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596Y1 -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 - Google Patents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596Y1
KR200468596Y1 KR2020120007188U KR20120007188U KR200468596Y1 KR 200468596 Y1 KR200468596 Y1 KR 200468596Y1 KR 2020120007188 U KR2020120007188 U KR 2020120007188U KR 20120007188 U KR20120007188 U KR 20120007188U KR 200468596 Y1 KR200468596 Y1 KR 200468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dispenser
mixed
cock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미영
오경훈
Original Assignee
(주)엠플러스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플러스기획 filed Critical (주)엠플러스기획
Priority to KR2020120007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5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용기 또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면에 상기 수용공간 내에 채워져 혼합되는 음료의 정량을 계량할 수 있는 계량표식이 형성된 투명통; 상기 투명통의 하부 중 적어도 일측부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혼합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토출구와 결합되어 상기 혼합된 음료를 배출하는 디스펜서; 및 상기 투명통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음료용기 또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수용공간이 마련된 투명통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에 과다한 비용이 소모되지 않으면서 일반인이 쉽고 간편하게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VESSEL FOR PACKAGING BEVERAGE BOTTLE WITH DISPENSER}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액상의 음료가 채워지는 다양한 음료용기들 중 비교적 깨지기 쉬운 유리재질의 용기를 포장하는 한편, 다양한 음료들을 적정량 담아 혼합한 후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라 함은 과실 및 채소류 음료, 탄산음료, 두유류 음료, 발효음료, 분말류 음료, 주류 음료, 다류 음료, 무지유 고형분이 포함된 음료, 기타음료 등과 같이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을 말한다. 이러한 음료들은 대부분 액상으로 존재하고,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음료용기에 채워진 상태로 보관된다.
음료용기로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의 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캔 용기, 유리재질의 병 용기,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 종이재질의 팩 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용기에는 상부 또는 측부에 개방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개방수단을 통해 용기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음료용기는 보통 단일 음료만을 수용하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고객에게 단일 음료만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근래에는 풍미를 즐기기 위하여 고객의 기호(취향)에 따라 이들 음료, 특히 양주를 기주로 하여 고미제(苦味劑), 설탕, 향료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주와 같은 칵테일을 제조하여 마시고 있는 추세에 있다.
칵테일은 전문적인 바텐더가 일명 쉐이커(shaker)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칵테일 제조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통상의 술자리에서도 개인의 기호에 맞추어 과일쥬스, 커피, 콜라, 사이다 등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소주, 맥주, 양주 또는 데킬라 등과 혼합하여 간단하게 칵테일을 제조해 마시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현재 다수의 주점에서 소주 칵테일을 제조해 판매하고 있으며, 소주 칵테일을 특화한 프랜차이즈 주점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비전문가인 고객(음주자)이 즉석에서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0484호(등록일 : 2000. 02. 18)(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소주병의 뚜껑 내부에 액상물이 들어 있는 비닐주머니를 장착하여 간편하게 즉석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첫째, 비닐 주머니가 장착된 뚜껑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워 제작 비용이 많이 소모될 수밖에 없다. 둘째, 소주병 뚜껑 내부의 비닐 주머니를 통해서 칵테일 재료를 인입하는 특성상 다양한 종류의 칵테일을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일반인이 칵테일 제조시 혼합할 음료의 정확한 혼합량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단순히 경험칙에 의존하여 칵테일을 제조할 수밖에 없어 원하는 칵테일의 풍미를 얻을 수 없다. 넷째, 칵테일을 제조한 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용기의 하측부를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용기의 유입구, 즉 상측 개구부를 통해 제조된 칵테일을 외부로 배출해야하기 때문에 제조된 칵테일을 따라 마시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정량 배출이 어렵다.
KR 20-0180484 Y1, 2000. 02. 18.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비교적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지 않으면서 일반인도 쉽고 간편하게 음료를 정량으로 혼합하여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료용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포장체로서 사용하여 비교적 깨지기 쉬운 음료용기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에서 제조된 칵테일을 토출구를 통해 고객에게 정량적으로 계량하여 제공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음료용기 또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면에 상기 수용공간 내에 채워져 혼합되는 음료의 정량을 계량할 수 있는 계량표식이 형성된 투명통; 상기 투명통의 하부 중 적어도 일측부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혼합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토출구와 결합되어 상기 혼합된 음료를 배출하는 디스펜서; 및 상기 투명통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계량표식은 길이단위, 부피단위 및 길이단위와 부피 단위 중 어느 한 눈금의 형태로 형성되고, 혼합되는 음료의 정량에 대응하는 눈금 옆에 해당 음료가 함께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량표식은 하나의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의 정량만이 표기되어 있거나, 복수의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의 정량이 함께 표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통의 외면에는 제조하고자 하는 칵테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혼합되는 음료의 정량정보(레시피)와, 1차원 바코드 및 음료의 정량정보가 포함된 2차원 바코드(QR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펜서는 푸쉬 방식의 작동레버를 통해 유로를 개폐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서, 스크류 방식의 작동레버를 통해 유로를 개폐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서, 또는 센서를 이용한 터치 및 감지방식의 작동레버를 통해 유로를 개폐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음료용기 또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수용공간이 마련된 투명통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에 과다한 비용이 소모되지 않으면서 일반인이 쉽고 간편하게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완충성을 갖는 투명통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음료용기를 포장하는 포장체로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음료용기의 운반 또는 보관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음료용기가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면에 길이단위 또는 부피단위의 눈금을 포함하고 혼합되는 음료의 정량에 대응하는 눈금 옆에 해당 음료가 함께 표기되는 계량표식이 표기된 투명통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이라 하더라도 쉽게 음료의 정량을 계량하여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투명통의 하단에 수용공간 내에서 제조된 칵테일을 외부로 토출하는 디스펜서가 장착된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칵테일 제조 후 단순히 디스펜서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제조된 칵테일을 정량으로 외부 컵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면에 칵테일 제조에 필요한 식용재료(음료, 얼음 등)에 대한 정량정보(레시피)와 1차원 바코드가 표기된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칵테일 제조시 칵테일 제조에 필요한 식용재료에 대한 혼합 정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명통 내에 음료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투명통 내에 음료가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용기 또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수용공간(11)이 마련된 투명한 재질의 통(10)(이하, 투명통이라 함)으로 이루어진다.
투명통(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지름을 갖는 기둥형태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밑면이 다각형인 다각기둥(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물품형상, 예를 들면 허리부위가 잘록한 장구형상, 상부가 하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유리병 형상,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통(10)은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의 높이를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재질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휴대가 용이하고 완충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는 폴리에틸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l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투명통(10)은 유리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통(10)의 상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도 2에는 투명통(10)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원판형 뚜껑이 일례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뚜껑(30)의 형상과 체결방식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뚜껑(30)으로는 억지끼움방식, 스크류방식 또는 똑딱이방식 등으로 투명통(10)에 체결되는 모든 타입의 뚜껑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명통 내에 음료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통(10)은 음료용기(1)의 포장체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음료용기(1)는 투명통(10)의 수용공간(11) 내에 수용된 상태로 고객에게 제공되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음료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료용기(1), 특히 유리병 용기는 다른 재질의 용기들에 비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기 때문에 운반 또는 보관시 많은 주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용기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일례로 완충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투명통(10)을 유리병 용기의 포장용기로 사용하고, 이를 통해 유리병 용기의 운반 또는 보관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유리병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투명통 내에 음료가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투명통(10)은 기본적으로 음료의 수용 기능뿐만 아니라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 혼합용기로 기능할 수 있다. 즉, 투명통(10)의 수용공간(11) 내에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식용재료들이 정량에 맞게 채워진 후 섞어주기(mixing) 동작을 통해 상호 혼합되어 칵테일이 제조될 수 있다.
칵테일의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칵테일에 사용되는 식용재료들을 정량에 맞게 혼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통(10)의 외면에 혼합할 식용재료들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표식(12)이 표기될 수 있다.
계량표식(12)은 길이단위 또는 부피단위로 표기될 수 있으며, 단일 눈금 또는 이종의 눈금으로 표기될 수 있다. 이종의 눈금으로 표기되는 경우에는 길이단위와 부피단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용공간(11)에 채워지는 음료의 정량을 길이 또는 부피로 계량이 가능하기 때문에 칵테일 제조자가 쉽게 음료의 정량을 계량할 수 있다.
또한, 계량표식(12)의 눈금 옆에는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의 정량에 해당하는 해당 음료가 함께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카와 얼음을 혼합하는 경우, 눈금들 중 보드카의 정량에 해당하는 눈금의 옆에 "보드카"가 표기될 수 있고, 얼음의 정량에 해당하는 눈금 옆에는 "얼음"이 표기될 수 있다.
계량표식(12)에는 하나의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의 정량만 표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의 정량이 함께 표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동일 종류의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들은 동일 색상으로 표기하여 칵테일 제조자가 쉽게 제조하고자 하는 칵테일의 음료의 정량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통(10)의 하단에는 수용공간(11) 내에 혼합된 음료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3)가 형성된다. 그리고 토출구(13)에는 디스펜서(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디스펜서(20)는 수용공간(11) 내에 혼합된 음료, 즉 칵테일을 토출구(13)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기 위하여 토출구(13)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 작동레버(22) 및 토출부(23)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펜서(20)와 투명통(10)의 토출구 간의 밀폐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투명통(10)의 토출구에 삽입되는 고무링(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칵테일 제조가 완료된 후, 디스펜서(20)의 작동레버(22)를 누르면 본체(21) 내부의 유로가 개방되어 수용공간(11) 내부에서 제조된 칵테일은 토출구(13)를 경유하여 토출부(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에서는 푸쉬 방식의 작동레버(22)를 조작하여 칵테일을 토출하는 디스펜서(20)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20)의 구동방식이 상기한 푸쉬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스크류 방식의 작동레버를 통해 유로를 개폐하여 칵테일을 토출하는 디스펜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를 이용한 터치 및 감지방식의 작동레버를 통해 유로를 개폐하여 칵테일을 토출하는 디스펜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디스펜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투명통(10)의 외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칵테일 제조시 필요한 음료의 각 정량정보(레시피) 또는 1차원 바코드가 더 표기될 수 있다. 상기 정량정보에는 제조하고자 하는 다양한 종류의 칵테일에 대한 음료의 각 정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칵테일은 식용재료들의 혼합되는 양에 따라 그 맛이 달라지기 때문에 칵테일의 종류에 따라 정량화된 양으로 혼합하여야만 원하는 칵테일의 풍미를 얻을 수 있다.
일반 칵테일 제조자는 제조하고자 하는 칵테일의 종류에 따른 식용재료의 정량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투명통(10)의 외면에 음료의 각 정량정보를 표기하고, 칵테일 제조시, 상기 정량정보를 참조하여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통(10)의 외면에 표기되는 정량정보 대신에 투명통(10)의 외면에는 이러한 정량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 바코드(QR 코드)(14)가 표기될 수도 있다. 2차원 바코드(QR 코드)에는 수용공간(11) 내에서 혼합되는 음료의 각 정량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칵테일 제조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QR 코드 인식 앱이 설치되어 있음)을 이용하여 투명통(10)의 외면에 인쇄된 2차원 바코드(QR 코드)를 인식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칵테일에 필요한 식용재료, 즉 음료에 대한 혼합 정량정보를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투명통 20 : 디스펜서
30 : 뚜껑 40 : 고무링
11 : 수용공간 12 : 계량표식
13 : 토출구 14 : 바코드
21 : 본체 22 : 작동레버
23 : 토출부

Claims (5)

  1. 음료용기 또는 음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외면에 상기 수용공간 내에 채워져 혼합되는 음료의 정량을 계량할 수 있는 계량표식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음료용기의 수용 시 내면과 음료용기의 외면이 접촉되며, 완충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투명통;
    상기 투명통의 하부 중 적어도 일측부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혼합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토출구와 결합되어 상기 혼합된 음료를 배출하는 디스펜서; 및
    상기 투명통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계량표식은 길이단위, 부피단위 및 길이단위와 부피 단위 중 어느 한 눈금의 형태로 형성되고, 혼합되는 음료의 정량에 대응하는 눈금 옆에 해당 음료가 함께 표기되며,
    상기 계량표식은 하나의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의 정량만이 표기되어 있거나, 복수의 칵테일을 제조하기 위한 음료의 정량이 함께 표기되고,
    상기 투명통의 외면에는 제조하고자 하는 칵테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혼합되는 음료의 정량정보와, 1차원 바코드 및 음료의 정량정보가 포함된 2차원 바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기되며,
    상기 디스펜서는 푸쉬 방식의 작동레버를 통해 유로를 개폐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서, 또는 센서를 이용한 터치 및 감지방식의 작동레버를 통해 유로를 개폐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토출구와 상기 디스펜서 사이에는 고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20007188U 2012-08-13 2012-08-13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 KR200468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188U KR200468596Y1 (ko) 2012-08-13 2012-08-13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188U KR200468596Y1 (ko) 2012-08-13 2012-08-13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596Y1 true KR200468596Y1 (ko) 2013-08-23

Family

ID=5139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188U KR200468596Y1 (ko) 2012-08-13 2012-08-13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5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320A (ko) 2020-11-25 2022-06-02 박상용 식품포장용기의 포장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643A (ja) * 2006-03-03 2007-09-13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icタグ付きカップ状容器
KR20120003538U (ko) * 2010-11-12 2012-05-2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발효주 제조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643A (ja) * 2006-03-03 2007-09-13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icタグ付きカップ状容器
KR20120003538U (ko) * 2010-11-12 2012-05-2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발효주 제조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320A (ko) 2020-11-25 2022-06-02 박상용 식품포장용기의 포장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5328B1 (en) Method of providing a bottled liquid
US6105812A (en) Dual chamber container
US9090395B2 (en) Drinking system
US20080277310A1 (en) Segregated Container Packaging for Liquids
US8087546B2 (en) Dispens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pourable solid product
US20070039974A1 (en) Dual-usage beverage dispensing system
WO2008013819A3 (en) Beer keg and method of assembly
US8584882B2 (en) Multiple-container bundle
US20120181307A1 (en) Pour spout
US20160029846A1 (en) Beverage container cask
US20100154919A1 (en) Beverage dispenser system and method
US20160058247A1 (en) Dual Function Beverage Container and Mixing Apparatus
KR20130061060A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200468596Y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음료용기 포장겸용 용기
US20150056332A1 (en) Beverage Packaging Configuration with a Short Fill Level for Mixed Drinks
US20080087689A1 (en) Decanter And Doser For Liquids, In Particular For Wine
US10392174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internally retained dispenser bottles
US9856076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internally retained dispenser bottles
JP3164932U (ja) 米穀の充填及び詰め足し用容器及びその計量容器兼漏斗
US20160009458A1 (en) Hygienic spout for bottles
US20110290691A1 (en) Beverage packaging configuration and dispenser
KR20190001581U (ko) 테이크아웃 용기
US20240253890A1 (en) Two-way mixture container
RU53654U1 (ru) Тара для жидкости
RU54902U1 (ru) Буты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110

Effective date: 2013080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