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026B1 - 학용품 키트 - Google Patents

학용품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026B1
KR102318026B1 KR1020190143098A KR20190143098A KR102318026B1 KR 102318026 B1 KR102318026 B1 KR 102318026B1 KR 1020190143098 A KR1020190143098 A KR 1020190143098A KR 20190143098 A KR20190143098 A KR 20190143098A KR 102318026 B1 KR102318026 B1 KR 102318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ool supplies
kit
color
present
sch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234A (ko
Inventor
이현빈
인혜진
성호정
조예진
Original Assignee
이현빈
인혜진
성호정
조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빈, 인혜진, 성호정, 조예진 filed Critical 이현빈
Priority to KR102019014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0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학용품 키트는,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학용품이 수납되도록 상기 학용품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학용품 키트에 있어서, 상기 학용품의 일부에 제1색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은 일부에 상기 제1색 또는 제2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용품 키트{School supplies kit}
본 발명은 학용품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복수개의 문구류를 하나의 키트에 수납하여 정리할 수 있는 학용품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들이 사용하는 문구류는 학년별 또는 과목별로 요구되는 문구가 정해져있다.
그러나 학생들, 특히 저학년 학생들의 경우 정리 정돈에 익숙하지 않아 개인의 부주의 또는 사용 후 정리 정돈을 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사용한 문구류를 잃어버리기가 쉽다.
또한 문구류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함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 날카로운 문구류를 필통 또는 책가방에 넣어둔 후 무의식적으로 다른 문구류 등을 사용하기 위해 손을 넣었다가 날카로운 부분에 상처를 입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정리정돈이 용이한 학용품 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학용품 키트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하나의 하우징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하우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는,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학용품이 수납되도록 상기 학용품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학용품 키트에 있어서, 상기 학용품의 일부에 제1색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은 일부에 상기 제1색 또는 상기 제1색과 다른 제2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학용품 툴은,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학용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 및 닫힌 경우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는 학용품 키트 및 상기 학용품 키트가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학용품 키트의 부피에 대응되는 부피가 형성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는, 길이 방향의 양 측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키트 내의 수납공간의 일부에 형성되는 색깔에 대응되도록 학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저학년 학생들이 직관적으로 빠르게 수납할 수 있다.
둘째, 저학년 학생들이 학용품을 키트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자발적인 정리 정돈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하우징에 필요한 만큼의 키트를 결합하고, 결합되는 키트 수에 따라 하우징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어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에 학용품을 수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를 하우징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가 결합된 하우징의 크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10)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10)에 학용품(100)을 수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10)는,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학용품(100)이 수납되도록 상기 학용품(100)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수납공간(200)이 구비되는 학용품 키트(10)에 있어서, 상기 학용품(100)의 일부에 제1색(150)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200)은 일부에 상기 제1색(250) 또는 상기 제1색과 다른 제2색(2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학용품(100)의 일부에 제1색(150)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수납공간(200)은 상기 수납공간(200) 중 상기 학용품(100)에 구비되는 제1색(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색(2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10)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자연스레 학용품(100)을 모양에 맞추어 수납공간(200)에 수납할 수 있어 자발적인 정리정돈의 습관을 기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200)은 상기 수납공간(200) 중 학용품(100)에 구비되는 제1색(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색(250)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학생들은 이에 대해 자연스레 정리정돈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학용품(100)은 제1색(150)이 구비되는 일부 외의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공간(200)은 상기 학용품(100)의 투명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색(250) 또는 상기 제2색(250)이 구비되거나 상기 학용품(100)이 상기 수납공간(200)에 수납되어 상기 제1색(150)과 함께 기 설정된 모양을 이루는 경우, 학생들의 자발적인 정리정돈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학용품 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10)를 하우징(300)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10)가 결합된 하우징(300)의 크기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학용품 툴은,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학용품(10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00) 및 닫힌 경우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는 학용품 키트(10) 및 상기 학용품 키트(10)가 결합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학용품 키트(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학용품 키트(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으로 생각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현되는 기능이나 효과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수용공간 및 돌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학용품 키트(10)의 부피에 대응되는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학용품 키트(10)의 폭 또는 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학용품 키트(10)를 상기 하우징(300)에 결합하여 보관하거나 필요 시 꺼내어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50)는,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학용품 키트(10)를 닫았을 경우 중앙부에 형성되는 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학용품 키트(10)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학용품 키트(10)의 둘레부 외측은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공간 또한 중앙부 일부가 상기 홈의 폭 및 두께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돌출부(35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350)에 의해 상기 돌출부(350) 양측에 형성되는 오목한 부분에 상기 학용품 키트(10)의 돌출되는 부분이 결합되어 상기 학용품 키트(10)가 상기 하우징(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350)는, 길이 방향의 양 측부가 상기 하우징(30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350)는, 중앙부가 절개 또는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부피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수용공간에 일부의 학용품 키트(10)만 결합되는 경우, 결합되지 않은 수용공간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공간 및 돌출부(350)를 포함하는 하우징(300)의 결합 방식 또는 부피를 조절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될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학용품 키트
100: 학용품
150: 학용품에 구비되는 제1색
200: 수납공간
250: 수납공간에 구비되는 제1색 또는 제2색
300: 하우징
350: 돌출부

Claims (3)

  1.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학용품이 수납되도록 상기 학용품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는 학용품 키트에 있어서,
    상기 학용품의 일부에 제1색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은 일부에 상기 제1색 또는 상기 제1색과 다른 제2색이 구비되며,
    상기 학용품 키트가 결합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학용품 키트의 부피에 대응되는 부피가 형성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길이 방향의 양 측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용품 키트.
  2. 삭제
  3. 삭제
KR1020190143098A 2019-11-11 2019-11-11 학용품 키트 KR102318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098A KR102318026B1 (ko) 2019-11-11 2019-11-11 학용품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098A KR102318026B1 (ko) 2019-11-11 2019-11-11 학용품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234A KR20210057234A (ko) 2021-05-21
KR102318026B1 true KR102318026B1 (ko) 2021-10-28

Family

ID=7615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098A KR102318026B1 (ko) 2019-11-11 2019-11-11 학용품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0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841A (ja) * 2006-01-20 2007-08-02 Tombow Pencil Co Ltd 複数色カラー筆記具セット用ケース
JP2018039164A (ja) * 2016-09-06 2018-03-15 常盤紙芸株式会社 アルバム、展示具及びシート状展示物収納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841A (ja) * 2006-01-20 2007-08-02 Tombow Pencil Co Ltd 複数色カラー筆記具セット用ケース
JP2018039164A (ja) * 2016-09-06 2018-03-15 常盤紙芸株式会社 アルバム、展示具及びシート状展示物収納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234A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026B1 (ko) 학용품 키트
US20200146428A1 (en) Brush apparatus for make up
US20050173279A1 (en) Case for tool shafts
KR101193369B1 (ko) 외부 연필꽂이 필통
KR20080001711U (ko) 필기구 수납홈을 가진 책
US7597192B2 (en) File folder having cascading envelopes
TWM553270U (zh) 一種書寫工具
KR20120005280U (ko) 필기구 수납 가능한 노트
KR200468055Y1 (ko) 기능성 골프공 케이스
JP2007117187A (ja) カードゲーム用カードケース
US8763657B2 (en) Apparatus for card arrangement
KR20080001071U (ko)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JP5465961B2 (ja) 化粧料容器
JP3224722U (ja) 筆記具ケース
KR200476691Y1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끼움 장치
KR200372871Y1 (ko) 서류 보관용 클리어 화일
JP2010184720A (ja) スライド式容器
US20210129574A1 (en) Writing implement and tool storage unit with strap
KR200429410Y1 (ko) 측면 슬라이드 케이징을 구비한 다단식 필통
KR200210022Y1 (ko) 부품박스
JP3163400U (ja) 線香ろうそく携帯容器
JP2011143546A (ja) 収納用ホルダ
JP3204614U (ja) クリアファイル用インデックスシート、インデックスシートセット製品、及びこのインデックス、インデックスシートセット製品が用いられるクリアファイル
KR200328208Y1 (ko) 해설집의 분리가 용이한 문제집
KR20090114757A (ko) 삼각기둥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