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055Y1 -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 Google Patents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055Y1
KR200468055Y1 KR2020120009664U KR20120009664U KR200468055Y1 KR 200468055 Y1 KR200468055 Y1 KR 200468055Y1 KR 2020120009664 U KR2020120009664 U KR 2020120009664U KR 20120009664 U KR20120009664 U KR 20120009664U KR 200468055 Y1 KR200468055 Y1 KR 200468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olf ball
functional
present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식
Original Assignee
최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아 filed Critical 최은아
Priority to KR2020120009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2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with special receptacles for the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슬릿이 형성되는 상면은 골프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며, 내부에 골프공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되며, 측부에 절취부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된 하면을 차폐하는 케이스 덮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GOLF BALL CASE}
본 고안은,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골프공의 판매 등을 위해 사용되는 골프공 케이스(GOLF BALL CASE)는 코팅된 종이와 비닐이 혼합된 소재로 만들어진 박스(BOX) 형태의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골프공 케이스는 골프공 판매 시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골프공 포장을 위해 사용된다.
그런데,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골프공 케이스의 경우, 재질적인 특성상 내구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개봉 후에는 폐기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판촉용으로 골프공을 선물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지속적인 광고 효과를 제공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출시되고 있는 골프공 케이스는 단순히 골프공을 포장하는 데에만 그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측면이 다소 약하고, 특히 골프공 보관 용도가 아닌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다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다면 골프공 케이스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조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039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3967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354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93886호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슬릿이 형성되는 상면은 골프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며, 내부에 골프공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되며, 측부에 절취부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된 하면을 차폐하는 케이스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 및 케이스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부에는 상기 골프공 한 개가 출입될 수 있는 골프공 출입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덮개는 파이프 타입(pipe type) 또는 상면이 오목한 플랫 타입(flat type)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케이스 덮개 중 어느 일측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는 후크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의 절취부는 상기 골프공이 한 개 출입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슬릿이 형성되는 상면은 골프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되 하단의 측부에 절취부가 형성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와 함께 상기 골프공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바닥부의 상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측부는 상기 바닥부의 둘레 일부분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는 상호간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슬릿이 형성되는 상면은 골프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되 측부에 상기 골프공 한 개가 출입될 수 있는 골프공 출입개구가 형성되는 제1 케이스; 일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골프공 출입개구를 개폐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된 하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케이스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덮개는 파이프 타입(pipe type) 또는 상면이 오목한 플랫 타입(flat type)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7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도 14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100)는 제1 케이스(110), 제2 케이스(120) 및 케이스 덮개(130)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110), 제2 케이스(120) 및 케이스 덮개(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만약,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가 예컨대, 투명 재질로 제작된다면 내부가 투시될 수 있어 골프공의 유무를 확인하기에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추후에 본 실시예의 골프공 케이스(100)를 저금통이나 클립통, 압핀통 등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내부가 보이기 때문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는 내부에 골프공이 수납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제1 케이스(110)는 그 상면이 골프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제1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슬릿(111)이 형성된다.
슬릿(111)은 골프공의 표면을 마킹(marking)하고자 할 때의 기준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슬릿(111)은 본 실시예의 골프공 케이스(100)를 저금통으로 사용할 때 동전 투입구가 될 수도 있다.
제1 케이스(110)의 상면이 슬릿(111)을 제외하고 라운드지게 막힌 구조를 형성하는 반면, 제1 케이스(110)의 하면은 개방된다.
따라서 예컨대 골프공 3개는 초기 포장 시 제1 케이스(110)의 하면을 통해 제1 케이스(11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물론, 제1 케이스(110) 내에 반드시 3개의 골프공이 수납될 필요는 없으며, 제1 케이스(110)의 부피에 따라 골프공의 수납 개수가 적절하게 조율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케이스(120)는 제1 케이스(110)의 외부에 결합된다. 제2 케이스(120)의 측부에는 절취부(12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절취부(121)는 골프공 한 개보다는 훨씬 큰 사이즈를 갖는다.
케이스 덮개(130)는 제2 케이스(1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케이스(110)의 개방된 하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케이스(120)와 케이스 덮개(1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제2 케이스(120)와 케이스 덮개(130)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141)가, 다른 하나에는 후크(141)에 걸리는 후크 걸림부(14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141)는 케이스 덮개(130)에, 그리고 후크 걸림부(142)는 제2 케이스(120)에 형성되고 있으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 덮개(130)는 상면(130a)이 오목한 플랫 타입(flat type)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플랫 타입 케이스 덮개(130)는 추후 골프공 마커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케이스(110) 내로 예컨대 3개의 골프공을 수납시킨 후에, 제1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제2 케이스(120)를 덮어 하부에서 케이스 덮개(130)를 체결함으로써 도 3과 같은 골프공 포장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골프공을 사용하려면 제2 케이스(120)와 케이스 덮개(130)를 분리하고 제1 케이스(110) 내에서 골프공을 하나씩 꺼내어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100)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200) 역시,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케이스(210), 제2 케이스(120) 및 케이스 덮개(1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케이스(210)의 측부에 골프공 한 개가 출입될 수 있는 골프공 출입개구(211)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처럼 제1 케이스(210)의 측부에 골프공 출입개구(211)가 형성되는 경우, 제2 케이스(120)와 케이스 덮개(130)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제2 케이스(120)를 회전시켜 골프공 출입개구(211)를 통해 골프공을 꺼내거나 다시 수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제2 케이스(12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제2 케이스(120)에 의해 제1 케이스(210)의 골프공 출입개구(211)가 막히기 때문에 골프공이 임의로 빠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200)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7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300) 역시,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케이스(310), 제2 케이스(320) 및 케이스 덮개(3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케이스(320)에 형성되는 절취부(321)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골프공이 한 개 출입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갖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제1 케이스(310)의 측부에도 상기 제2 실시예처럼 골프공 출입개구(311)가 형성된다. 골프공 출입개구(311)는 골프공 한 개가 출입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300)에 적용되는 케이스 덮개(330)는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파이프 타입(pipe type)으로 제작된다.
이처럼 파이프 타입의 케이스 덮개(330)가 적용될 때, 케이스 덮개(330)는 제1 케이스(3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케이스(310)에는 후크(341)가, 그리고 케이스 덮개(330)에는 후크 걸림부(342)가 형성된다. 물론,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케이스(310)에 후크 걸림부(342)가 형성되고 케이스 덮개(330)에 후크(341)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의 경우에는 골프공이 빠지지 않는 상태이고 도 10의 경우에는 골프공이 빠질 수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300)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4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2개의 파트(part), 즉 제1 케이스(410)와 제2 케이스(420)로 이루어진다.
제1 케이스(410)는 슬릿(411)이 형성되는 상면은 골프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되 하단의 측부에 절취부(412)가 형성된다. 절취부(412)는 골프공을 넣거나 빼는 출입구를 이룬다.
제2 케이스(420)는 제1 케이스(4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케이스(410)와 함께 골프공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케이스(410,420)는 상호간 나사 방식으로 결합된다. 때문에, 제1 및 제2 케이스(410,420)가 임으로 분리되는 현상은 없다.
제2 케이스(420)의 바닥부(421)의 상면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때문에 골프공이 올려지기에 좋다. 그리고 제2 케이스(420)의 측부(422)는 바닥부(421)의 둘레 일부분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케이스(410,420)를 잘 돌려 회전시키면 도 13처럼 골프공이 빠질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 도 11처럼 골프공의 취출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400)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도 14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500)는 제1 케이스(510), 제2 케이스(520), 그리고 케이스 덮개(530)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510)의 상면은 골프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하면은 개방된다. 제1 케이스(510)의 상면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슬릿(5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케이스(510)의 측부에는 골프공 한 개가 출입될 수 있는 골프공 출입개구(512)가 형성된다.
제2 케이스(520)는 일단부(520a)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2 케이스(520)는 제1 케이스(510)의 외부에 결합되어 골프공 출입개구(51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케이스(520)가 제1 케이스(510)의 외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510)에는 슬라이딩 가이드(551)가 형성되고, 제2 케이스(520)에는 슬라이딩 가이드(551)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552)가 형성된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가능하다. 슬라이딩 가이드(551)는 홀(hole)의 형태를 갖는다.
슬라이딩 가이드(551)와 가이드 돌기(552)는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모두가 한 쌍으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 덮개(530)는 파이프 타입(pipe type)으로 제작된다. 파이프 타입의 케이스 덮개(530)는 제1 케이스(510)의 개방된 하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케이스(510)에는 후크(541)가, 그리고 케이스 덮개(530)에는 후크 걸림부(542)가 형성된다. 물론,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케이스(510)에 후크 걸림부(542)가 형성되고 케이스 덮개(530)에 후크(54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6처럼 제2 케이스(520)를 제1 케이스(510)에 덮어 골프공이 나오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17처럼 제2 케이스(520)를 제1 케이스(510)의 상부로 밀어 올려 골프공이 꺼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500)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도 1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600) 역시, 상기 제5 실시예처럼 제1 케이스(510), 제2 케이스(520), 그리고 케이스 덮개(6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 덮개(630)가 상면이 오목한 플랫 타입(flat type)으로 적용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5 실시예와 구조와 기능이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600)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순 박스 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식으로 골프공을 수납시킬 수 있어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그 자체적인 품격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단순한 골프공 보관 용도에서 벗어나 저금통처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골프공 케이스를 다양한 기능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판촉용이나 홍보용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110 : 제1 케이스
111 : 슬릿
120 : 제2 케이스
121 : 절취부
130 : 케이스 덮개
141 : 후크
142 : 후크 걸림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슬릿이 형성되는 상면은 골프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되 하단의 측부에 절취부가 형성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와 함께 상기 골프공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바닥부의 상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측부는 상기 바닥부의 둘레 일부분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8. 삭제
  9. 슬릿이 형성되는 상면은 골프공의 외형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면은 개방되되 측부에 상기 골프공 한 개가 출입될 수 있는 골프공 출입개구가 형성되는 제1 케이스;
    일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골프공 출입개구를 개폐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된 하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케이스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덮개는 파이프 타입(pipe type) 또는 상면이 오목한 플랫 타입(flat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KR2020120009664U 2012-10-25 2012-10-25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KR200468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664U KR200468055Y1 (ko) 2012-10-25 2012-10-25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664U KR200468055Y1 (ko) 2012-10-25 2012-10-25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055Y1 true KR200468055Y1 (ko) 2013-07-22

Family

ID=5139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664U KR200468055Y1 (ko) 2012-10-25 2012-10-25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0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418B1 (ko) * 2018-09-28 2019-04-16 (주)대동몰드 골프공 라이너 형상의 뚜껑을 구비한 골프공 용기
KR20220125946A (ko) * 2021-03-08 2022-09-15 조인기 골프공 캐리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896U (ko) * 1990-04-03 1991-11-28 이덕숙 휴대용 골프공 및 티 보관통
JPH03122072U (ko) * 1990-03-27 1991-12-12
KR200343637Y1 (ko) * 2003-11-13 2004-03-04 신안전자 주식회사 줄긋기 홈을 갖는 골프공 케이스
KR20070056983A (ko) * 2006-11-28 2007-06-04 백홍주 골프용 소도구 휴대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072U (ko) * 1990-03-27 1991-12-12
KR910017896U (ko) * 1990-04-03 1991-11-28 이덕숙 휴대용 골프공 및 티 보관통
KR200343637Y1 (ko) * 2003-11-13 2004-03-04 신안전자 주식회사 줄긋기 홈을 갖는 골프공 케이스
KR20070056983A (ko) * 2006-11-28 2007-06-04 백홍주 골프용 소도구 휴대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418B1 (ko) * 2018-09-28 2019-04-16 (주)대동몰드 골프공 라이너 형상의 뚜껑을 구비한 골프공 용기
KR20220125946A (ko) * 2021-03-08 2022-09-15 조인기 골프공 캐리어
KR102536987B1 (ko) * 2021-03-08 2023-05-26 조인기 골프공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9623T3 (es) Piezas de inserción para una caja clasificadora
US10413057B2 (en) Thread storage system
KR200468055Y1 (ko)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JP2013116091A (ja) 釣り用糸通し具および携帯用糸通しセット
US4972948A (en) Multi-module golf ball sleeve
KR200462270Y1 (ko) 핸드폰 보관 케이스
JP2007117187A (ja) カードゲーム用カードケース
JP6305785B2 (ja) 可搬型楽器ケース
KR102318026B1 (ko) 학용품 키트
KR200403935Y1 (ko) 분필 디스펜서
JP3163400U (ja) 線香ろうそく携帯容器
KR200455279Y1 (ko) 저금통
JP3156768U (ja) コイン収納部構造
KR200492438Y1 (ko) 서적 포장용 박스
CN207948654U (zh) 一种便携式鱼钩盒
KR102041467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낚시대 포장 케이스
KR101225875B1 (ko) 개별 포장 케이스
JP2019018901A (ja) カード等収納ケース
KR200426277Y1 (ko) 휴대가 용이한 동전 보관용 수첩
KR200437021Y1 (ko) 상판에 수납공간을 가진 서랍장
CN206734982U (zh) 钱币封装盒
KR200396224Y1 (ko) 필기구 꽂이함
US20150102560A1 (en) Combination Card Holder and Card Deck for Playing Cards
US20150327637A1 (en) Perforated One Piece Outer Case Packaging Wallet
KR20160085538A (ko) 분할 수납이 가능한 화장품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