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922Y1 - 가스 버너 - Google Patents

가스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922Y1
KR200467922Y1 KR2020110006124U KR20110006124U KR200467922Y1 KR 200467922 Y1 KR200467922 Y1 KR 200467922Y1 KR 2020110006124 U KR2020110006124 U KR 2020110006124U KR 20110006124 U KR20110006124 U KR 20110006124U KR 200467922 Y1 KR200467922 Y1 KR 200467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flow path
discharge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334U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매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to KR2020110006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92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9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Abstract

본 고안은 이상 연소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버너는 내부에 형성된 가스 유동 공간, 상기 가스 유동 공간의 양 단부인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고 혼합된 가스를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 유동 공간에 공급하는 혼합관; 상기 버너 바디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가스 유동 공간과 연통된 배출 유로를 통해 상기 혼합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유닛; 및 상기 배출 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배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혼합된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혼합된 가스의 상기 배출 유로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유로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가스 버너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스 버너{Gas Burner}
본 고안은 가스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버너는 버너 바디의 하측에 혼합관이 형성되어 있어 흡입되는 공기와 연료 분사용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혼합관에 혼합되어 버너의 염공들을 통해 분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가스 버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버너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가스 버너 정면도, 그리고 도 3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스 버너(A)는 버너 바디(1)와 혼합관(2)이 조립 또는 일체로 구성되고, 버너 바디(1) 상측으로 바디 커버(3)와 바디 캡(4)이 조립된다. 상기 혼합관(2) 끝단에는 혼합관(2)과 동일 중심축을 갖는 노즐(5)과 노즐 브라켓(7)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5)로부터 분사된 가스는 혼합관(2)의 벤츄리부(10)를 빠른 속도로 통과하면서 벤츄리부(10) 압력을 낮추게 되어 혼합관(2) 외부와 벤츄리부(10)의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이 압력 차이에 의해 외부 공기가 혼합관(2) 끝단으로부터 벤츄리부(10)를 통하여 혼합관(2) 내부로 유입되며, 분사된 가스는 혼합관(2)과 버너 바디(1)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를 이룰 수 있는 혼합 가스가 되어 바디 커버(3)와 바디 캡(4)로 공급된다.
상기 바디 커버(3)에는 외부로 가스를 고르게 분출할 수 있는 다수의 염공(11)이 있으며, 염공(11)에서 분출된 가스는 스파크 플러그(미도시)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를 이루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혼합관(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댐퍼(12)를 혼합관(2)의 입구에 배치하거나, 또는 에어 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노즐(5)을 사용하여 에어 홀(도시되지 않음)의 개수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혼합관(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가스 버너(A)는 어느 장소에 장착되느냐에 따라 이상 연소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염공(11)에서 혼합 가스의 유출 속도가 연소 속도보다 빠르게 되었을 때, 가스는 염공(11)에 붙어서 연소하지 않고 염공(11)을 이탈하여 연소하는 리프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절한 위치에서 물체의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가열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요즘은 상기 노즐(5) 및 댐퍼(12)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 또는 공기의 압력이 높아 빠른 속도로 유입된 혼합 가스가 바디 커버(3)와 바디 캡(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 바로 염공(11)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리프팅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도 3 참조, 도 3에서의 화살표는 혼합 가스의 흐름을 나타냄).
상기 리프팅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노즐(5)의 가스 공급 압력을 컨트롤하거나 또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12)를 조절하기 위해 가스 버너의 상판(도시되지 않음)을 뜯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가스 버너에서 발생하는 리프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리프팅 현상을 제어하기 위해 가스 버너의 상판을 뜯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가스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버너는 내부에 형성된 가스 유동 공간, 상기 가스 유동 공간의 양 단부인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고 혼합된 가스를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 유동 공간에 공급하는 혼합관; 상기 버너 바디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가스 유동 공간과 연통된 배출 유로를 통해 상기 혼합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유닛; 및 상기 배출 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배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혼합된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혼합된 가스의 상기 배출 유로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유로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합관과 연결되어 상기 혼합관에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버너 바디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 2 개구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 커버 및 상기 바디 커버의 상부에 안착되는 바디 캡을 포함하되, 상기 바디 커버의 상면 및 바디 캡의 하면 중 적어도 한곳에는 각각을 향해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다수의 염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차단 부재는 상기 바디 커버의 상면 및 상기 바디 캡의 하면 중 적어도 한곳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 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차단 부재는 상기 바디 캡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차단 부재의 일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절곡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차단 부재의 하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연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조립체는 가스가 유입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과 상기 혼합관을 연결하는 노즐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는 유로 차단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리프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는 리프팅 현상을 보다 수월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가스 버너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구성하는 바디 캡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구성하는 연장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구성하는 연장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연장 부재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의 가스 버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구성하는 바디 캡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100)는 버너 바디(110), 혼합관(130), 배출 유닛(150) 및 점화수단(170)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100)는 노즐 조립체(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바디(110)는 가스 버너(100)의 베이스가 되는 부분으로 가스 유동 공간(111), 제 1 및 2 개구부(113 및 1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 바디(110)는 제 1 플랜지부(1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유동 공간(111)은 혼합 가스가 유동하는 유로이며, 버너 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가스 유동 공간(111)은 혼합 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가능하다. 예로써 본 고안에서 상기 가스 유동 공간(111)은 대략 'L'자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부(113 및 115)는 버너 바디(110) 상에 형성되되, 각각은 가스 유동 공간(111)의 양 단부인 버너 바디의 하부와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가스 유동 공간(111)은 제 1, 2 개구부(113, 115)를 통하여 혼합관(130) 및 배출 유닛(150)과 연통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스 유동 공간(111)으로 혼합관(130)에서 혼합된 가스(혼합 가스)가 유입되며 가스 유동 공간(111)으로부터 배출 유닛(150)으로 혼합 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혼합관(130) 및 배출 유닛(150)의 구성 및 기능은 이후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플랜지부(117)는 버너 바디(110)의 상부인 제 2 개구부(115)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플랜지부(117)에는 배출 유닛(150)이 안착된다. 이에 관하여는 보다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혼합관(13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管)형상이다. 상기 혼합관(130)의 일단으로 가스 및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가스 및 공기는 혼합관(130) 내부에서 혼합된다. 상기 혼합관(130)의 타단이 버너 바디(110)와 연결되고, 혼합관(130) 내부에서 혼합된 혼합 가스는 제 1 개구부(113)를 통해 가스 유동 공간(111)으로 유입된다. 상기 혼합관(130) 내부로부터 가스 유동 공간(111)으로 혼합 가스가 보다 잘 유동될 수 있도록 혼합관(130)의 중심부를 오목하게, 즉, 벤튜리관(venturi tube)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닛(150)은 버너 바디(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버너 바디(110)의 가스 유동 공간(111)을 통과한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출 유닛(150)은 바디 커버(151), 바디 캡(156) 및 유로 차단 부재(159)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 커버(151)는 버너 바디(11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바디 커버(151)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으며, 바디 커버(151)의 중심부는 관통홀(152)이 형성되고, 관통홀(152)의 주변부에는 제 2 플랜지부(1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 커버(151)의 상면에는 돌출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52)에는 버너 바디(110)의 제 2 개구부(115)가 끼워진다(관통된다). 상기 제 2 플랜지부(153)는 제 1 플랜지부(117)에 안착되어 바디 캡(156)이 바디 커버(151)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54)는 바디 캡(156)이 바디 커버(151) 상에서 움직임 없이 보다 확실하게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관해서는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바디 캡(156)은 상기 바디 커버(151)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바디 캡(156)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으며, 바디 캡(156)의 하면에는 안착부(157)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57)는 바디 캡(156)의 하면 테두리부에 형성되고, 아래를 향하여(바디 커버(151)를 향하여) 돌출되며, 마치 링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상기 안착부(157)의 하부가 제 2 플랜지부(153)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바디 캡(156)은 바디 커버(151)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157)에는 복수개의 염공(炎孔)(157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157)에 의해 바디 커버(151)와 바디 캡(156) 사이에는 캐비티(cavity)인 배출 유로(158)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개구부(115)를 통하여 배출 유로(158)로 유입된 혼합된 가스(혼합 가스)는 염공(157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안착부(157)가 바디 캡(156)의 하면에 형성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하지만 상기 안착부(157)는 바디 캡(156)의 하면만이 아니라 바디 커버(151)의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157)는 바디 커버(151)의 상면 테두리부(제 2 플랜지부(157)의 상면 테두리부)에서 위를 향하여(바디 캡(156)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커버(151)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157)에는 염공(157a)이 형성되고, 바디 커버(151)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157)에 의해 바디 커버(151)와 바디 캡(156) 사이에는 배출 유로(158)가 형성되는 것은 안착부(157)가 바디 캡(156)의 하면에 형성된 경우와 동일하며, 작용 또한 동일하다.
상기 유로 차단 부재(159)는 배출 유닛(150)의 내부인 배출 유로(158)에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로 차단 부재(159)는 링 형상으로 바디 커버(151)의 상면 및 바디 캡(156)의 하면 중 적어도 한곳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 2 개구부(115)와 안착부(157)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로 차단 부재(159)가 바디 캡(156)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로 차단 부재(159)는 바디 캡(156)의 하면에서 아래를 향하여(즉, 바디 커버(151)를 향하여) 돌출되되, 바디 커버(151)의 상면과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배출 유로(158)의 일부(상부)를 차단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개구부(115)를 지나 배출 유로(158)로 유입된 혼합 가스는 염공(157a)으로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유로 차단 부재(159)에 의해 가로 막혀 배출 유로(158)와 바디 커버(151) 사이 공간으로 돌아 나가게 된다(도 7 참조, 도 7에 도시된 화살표는 혼합 가스의 흐름을 나타냄). 그러므로 상기 염공(157a)에서 배출되는 혼합 가스의 속도는 줄어들게 되며, 배출되는 혼합 가스의 양 또한 줄어들게 되어 염공(157a)에서 발생하는 이상 연소 현상 중 하나인 리프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차단 부재(159)의 일부에는 절곡부(159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59a)는 돌출부(15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절곡부(159a)에 돌출부(154)가 끼워져 바디 캡(156)이 바디 커버(151) 상에서 움직임 없이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화 수단(170)은 배출 유닛(15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배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된 가스(혼합 가스)를 점화한다. 상기 점화 수단(170)으로는 스파크 플러그일 수 있다. 상기 점화 수단(170)은 제 1 플랜지부(117)에 장착되어 염공(157a)으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된 가스(혼합 가스)를 점화한다. 또한 제 1 플랜지(117)부에는 점화 수단(170)에 의해 점화된 불꽃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열전대(180; thermo couple)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노즐 조립체(190)는 혼합관(130)과 연결되어 혼합관(130)에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노즐 조립체(190)는 노즐(191)과 노즐 브라켓(193)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191)은 혼합관(130)에 가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가스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노즐 브라켓(193)은 혼합관(130)의 일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노즐(191)은 노즐 브라켓(193)에 장착된다. 즉, 상기 노즐 브라켓(193)은 노즐(191)을 혼합관(130)에 고정 장착시켜준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100)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노즐 조립체(190)로부터 유입된 가스가 혼합관(130)에서 공기와 혼합되어 지고, 혼합된 가스(혼합 가스)는 버너 바디(110)를 지나 배출 유닛(150)으로 유입되면, 배출 유닛(150)에 형성된 배출 유로(158)의 일부가 유로 차단 부재(159)에 의해 차단되어 노즐(191) 및 혼합관(150)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배출 유닛(150)으로 유입된 혼합 가스는 유로 차단 부재(159)에 막혀 속도가 줄어들게 되고, 속도가 줄어든 가스는 염공(157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점화수단(170)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염공(157a)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 가스의 속도가 줄어들게 되고, 또한 염공(157a)으로 배출 되는 혼합 가스의 양 또한 줄어들게 되어 이상 연소 현상인 리프팅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구성하는 연장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구성하는 연장 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연장부재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버너는 앞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유로 차단 부재에 연장부재가 연결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연장부재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또한 연장 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가스 버너를 구성하는 유로 차단 부재(159)에는 연장 부재(26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연장부재(260)는 유로 차단 부재(159)와 대응되는 링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연장 부재(260)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유로 차단 부재(159)의 외측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장 부재(260)는 유로 차단 부재(159)에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연장부재(260)는 유로 차단 부재(159)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물론, 이와 같은 움직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 실시예에 설명된 절곡부(159a)는 유로 차단 부재(159)에 형성되지 않은 경우이다.)
상기 연장부재(260)는 상하 이동됨으로써 배출 유로(158)의 차단 면적이 가변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스 버너(100)에 리프팅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연장부재(260)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황염이나 역화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상 연소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상 연소 문제 해결은 가스 버너(100)의 상판(미도시)을 뜯어 내부에 위치한 구성요소 중 일부(노즐, 댐퍼 등등)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배출 유닛(150)에 장착된 연장부재(260)의 조작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이 수월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내부에 형성된 가스 유동 공간과 상기 가스 유동 공간의 양 단부인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버너 바디;
    상기 버너 바디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고 혼합된 가스를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 유동 공간에 공급하는 혼합관;
    상기 버너 바디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가스 유동 공간과 연통된 배출 유로를 통해 상기 혼합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유닛; 및
    상기 배출 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배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혼합된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혼합된 가스의 상기 배출 유로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된 유로 차단 부재와, 상기 버너 바디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 2 개구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 커버와, 상기 바디 커버의 상부에 안착되는 바디 캡을 포함하되, 상기 바디 커버의 상면 및 바디 캡의 하면 중 적어도 한곳에는 각각을 향해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복수의 염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 차단 부재는 상기 바디 커버의 상면 및 상기 바디 캡의 하면 중 적어도 한곳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 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바디 캡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 차단 부재의 하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과 연결되어 상기 혼합관에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차단 부재의 일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절곡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7. 삭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조립체는 가스가 유입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과 상기 혼합관을 연결하는 노즐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
KR2020110006124U 2011-07-05 2011-07-05 가스 버너 KR200467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24U KR200467922Y1 (ko) 2011-07-05 2011-07-05 가스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24U KR200467922Y1 (ko) 2011-07-05 2011-07-05 가스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34U KR20130000334U (ko) 2013-01-15
KR200467922Y1 true KR200467922Y1 (ko) 2013-07-10

Family

ID=5139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124U KR200467922Y1 (ko) 2011-07-05 2011-07-05 가스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92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10Y1 (ko) * 1992-03-19 1994-07-29 이헌조 가스연소기기용 가스버너
JPH0777315A (ja) * 1993-08-26 1995-03-20 Tong Yang Magic Corp ガスバーナー装置
KR200200503Y1 (ko) 2000-05-17 2000-10-16 엘지전자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
KR20090006533U (ko) * 2007-12-26 2009-07-01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버너용 점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10Y1 (ko) * 1992-03-19 1994-07-29 이헌조 가스연소기기용 가스버너
JPH0777315A (ja) * 1993-08-26 1995-03-20 Tong Yang Magic Corp ガスバーナー装置
KR200200503Y1 (ko) 2000-05-17 2000-10-16 엘지전자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
KR20090006533U (ko) * 2007-12-26 2009-07-01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버너용 점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34U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8054B2 (ja) コンロ用バーナ
EP3343104B1 (en) Distributed vertical flame burner
KR20110099733A (ko) 가정용 조리기를 위한 가스버너
US20150034070A1 (en) Gas burner for a cooktop
KR102078769B1 (ko) 버너 캡 및 버너
CN100494778C (zh) 炉具用燃烧器
KR101374278B1 (ko) 가스버너구조체
KR20100048458A (ko) 가스버너
KR20070053914A (ko) 실드 더블 버너
KR200467922Y1 (ko) 가스 버너
KR100738697B1 (ko) 실드 더블 버너
KR101787388B1 (ko) 가스버너
CN112240549A (zh) 一种完全上进风式燃烧器
CN106687745A (zh) 用于燃气涡轮发动机的合成气燃烧器系统
CN108571725B (zh) 灶具燃烧器
KR101300899B1 (ko) 버너
JP5794844B2 (ja) ガスコンロにおける乱流形成装置
JP2003194310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KR101038157B1 (ko) 가스레인지의 국물유입 방지구조
KR101404877B1 (ko)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가지는 가스 레인지
KR100773101B1 (ko) 실드타입버너
JP7016752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6041822B2 (ja) コンロ用バーナ
KR0124104Y1 (ko) 가스버너의 점화 안정구조
KR200475415Y1 (ko) 버너 조립 구조체를 포함하는 가스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