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325A -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325A
KR20170014325A KR1020150107456A KR20150107456A KR20170014325A KR 20170014325 A KR20170014325 A KR 20170014325A KR 1020150107456 A KR1020150107456 A KR 1020150107456A KR 20150107456 A KR20150107456 A KR 20150107456A KR 20170014325 A KR20170014325 A KR 20170014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agricultural
line
li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봉선
Original Assignee
황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봉선 filed Critical 황봉선
Priority to KR102015010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325A/ko
Publication of KR2017001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Abstract

본 발명은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 재배를 위해 농지에 이랑을 형성하는 경우 농지의 지표면에 간단하면서도 용이한 방법으로 고랑의 기준이 되는 줄을 그을 수 있는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는 농지에서 이동이 가능한 농기계에 결합되는 고정몸체와, 고정몸체에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날개부와, 고정몸체에 결합되어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날개부와, 제 1 및 제 2날개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농기계의 이동시 농지의 지표면과 접촉하여 농지에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형성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agricultural liner for drawing line and making method of furrow}
본 발명은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 재배를 위해 농지에 이랑을 형성하는 경우 농지의 지표면에 간단하면서도 용이한 방법으로 고랑의 기준이 되는 줄을 그을 수 있는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논이나 밭과 같은 농지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농작물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모종을 심는다. 이를 위해 농지에 골(고랑)과 두둑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랑 형성작업을 통하여 농작물을 용이하게 성장시킬 수 있고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랑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농업용 다목적 관리기(1)와 같은 농기계를 이용하여 지면의 땅을 일정 깊이 파헤치면서 도 2와 같이 반듯한 고랑(11)을 형성한다. 고랑(1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파여진 흙은 고랑(11)의 양측으로 쌓이면서 일정 높이로 두둑(15)이 형성되면서 이랑(10)이 만들어진다.
고랑(11)과 두둑(15)은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야만 농작물의 관리가 용이하다. 고랑(11)을 반듯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랑(11)의 기준이 되는 줄을 농지의 지표면에 긋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통적으로 농지의 양쪽 끝에 막대기(17)(18)를 각각 박아서 세운 후 양 막대기(17)(18) 사이를 끈(19)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끈(19)을 따라 작업자가 일직선으로 땅을 밟거나 도구를 이용하여 끈(19)의 방향과 일치되는 줄을 땅에 긋는다. 이와 같이 줄을 그은 후 막대기(17)(18)를 뽑은 다음 다목적 관리기를 줄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다목적 관리기에는 로터리가 설치되어 있어서 줄이 그어진 자리에 고랑(11)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 줄의 고랑을 형성한 후 작업자는 다목적 관리기를 정지시킨 후 고랑과 나란하게 줄을 또 그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시 농지의 양쪽 끝에 막대기를 박아서 세운 후 양 막대기 사이를 끈으로 연결한 다음 작업자가 일직선으로 땅을 밟거나 도구를 이용하여 끈의 방향과 일치되는 줄을 긋는다. 그리고 다목적 관리기를 새롭게 그은 줄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고랑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막대를 세워 끈을 설치하여 줄을 긋고 다목적 관리기로 고랑을 형성하는 과정이 고랑의 수만큼 반복되어야 하므로 종래에는 고랑을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고단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9260호: 이랑 성형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농가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농업용 다목적 관리기와 같은 농기계를 이용하여 농지에 고랑을 형성할 때 고랑의 기준이 되는 줄을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그을 수 있는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는 농지에서 이동이 가능한 농기계에 결합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날개부와;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어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날개부와;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농기계의 이동시 농지의 지표면과 접촉하여 농지에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형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의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통로를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서브바와, 상기 메인바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바의 이동을 제한시켜 상기 서브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을 들어올려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에 일측이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고정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는 경유고리가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농기계의 핸들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유고리를 통과한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와이어견인부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견인부는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는 결합브라켓과, 상기 결합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측과 연결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시 상기 핸들부에 걸려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라인형성부는 제 1 및 제 2날개부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땅을 파헤치는 굴토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랑 형성방법은 상기 라이너가 설치된 농기계를 농지로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라이너의 제 1 또는 제 2날개부의 라인형성부가 농지의 지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농기계를 일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켜 상기 농기계의 이동경로와 나란하게 제 1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농기계의 진행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제 1라인을 따라 상기 농기계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 1라인에 고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1라인과 나란하게 제 2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농업용 다목적 관리기와 같이 농가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소형 농기계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농가에서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농기계로 고랑을 형성하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 중인 고랑의 좌측 또는 우측에 다음 고랑이 될 자리를 미리 줄로 그어 표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력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농업용 다목적 관리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농지에 고랑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라이너가 다목적 관리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적용된 본 발명의 농업용 라이너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적용된 본 발명의 농업용 라이너의 다른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적용된 본 발명의 농업용 라이너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라이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는 농지에서 이동이 가능한 농기계에 설치된다. 농지는 논 또는 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농업용 라이너가 설치될 수 있는 농기계의 예로 도시된 농업용 다목적 관리기(1)를 들 수 있다. 다목적 관리기(1)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밭을 갈고, 고르고, 고랑을 만들고, 비닐을 씌우고, 농약을 뿌리는 등의 여러 가지 작업을 할 수 있는 다목적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다목적 관리기(1)는 트랙터나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며, 조작이 간편하여 부녀자나 노약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 내부, 과수원의 과수나무 아래 등과 같이 좁은 작업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많은 농가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랙터나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다목적 관리기(1)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본 발명의 농업용 라이너는 크게 고정몸체(10)와, 제 1날개부(20)와, 제 2날개부(40)와, 라인형성부(50)를 구비한다.
고정몸체(10)는 다목적 관리기(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다목적 관리기(1)의 보조바퀴(5)가 장착된 지지축(3)의 전면에 결합된다.
고정몸체(10)는 내부가 빈 사각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몸체(10)는 U볼트(15)와 너트(17)와 같은 체결도구에 의해 지지축(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몸체(10)의 후면에는 유볼트(15)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2개의 관통홀(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고정몸체(10)는 지지축(3)에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몸체(10)의 전면 중앙에는 원형의 관통홀(13)이 형성된다.
제 1날개부(20)와 제 2날개부(40)는 고정몸체(10)에 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및 제 2날개부(20)(4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몸체(10)에 힌지결합된다.
제 1날개부(20)는 고정몸체(10)에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다목적 관리기(1)를 기준으로 제 1날개부(20)는 좌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날개부(40)는 고정몸체(10)에 결합되어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다목적 관리기(1)를 기준으로 제 2날개부(40)는 우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 및 제 2날개부(20)(4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구조로 형성된다.
가령, 제 1날개부(20)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메인바(21)와, 메인바(21)의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는 서브바(23)와, 메인바(21)에 설치되어 서브바(23)의 이동을 제한시켜 서브바(2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를 구비한다.
메인바(21)는 사각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바(21)는 내부가 비어 있어서 통로가 형성된다. 메인바(21)는 고정몸체(10)에 힌지결합되는 제 1힌지부(25)에 결합된다. 제 1힌지부(25)에는 원형의 관통홀(27)이 형성된다.
서브바(23)는 메인바(21)의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서브바(23)는 메인바(21)의 통로를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날개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메인바(21)에 설치된다. 고정부재(30)의 예로 메인바(21)의 상부에 고정되며 나사홀이 형성된 사각의 고정바디(31)와, 고정바디(31)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33)로 이루어진다.
조절볼트(33)는 고정바디(31)에 나사결합되어 단부가 메인바(21)의 통로로 돌출된다. 제 1날개부(2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서브바(23)를 좌우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시킨 후 조절볼트(33)를 회전시켜 조이면 조절볼트(33)의 단부가 서브바(23)의 외측면에 압착되면서 서브바(23)의 이동이 제한되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제 2날개부(40)는 상술한 제 1날개부(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가령, 제 2날개부(40)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메인바(41)와, 메인바(41)의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어 통로를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는 서브바(43)와, 메인바(41)에 설치되어 서브바(43)의 이동을 제한시켜 서브바(4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를 구비한다.
제 2날개부(40)의 메인바(41)는 고정몸체(10)에 힌지결합되는 제 2힌지부(45)에 결합된다. 제 2힌지부(45)에는 원형의 관통홀(47)이 형성된다.
제 2날개부(4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서브바(43)를 좌우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시킨 후 고정바디(31)에 나사결합된 조절볼트(33)를 회전시켜 조이면 조절볼트(33)의 단부가 서브바(43)의 외측면에 압착되면서 서브바(43)의 이동이 제한되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날개부(20)(40)는 간단한 방법으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고랑 간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날개부(20)(40)를 고정몸체(10)에 힌지결합시키기 위해 고정볼트(60)를 제 2힌지부(45)의 관통홀(47)과 제 1힌지부(25)의 관통홀(27)을 차례로 통과시킨 후 고정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홀(13)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후술할 지지대(70)의 관통홀(74)을 통과시킨 다음 고정몸체(10)의 내측에서 고정볼트에 너트(63)를 체결한다.
제 1 및 제 2날개부(20)(40)는 고정볼트(6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다. 제 1 및 제 2날개부(20)(40)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날개부(20)(40)는 수평으로 펼치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부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라인형성부(50)는 제 1 및 제 2날개부(20)(40) 각각에 설치된다. 라인형성부(50)는 다목적 관리기의 이동시 농지의 지표면과 접촉하여 농지에 줄을 긋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예에서 라인형성부는 제 1 및 제 2날개부(20)(40)의 서브바(23)(43)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라인형성부(50)는 일정한 길이의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라인형성부(50)는 하부가 농지의 지표면과 접촉하여 줄을 긋는다. 이와 달리 라인형성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55)와, 고정바(55)에 결합되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바(57)와, 승강바(57)의 하부에 형성되어 땅을 파헤쳐 줄을 긋는 굴토부(59)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바(57)는 고정바(55)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승강바(57)의 상부측 외주면에서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바(55)에 나사결합된 승강바(57)를 회전시켜 승강바(57)의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굴토부(59)는 전면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후면이 넓게 형성되어 농지에 폭이 넓은 줄을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다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제 1 및 제 2날개부 (20)(40)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을 들어올려 제 1 및 제 2날개부(20)(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수단은 제 1 및 제 2날개부(20)(40)에 일측이 결합되는 와이어(80)와, 고정몸체(10)에 설치되며 와이어(80)가 경유하는 경유고리(79)가 형성된 지지대(70)와, 다목적 관리기(1)의 핸들부에 설치되어 경유고리(79)를 통과한 와이어(80)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와이어견인부(90)를 구비한다.
와이어(80)는 2개가 설치된다. 하나의 와이어(80)는 제 1날개부(20)와 연결되고, 다른 와이어(80)는 제 2날개부(40)와 연결된다. 와이어(80)의 일단은 제 1 및 제 2날개부(20)(40)의 메인바(21)(41)에 형성된 고정고리(85)에 각각 연결된다. 와이어(80)의 일단에는 고정고리(85)의 내측 구멍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홀더(87)가 결합되어 와이어(80)가 고정고리(85)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대(77)는 고정몸체(10)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트(71)와, 고정브라켓트(71)의 상부에 형성된 지주(77)와, 지주(77)의 상부에 형성되며 경유고리(79)가 설치된 상부플레이트(78)로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트(71)는 원형의 관통홀(74)이 형성되어 고정볼트(60)가 통과하는 수직판(73)과, 수직판(73)의 상부에 형성되며 지주(77)가 고정되는 수평판(74)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판(73)은 고정몸체(10)의 내측에 위치한다. 수직판(73)은 고정몸체(10)에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지주(77)는 사각 파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78)에는 2개의 경유고리(79)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 1날개부(20)와 연결된 와이어(80)는 어느 하나의 경유고리(79)를 통과하고, 제 2날개부(40)와 연결된 와이어(80)는 다른 경유고리(79)를 통과한다. 각 경유고리(79)를 통과한 와이어들은 합류고리(76)를 통과한다.
와이어견인부(90)는 다목적 관리기(1)의 핸들부에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다목적 관리기는 좌측 핸들부(7)와 우측 핸들부(9)가 한쌍으로 구비된다.
와이어견인부(90)는 2개의 와이어(80)를 각각 당기고 풀 수 있도록 2개가 설치된다. 좌측 핸들부(7)에 설치된 와이어견인부(90)는 제 1날개부(20)와 연결된 와이어(80)와 연결되고, 우측 핸들부(9)에 설치된 와이어견인부(90)는 제 2날개부(40)와 연결된 와이어(80)와 연결된다.
도시된 와이어견인부(90)는 핸들부(7)(9)에 결합되는 결합브라켓(91)과, 상기 결합브라켓(91)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봉(93)과, 회전봉(93)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80)의 타측과 연결되는 조작레버(95)와, 상기 조작레버(95)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95)의 회전시 핸들부(7)(9)에 걸려 조작레버(95)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97)를 구비한다.
결합브라켓트(91)는 U볼트(92)에 의해 핸들부(7)(9)에 장착될 수 있다. 결합브라켓트(91)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판(94)에 회전봉(93)이 결합된다. 회전봉(93)은 고정핀(96)에 의해 돌출판(94)에 회전가능하록 결합된다.
조작레버(95)에는 고정고리(99)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날개부(20)(40)와 각각 연결된 와이어(80)는 각 조작레버(95)의 고정고리(99)에 연결된다.
조작레버(95)를 회전봉(9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서 와이어(80)를 당기거나 풀 수 있다. 가령, 좌측 핸들부(7)에 설치된 조작레버(95)를 뒤로 회전시키면 와이어(80)가 당겨져 제 1날개부(20)가 도 6과 같이 수평상태에서 들어올려져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이룬다. 그리고 조작레버(95)를 앞으로 회전시키면 당겼던 와이어(80)가 풀어지면서 제 1날개부(20)가 다시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좌측 핸들부(7)와 우측 핸들부(9)에 설치된 와이어견인부(90)에 의해 제 1 및 제 2날개부(20)(40)를 수평상태가 되도록 좌우로 펼치거나,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농업용 라이너를 이용한 고랑형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농업용 라이너가 설치된 다목적 관리기(1)를 농지의 가장자리로 진입시킨다.
다음으로, 와이어견인부(90)를 조작하여 제 1날개부(20)와 제 2날개부(40) 중 어느 하나를 들어올려 접은 다음 다목적 관리기(1)를 반대편 방향으로 직진 이동시킨다. 가령, 제 2날개부(40)를 접고 제 1날개부(20)를 펼친 상태로 다목적 관리기(1)를 이동시킨다. 이동시 다목적 관리기(1)에 장착된 로터리(6)에 의해 이동 경로를 따라 한 줄의 고랑이 형성된다. 최초의 고랑을 형성할 때는 농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두렁을 기준으로 하여 다목적 관리기를 반듯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방법과 같이 농지의 양 끝에 막대기를 세운 후 끈을 연결한 후 줄을 그어 최초 고랑의 자리를 선정할 수 있다.
최초의 고랑 형성시 제 1날개부(20)의 라인형성부(50)가 농지의 지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다목적 관리기(1)의 이동경로와 나란하게 제 1라인이 형성된다. 즉, 최초 고랑과 나란하게 제 1라인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다목적 관리기(1)의 진행방향을 반대로 전환시킨 후 제 1날개부(20)를 접고 제 2날개부(40)를 펼친 상태로 제 1라인을 따라 다목적 관리기(1)를 이동시켜 두번째 고랑을 형성한다. 이때 제 2날개부(40)의 라인형성부(50)가 농지의 지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제 1라인을 따라 두번째 고랑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 1라인과 나란하게 제 2라인이 형성된다.
제 2라인 형성 후 다목적 관리기(1)의 진행방향을 반대로 전환시킨 후 제 2날개부(40)를 접고 제 1날개부(20)를 펼친 상태로 제 2라인을 따라 다목적 관리기(1)를 이동시켜 세번째 고랑을 형성한다. 이때 제 1날개부(20)의 라인형성부(50)가 농지의 지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제 2라인을 따라 세번째 고랑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 2라인과 나란하게 제 3라인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농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지그재그로 다목적 관리기를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랑을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업용 라이너는 농작물 재배를 위해 밭이나 논 등의 농지에 이랑을 형성할 때 유용하다. 특히, 대파, 마늘 등과 같은 밭작물 재배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다목적 관리기 10: 고정몸체
20: 제 1날개부 21: 메인바
23: 서브바 40: 제 2날개부
50: 라인형성부 70: 지지대
80: 와이어 90: 와이어견인부

Claims (8)

  1. 농지에서 이동이 가능한 농기계에 결합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날개부와;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어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날개부와;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농기계의 이동시 농지의 지표면과 접촉하여 농지에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의 내부로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통로를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서브바와, 상기 메인바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바의 이동을 제한시켜 상기 서브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을 들어올려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날개부에 일측이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고정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는 경유고리가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농기계의 핸들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유고리를 통과한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와이어견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견인부는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는 결합브라켓과, 상기 결합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측과 연결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시 상기 핸들부에 걸려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형성부는 제 1 및 제 2날개부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땅을 파헤치는 굴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
  8. 제 1항의 라이너가 설치된 농기계를 농지로 진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라이너의 제 1 또는 제 2날개부의 라인형성부가 농지의 지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농기계를 일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켜 상기 농기계의 이동경로와 나란하게 제 1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농기계의 진행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제 1라인을 따라 상기 농기계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 1라인에 고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1라인과 나란하게 제 2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지의 고랑 형성방법.
KR1020150107456A 2015-07-29 2015-07-29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 KR20170014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456A KR20170014325A (ko) 2015-07-29 2015-07-29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456A KR20170014325A (ko) 2015-07-29 2015-07-29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25A true KR20170014325A (ko) 2017-02-08

Family

ID=5815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456A KR20170014325A (ko) 2015-07-29 2015-07-29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3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602B1 (ko) 2018-11-27 2020-05-04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일괄트레이닝 처리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의 처리 방법
KR20200064623A (ko) 2018-11-29 2020-06-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개 데이터셋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제공 시스템, 이의 처리 방법
KR20200071793A (ko) 2018-11-29 2020-06-2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공개 데이터셋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의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597A (ko) 2000-06-26 2002-01-05 김재근 이랑 성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597A (ko) 2000-06-26 2002-01-05 김재근 이랑 성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602B1 (ko) 2018-11-27 2020-05-04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일괄트레이닝 처리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의 처리 방법
KR20200064623A (ko) 2018-11-29 2020-06-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개 데이터셋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제공 시스템, 이의 처리 방법
KR20200071793A (ko) 2018-11-29 2020-06-2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공개 데이터셋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의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298B1 (ko) 로타리 커버 일체형 배토기
KR101389093B1 (ko) 배토기용 두둑 성형 작업기
KR101471996B1 (ko) 두둑용 이동수단이 구비된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KR20170014325A (ko) 농지에 줄을 긋기 위한 농업용 라이너와 이를 이용한 고랑 형성방법
US4187914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KR101708629B1 (ko) 관리기용 간이 작판정지기
KR101017064B1 (ko) 농업용 이랑 성형기
JP2013055892A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102326125B1 (ko) 경사지 채굴이 용이한 구근 수확장치
US4577697A (en) Sod cutting apparatus
CN109220017A (zh) 一种除草覆土机
KR102117837B1 (ko) 멀칭필름 커팅장치 및 이를 장착한 멀칭기
KR200466808Y1 (ko) 비닐피복기용 복토장치
CN212436238U (zh) 一种农业种植用可调节的翻土设备
CN109168428B (zh) 一种园林花苗种植挖坑设备
JP2018183077A (ja) 防除作業車
KR101934235B1 (ko) 밭이랑 곡선면 궤도 이탈 방지 및 경사면 수평 유지가 가능한 트랙터용 부속 작업기의 연결장치
US3097703A (en) Digging machine
CN214627952U (zh) 水田土埂整治用护盖
US4660650A (en) Sod cutting apparatus
KR20200064205A (ko) 자주식 대파 수확기
KR101861536B1 (ko) 휴립 피복기
KR101421969B1 (ko) 농산물 수확기용 견인장치
US9451739B2 (en) Agricultural undercut implements and methods
CN216600716U (zh) 一种可与水稻旋耕机配合使用的自动平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