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959Y1 -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959Y1
KR200467959Y1 KR2020110003537U KR20110003537U KR200467959Y1 KR 200467959 Y1 KR200467959 Y1 KR 200467959Y1 KR 2020110003537 U KR2020110003537 U KR 2020110003537U KR 20110003537 U KR20110003537 U KR 20110003537U KR 200467959 Y1 KR200467959 Y1 KR 200467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m
coupling
plow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572U (ko
Inventor
서창엽
Original Assignee
서창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엽 filed Critical 서창엽
Priority to KR2020110003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95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5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9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 A01B15/06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sha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25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ub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쟁기날이 설치되며, 견인기에 의해 견인되는 쟁기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결합홀을 구비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쟁기날이 결합되며, 원형의 제1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홀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 상기 제1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제1관통홀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중앙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관통홀을 구비하는 캠부; 및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는 캠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PLOW}
본 고안은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땅의 상태 예컨대, 건조한 땅 또는 습한 땅에 따라 쟁기날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쟁기는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우마 등의 가축이나 기계를 이용하여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어 엎어 두둑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 다. 특히, 이러한 용도를 위해 트랙터와 같은 기계에 장착되는 쟁기는 일반적으로 소정 형상의 메인 프레임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이들 다리부의 하단에 쟁기날이 고정설치되어, 트랙터가 전진하면 이와 연결된 쟁기가 견인되면서 양측방향으로 농경지의 흙을 갈아엎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쟁기는 크게 이랑쟁기와 원판쟁기로 구분되는데, 이랑쟁기의 경우 경작하는 땅의 상태에 따라 쟁기날의 각도를 다르게 설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건조한 땅에서는 쟁기날이 땅에 파고들어가기 곤란하므로, 쟁기날이 건조하고 메마른 땅을 파고들어갈 수 있도록 쟁기날의 후단부를 들어올려 쟁기날의 전단부가 땅을 향하도록 쟁기날의 높이를 올린다. 반대로, 습한 땅에서는 쟁기날이 용이하게 땅에 파고들어갈 수 있으므로, 쟁기날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땅과 수평이 되도록 쟁기날의 높이를 내린다.
도 1은 종래의 쟁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쟁기(10)는 전방의 쟁기날(14)과 후방의 쟁기날(15)이 작업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쟁기날(14,15)을 지지하는 지지대(12,13)가 프레임(11)에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한 땅을 경작하는 경우 프레임(11)의 일단부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11)의 후방이 전방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프레임의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프레임(11)을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프레임(11)의 회전으로 인해 쟁기날(14,15)의 후단부가 들어올려져 땅을 파고들어가는 작업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프레임(11)을 회전시키면 전방의 쟁기날(14)은 지면(1)과 접촉할 수 있지만, 후방의 쟁기날(15)은 지면(1)으로부터 일정 높이(H1) 떨어지게 된다. 쟁기날(15)이 지면(1)과 떨어지게 배치된다는 것은 그 쟁기날(15)로는 땅을 경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쟁기날(15)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지지대(13)를 결합시키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풀어서 지지대(13)를 직접 내려 지면(1)과 높이를 맞춘 후 다시 체결부재를 체결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쟁기날의 높이를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고, 한 사람의 힘이 부족하면 두세 사람이 함께 작업해야 하므로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땅의 상태에 따라 경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쟁기날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캠(cam)의 원리를 이용하여 쟁기날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쟁기날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쟁기날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는, 복수의 쟁기날이 설치되며, 견인기에 의해 견인되는 쟁기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결합홀을 구비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쟁기날이 결합되며, 원형의 제1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홀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 상기 제1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제1관통홀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중앙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관통하게 형성된 제3관통홀을 구비하는 캠부;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며,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캠부와 상기 캠 조정부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캠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는, 복수의 쟁기날이 설치되며, 견인기에 의해 견인되는 쟁기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제1결합홀을 구비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쟁기날이 결합되며, 원형의 제1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결합홀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 상기 제1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제1관통홀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중앙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관통하게 형성된 제3관통홀을 구비하는 캠부;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며,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캠부와 상기 캠 조정부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캠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부와 상기 제1관통홀 사이에 끼워지며, 내경측은 상기 캠부에 결합되고, 외경측은 상기 제1관통홀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 따르면, 적은 힘으로도 쟁기날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쟁기에 설치된 모든 쟁기날을 경작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 따르면, 캠부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캠부와 지지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쟁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서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 있어서 결합 플레이트와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서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100)는, 땅의 상태에 따라 쟁기날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쟁기 프레임(110)과, 결합 플레이트(120)와, 지지대(130)와, 캠부(140)와, 캠 조정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쟁기 프레임(110)은, 땅을 경작하기 위한 복수의 쟁기날(20)이 설치되며,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같은 견인기(미도시)에 의해 견인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쟁기 프레임(110)은 견인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쟁기 프레임(110)의 전방에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가 설치되어 견인기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120)는, 일단부는 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지지대(130)와 결합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결합홀(121)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제1결합홀(121)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결합홀(121)들 사이에는 후술할 캠 조정부(1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22)이 형성된다.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120)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결합 플레이트(120)들 간의 사이에 후술할 지지대(13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130)는, 쟁기날(2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단부(130a)는 결합 플레이트(120)에 결합되고, 타단부(130b)에는 쟁기날(20)이 결합된다.
지지대의 일단부(130a)에는 제1결합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홀(131)이 형성되며, 체결부재(미도시), 예컨대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제1결합홀(121)과 지지대(130)에 형성된 제2결합홀(131)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결합 플레이트(120)와 지지대(130)가 결합된다. 제2결합홀(131)도 제1결합홀(121)과 마찬가지로 한 쌍이 마련되어, 각각의 제1결합홀(121)과 연결된다.
한 쌍의 제2결합홀(131) 사이에는 원형의 제1관통홀(132)이 형성된다. 제1관통홀(132)에는 후술할 캠부(140)가 삽입된다.
상기 캠부(140)는, 제1관통홀(132)에 끼워져 제1관통홀(132)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캠부(140)는 캠부의 중앙부(143)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관통홀(141)과, 제2관통홀(14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관통하게 형성된 제3관통홀(142)을 구비한다.
이때, 캠부(140)와 제1관통홀(132)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끼워질 수도 있다. 베이링의 내경측은 캠부(140)에 결합되고 베어링의 외경측은 제1관통홀(132)에 결합되어, 캠부(14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고, 캠부(140)와 제1관통홀(132)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캠 조정부(150)는, 캠부(14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결합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삽입홀(122)을 통과하여 캠부(140)의 제2관통홀(141)에 끼워진다.
캠 조정부(150)는, 제2관통홀(141)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 플레이트(120)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51)와, 제2관통홀(141)에 끼워지는 몸체부(152)와, 몸체부(15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3관통홀(142)에 끼워져 캠부(140)와 캠 조정부(150)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153)를 구비한다. 캠 조정부(150)가 캠부(140)에 끼워져 고정된 후, 결합 플레이트(120)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151)를 이용하여 캠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쟁기날의 높이를 조정하는 동작원리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캠 조정부(150)를 캠부(140)에 끼운 후, 제2관통홀(141)이 캠부의 중심부(143) 하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지지대(130)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쟁기날(20)과 지면(1) 사이에 높이차(H2)가 발생한다. 이때, 제2결합홀(1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결합홀(121)의 상부 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 플레이트(120)와 지지대(130)를 체결하여 쟁기날(2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캠 조정부(150)를 캠부(140)에 끼운 후, 제2관통홀(141)이 캠부의 중심부(143)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지지대(13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쟁기날(20)과 지면(1)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2결합홀(1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결합홀(121)의 하부 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 플레이트(120)와 지지대(130)를 체결하여 쟁기날(2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캠 조정부(150)를 이용하여 캠부(140)를 회전시켜 쟁기날(20)을 지지하는 지지대(130)를 제1결합홀(121)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쟁기날(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는, 전방에 배치된 쟁기날과 지면과의 높이차 및 후방에 배치된 쟁기날과 지면과의 높이차가 상이하여 효과적인 경작이 곤란한 경우, 캠(cam)의 원리를 이용하여 쟁기날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쟁기날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쟁기날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쟁기에 설치된 모든 쟁기날을 경작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는, 캠부와 지지대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함으로써, 캠부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캠부와 지지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 있어서 결합 플레이트와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홀(121)이 결합 플레이트(120)에 형성되었지만,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홀(231)이 지지대(230)에 형성되는 차이점을 가진다.
결합 플레이트(220)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제1결합홀(221)이 형성된다.
지지대(230)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결합홀(231)이 형성되며, 체결부재를 결합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제1결합홀(221)과 지지대(230)에 형성된 제2결합홀(231)을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결합 플레이트(220)와 지지대(23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 조정부(150)를 이용하여 캠부(140)를 회전시켜 쟁기날(20)을 지지하는 지지대(230)를 제2결합홀(231)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쟁기날(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110: 쟁기 프레임
120: 결합 플레이트
130: 지지대
140: 캠부
150: 캠 조정부

Claims (4)

  1. 복수의 쟁기날이 설치되며, 견인기에 의해 견인되는 쟁기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결합홀을 구비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쟁기날이 결합되며, 원형의 제1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결합홀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
    상기 제1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제1관통홀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중앙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관통하게 형성된 제3관통홀을 구비하는 캠부;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며,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캠부와 상기 캠 조정부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캠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2. 복수의 쟁기날이 설치되며, 견인기에 의해 견인되는 쟁기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제1결합홀을 구비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쟁기날이 결합되며, 원형의 제1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결합홀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
    상기 제1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제1관통홀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중앙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관통하게 형성된 제3관통홀을 구비하는 캠부;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며,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2관통홀에 끼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관통홀에 끼워져 상기 캠부와 상기 캠 조정부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캠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와 상기 제1관통홀 사이에 끼워지며, 내경측은 상기 캠부에 결합되고, 외경측은 상기 제1관통홀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KR2020110003537U 2011-04-26 2011-04-26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KR200467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537U KR200467959Y1 (ko) 2011-04-26 2011-04-26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537U KR200467959Y1 (ko) 2011-04-26 2011-04-26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72U KR20120007572U (ko) 2012-11-05
KR200467959Y1 true KR200467959Y1 (ko) 2013-07-12

Family

ID=4751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537U KR200467959Y1 (ko) 2011-04-26 2011-04-26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9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94B1 (ko) * 2018-11-08 2019-11-06 주식회사 아세아텍 관리기용 미경지 제거시스템
KR102092160B1 (ko) 2019-09-16 2020-03-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폭 및 높이 가변형 트랙터용 쟁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132Y1 (ko) * 1987-06-16 1990-02-17 성준태 트랙터용 쟁기
KR200219543Y1 (ko) * 2000-11-11 2001-04-02 김종규 트랙터용 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132Y1 (ko) * 1987-06-16 1990-02-17 성준태 트랙터용 쟁기
KR200219543Y1 (ko) * 2000-11-11 2001-04-02 김종규 트랙터용 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72U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5333A1 (en) Cultivator
KR102273479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200467959Y1 (ko)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CN203968599U (zh) 深松中耕碎土联合整地机
KR102270159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1056401B1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KR20170014325A (ko)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
CN104160799A (zh) 一种深松中耕碎土联合整地机
KR200399650Y1 (ko) 로터베이터용 쟁기구조
KR20120016774A (ko) 트랙터용 쟁기의 높이 조절장치
JP5988819B2 (ja) 農作業機
KR101352158B1 (ko) 경운기용 다목적 농기구
KR102123655B1 (ko) 심토 작업용 쟁기
KR20200064311A (ko) 로터베이터용 흙 이동장치
KR20140013511A (ko) 잔고랑을 형성하는 이랑 성형기
CN110214479B (zh) 一种耕地用的中耕机
KR20200130928A (ko) 복합 경작장치
KR101398593B1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101228839B1 (ko) 착탈식 트랙터용 파종 골 형성장치
CN203289838U (zh) 左右耙深可调的牵引式偏置重耙
CN219592990U (zh) 具有升降挡位且角度可调的家用型土地平整装置
CN214676403U (zh) 多功能深松条耕机
KR102092160B1 (ko) 폭 및 높이 가변형 트랙터용 쟁기
KR200454326Y1 (ko) 트랙터용 쟁기틀 보습
KR20150116201A (ko) 트랙터용 두둑 형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