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185Y1 -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185Y1
KR200469185Y1 KR2020120007072U KR20120007072U KR200469185Y1 KR 200469185 Y1 KR200469185 Y1 KR 200469185Y1 KR 2020120007072 U KR2020120007072 U KR 2020120007072U KR 20120007072 U KR20120007072 U KR 20120007072U KR 200469185 Y1 KR200469185 Y1 KR 200469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ie
sheet
aluminum sheet
fixing fram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표
Original Assignee
(주)한성 하나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 하나론 filed Critical (주)한성 하나론
Priority to KR2020120007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을 1차적으로 감싸는 보온재시트와, 배관에 감싸진 보온재시트를 2차적으로 감싸는 알루미늄시트를 수작업이 아닌 전자동 시스템을 통해 상호 접합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대폭적으로 감축될 수 있어 경제적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는 제 1 베이스다이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의 최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의 전방을 향해 보온재시트가 공급되는 보온재시트 공급부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가 폭 방향으로 절삭가공되는 제 1 절삭수단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절삭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승, 하강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가 가압 고정되는 제 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전방에 위치되며 승, 하강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가 가압 고정되는 제 2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고 하부에 제 1 흡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보온재시트가 최전방 측으로 흡착 및 운반되는 제 1 흡착 이동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온재시트의 후단측 모서리 상에 알루미늄시트의 선단 측 모서리가 겹쳐져 놓여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시트가 공급되는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과,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및 제 2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 및 알루미늄시트의 겹쳐진 모서리 측이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 접합장치{AUTOMATIC CONNECTING DEVICE OF INSULATING MATERIAL FOR PIPE}
본 고안은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을 1차적으로 감싸는 보온재시트와, 배관에 감싸진 보온재시트를 2차적으로 감싸는 알루미늄시트를 수작업이 아닌 전자동 시스템을 통해 상호 접합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대폭적으로 감축될 수 있어 경제적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도관 등의 배관시설은 추운 겨울에 파열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배관용 보온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배관용 보온재는 관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배관시설에 시공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 절개부위가 절개된 상태로 시판되고 있다.
중앙 부위가 절개된 배관용 보온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시트 형태의 보온재를 관형으로 말아서 맞물린 부분에 열을 가하여 접합시킨 후, 접합 된 부위를 절개하고, 그것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생산한다.
이와 같은 배관용 보온재는 보통 배관에 1차적으로 감싸지는 내부용 보온재에 이 내부용 보온재 상에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2 차적으로 외부용 보온재가 추가적으로 감싸지는데 이러한 외부용 보온재는 통상 알루미늄시트가 사용된다.
알루미늄시트로 이루어진 외부용 보온재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배관의 보온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작업자는 내부용 보온재만을 사용해 배관용 보온재를 제조하는 것에 비해서 외부용 보온재를 감싸는 수작업을 한 단계 더 시행해야 하는바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증가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관을 1차적으로 감싸는 보온재시트와, 배관에 감싸진 보온재시트를 2차적으로 감싸는 알루미늄시트를 수작업이 아닌 전자동 시스템을 통해 상호 접합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대폭적으로 감축될 수 있어 경제적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제 1 베이스다이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의 최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의 전방을 향해 보온재시트가 공급되는 보온재시트 공급부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가 폭 방향으로 절삭가공되는 제 1 절삭수단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절삭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승, 하강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가 가압 고정되는 제 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전방에 위치되며 승, 하강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가 가압 고정되는 제 2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고 하부에 제 1 흡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보온재시트가 최전방 측으로 흡착 및 운반되는 제 1 흡착 이동프레임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온재시트의 후단측 모서리 상에 알루미늄시트의 선단 측 모서리가 겹쳐져 놓여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시트가 공급되는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과,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및 제 2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 및 알루미늄시트의 겹쳐진 모서리 측이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베이스다이와, 상기 제 2 베이스다이 최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베이스다이의 전방 측을 향해 알루미늄시트가 공급되는 알루미늄시트 공급부와, 상기 제 2 베이스다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시트가 폭 방향으로 절삭가공되는 제 2 절삭수단과, 상기 제 2 베이스다이 상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 베이스다이 상에서는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2 절삭수단의 전방에 위치되고 하부에 제 2 흡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보온재시트와의 접합을 위해 상기 알루미늄시트가 상기 제 2 베이스다이의 최전방 및 제 1 베이스다이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흡착 및 운반되는 제 2 흡착 이동프레임이 포함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2 베이스다이는 상기 제 2 흡착 이동프레임에 의해 운반되는 알루미늄시트가 상기 접합수단에 의해 상기 보온재시트와 접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접합수단의 후방에서 제 1 베이스다이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접합수단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에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고 이동시 상기 보온재시트와 겹쳐진 상기 알루미늄시트의 단부를 들어올려주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알루미늄시트의 단부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와,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부재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부재에 의해 가열된 알루미늄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보온재시트와 접합되도록 하는 롤러부재가 포함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의 최전방에는 상호 접합된 상기 보온재시트 및 알루미늄시트를 권취 및 가공하는 권취가공수단이 더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에 따르면 배관을 1차적으로 감싸는 보온재시트와, 배관에 감싸진 보온재시트를 2차적으로 감싸는 알루미늄시트를 수작업이 아닌 전자동 시스템을 통해 상호 접합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대폭적으로 감축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접합수단에 대한 사용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의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이 도시된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의 접합수단에 대한 사용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a 내지 도 3e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1)는 제 1 베이스다이(100)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최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전방을 향해 보온재시트(210)가 공급되는 보온재시트 공급부(200)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210)가 폭 방향으로 절삭가공되는 제 1 절삭수단(300)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절삭수단(300)의 전방에 위치되며 승, 하강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210)가 가압 고정되는 제 1 고정프레임(400)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고정프레임(400) 전방에 위치되며 승, 하강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210)가 가압 고정되는 제 2 고정프레임(500)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프레임(500)의 전방에 위치되고 하부에 제 1 흡착수단(610)이 구비되어 상기 보온재시트(210)가 최전방 측으로 흡착 및 운반되는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온재시트(210)의 후단측 모서리 상에 알루미늄시트(721)의 선단 측 모서리가 겹쳐져 놓여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시트(721)가 공급되는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700)과, 상기 제 1 고정프레임(400) 및 제 2 고정프레임(500) 사이에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210) 및 알루미늄시트(721)의 겹쳐진 모서리 측이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수단(80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1)에 대한 각각의 구성부재 및 그 연동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구성부재가 작동하기 위해 베이스다이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법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방법을 이용하는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을 밝혀둔다.
여기서 제 1 베이스다이(10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 중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700)을 제외한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온재시트(210) 및 알루미늄시트(721)가 이동되면서 가공이 진행되는 작업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면이 평평한 직사각 테이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베이스다이(100)는 본 고안의 구성부재들이 제 1 베이스다이(100)에서 폭 방향으로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바, 이동시 유동되거나 진동이 발생 되지 않도록 견고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공 처리될 보온재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최후방에는 보온재시트 공급부(200)가 설치되는데 이 보온재시트 공급부(200)는 보온재의 자동접합 작업을 위해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전방으로 보온재시트(210)가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온재시트 공급부(200)는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권취드럼 상에 보온재시트(210)가 반복적으로 권취되어 있어 작업단계에 따라서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전방 측으로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공급방법은 별도의 자동공급수단이 구비되어 보온재시트 공급부(200)로부터 보온재시트(210)가 자동으로 풀려나가면서 공급될 수도 있으며 추후에 설명될 제 1 고정프레임(400) 측까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에는 제 1 절삭수단(30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절삭수단(300)은 보온재시트(210)가 절삭가공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가압프레임(310)과 이 제 1 가압프레임(310) 내에서 이동되는 제 1 절삭날(32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 1 가압프레임(310)은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 되는데 하강시 보온재시트(210)를 폭 방향으로 가압하며 이를 통해 절삭이 이루어지는 동안 보온재시트(210)가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제 1 절삭날(320)은 제 1 베이스다이(100) 내에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선단의 날 부분이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으로 노출되는데 이동 여부에 따라서 보온재시트(210)를 폭 방향으로 절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 1 가압프레임(310)의 하부 내측에는 제 1 절삭날(320)이 이동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가압프레임(310)이 보온재시트(210)를 가압하면 제 1 절삭날(320)이 홈 내에서 이동되며 보온재시트(210)를 경사지게 절삭 가공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100)에는 제 1 고정프레임(400)이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고정프레임(400)은 하강시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에 위치된 보온재시트(210)를 가압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제 1 절삭수단(30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때 전술한 제 1 고정프레임(400)은 제 1 베이스다이(100)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고정프레임(400)이 설치된 제 1 베이스다이(100)에는 제 1 베이스다이(100)와 동일한 제 2 고정프레임(500)이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2 고정프레임(500)은 전술한 제 1 고정프레임(400)과 마찬가지로 하강시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에 위치된 보온재시트(210)를 가압해 고정도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제 2 고정프레임(500)은 전술한 제 1 고정프레임(400) 전방에 위치되며 제 1 베이스다이(10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제 2 고정프레임(500)이 설치된 제 1 베이스다이(100)에는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이 제 1 베이스다이(10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은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에 위치된 보온재시트(210)가 최전방 측으로 흡착 및 운반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에서 제 1 베이스다이(10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 하부에는 보온재시트(210)를 흡착하는 제 1 흡착수단(610)이 구비된다. 이 제 1 흡착수단(610)은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 하부에서 승, 하강 이동되는데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 측에서 하강 되어 보온재시트(210)를 흡착한 뒤 승강 되어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의 이동에 의해 보온재시트(2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 1 흡착수단(610)에는 별도의 흡착관이 연결되어 흡착력이 발휘될 수도 있고 단순히 가압 여부에 따라 흡착력이 발휘되는 합성고무 재질의 흡착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100) 일측에는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700)이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데 이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700)은 전술한 보온재시트(210)의 후단측 모서리 상에 알루미늄시트(721)의 선단 측 모서리가 겹쳐져 놓여지게 알루미늄시트(721)가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700)은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베이스다이(710)와, 제 2 베이스다이(710) 최후방에 구비되며 제 2 베이스다이(710)의 전방 측을 향해 알루미늄시트(721)가 공급되는 알루미늄시트 공급부(720)와, 제 2 베이스다이(7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알루미늄시트(721)가 폭 방향으로 절삭가공되는 제 2 절삭수단(730)과, 제 2 베이스다이(710) 상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에서는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제 2 절삭수단(730)의 전방에 위치되고 하부에 제 2 흡착수단(741)이 구비되어 보온재시트(210)와의 접합을 위해 상기 알루미늄시트(721)가 제 2 베이스다이(710)의 최전방 및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흡착 및 운반되는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이 포함된다.
여기서 전술한 제 2 베이스다이(710)는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에 의해 운반되는 알루미늄시트(721)가 접합수단(800)에 의해 보온재시트(210)와 접합 될 수 있도록 접합수단(800)의 후방에서 제 1 베이스다이(100)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 2 베이스다이(710)는 추후에 설명될 알루미늄시트 공급부(720), 제 2 절삭수단(730) 및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이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온재시트(210)가 이동되면서 가공되는 작업대의 역할을 하며 상면이 평평한 직사각 테이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2 베이스다이(710)는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7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부재들이 제 2 베이스다이(710) 상에서 폭 방향으로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바 유동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공되는 보온재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 2 베이스다이(710) 최후방에는 알루미늄시트 공급부(720)가 구비되는데 이 알루미늄시트 공급부(720)는 알루미늄시트(721)가 보온재시트(210)와 접합 될 수 있도록 제 2 베이스다이(710)의 최전방을 지나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일측 단부까지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알루미늄시트 공급부(720)는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권취드럼 상에 알루미늄시트(721)가 반복적으로 권취되어 있어 작업단계에 따라서 제 2 베이스다이(710)의 전방측과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일측 단부까지 단계적으로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급방법은 별도의 자동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알루미늄시트(721)가 알루미늄시트 공급부(720)로부터 자동으로 풀려나가면서 공급될 수도 있으며 추후에 설명될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 측까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제 2 베이스다이(710) 상에는 제 2 절삭수단(73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2 절삭수단(730)은 이동 여부에 따라 제 2 베이스다이(710) 상에 위치된 알루미늄시트(721)가 폭 방향으로 절삭 가공되게 하는 역할하는 것으로 제 2 베이스다이(710) 상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 가압프레임(731)과 이 제 2 가압프레임(731) 내에서 이동되는 제 2 절삭날(732)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 2 가압프레임(731)은 제 2 베이스다이(710)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되며 하강시 알루미늄시트(721)를 폭 방향으로 가압하여 절삭이 이루어지는 동안 알루미늄시트(721)가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제 2 절삭날(732)은 제 2 베이스다이(710) 내에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선단의 날 부분이 제 2 베이스다이(710) 상으로 노출되는데 이동 여부에 따라서 알루미늄시트(721)를 폭 방향으로 절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 2 가압프레임(731)의 하부 내측에는 제 2 절삭날(732)이 이동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제 2 가압프레임(731)이 알루미늄시트(721)를 가압하면 제 2 절삭날(732)이 홈 내에서 이동되며 알루미늄시트(721)를 절삭 가공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 2 베이스다이(710)에는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 2 베이스다이(710)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베이스다이(100) 측에서는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은 제 2 베이스다이(710) 상에 위치된 알루미늄시트(721)가 제 2 베이스다이(710)의 최전방 및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흡착 및 운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 2 베이스다이(710)를 따라 이동되는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 하부에는 알루미늄시트(721)를 흡착하는 제 2 흡착수단(741)이 구비된다. 이 제 2 흡착수단(741)은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 하부에서 승, 하강 운동 되는데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 측에서 하강 되어 알루미늄시트(721) 상에 흡착된 뒤 승강 되어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의 이동에 의해 알루미늄시트(72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 2 흡착수단(741)에는 별도의 흡착관이 연결되어 흡착력이 발휘될 수도 있고 단순히 가압 여부에 따라 흡착력이 발휘되는 합성고무 재질의 흡착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고정프레임(400) 및 제 2 고정프레임(500) 사이에는 접합수단(800)이 설치되는데 이 접합수단(800)은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210) 및 알루미늄시트(721)의 겹쳐진 모서리 측이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합수단(800)은, 제 1 베이스다이(100)에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810)과, 설치프레임(810)의 전방에 위치되고 이동시 보온재시트(210)와 겹쳐진 알루미늄시트(721)의 단부를 들어 올려주는 가이드부재(820)와, 설치프레임(810)에 설치되되 가이드부재(820)의 후방에 위치되고 가이드부재(82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알루미늄시트(721)의 단부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830)와, 설치프레임(810)에 설치되되 가열부재(830)의 후방에 위치되어 가열부재(830)에 의해 가열된 알루미늄시트(721)를 가압하여 보온재시트(210)와 접합되도록 하는 롤러부재(840)가 포함된다.
즉,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모서리가 포개어지도록 위치된 보온재시트(210)와 알루미늄시트(721)의 일측에서 접합수단(800)이 이동되면 먼저 알루미늄시트(721) 측으로 절곡 형성된 최전방의 가이드부재(820)가 알루미늄시트(721)를 상향 들어 올려준다. 이때 가이드부재(820)의 후방에서 뒤따라 이동되는 가열부재(830)가 가이드부재(82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알루미늄시트(721)의 모서리 부분을 가열해주고 뒤이어 이동되는 롤러부재(840)가 가열된 알루미늄시트(721)를 보온재시트(210) 상으로 가압함으로써 알루미늄시트(721)와 보온재시트(210)의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최전방에는 권취가공수단(900)이 구비되는데 이 권취가공수단(900)은 전술한 접합수단(800)에 의해서 상호 접합 된 상기 보온재시트(210) 및 알루미늄시트(721)를 권취 및 가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권취가공수단(900)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 권취가공장치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1)의 일측에는 본 고안의 구성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도지 않음)가 구비되어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동운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는 도 3a 및 도 3e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전체적인 작동순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보온재시트 공급부(200)로부터 보온재시트(210)가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전방측으로 공급되면 제 1 고정프레임(400)이 하강 되어 보온재시트(210)가 가압 고정된다. 그런 다음, 제 1 절삭수단(300)의 제 1 가압프레임(310)이 하강 되며 제 1 절삭날(320)이 제 1 가압프레임(310)의 하측에서 이동되면서 보온재시트(210)를 폭 방향으로 절삭한다. 이때 보온재시트(210)가 전방 측으로 공급되는 길이는 가공될 배관용 보온재의 두께를 고려한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으로부터 하강 된 제 1 흡착수단(610)에 의해 보온재시트(210)의 전방측이 흡착 고정된 다음 상승 되어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전방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보온재시트(210)의 후단측이 접합수단(800)의 이동 지점까지 이동되며 이동이 종료된 후에는 제 2 고정프레임(500)이 하강되어 보온재시트(210)가 가압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알루미늄시트 공급부(720)로부터 제 2 베이스다이(710)의 전방측으로 알루미늄시트(721)가 공급되면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으로부터 하강 된 제 2 흡착수단(741)에 의해 알루미늄시트(721)의 전방 측이 흡착 고정된 다음 상승 되어 제 2 베이스다이(710)의 최전방을 통과해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의 일측까지 이동된다. 이때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은 알루미늄시트(721)가 보온재시트(21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절삭되는 거리만큼에 이동된다. 그런 다음 제 2 고정프레임(500)이 하강 되어 알루미늄시트(721)가 고정되고 제 2 절삭수단(730)의 제 2 가압프레임(731)이 하강 되며 제 2 절삭날(732)이 제 2 가압프레임(731)의 하측에서 이동되면서 알루미늄시트(721)가 폭 방향으로 절삭된다.
다음으로, 도 3d를 참조하면,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이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일측 모서리 측까지 완전히 이동된 다음 흡착력을 제거하여 알루미늄시트(721)가 제 1 베이스다이(100) 측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알루미늄시트(721)의 길이방향은 보온재시트(210)의 폭 방향에 대응되며 보온재시트(210)의 후단측 모서리 상에 알루미늄시트(721)의 선단 측 모서리가 겹쳐지도록 놓여진 상태이다. 그런 다음 접합수단(800)이 제 1 베이스다이(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보온재시트(210)와 알루미늄시트(721)가 상호 접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e를 참조하면,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이 알루미늄시트(721)와 접합이 완료된 보온재시트(210)를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최전방측으로 이동시켜 권취가공수단(900)에 의해 가공 처리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 100 : 제 1 베이스다이
200 : 보온재시트 공급부 210 : 보온재시트
300 : 제 1 절삭수단 310 : 제 1 가압프레임
320 : 제 1 절삭날 400 : 제 1 고정프레임
500 : 제 2 고정프레임 600 : 제 1 흡착 이동프레임
610 : 제 1 흡착수단 700 :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
710 : 제 2 베이스다이 720 : 알루미늄시트 공급부
721 : 알루미늄시트 730 : 제 2 절삭수단
731 : 제 2 가압프레임 732 : 제 2 절삭날
740 : 제 2 흡착 이동프레임 741 : 제 2 흡착수단
800 : 접합수단 810 : 설치프레임
820 : 가이드부재 830 : 가열부재
840 : 롤러부재 900 : 권취가공수단

Claims (5)

  1. 제 1 베이스다이(10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최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전방을 향해 보온재시트(210)가 공급되는 보온재시트 공급부(20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210)가 폭 방향으로 절삭가공되는 제 1 절삭수단(30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절삭수단(300)의 전방에 위치되며 승, 하강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210)가 가압 고정되는 제 1 고정프레임(40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고정프레임(400) 전방에 위치되며 승, 하강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210)가 가압 고정되는 제 2 고정프레임(50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프레임(500)의 전방에 위치되고 하부에 제 1 흡착수단(610)이 구비되어 상기 보온재시트(210)가 최전방 측으로 흡착 및 운반되는 제 1 흡착 이동프레임(60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온재시트(210)의 후단측 모서리 상에 알루미늄시트(721)의 선단 측 모서리가 겹쳐져 놓여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시트(721)가 공급되는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700); 및
    상기 제 1 고정프레임(400) 및 제 2 고정프레임(500) 사이에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210) 및 알루미늄시트(721)의 겹쳐진 모서리 측이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수단(80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시트 공급수단(700)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베이스다이(710);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10) 최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10)의 전방 측을 향해 알루미늄시트(721)가 공급되는 알루미늄시트 공급부(720);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시트(721)가 폭 방향으로 절삭가공되는 제 2 절삭수단(730); 및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10) 상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 상에서는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2 절삭수단(730)의 전방에 위치되고 하부에 제 2 흡착수단(741)이 구비되어 상기 보온재시트(210)와의 접합을 위해 상기 알루미늄시트(721)가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10)의 최전방 및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흡착 및 운반되는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10)는 상기 제 2 흡착 이동프레임(740)에 의해 운반되는 알루미늄시트(721)가 상기 접합수단(800)에 의해 상기 보온재시트(210)와 접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접합수단(800)의 후방에서 제 1 베이스다이(100)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수단(800)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에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810);
    상기 설치프레임(810)의 전방에 위치되고 이동시 상기 보온재시트(210)와 겹쳐진 상기 알루미늄시트(721)의 단부를 들어올려주는 가이드부재(820);
    상기 설치프레임(810)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재(82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820)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알루미늄시트(721)의 단부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830); 및
    상기 설치프레임(810)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부재(83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부재(830)에 의해 가열된 알루미늄시트(721)를 가압하여 상기 보온재시트(210)와 접합되도록 하는 롤러부재(8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다이(100)의 최전방에는 상호 접합된 상기 보온재시트(210) 및 알루미늄시트(721)를 권취 및 가공하는 권취가공수단(9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접합장치.
KR2020120007072U 2012-08-08 2012-08-08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 접합장치 KR200469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72U KR200469185Y1 (ko) 2012-08-08 2012-08-08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72U KR200469185Y1 (ko) 2012-08-08 2012-08-08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 접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185Y1 true KR200469185Y1 (ko) 2013-09-25

Family

ID=5073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072U KR200469185Y1 (ko) 2012-08-08 2012-08-08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18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697A (ko) * 1992-02-19 1993-09-20 권성남 폴리스틸렌 시트 및 필름접착기
KR940009452B1 (ko) * 1989-03-08 1994-10-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쉬트이송장치
KR100948392B1 (ko) 2009-08-31 2010-03-19 (주)월암 배관보수용 원단연결 및 테이핑장치
KR20120038596A (ko) * 2010-10-14 2012-04-24 (주)한성 하나론 배관용 보온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452B1 (ko) * 1989-03-08 1994-10-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쉬트이송장치
KR930017697A (ko) * 1992-02-19 1993-09-20 권성남 폴리스틸렌 시트 및 필름접착기
KR100948392B1 (ko) 2009-08-31 2010-03-19 (주)월암 배관보수용 원단연결 및 테이핑장치
KR20120038596A (ko) * 2010-10-14 2012-04-24 (주)한성 하나론 배관용 보온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36541U (zh) 一种无纺布热压装置
CN104785972A (zh) 光伏电池片串焊装置及其方法
KR101554683B1 (ko) 프레스 공정을 위한 코일 연속 공급 시스템
CN102774685B (zh) 一种全自动的切膜装置
CA257000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ling the corner joint of the spacer of an insulating glass pane
CN201685073U (zh) 垫板装置
JP5424126B2 (ja) 減圧造型用フィルム成形装置及び減圧造型用フィルム成形方法
TWI555691B (zh) Membrane trac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03737168B (zh) 一种灯丝焊接机
CN105904136A (zh) 板材对接机
JP5204745B2 (ja) 裏当装置および溶接方法
KR101050502B1 (ko) 이형지와 접착 테이프 테이핑 장치 및 그 방법
JP3789908B2 (ja) シート様プラスチック材料のオーバーラップ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KR200469185Y1 (ko) 배관용 보온재의 자동 접합장치
CN105775216A (zh) 一种自动贴膜设备
KR101368931B1 (ko) 유리섬유 단열파이프의 접착단열시트 부착장치를 겸비한 사이드 절단장치
CN203621783U (zh) 一种灯丝焊接机上的钼带上料结构
KR102263007B1 (ko) 필름 부착 금속판 제조를 위한 열 라미네이션 장치
CN105292612A (zh) 一种ffc自动包铝箔装置以及自动包铝箔方法
WO2018041224A1 (zh) 型钢的自动对齐机构
CN205464736U (zh) 片头与散热管的自动焊机
CN204036586U (zh) 胶合板热压机的进出板装置
KR101311765B1 (ko)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CN204871713U (zh) 金属带绝缘层包装机
KR100878773B1 (ko) 검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