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969Y1 - Shock absorbing tank - Google Patents

Shock absorbing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969Y1
KR200468969Y1 KR2020120005964U KR20120005964U KR200468969Y1 KR 200468969 Y1 KR200468969 Y1 KR 200468969Y1 KR 2020120005964 U KR2020120005964 U KR 2020120005964U KR 20120005964 U KR20120005964 U KR 20120005964U KR 200468969 Y1 KR200468969 Y1 KR 200468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dy
shock absorbing
tank
coupling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9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용순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5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9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96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흡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충격흡수탱크의 외관을 탱크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탱크몸체(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충격흡수탱크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단펜스(14)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단펜스(14) 상에 결합돌출부(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출부(20)와 대응되는 상기 탱크몸체(10)의 하면에는 결합홈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출부(20)는 상기 상단펜스(14)에 상기 탱크몸체(10)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충격흡수탱크의 보관과 이동을 위한 적층이 보다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tank. The tank body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shock absorb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inner space 12 is formed inside the tank body 10. An upper fence 14 is formed sur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shock absorbing tank,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0 protrudes from the upper fence 14. Coupling grooves 2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s 20. The coupling protrusion 20 is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tank body 10 in the upper fence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ack for the storage and movement of the shock absorbing tank more accurately and stable.

Description

충격흡수탱크{Shock absorbing tank}Shock absorbing tank

본 고안은 충격흡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충격흡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ta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ing tank configured to be fixed in a stacked stat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충격흡수탱크는 일반적으로 도로상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상에 있는 장애물 주변을 둘러 설치하거나, 도로가 분기되는 분기 시작점에 설치하여 도로시설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과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충격흡수탱크는 다수 개를 일렬로 세워서 도로와 주변을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Shock absorbing tanks disclosed herein are generally used on the road, and installed around the obstacle on the road, or installed at the start point of the branch where the road is diverted to prevent damage to the road facilities and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and the driver To protect. For reference, the shock absorbing tank also serves to partition the road and surroundings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hem in a line.

이와 같이 사용되는 충격흡수탱크는 충격흡수 역할을 하기 위해 그 체적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즉, 충격흡수탱크가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들 충격흡수탱크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필요하게 된다. 즉, 충격흡수탱크의 보관을 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충격흡수탱크의 이동을 위해서는 적재차량에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The shock absorbing tank used in this way must be at least a certain volume in order to act as a shock absorbing. That is, the shock absorbing tank should have a certain size or more. Therefore, in order to store these shock absorption tanks, a relatively large space is required. That is, it takes up a relatively large space for the storage of the shock absorbing tank, and occupies a relatively large space for the loaded vehicle for the movement of the shock absorbing tank.

따라서, 충격흡수탱크의 보관과 이동을 위해서는 충격흡수탱크를 다수 층으로 적층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충격흡수탱크를 적층시키더라도 상하에 위치되는 것이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불의의 힘에 의해 적층된 상태가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order to store and move the shock absorbing tank, it is necessary to stack the shock absorbing tank in multiple layers. However, even when the shock absorbing tanks are stacked, the upper and lower ones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and thus, the stacked state is easily damaged by an unexpected force acting on the outsid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9267Utility Model Registration of Korea 20-0299267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흡수탱크의 적층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be able to fix the laminated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tank.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탱크몸체와, 상기 탱크몸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소정의 폭과 높이로 형성되는 상단펜스와, 상기 탱크몸체의 상면중 가장 높은 위치인 상기 상단펜스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와, 상기 탱크몸체의 하면중 상기 결합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ank body for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by forming an internal space therein, a predetermined width sur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tank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o an upper fence formed at a height, the upper fence which is the highest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tank body. It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삭제delete

상기 상단펜스에서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절단채널이 형성된다.Cutting channel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s in the upper fence.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탱크몸체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탱크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bod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body.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탱크몸체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탱크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ank body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tank body.

본 고안에 의한 충격흡수탱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shock absorbing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고안의 충격흡수탱크는 그 상면 일측에 결합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하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부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하부에 놓여지는 충격흡수탱크의 결합돌출부가 상대적으로 상부에 놓여지는 충격흡수탱크의 결합홈부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충격흡수탱크들을 서로 결합되도록 하였으므로 적층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충격흡수탱크의 보관과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shock absorb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at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refore, the shock absorbing tanks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shock absorbing tank, which are relatively placed on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stacked shock absorbing tank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storage and movement is made easi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충격흡수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배면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배면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showing a rear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showing the rear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stacked.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충격흡수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hock absorbing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충격흡수탱크의 외관을 탱크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탱크몸체(1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면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2)이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이 탱크몸체(10)의 상면으로 개방된 입구(13)는 도시되지 않은 커버에 의해 닫혀진다.As shown in Figure 1 to Figure 3, the tank body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shock absorbing tank. The tank body 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inner space 12 is opened to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herein. The inlet 13 in which the inner space 12 is op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10 is closed by a cover (not shown).

상기 탱크몸체(10)는 전체적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이나, 전면이 곡면으로 된다. 즉, 탱크몸체(10)의 횡단면을 볼 때, 선단 부분은 반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탱크몸체(10)의 형상이 반드시 도시된 것과 같을 필요는 없고, 선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tank body 10 has a generally hexahedral shape as a whole, but has a curved front surface. That is, when looking at the cross section of the tank body 10, the tip portion is made in a semicircular shape. Of course, the shape of the tank body 10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is formed narrower than the other portion.

상기 탱크몸체(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단펜스(14)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펜스(14)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탱크몸체(10)의 선단에서는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두껍게 만들어진다. 상기 상단펜스(14)의 높이와 폭은 각각의 탱크몸체(10)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될 수 있다.An upper fence 14 surrounding the top edge of the tank body 10 is formed. The upper fence 14 is formed integrally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the width of the tank body 10 is made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 Height and width of the upper fence 14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of each tank body (10).

상기 상단펜스(14)중에서 상기 탱크몸체(10)의 후단에 대응되는 부분 일측에는 절단채널(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채널(16)은 상기 상단펜스(14)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탱크몸체(10)의 상면에서 상기 상단펜스(1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외부와 연통되게 한다.A cutting channel 1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fence 14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tank body 10. The cutting channel 16 removes a portion of the upper fence 14 so that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upper fence 1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1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상기 탱크몸체(10)의 외측면을 둘러서는 표시부(18)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8)는, 예를 들면 검은색과 노란색이 소정 폭만큼 씩 교대로 위치하도록 해서 운전자들에게 충격흡수탱크에 대한 시각적 인식이 잘 되도록 한다.  The display unit 18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ank body 10 is formed. The display unit 18, for example, black and yellow are alternately positioned by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driv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shock absorbing tank.

한편, 상기 탱크몸체(10)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는 결합돌출부(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단펜스(14)에는 결합돌출부(20)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몸체(10)의 후단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결합돌출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출부(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highest position in the tank body 10, the engaging projection 20 is formed to protrude. That is, the upper fence 14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0,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 20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tank body 10. The coupling protrusion 20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결합돌출부(20)는 2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탱크몸체(10)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각각의 결합돌출부(2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면서도 긴 구간에 걸쳐 결합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결합돌출부(20)는 본 실시예에서 탱크몸체(10)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 양측에 대칭으로 탱크몸체(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Two coupling protrusions 20 are formed, and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longitudinal virtual direction of the tank body 10. This can achieve an effect similar to that coupled over a long section while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each coupling protrusion 20. The coupling protrusion 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ank body 10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tank body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결합돌출부(20)가 형성된 탱크몸체(10)의 상면에 대응되는 하면에는 결합홈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22)는 적층되는 충격흡수탱크에서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것의 결합돌출부(2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홈부(22)의 형상은 상기 결합돌출부(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결합홈부(22)도 탱크몸체(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탱크몸체(10)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형성된다.A coupling groove 22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10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20 is formed. The coupling groove 22 is a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20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mpact absorption tank to be stacked is inserted.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22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20. The coupling groove 22 is also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ank body 10 and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tank body 10.

도 4에서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충격흡수탱크의 외관을 탱크몸체(110)가 형성한다. 상기 탱크몸체(11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면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12)이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12)이 탱크몸체(110)의 상면으로 개방된 입구(113)는 도시되지 않은 커버에 의해 닫혀진다.4 to 6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tank body 1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shock absorbing tank. The tank body 1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inner space 112 opened to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herein. The inlet 113 in which the inner space 112 is op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110 is closed by a cover (not shown).

상기 탱크몸체(110)는 전체적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이나, 전면이 곡면으로 된다. 즉, 탱크몸체(110)의 횡단면을 볼 때, 선단 부분은 반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탱크몸체(110)의 형상이 반드시 도시된 것과 같을 필요는 없고, 선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tank body 110 has a generally hexahedral shape as a whole, but the front surface is curved. That is, when looking at the cross section of the tank body 110, the tip portion is made in a semicircular shape. Of course, the shape of the tank body 110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is formed narrower than the other portion.

상기 탱크몸체(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단펜스(114)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펜스(114)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탱크몸체(110)의 선단과 후단에서는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두껍게 만들어진다. 상기 상단펜스(114)의 높이와 폭은 각각의 탱크몸체(110)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될 수 있다.The upper fence 114 sur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tank body 110 is formed. The upper fence 114 is formed integrally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the width of the tank body 110 is made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s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tank body (110). Height and width of the upper fence 114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of each tank body (110).

상기 상단펜스(114)중에서 상기 탱크몸체(110)의 후단에 대응되는 부분 일측에는 절단채널(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채널(116)은 상기 상단펜스(114)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탱크몸체(110)의 상면에서 상기 상단펜스(11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외부와 연통되게 한다.A cutting channel 11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fence 114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tank body 110. The cutting channel 116 removes a portion of the upper fence 114 so that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upper fence 11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11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상기 탱크몸체(110)의 외측면을 둘러서는 표시부(118)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118)는, 예를 들면 검은색과 노란색이 소정 폭만큼 씩 교대로 위치하도록 해서 운전자들에게 충격흡수탱크에 대한 시각적 인식이 잘 되도록 한다.  The display unit 118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ank body 110 is formed. The display unit 118, for example, black and yellow are alternately positioned by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drivers can visually recognize the shock absorbing tank.

상기 탱크몸체(110)의 배면에는 상기 절단채널(116)과 연결되게 결합채널(119)이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119)에는 별도의 충격흡수탱크(도시되지 않음)의 돌출부분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A coupling channel 119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tank body 1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utting channel 116. The protruding portion of a separate shock absorbing tank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oupling channel 119.

상기 탱크몸체(110)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는 결합돌출부(1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단펜스(114)에 결합돌출부(120)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몸체(110)의 후단 양측에 해당되는 부분에 상기 결합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출부(1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At the highest position in the tank body 110,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formed to protrude.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provided on the upper fence 11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formed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both rear ends of the tank body 110.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결합돌출부(120)는 2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탱크몸체(110)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각각의 결합돌출부(12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면서도 긴 구간에 걸쳐 결합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결합돌출부(120)는 본 실시예에서 탱크몸체(110)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 양측에 대칭으로 탱크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Two coupling protrusions 120 are formed, and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tank body 110. This can achieve an effect similar to that coupled over a long length while relatively shortening the length of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20.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body 110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tank body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결합돌출부(120)가 형성된 탱크몸체(110)의 상면에 대응되는 하면에는 결합홈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122)는 적층되는 충격흡수탱크에서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것의 결합돌출부(12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홈부(122)의 형상은 상기 결합돌출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결합홈부(122)도 탱크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탱크몸체(110)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형성된다.A coupling groove 122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tank body 110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formed. The coupling groove 122 is a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20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mpact absorption tank to be stacked is inserted.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22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0. The coupling groove 122 is also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body 110 an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tank body 11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충격흡수탱크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shock absorbing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used.

본 고안의 충격흡수탱크는 일반적으로 도로의 분기점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고가도로의 입구에 도로가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차량이 고가도로의 시설물에 직접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로와 인도 또는 도로와 공사영역을 구획하는 부분에 열을 지어 설치될 수도 있다.Shock absorb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located at the junction of the road.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road diverges at the entrance of an overpass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directly collide with the facility on the overpass. It can also be installed in rows on the roads and sidewalks or on the parts that divide roads and construction areas.

상기 충격흡수탱크는 차량이 충돌했을 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도로 시설물 등에 차량이 직접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차량의 충격을 충격흡수탱크가 먼저 흡수하여 차량을 보호함과 동시에 시설물도 보호하는 것이다.The shock absorbing tank serves to prevent the vehicle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the road facility by absorbing shock while being deformed when the vehicle collides. That is, the shock absorbing tank first absorbs the shock of the vehicle to protect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protect the facility.

한편, 이와 같은 충격흡수탱크는 보관이나 운반을 위해서는 적층을 하는 것이 좋다. 즉, 하나의 충격흡수탱크가 차지하는 바닥면적이 크기 때문에, 충격흡수탱크를 몇 층으로 쌓아서 보관 또는 운반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such a shock absorbing tank is preferably laminated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That is, since one shock absorbing tank occupies a large floor area, it is better to stack or store the shock absorbing tanks in several layers.

먼저,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충격흡수탱크의 탱크몸체(10) 상면에 돌출된 결합돌출부(20)가 상부에 적층되는 충격흡수탱크의 탱크몸체(1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부(2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충격흡수탱크가 적층된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Firs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o 3 in the tank body 10 of the shock absorbing tank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20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10 of the shock absorbing tank in the lower portion is lamin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 this way, a state in which the shock absorbing tanks are stacked is shown in FIG. 7.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몸체(10)의 선단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도록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충격흡수탱크를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탱크몸체(10)의 후단쪽에서 결합돌출부(20)와 결합홈부(22)가 서로 결합되어 있어 어느 정도 충격흡수탱크가 들어올려 질 수는 있지만, 서로 분리되지는 않게 된다.In this embodiment, even if a force for lifting the shock absorbing tank in the upper portion so as to generate a gap between the tip of the tank body 10 is appli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20 and the coupling groove 22 at the rear end of the tank body 10. )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hock absorbing tank can be lifted to some extent, but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충격흡수탱크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면, 적층되는 충격흡수탱크 사이가 상기 결합돌출부(20)와 결합홈부(22)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대적인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20)와 결합홈부(22)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적층되는 충격흡수탱크들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적층될 수 있다. 즉, 상하로 적층되는 충격흡수탱크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저항성이 좋아지게 된다. 다시 말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적층 상태가 훼손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hock absorbing tanks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stacked shock absorbing tank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protrusion 20 and the coupling groove 22 so that relative flow does not occur.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protrusion 20 and the coupling groove 22 is made, the stacked shock absorbing tanks can be stacked in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shifting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hock absorbing tank stacked up and down is accurate, the resistance to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is improved. In other words,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laminated state is not easily damaged.

다음으로, 도 4에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출부(120)가 탱크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출부(120)와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충격흡수탱크의 결합홈부(122)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탱크의 선단을 들어올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상부의 충격흡수탱크가 하부의 충격흡수탱크에 대해 들어올려지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충격흡수탱크 사이의 결합력이 보다 더 강하게 되는 것이다.Nex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to Figure 6 the coupling protrusion 1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body (110). Accordingly, even when a force for lifting the tip of the shock absorbing tank is appli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engaging protrusion 120 and the engaging groove 122 of the shock absorbing tank, the upper shock absorbing tank of the upper portion is easily lowered. It will not be lifted against the shock absorbing tank. In other word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hock absorbing tank is stronger.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탱크를 다수개 적층하더라도 적층상태가 안정적으로 될 수 있고, 특히 충격흡수탱크 사이의 상대 위치가 보다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어 공간의 낭비없이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the shock absorbing tanks are stacked, the stacking state can be stabilized, and in particular,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shock absorbing tanks can be set more precisely, thereby allowing stacking without waste of space.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상기 탱크몸체(10,11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tank body 10, 110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may be in various forms.

그리고, 상기 결합돌출부(20,120)와 결합홈부(22,122)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이었으나, 십자가 형상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20 and 120 and the coupling grooves 22 and 122 may be any shape as long as the coupling protrusions 20 and 12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though it was a hexahedron shape, it may be made in various forms, such as a cross shape.

10: 탱크몸체 12: 내부공간
13: 입구 14: 상단펜스
16: 절단채널 18: 표시부
20: 결합돌출부 22: 결합홈부
110: 탱크몸체 112: 내부공간
113: 입구 114: 상단펜스
116: 절단채널 118: 표시부
119: 결합채널 120: 결합돌출부
122: 결합홈부
10: tank body 12: internal space
13: entrance 14: upper fence
16: cutting channel 18: display section
20: coupling protrusion 22: coupling groove
110: tank body 112: internal space
113: entrance 114: upper fence
116: cutting channel 118: display unit
119: coupling channel 120: coupling protrusion
122: coupling groove

Claims (5)

삭제delete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탱크몸체와,
상기 탱크몸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소정의 폭과 높이로 형성되는 상단펜스와,
상기 탱크몸체의 상면중 가장 높은 위치인 상기 상단펜스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와,
상기 탱크몸체의 하면중 상기 결합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탱크.
Tank body for absorbing the impact from the outside is formed inside the inner space,
An upper fence formed around a top edge of the tank body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o the upper fence which is the highest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Shock absorbing tank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펜스에서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절단채널이 형성되는 충격흡수탱크.
The shock absorbing tank of claim 2, wherein a cutting channel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upper fenc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탱크몸체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탱크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충격흡수탱크.
The shock absorbing tank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body on both sides of the virtual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body.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탱크몸체의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탱크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충격흡수탱크.
The shock absorbing tank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ank body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virtual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body.
KR2020120005964U 2012-07-06 2012-07-06 Shock absorbing tank KR2004689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64U KR200468969Y1 (en) 2012-07-06 2012-07-06 Shock absorbing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64U KR200468969Y1 (en) 2012-07-06 2012-07-06 Shock absorbing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969Y1 true KR200468969Y1 (en) 2013-09-11

Family

ID=5139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964U KR200468969Y1 (en) 2012-07-06 2012-07-06 Shock absorbing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969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24Y1 (en) * 2000-07-31 2001-01-15 신도산업주식회사 A impact absorption tank
KR200435121Y1 (en) * 2006-09-30 2007-01-09 (주)금성개발 Impact absorption tank
KR100888251B1 (en) * 2007-03-19 2009-03-10 신도산업 주식회사 Impact absorption chapter
KR20120015020A (en) * 2010-08-11 2012-02-21 신도산업 주식회사 Crash cush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824Y1 (en) * 2000-07-31 2001-01-15 신도산업주식회사 A impact absorption tank
KR200435121Y1 (en) * 2006-09-30 2007-01-09 (주)금성개발 Impact absorption tank
KR100888251B1 (en) * 2007-03-19 2009-03-10 신도산업 주식회사 Impact absorption chapter
KR20120015020A (en) * 2010-08-11 2012-02-21 신도산업 주식회사 Crash cush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922B2 (en) Packaging
CA2942080C (en) Protective barrier
US9061637B1 (en) Hybrid crash box for vehicle
KR101367192B1 (en) Multi-layered type container
CN110326127A (en) Battery case for automobile batteries and the chassis for electric car
ES2579128T3 (en) Device for aligning a stack of containers
EP3059124B1 (en) A load carrying bar
KR200398289Y1 (en) corner member for package box
US8985365B2 (en) Container structure
RU2012116056A (en) PALLET ON THE USE, ESPECIALLY, FOR CONTAINERS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LIQUIDS
EP3007923B1 (en) Fuel tank
KR200468969Y1 (en) Shock absorbing tank
KR101495885B1 (en) a Bumper back beam for vehicle
ES2654310T3 (en) Plastic container
KR101732066B1 (en) Hybrid arm having a structure to prevent damage of painted surface due to chipping
CN104395616B (en) internal position sensor
JP5190891B2 (en) Inner container and container with inner
JPS583894B2 (en) Monolithic box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JP2017507857A5 (en)
US11992457B2 (en) Protective containers for biopharmaceutical liquid bags
KR102135225B1 (en) The fluid barrier
KR20110139859A (en) Protective wall
KR20150082966A (en) Retaining wall block for multi-purpose
JP6333641B2 (en) Container stacking engagement structure
KR102622785B1 (en) Packing box for eg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