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98Y1 -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98Y1
KR200468498Y1 KR2020130005399U KR20130005399U KR200468498Y1 KR 200468498 Y1 KR200468498 Y1 KR 200468498Y1 KR 2020130005399 U KR2020130005399 U KR 2020130005399U KR 20130005399 U KR20130005399 U KR 20130005399U KR 200468498 Y1 KR200468498 Y1 KR 200468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amount
value
unit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김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우 filed Critical 김선우
Priority to KR2020130005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01R21/13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Abstract

본 고안은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각 외부 전기 장치의 실시간 전력 사용량 및 이에 해당하는 요금을 계측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각 외부 전기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메인 전원으로부터 수용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기 장치의 콘센트에 공급되는 실시간 전력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와 누전 차단기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량 검출부; 상기 전력량 검출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량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력량값을 전달받는 전력량 계측부; 및 상기 전력량 계측부에 의하여 전달된 전력량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외부 전기 장치의 실시간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력량값과 상기 전력량값에 대한 전력 사용 요금값이 기준 전력량값 및 기준 전력 사용 요금값을 비교하여 단계별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REAL-TIM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APPARATUS}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가의 외부 전기 장치의 전체 전력 사용량 또는 각각의 전력 사용량 및 이에 해당하는 요금을 계측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가전 기기의 사용 전력이 얼마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가전 기기의 소모 전력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다면 쉽고 능동적으로 전기 에너지 절약을 실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란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 기록하는 계기를 의미한다. 상기 전력량계는 회전원판에 전력과 비례하는 회전력을 가하여 전력의 사용시간을 원판의 회전수로 적산하는 계기이다. 상기 전력량계는 직류용과 교류용이 있다. 직류용으로는 수은형과 정류자형 적산전력계, 교류용으로는 유도형 적산전력계가 쓰인다. 특히 유도형 적산전력계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싸서 많이 쓰이는데, 각 가정에 설치된 전기계량기는 바로 이 유도형이다.
가정의 전기 사용 요금의 기준은 전력량계의 계량에 의존한다. 따라서, 전력량계의 계측되는 전력이 가장 정확한 데이터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각 가전기기별 전력 소비량을 구분하여 측정하거나 모니터링 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이 높은 부하를 스스로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닌 계측장치는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3995호 '전력량계를 이용한 전력정보 표시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2866호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본 고안은 전력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각 외부 전기 장치의 실시간 전력 사용량 및 이에 해당하는 요금을 계측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각 외부 전기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는 메인 전원으로부터 수용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기 장치의 콘센트에 공급되는 실시간 전력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와 누전 차단기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량 검출부; 상기 전력량 검출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량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력량값을 전달받는 전력량 계측부; 및 상기 전력량 계측부에 의하여 전달된 전력량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외부 전기 장치의 실시간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력량값과 상기 전력량값에대한 전력 사용 요금값이 기준 전력량값 및 기준 전력 사용 요금값을 비교하여 단계별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 검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기 장치의 콘센트와 누전 차단기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검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저장,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콘센트 주소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 계측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량 계측부로부터 전달된 전력량값을 미리 설정된 요금 환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 요금값으로 재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력량값과 상기 전력 사용 요금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전력량값을 합산한 전체 전력량값과 상기 전체 전력량값에 해당되는 전체 전력 사용 요금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전력량값과 상기 전력 사용 요금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와 상기 전력량 검출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누전 차단기가 구비되고, 상기 서브 누전 차단기는 상기 콘센트에 공급되는 전력량값이 기준 전력량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콘센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는 전력 수용가의 외부 전기 장치와 누전 차단기 사이에 전력량 검출부를 설치하여, 외부 전기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고, 전력량 검출부와 연결된 연산부를 통하여 전력 사용량에 해당되는 전력 사용 요금값을 산출하여 외부 전기 장치의 전력 사용량과 전력 사용 요금값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 및 전력 사용 요금값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기준 값들과 비교하여 단계 별로 사용자에게 경보신호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전기 장치별 전력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실시간 전력 사용량 및 전력 사용 요금값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출력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출력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는 전력 수용가의 외부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1)와 누전 차단기(10a) 사이에 설치되어 콘센트(1)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크게는 전력량 검출부(10), 전력량 계측부(20) 및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하다. 세부적으로는, 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는 통신부(40), 연산부(50) 및 데이터 가공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기 장치는 전력 수용가의 주방, 침실, 거실 등에서 구동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전기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외부 전기 장치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건물 계단의 전등, 옥상의 전기, 외부의 정화조 수중 모터와 일반 배수구의 모터, 주차장 전등 및 콘센트 스위치와 센서 및 조명, 증폭기, 인터폰, 대문 등 건물의 공용 전기 장치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 검출부(10)는 메인 전원(2)으로부터 수용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기 장치의 콘센트(1)에 공급되는 실시간 전력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콘센트(1)와 누전 차단기(10a)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전력량 검출부(10)는 외부 전기 장치의 플러그를 꼽는 각종 콘센트(1)와 분전반에 구비된 누전 차단기(10a)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류검출센서(11, 12, 13, 14, 15)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검출센서(11, 12, 13, 14, 15)는 그 일측에 누전 차단기(10a)와 전력량 계측부(20)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에 콘센트(1)와 연결되어 있어, 전체 콘센트(1) 또는 각각의 콘센트(1) 별로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한다. 이러한 전류검출센서(11, 12, 13, 14, 15)는 배전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커런트 센서일 수 있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자신의 주위에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여 전력량 계측부(20)에 전달한다. 본 고안에서는 전류검출센서(11, 12, 13, 14, 15)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콘센트(1)는 보통 일반적인 전력 수용가의 벽면에 위치하는 2구형의 콘센트(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전반은 메인 전원(2)의 전력을 전력 수용가의 가전 장치 등에 공급시켜 이들을 작동시키게 되며, 누전 차단기(10a)는 메인 전원(2)과 전기 장치의 배전선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전원의 과부하 시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전력량 계측부(20)는 전력량 검출부(10)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력량 검출부(10)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력량값을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전력량 계측부(20)는 전력량 검출부(10)를 이루는 각각의 전류검출센서(11, 12, 13, 14, 15)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전류검출센서(11, 12, 13, 14, 15)로부터 검출된 전력량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전력량 계측부(20)는 전력량 검출부(10)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력량을 합하여 각각의 전력량값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전력량 계측부(20)는 전력량 계측부(20)에 의하여 검출된 전기 장치의 콘센트의 전체 전력량값 또는 각 전기 장치의 콘센트별 전력량값과 해당 콘센트(1)의 주소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부(30)에 전달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전력량 계측부(20)는 전력량 검출부(10)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력량을 신호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LCD 화면 등으로 구성되어, 전력량 계측부(20)에 의하여 검출된 전력량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전력량 계측부(20)에 의하여 검출된 전력량값과 연산부(50)에 의하여 연산된 전력 사용 요금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검출센서(11, 12, 13, 14, 15)로부터 검출된 전력량값을 합산한 전체 전력량값과 전체 전력량값에 해당되는 전체 전력 사용 요금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전력량 계측부(20)에 의하여 검출된 전력량값이 전달될 때 마다 이를 실시간으로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측정된 전력량값을 기초로 가공된 데이터를 데이터 가공부(60)로부터 전달받아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는 도 3에서와 같이 전력량값, 전력 사용 요금값 또는 가공된 데이터를 막대 그래프 또는 꺽은선 그래프와 같이 다양하게 그래픽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외부 전기 장치의 실시간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전력량 계측부(20)에 의하여 검출된 전력량값과 연산부(50)에 의하여 연산된 전력 사용 요금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값 및 기준 전력 사용 요금값을 비교하여 단계별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단계별 경보신호를 각각 다른 색상 또는 다른 음성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색상 정보는 적색, 청색, 녹색 등으로 표출될 수 있고, 상기 음성 정보는 각 단계별 마다 미리 녹음된 음성 정보로 외부 전기 장치의 실시간 전력 사용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데이터 가공부(60)에 의하여 가공된 누적 전력량값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값인 A1 및 A2 또는 A1a 및 A2a의 각각의 단계별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인하여 전체 콘센트 또는 각각의 콘센트의 전력 사용량을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데이터 가공부(60)에 의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 검출부(10), 전력량 계측부(20) 및 디스플레이부(30)는 전력 수용가의 분전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설계자의 선택에 의하여 전력량 검출부(10)만 외부 전기 장치의 콘센트(1)에 설치되고, 전력량 계측부(20)는 전력 수용가의 분전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1)와 전력량 검출부(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누전 차단기(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누전 차단기(3a)는 콘센트(1)에 공급되는 전력량값이 기준 전력량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콘센트(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력 수용가의 전체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즉, 메인 누전 차단기(3b))이외에 외부 전기 장치 별로 구비된 콘센트(1)에 연결되는 다수의 서브 누전 차단기(3a)를 구비하여, 전류검출센서로 이루어진 전력량 계측부(10')에 의하여 계측된 각각의 또는 전체 콘센트(1)에 공급되는 전력량값이 각각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량값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 콘센트(1)에 공급되는 전원만을 별도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0)는 디스플레이부(30)에 저장,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콘센트 주소와 함께 외부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40)는 TCP/IP 혹은 485통신, RS-232 통신 등의 다양한 프로토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외부 관리 서버(100)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연산부(50)는 전력량 계측부(20)와 디스플레이부(30) 사이에 연결되어, 전력량 계측부(20)로부터 전달된 전력량값을 미리 설정된 요금 환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 요금값으로 재연산한다. 상기 연산부(50)는 재연산된 전력 사용 요금값을 디스플레이부(30) 및 통신부(4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외부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가공부(60)는 연산부(50)에 연결되어, 연산부(50)로부터 전력량값과 전력 사용 요금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데이터를 가공한다. 상기 데이터 가공부(60)는 가공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0) 및 통신부(4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외부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에 따르면, 전력 수용가의 각 외부 전기 장치와 누전 차단기(10a) 사이에 전력량 검출부(10)를 설치하여, 외부 전기 장치의 전체 전력 사용량 또는 각 외부 전기 장치별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고, 전력량 검출부(10)와 연결된 연산부(50)를 통하여 전력 사용량에 해당되는 전력 사용 요금값을 산출하여 외부 전기 장치의 전체 전력 사용량 또는 각 외부 전기 장치별 전력 사용량과 전력 사용 요금값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실시간 전력 사용량 및 전력 사용 요금값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이루는 전력량 검출부(10), 전력량 계측부(20), 통신부(40), 연산부(50) 및 데이터 가공부(60)는 대략 사각형상의 보호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케이스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무기 충진재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무기 충진재는 유리섬유와 판상형 운모, 판상형 탈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용화제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유기실란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의 기계적 및 열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온 및 고온에서도 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MI)가 1~70g/10분(ASTM D 1238, 230? 측정)이고, 결정성을 갖는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용융지수가 1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부품의 성형성이 양호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반면, 용융지수가 70g/1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57.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충진재는 유리섬유와 판상형 운모, 판상형 탈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섬유는 혼련성 작업을 고려하여 평균입경이 5~15㎛, 길이가 1~16mm 범위에서의 쵸핑된 스트랜드 형태(chopped stran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경이 5㎛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하는 동안에 대부분이 깨지게 되어 강성발현 효과가 미흡해지며,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성형품인 보호 케이스의 변형이 악화되어 외관 상태가 불량해진다. 상기 유리섬유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30.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 함량이 10.0 중량부 미만일 때에는 강성발현의 효과가 미흡하며, 30.0 중량부를 초과일 때에는 휨 현상이 유발되어 외관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판상형 운모는 평균입경이 10~50㎛이고 최대입경이 100㎛인 형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최대치보다 큰 경우에는 운모입자가 육안으로 관찰되어 외관 상태가 불량하게 되며, 물성 발현이 저하된다. 상기 운모는 유리섬유에 의한 휨 현상을 적절하게 방지하기 위해 유리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800.0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모 함량이 40.0 중량부 미만일 때에는 휨방지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80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리섬유의 상대함량이 낮아지게 되어 수지 조성물이 얻고자 하는 강성발현이 불가능해지며 충격강도 또한 급격하게 감소한다.
상기 판상형 탈크는 평균입경이 3~6㎛이고 최대입경이 1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치보다 큰 경우에는 탈크입자가 육안으로 관찰되어 외관 상태가 불량하게 되며, 혼련성 및 물성 발현이 저하된다. 탈크는 상기 운모와 같이 유리섬유에 의한 휨 현상을 적절하게 방지하기 위해 유리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800.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탈크 함량이 40.0중량부 미만일 때에는 휨 방지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80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리섬유의 상대 함량이 낮아지게 되어 수지 조성물이 얻고자 하는 강성발현이 불가능해지며 충격강도 또한 급격하게 감소한다.
또한, 상기 보호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무기 충진재들의 혼련성 향상을 위한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유기실란화합물을 사용한다. 상용화제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중에서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1.0~30.0 중량부, 유기실란화합물은 0.01~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에 의해 변성한 것으로, 그 함량은 1.0~3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때에는 무기 충진재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계면 접착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어 물성 향상효과가 없으며, 30.0 중량부를 초과할 때에는 더 이상의 물성 향상효과가 없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변성시키기 위한 불포화 카르본산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디트라콘산, 소르빈산, 인 그리카산 등이 있으며, 그 유도체로는 산무수물, 에스테르, 아미드, 이미드, 금속염 등이 포함되며, 이들의 예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무수디트라콘산,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말레인산 모노 에테르/에스테르, 아크릴 아미드, 말레인산 모노 아미드, N-부틸 말레이미드, 아크릴산 나트륨, 메타크릴산 나트륨 등이 있다. 이를 통해 폴리프로필렌을 변성시키는 경우, 상기 물질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부가량은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기준으로 0.01~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01 중량부 미만일 때에는 강성 및 내열성이 열세해지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때에는 충격강도가 저하되며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변성시키는 방법에도 특별히 제한됨이 없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종래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유기실란화합물은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로서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알파-그리시드 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타-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알파-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베타-(아미노에틸)-알파-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베타-(아미노에틸)-알파-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아미노실란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실란화합물의 함량은 0.01~2.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물성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상기 보호 케이스를 이루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2축 압출기를 사용한 혼련이 바람직하며, 보편적으로 알려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가공조건을 이용하고 폴리프로필렌 융점 이상에서의 배합 또한 가능하다. 단, 유리섬유는 무기 충진재로의 충분한 형상유지를 위해, 압출기 도중에서의 측면투입이 필수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콘센트 2: 메인 전원
10: 전력량 검출부 20: 전력량 계측부
30: 디스플레이부 40: 통신부
50: 연산부 60: 데이터 가공부
100: 외부 관리 서버

Claims (6)

  1.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로서,
    메인 전원으로부터 수용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기 장치의 콘센트에 공급되는 실시간 전력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와 누전 차단기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량 검출부;
    상기 전력량 검출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량 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력량값을 전달받는 전력량 계측부; 및
    상기 전력량 계측부에 의하여 전달된 전력량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외부 전기 장치의 실시간 전력 사용 상태에 대한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력량값과 상기 전력량값에 대한 전력 사용 요금값이 기준 전력량값 및 기준 전력 사용 요금값을 비교하여 단계별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전력량 검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기 장치의 콘센트와 누전 차단기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검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저장,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콘센트 주소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량 계측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량 계측부로부터 전달된 전력량값을 미리 설정된 요금 환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 요금값으로 재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력량값과 상기 전력 사용 요금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연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산부로부터 상기 전력량값과 상기 전력 사용 요금값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전력량값을 합산한 전체 전력량값과 상기 전체 전력량값에 해당되는 전체 전력 사용 요금값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와 상기 전력량 검출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누전 차단기가 구비되고,
    상기 서브 누전 차단기는 상기 콘센트에 공급되는 전력량값이 기준 전력량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콘센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용전력량 계측장치.
KR2020130005399U 2013-07-03 2013-07-03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 KR200468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99U KR200468498Y1 (ko) 2013-07-03 2013-07-03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99U KR200468498Y1 (ko) 2013-07-03 2013-07-03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498Y1 true KR200468498Y1 (ko) 2013-08-19

Family

ID=5139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399U KR200468498Y1 (ko) 2013-07-03 2013-07-03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9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49B1 (ko) * 2016-09-09 2017-05-11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분전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WO2017171332A1 (ko) * 2016-03-28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01735B1 (ko) * 2018-11-26 2020-04-20 유경학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 및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11038350B2 (en) 2015-09-01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energy consumption by user ran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065A (ja) * 2000-07-24 2002-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機器の制御システム
KR20030017841A (ko) * 2001-08-23 2003-03-04 주식회사 젤파워 전력량계를 이용한 전력정보 표시장치
KR200318690Y1 (ko) * 2003-04-03 2003-07-02 류재준 부하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콘센트
KR20110018192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평일 절전유도를 위한 전자제품의 소비전력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065A (ja) * 2000-07-24 2002-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機器の制御システム
KR20030017841A (ko) * 2001-08-23 2003-03-04 주식회사 젤파워 전력량계를 이용한 전력정보 표시장치
KR200318690Y1 (ko) * 2003-04-03 2003-07-02 류재준 부하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콘센트
KR20110018192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평일 절전유도를 위한 전자제품의 소비전력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8350B2 (en) 2015-09-01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energy consumption by user ranking
WO2017171332A1 (ko) * 2016-03-28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31349B1 (ko) * 2016-09-09 2017-05-11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분전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101735B1 (ko) * 2018-11-26 2020-04-20 유경학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 및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498Y1 (ko) 실시간 사용 전력량 계측장치
KR101465144B1 (ko) 동파 방지용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선 제어시스템
US20120221491A1 (en) Electric power interchange system
EP2642633A1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al storage device,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discharging electrical storage device
US20060170409A1 (en) Test pulses for enabling revenue testable panel meters
US8098168B2 (en) Remote communications feedback for utility meter
JP2008261826A (ja) 電気量監視装置および電気量監視システム
US9491005B2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system
CN102803002A (zh) 用于检测在充电站中用于电动交通工具的能源供应量的装置与方法
WO2010129071A1 (en) Reduced parts count isolated ac current switching and sensing
AU2010100428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upply Fault Detection
US20170325650A1 (en) System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dishwasher and an according method
KR20130019194A (ko) 스마트 미터의 오결선을 감지하기 위한 오결선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1013067A (ja) 電気計器
KR20100048736A (ko) 오결선 감지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0008108A (ja) 電力量測定システム、電流測定装置及び電圧測定装置
TWI490503B (zh)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systems, devices and modules
CA2782141C (en) Dynamic load estimation of multiple branch circuits
CN2921839Y (zh) 一种反窃电装置
KR20200089473A (ko) 사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세대분전반
JP2017153290A (ja) 蓄電装置管理システム、蓄電装置、蓄電装置管理方法および蓄電装置管理プログラム
JP2013250094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105277796A (zh) 一种接地阻抗在线监测装置
CN109029758A (zh) 一种高压开关柜温度监测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1161009A (ja) 電力計測器の設置方法および住宅用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