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덮개몸체와 보조덮개몸체로 이루어진 화분 보호 덮개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제2목적은 고급스런 외관과 미려한 데코레이션으로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기존 화분과 달리 화분 덮개가 있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화분 보호 덮개로 인해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제5목적은 물을 주는 과정에서 넘칠 경우 흙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성장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제6목적은 물의 증발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제7목적은 식물이 상하지 않아 선물하기에 좋도록 한 것이며, 제8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화분 보호 덮개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화분의 상단에 씌워지되, 주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복수개의 망체가 형성되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하고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주덮개몸체가 구비된 화분 보호 덮개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덮개몸체와 보조덮개몸체로 이루어진 화분 보호 덮개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고급스런 외관과 미려한 데코레이션으로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기존 화분과 달리 화분 덮개가 있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화분 보호 덮개로 인해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본 고안은 물을 주는 과정에서 넘칠 경우 흙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성장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물의 증발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식물이 상하지 않아 선물하기에 좋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화분 보호 덮개도로,
(a)는 종래 화분 보호 덮개의 일실시 평면도이고,
(b)는 A부분 확대도이며,
(c)는 종래 화분 보호 덮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d)는 종래 화분 보호 덮개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이며,
(e)는 종래 화분 보호 덮개의 또 다른 실시예 평면도이고,
(f)는 종래 화분 보호 덮개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화분 보호 덮개의 제1실시예 분해 사시도이
고,
(b)는 도2(a)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화분 보호 덮개의 제2실시예 분해 사시도이
고,
(b)는 도3(a)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화분 보호 덮개의 제3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화분 보호 덮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적용된 화분 보호 덮개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a)(b)는 본 고안에 적용된 화분 보호 덮개의 제4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 사시도.
본 고안에 적용된 화분 보호 덮개는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화분 보호 덮개(40)는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0)의 상단에 씌워지되, 주개구부(52)를 제외한 부분에 격자무늬의 모양으로 복수개의 망체(51)가 형성되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하고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주덮개몸체(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주덮개몸체(50)와 후술하는 보조덮개몸체(70)의 외형 형상 모양은 원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주개구부(52)와 보조개구부(72)의 내측 형상 모양도 원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고안에 적용된 주개구부(52)와 보조개구부(72)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나무의 직경에 맞는 것을 끼워 사용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주덮개몸체(50)의 외주면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0)의 상단 주연부에 걸려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텐션력을 갖고 안쪽에 라운드부(55)가 형성된 이탈방지편(54)이 구비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주덮개몸체(50)의 중앙에 구비되며, 보조개구부(72)를 제외한 부분에 격자무늬의 모양으로 복수개의 망체(71)가 형성되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하고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쌍으로 형성된 보조덮개몸체(70)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주덮개몸체(50)와 보조덮개몸체(70)를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것이고, 필요에 따라 4쌍 또는 그 외의 복수개의 쌍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주개구부(52)에는 보조덮개몸체(70)를 받쳐주는 받침대(53)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상호 맞닿는 부분의 복수개의 주덮개몸체(50)에는 결합시 쉽게 분리됨이 없도록 한 결합부(60)(6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60)(65)는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61)과 철재 또는 자석과 자석 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66)와 돌기홈(67)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주덮개몸체(50)와 보조덮개몸체(70)의 외주면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게르마늄 코팅층(8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도 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덮개몸체(50)를 상호 결합시 나무의 직경이나 화분의 크기에 따라 주덮개몸체(50)를 상호 가변시켜 조립시킬 수 있도록 일측 주덮개몸체(50)에는 암조절홈(56)과 타측 주덮개몸체(50)에는 수조절홈(57)이 다양한 모양(예: 반원홈, 삼각홈, 사각홈, 다각형홈 등)으로 더 형성된다.
특히 도면상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암수조절홈(56)(57)은 레고의 암수결합홈의 형상으로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화분 보호 덮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고급스런 외관과 미려한 데코레이션으로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기존 화분과 달리 화분 덮개가 있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식물이 상하지 않아 선물하기에 좋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주덮개몸체(50)를 화분(100)의 상단에 위치시킨 후 눌러 끼우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력을 갖는 이탈방지편(54)이 화분(100)의 상단에 벌어졌다가 좁혀지면서 끼워지게 되고, 특히 끝단 라운드부(55)는 곡선부로 처리되어 착탈시 편리하고 결합시 긴밀히 밀착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분(100)의 상단에 위치한 한 쌍의 주덮개몸체(50)는 중앙에 주개구부(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한 쌍의 주덮개몸체(50)는 상호 맞닿은 부분에 결합부(60)로 이루어진 자석(61)과 자석 또는 자석(61)과 철재가 구비되어 상호 자력의 성질에 의해 쉽게 분리됨이 없이 부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결합부(60) 이외에 또 다른 결합부(65)로 한 쌍의 주덮개몸체(50)를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덮개몸체(50)가 상호 맞닿은 부분에 형성된 돌기(66)가 돌기홈(67)에 끼워지게 되면 한 쌍의 주덮개몸체(50)는 상호 긴밀히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결합부(60)(65)를 해제하는 방법은 전술한 조립 방법의 역순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된 한 쌍의 주덮개몸체(50)의 중앙 주개구부(52)에는 보조덮개몸체(70)가 조립 설치된다.
이때 주개구부(52)의 내측 바닥면에는 받침대(53)가 형성되어 보조덮개몸체(70)가 밑으로 빠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덮개몸체(70)는 보조개구부(72)의 크기를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여 나무의 직경에 맞는 것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고안에 적용된 망체(51)(71)는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하고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망체(51)(71)의 형상은 격자무늬, 마름모꼴, 삼각, 원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적용된 주덮개몸체(50)와 보조덮개몸체(70)의 외주면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게르마늄 코팅층(8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게르마늄 코팅증(80)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토양 및 식물에 영양을 주게 되면 식물의 성장을 돕게 해준다.
한편, 본 고안은 도 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주덮개몸체(50)를 상호 결합시 나무의 직경이나 화분(100)의 크기에 따라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나무의 직경이나 화분(100)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수조절홈(57)을 암조절홈(56)의 외곽에 끼워 한 쌍의 주덮개몸체(50)를 상호 벌어지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이와 반대로 나무의 직경이나 화분(100)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수조절홈(57)을 암조절홈(56)의 내측에 끼워 한 쌍의 주덮개몸체(50)를 상호 맞닿게 조립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작용 효과에 의해 본 고안은 나무의 직경이나 화분의 크기에 관계없이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 화분 보호 덮개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화분 보호 덮개 50: 주덮개몸체
60, 65: 결합부 70: 보조덮개몸체

Claims (8)

  1. 삭제
  2. 화분(100)의 상단에 씌워지되, 주개구부(52)를 제외한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복수개의 망체(51)가 형성되어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 안전한 배송이 가능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하고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주덮개몸체(50)가 구비된 화분 보호 덮개에 있어서,
    상기 주덮개몸체(50)의 외주면에는 화분(100)의 상단 주연부에 걸려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텐션력을 갖고 안쪽에 라운드부(55)가 형성된 이탈방지편(5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보호 덮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주덮개몸체(50)를 상호 결합시 나무의 직경이나 화분의 크기에 따라 주덮개몸체(50)를 상호 가변시켜 조립시킬 수 있도록 일측 주덮개몸체에는 암조절홈(56)과 타측 주덮개몸체에는 수조절홈(57)이 다양한 모양으로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화분 보호 덮개.
KR2020110004227U 2011-05-17 2011-05-17 화분 보호 덮개 KR200469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27U KR200469479Y1 (ko) 2011-05-17 2011-05-17 화분 보호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27U KR200469479Y1 (ko) 2011-05-17 2011-05-17 화분 보호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67U KR20120008067U (ko) 2012-11-27
KR200469479Y1 true KR200469479Y1 (ko) 2013-10-15

Family

ID=4751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227U KR200469479Y1 (ko) 2011-05-17 2011-05-17 화분 보호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718B1 (ko) 2020-12-30 2021-06-17 주식회사 메이크정글 화분용 덮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6274B1 (fr) * 2014-09-26 2017-04-14 Joel Faure Jardiniere favorisant la croissance des vegetaux
KR101959823B1 (ko) * 2018-10-08 2019-03-20 (주)하이탑 웨이브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흡수 및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잔디보호매트
KR101980084B1 (ko) * 2018-10-08 2019-05-20 (주)하이탑 내부와 외부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탄성을 갖도록 제조된 조립식 잔디보호매트
KR101967608B1 (ko) * 2018-10-08 2019-04-11 (주)하이탑 탄성선재를 적용한 잔디보호용 매트
CN111201918A (zh) * 2018-11-22 2020-05-29 东北师范大学 一种土壤装置及利用该装置修复退化草地土壤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657Y1 (ko) * 1990-07-19 1992-09-25 홍길선 화분 케이스
KR930000866Y1 (ko) * 1990-11-02 1993-02-27 장의용 화분용 장식판
KR100218661B1 (ko) 1997-06-05 1999-09-01 이상호 화분보호덮개
KR200263847Y1 (ko) * 2001-11-16 2002-02-09 박인호 분할식 수목 보호덮개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657Y1 (ko) * 1990-07-19 1992-09-25 홍길선 화분 케이스
KR930000866Y1 (ko) * 1990-11-02 1993-02-27 장의용 화분용 장식판
KR100218661B1 (ko) 1997-06-05 1999-09-01 이상호 화분보호덮개
KR200263847Y1 (ko) * 2001-11-16 2002-02-09 박인호 분할식 수목 보호덮개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718B1 (ko) 2020-12-30 2021-06-17 주식회사 메이크정글 화분용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067U (ko)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479Y1 (ko) 화분 보호 덮개
US20180220606A1 (en) Combination tiered modular kit assembly including hydroponic basket for growing plants in a bucket
US7406798B2 (en) Floral arranging vase cover
US9010020B1 (en) Plant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KR100218661B1 (ko) 화분보호덮개
US20090265981A1 (en) Flowerpot for Arranging Flowers and Growing Plants
USD957985S1 (en) Protective case for transporting potted plants with a pot
KR200390125Y1 (ko)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KR102142449B1 (ko) 조경용 꽃볼
US7743554B2 (en) Potted plant soil retainer
KR101515147B1 (ko) 걸이화병
US20150033621A1 (en) Flower Pot Protector for Outdoor/Indoor Planters
KR20160001970U (ko) 접이식 화분
US20030150159A1 (en) Ornamental cover for a potted plant
KR101293317B1 (ko) 조개형 화분
CN109716976B (zh) 花盆盖
KR101436460B1 (ko) 화분 겸용 야채 포장 케이스
KR20090001158U (ko) 화초지지구
KR102331272B1 (ko) 버섯 성장용기
JP2022028106A (ja) 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作成キット
JP3125736U (ja) 観賞用植物セット
JP4784799B2 (ja) 植木鉢
JPH0523535Y2 (ko)
JP3197001U (ja) 献植台
JP3068041B2 (ja) 栽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