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293Y1 - 팔베개 기구 - Google Patents

팔베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293Y1
KR200469293Y1 KR2020130005573U KR20130005573U KR200469293Y1 KR 200469293 Y1 KR200469293 Y1 KR 200469293Y1 KR 2020130005573 U KR2020130005573 U KR 2020130005573U KR 20130005573 U KR20130005573 U KR 20130005573U KR 200469293 Y1 KR200469293 Y1 KR 200469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lt
base plate
cush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2020130005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 A47G9/1063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comprising limb accommod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옆에 누운 사람에게 팔베개를 해줄 경우에 팔의 통증을 감쇄시켜 주기 위한 팔베개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팔을 끼우기 위한 터널(T)을 제공하는 통체(110); 상기 통체(110)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통체(110)를 받치는 받침부(200); 상기 통체(110)와 받침부(120)를 감싸는 쿠션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120)는; 베이스판(121); 상기 베이스판(121) 위에 놓인 상태에서 제1볼트(123) 및 이에 체결되는 제1너트(124)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21)에 접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21)에 연결되는 중간판(122)을 포함하며, 상기 통체(110)와 상기 받침부(120)는 볼트헤드가 상기 통체(110)의 중심부를 향하며 볼트스템이 상기 베이스판(121)을 향하도록 상기 통체(110) 및 중간판(122)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2볼트(130) 및 상기 제2볼트(130)에 체결되는 제2너트(131)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팔베개 기구{Pillow Apparatus}
본 고안은 팔베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팔베개 제공자의 팔의 통증을 감쇄시켜 주며, 팔베개를 받는 피제공자도 일반 베개를 사용하는 것처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팔베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들끼리는 잠자리에서 팔베개를 해주는 경우가 많다. 어느 정도 시간까지는 문제가 없지만 그 상태로 잠이 들게 되고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혈액순환의 장애로 인해 팔에 심한 통증이 오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종래 몇가지 제안이 있어 왔다. 국내 특허공개 제10-2009-0024972호는 그 예로서 이전에 제안되어 왔던 팔베개 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었던 것이다. 이는 팔베개를 해주는 자와 받는 자의 신체적 접촉을 유도하여 팔베개의 의미를 되살리고자 했지만, 팔베개를 받는 자의 머리에 압박감이 생기는 구조여서 숙면을 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00358호 또는 제20-2005-0018988호는 마찬가지로 위의 문제를 위해 안출된 것이지만, 팔베개 피제공자에게 안락함을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팔베개 제공자와 피제공자간의 신체적 접촉을 유도하여 정서적 긴밀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팔베개 제공자의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고, 팔베개 피제공자가 숙면을 취하도록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팔베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팔베개 제공자의 팔을 끼우기 위한 터널을 제공하는 통체; 상기 통체가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유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통체를 받치는 받침부; 및 상기 통체와 받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쿠션 소재로 되어 있는 쿠션체;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 위에 놓인 상태에서 제1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제1너트에 의해 가장자리가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되되,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판과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반타원 형태로 결합되는 중간판;을 포함하며, 상기 통체와 상기 받침부는: 볼트헤드가 상기 통체의 중심부를 향하며 볼트스템이 상기 베이스판을 향하도록 상기 통체 및 중간판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2볼트 및 상기 제2볼트에 체결되는 제2너트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2볼트와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중간판과 상기 베이스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베개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통체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된 베이스통과, 상기 베이스통의 외부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덧씌워지는 통체커버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통은 가장자리에 스냅단추가 설치된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된 직사각형의 판재를 둥글게 만 다음, 상기 스냅단추를 체결함으로써 통형상을 갖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쿠션체는 상기 받침부를 감싸는 받침부쿠션과, 상기 통체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통체쿠션으로 구성되되; 상기 통체쿠션과 받침부쿠션은 서로 분리가 가능하게끔 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잠자리에서 팔베개를 할 때 머리의 하중에 의해 팔이 심하게 눌림으로써 생기는 통증을 없앨 수 있는 동시에 일반 베개와 같은 쿠션작용을 함으로써 팔베개를 제공받는 당사자도 편안하게 잠을 청할 수 있는 팔베개 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통체와 받침부를 연결하기 위한 볼트가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자극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상 불편함을 없앤 팔베개 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그 자체로서 베개 기능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팔베개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팔베개 기구의 기초 골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팔베개 기구의 기초 골격과 쿠션체의 결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 도 5 내지 도 6을 인용하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팔베개 기구는 팔베개 제공자의 팔을 화살표(W) 방향으로 끼우기 위한 터널(T)을 제공하는 통체(110)와, 통체(110)가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유동되지 못하도록 통체(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받침부(120)와, 통체(110)와 받침부(120)를 감싸는 쿠션체(200)를 포함한다. 통체(110)와 받침부(120)는 팔베개 기구의 기초 골격(100)이 된다. 팔베개 기구는 이 기초 골격(100) 위에 쿠션체(200)가 덧씌워지는 구성을 갖는다.
통체(110)는 팔베개 제공자의 팔을 불편함 없이 끼울 수 있는 넓이의 터널(T)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체(11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된 직사각 형의 판재를 둥글게 휜 다음 가장자리를 접합시켜 완성시킨 베이스통(111)과, 베이스통(111)의 외부에 덧씌워지는 통체커버(112)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통(111)은 특히 '렉산'이라 불리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머리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적당한 탄성과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가장자리가 날카로우면 직접 피부에 닿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통체커버(112)로 하여금 베이스통(111)의 가장자리 및 내면을 감싸도록 하고 있다. 베이스통(1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냅단추(113)에 의해 원통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접착테이프(114)로 감쌈으로써 스냅단추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받침부(120)는 통체(110)가 지면 위에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통체(110)와 연결된다. 받침부(120)와 통체(110)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볼트가 신체를 압박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문제를 없애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안한다.
받침부(120)는 베이스판(121)과 중간판(122)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21)과 중간판(122)은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 판재이다. 중간판(122)은 베이스판(121) 위에 놓인 상태에서 제1볼트(123) 및 이에 체결되는 제1너트(124)에 의해 가장자리가 베이스판(121)에 결합된다. 중간판(122)은 직사각 판재이며, 제1볼트(123)는 중간판(122)의 가장자리 2곳(또는 4곳)에 각각 설치된다. 제1볼트(123)는 볼트헤드가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볼트헤드의 높이는 일반적인 볼트의 규격보다 작은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간판(122)은 베이스판(121)에 결합 시 양단부는 베이스판(121)에 접하고 중심부로 갈수록 베이스판(121)과의 거리가 증가되도록 대략 반타원 형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중간판(122)이 베이스판(121)에 결합되면 후술할 제2볼트(130)와 제2너트(131)가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통체(110)는 중간판(122)을 매개로 하여 베이스판(121)에 연결된다. 중간판(122)과 통체(110)는 제2볼트(130) 및 이에 체결되는 제2너트(131)에 의해 연결된다. 제2볼트(130)는 볼트헤드가 통체(110)의 중심부를 향하며 볼트스템이 베이스판(121)을 향하도록 통체(110) 및 중간판(122)을 관통하여 끼워진다. 제2볼트(130)는 도시된 바에 의하면 2개가 설치되며, 제2볼트(130)의 볼트헤드 역시 높이가 작아 납작한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볼트스템이 팔베개 제공자의 팔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통체(110)와 받침부(120)로 구성되는 기초 골격(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기초 골격(100)의 외부에는 쿠션소재로 되어 있는 쿠션체(200)가 씌워지게 된다. 쿠션체(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20)를 감싸는 받침부쿠션(220)과, 통체(110)의 외부에 끼워지는 통체쿠션(210)으로 구성된다. 통체쿠션(210)과 받침부쿠션(220)은 서로 재봉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체쿠션(210)과 받침부쿠션(220)은 세정을 위해 손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통체쿠션(210)은 통체(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00 : 기초 골격 110 : 통체
111 : 베이스통 112 : 통체커버
120 : 받침부 121 : 베이스판
122 : 중간판 123, 130 : 제1,2볼트
124, 131 : 제1,2너트 200 : 쿠션체
210 : 통체쿠션 220 : 받침부쿠션
T : 터널

Claims (4)

  1. 팔베개 제공자의 팔을 끼우기 위한 터널(T)을 제공하는 통체(110);
    상기 통체(110)가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유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통체(110)를 받치는 받침부(120); 및
    상기 통체(110)와 받침부(12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쿠션 소재로 되어 있는 쿠션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120)는:
    베이스판(121); 및
    상기 베이스판(121) 위에 놓인 상태에서 제1볼트(123) 및 이에 체결되는 제1너트(124)에 의해 가장자리가 상기 베이스판(121)에 결합되되,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판(121)과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반타원 형태로 결합되는 중간판(122);을 포함하며,
    상기 통체(110)와 상기 받침부(120)는:
    볼트헤드가 상기 통체(110)의 중심부를 향하며 볼트스템이 상기 베이스판(121)을 향하도록 상기 통체(110) 및 중간판(122)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제2볼트(130) 및 상기 제2볼트(130)에 체결되는 제2너트(131)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2볼트(130)와 상기 제2너트(131)는 상기 중간판(122)과 상기 베이스판(12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베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110)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된 베이스통(111)과, 상기 베이스통(111)의 외부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덧씌워지는 통체커버(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베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통(111)은 가장자리에 스냅단추(113)가 설치된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된 직사각형의 판재를 둥글게 만 다음, 복수 개의 상기 스냅단추(113)를 체결함으로써 통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베개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체(200)는 상기 받침부(120)를 감싸는 받침부쿠션(220)과, 상기 통체(110)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통체쿠션(210)으로 구성되되,
    상기 통체쿠션(210)과 받침부쿠션(220)은 서로 분리가 가능하게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베개 기구.
KR2020130005573U 2013-07-08 2013-07-08 팔베개 기구 KR200469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73U KR200469293Y1 (ko) 2013-07-08 2013-07-08 팔베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73U KR200469293Y1 (ko) 2013-07-08 2013-07-08 팔베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293Y1 true KR200469293Y1 (ko) 2013-10-14

Family

ID=5073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573U KR200469293Y1 (ko) 2013-07-08 2013-07-08 팔베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29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38A (ja) * 1994-09-13 1996-03-26 Eisuke Uchida 平たくなる腕貫枕
KR200267411Y1 (ko) 2001-12-14 2002-03-12 유건종 팔 베개용 보호대
JP2011244990A (ja) 2010-05-26 2011-12-08 Atsuo Higuchi 携帯型枕
KR200466100Y1 (ko) 2012-11-21 2013-04-03 김인수 팔베개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38A (ja) * 1994-09-13 1996-03-26 Eisuke Uchida 平たくなる腕貫枕
KR200267411Y1 (ko) 2001-12-14 2002-03-12 유건종 팔 베개용 보호대
JP2011244990A (ja) 2010-05-26 2011-12-08 Atsuo Higuchi 携帯型枕
KR200466100Y1 (ko) 2012-11-21 2013-04-03 김인수 팔베개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197Y1 (ko) 지압 베개
KR101649152B1 (ko) 분리형 베개
US6845534B1 (en) Support pillow
CN206342225U (zh) 一种沙发座包
JP5508588B1 (ja) 敷き寝具
CN201790376U (zh) 弹性硬板床垫
KR200469293Y1 (ko) 팔베개 기구
CN202761501U (zh) 一种改进的医用颈托
KR200440193Y1 (ko) 통풍 구멍을 구비한 쿠션
CN205457413U (zh) 一种新型脊椎记忆靠垫
JP3179351U (ja) 枕用シート
CN203302710U (zh) 一种坐垫
CN209769898U (zh) 一种可调节舒眠软管枕及床上用品
CN208463409U (zh) 组合式床垫
JP2952847B2 (ja) 健康クッション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CN216089913U (zh) 一种对颈部提供支撑的新型枕头
KR200466100Y1 (ko) 팔베개 기구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CN21830436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高低垫枕
KR200476071Y1 (ko) 접이식 매트리스
CN201822436U (zh) 带有保护耳朵用洞穴的枕头
JP2018089125A (ja) 腕用枕
CN202027214U (zh) 一种新型充气垫
CN219500782U (zh) 一种便捷式两用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