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794Y1 - 다기능 시험관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시험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794Y1
KR200467794Y1 KR2020130003237U KR20130003237U KR200467794Y1 KR 200467794 Y1 KR200467794 Y1 KR 200467794Y1 KR 2020130003237 U KR2020130003237 U KR 2020130003237U KR 20130003237 U KR20130003237 U KR 20130003237U KR 200467794 Y1 KR200467794 Y1 KR 200467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est tube
funnel
cas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록
Original Assignee
이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록 filed Critical 이영록
Priority to KR2020130003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7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시험관은 물론 다수의 깔때기나 삼각 비이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시험관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케이스의 상단은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시험관이나 깔때기의 보관시 시험관커버판과 깔때기커버판을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커버결합구조에 단순하게 끼우는 방식으로 시험관, 삼각비이커 및 깔때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메모리칩부를 통해서 실험의 시간과 타이밍을 체크하고 실험의 과정이나 결과는 모두 디지털녹음기를 통해서 녹음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시험관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시험관커버판, 깔때기커버판을 케이스의 정면과 배면 사이에 간단하게 끼워 안착시키는 1차적인 결합방법과 안착부 하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홈에 끼워 결합시키는 2차적인 결합방법을 사용하여 시험관 케이스의 상부를 폐쇄시키고, 시험관, 삼각비이커 및 깔때기를 보다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시험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시험관대{Test tube rack of multi-function}
본 고안은 다수의 시험관은 물론 다수의 깔때기나 삼각비이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시험관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케이스의 상단은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시험관이나 깔때기의 보관시 시험관커버판과 깔때기커버판을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커버결합구조에 단순하게 끼우는 방식으로 시험관, 삼각비이커 및 깔때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메모리칩부를 통해서 실험의 시간과 타이밍을 체크하고 실험의 과정이나 결과는 모두 디지털녹음기를 통해서 녹음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시험관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시험관커버판, 깔때기커버판을 케이스의 정면과 배면 사이에 간단하게 끼워 안착시키는 1차적인 결합방법과 안착부 하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홈에 끼워 결합시키는 2차적인 결합방법을 사용하여 시험관 케이스의 상부를 폐쇄시키고, 시험관, 삼각비이커 및 깔때기를 보다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시험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험관대의 경우, 시약과 시용액을 혼합하고 그 반응을 보기 위한 실험기구인 시험관을 보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시험관은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투명한 상태로 제작하여 시약들이 반응되는 것을 관찰하고, 또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시험관은 그 형태가 이미 규격화되어 있기에 이를 보관하는 시험관대의 경우도 이미 보편화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도시된 도 1의 시험관대는 실용신안 출원 제20-1981-0000578호인 조립식 시험관대이다. 다수의 시험관을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시험관대인데, 필요한 개수만큼 시험관대를 늘리고, 시험관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이러한 시험관대는 또 다른 시험기구인 깔때기를 보관할 수 없다. 깔때기는 물론 실험을 위해서 필요한 삼각비이커, 스푼이나 유리막대의 보관을 위해서는 별도의 보관수단이 마련되야 하므로 불편함이 항상 있었다.
<선행실용신안자료>
1. 실용신안등록번호 20-0022392 (공고일자 1982. 05. 22)
본 고안은 다수의 시험관은 물론 다수의 깔때기나 삼각 비이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시험관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케이스의 상단은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시험관이나 깔때기의 보관시 시험관커버판과 깔때기커버판을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커버결합구조에 단순하게 끼우는 방식으로 시험관, 삼각비이커 및 깔때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메모리칩부를 통해서 실험의 시간과 타이밍을 체크하고 실험의 과정이나 결과는 모두 디지털녹음기를 통해서 녹음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시험관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시험관커버판, 깔때기커버판을 케이스의 정면과 배면 사이에 간단하게 끼워 안착시키는 1차적인 결합방법과 안착부 하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홈에 끼워 결합시키는 2차적인 결합방법을 사용하여 시험관 케이스의 상부를 폐쇄시키고, 시험관, 삼각비이커 및 깔때기를 보다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시험관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시험관대는, 다수의 시험관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관대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37)를 갖고,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정면판(31), 배면판(32), 저면판(33), 및 좌.우측면판(34, 35)으로 이루어진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의 정면판(31)과 배면판(32)을 가로질러 연결하여 칸막이로 이용되는 간격판(36)과; 상기 케이스(30)의 좌.우측면판(34, 35) 중 하나는 경첩(75)을 통해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는 형태로 하고, 일측단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작용을 마감할 수 있도록 정면판(31)에 부착한 대응벨크로테입(71)과 도어의 끝단에 부착한 벨크로테입(72)으로 이루어진 개폐수단(70)과; 상기 케이스(30)의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최 상단에 커버판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결합구조(B)와; 상기 커버결합구조(B)에 끼워지도록 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과 폭을 가진 다수의 시험관공(41)을 형성하고, 시험관공(41)의 저면에 시험관(1)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조임공(43)을 가진 실리콘필름층(42)을 형성한 시험관커버판(40)과; 상기 커버결합구조(B)에 끼워지도록 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과 폭을 가지고 깔때기(2)를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깔때기공(51)을 형성하고, 깔때기공(51)의 저면에 깔때기(2)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조임공(53)을 가진 실리콘필름층(52)을 형성한 깔때기커버판(50)과; 상기 케이스(30)의 좌.우측면판(34, 35) 중 하나에는 타이머(81), 마이크(62), 스피커(82) 및 디지털 녹음기(61)를 부착하여, 별도의 스위치부(63)의 작동을 통해서 실험시간의 계측과 실험의 과정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칩부(60)와; 상기 케이스(30)의 하단 일측에는 시험관(1)이나 깔때기(2)에서 빠지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공(83); 상기 케이스(30)를 이루는, 정면판(31), 배면판(32), 저면판(33), 좌.우측면판(34, 35) 및 간격판(36)에는 시험관(1)이나 깔때기(2)와 접촉할 수 있는 케이스(3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에 일정한 두께의 필름층을 형성하여 깔때기(2)와 시험관(1)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실리콘패드층(39); 케이스(30)의 외곽부 일측에 결합되는 스푼정리함(90); 및, 상기 커버결합구조(B)는 시험관커버판(40)과 깔때기커버판(50)의 양단폭이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시험관커버판(40)과 깔때기커버판(50) 내측 상단에 장형의 홈 형태의 안착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10)의 하단으로 상기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두께를 수용하여 정면판(31)과 배면판(32)이 슬리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을 형성하되, 안착부(10)의 높이(h1)와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의 높이(h2)는 모두 정면판(31)과 배면판(3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크도록 형성하여, 커버판이 안착부(10)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가이드홈(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시험관(1)은 물론 깔때기(2)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실험의 과정은 물론 그 결과도 시간의 체크와 녹음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 다기능 시험관대에 따른, 상기 스푼정리함(90)은, 도어가 되는 좌측면판(34) 또는 우측면판(35)의 외곽부에 장착하되,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함(91)를 형성하고, 밑판(92)에는 물빠짐공(93)을 형성하며, 케이스함(91)의 내측은 간격패널(94)을 이용하여 스푼(4)과 유리막대(3)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시험관대를 사용할 때,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의 상단에 시험관공이 형성된 시험관커버판이나 깔때기공이 형성된 깔때기커버판을 안착시키는 1차적인 결합구조나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2차적인 결합구조로 시험관은 물론 깔때기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실험을 함에 있어서 시간을 체크해야 하는 실험에서는 타이머를 통해서 부저를 울릴 수 있도록 하고, 반응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정확한 시간이나 경과를 메모리칩부를 통해서 체크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시험관대에 시험관은 물론 삼각비이커 및 깔때기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깔때기만 보관하거나 시험관만 보관하는 기능도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했고, 동시에 보관을 하더라도 일정한 영역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험관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시험관대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시험관대가 케이스와 커버판으로 결합되어 시험관을 보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시험관대에 시험관과 깔때기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시험관대에 깔때기가 보관되는 과정을 도시한 제1실시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시험관대에 깔때기가 보관되는 과정을 도시한 제2실시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커버결합구조 안착부를 통해서 커버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커버결합구조 슬라이딩 가이드홈을 통해서 커버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커버판의 구조를 정확하게 살펴보기 위한 커버판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시험관대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시험관대에 장착된 스푼정리함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시험관(1)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관대(10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2 내지 도 11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시험관대는,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37)를 갖고,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정면판(31), 배면판(32), 저면판(33), 및 좌.우측면판(34, 35)으로 이루어진 케이스(30)가 있고, 상기 케이스(30)의 정면판(31)과 배면판(32)을 가로질러 연결하여 칸막이로 이용되는 간격판(36)이 있으며, 상기 케이스(30)의 좌.우측면판(34, 35) 중 하나는 경첩(75)을 통해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는 형태로 하고, 일측단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작용을 마감할 수 있도록 정면판(31)에 부착한 대응벨크로테입(71)과 도어의 끝단에 부착한 벨크로테입(72)으로 이루어진 개폐수단(70)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0)의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최 상단에 커버판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결합구조(B)이 있고, 상기 커버결합구조(B)에 끼워지도록 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과 폭을 가진 다수의 시험관공(41)을 형성하고, 시험관공(41)의 저면에 시험관(1)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조임공(43)을 가진 실리콘필름층(42)을 형성한 시험관커버판(40)이 있으며, 상기 커버결합구조(B)에 끼워지도록 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과 폭을 가지고 깔때기(2)를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깔때기공(51)을 형성하고, 깔때기공(51)의 저면에 깔때기(2)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조임공(53)을 가진 실리콘필름층(52)을 형성한 깔때기커버판(50)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0)의 좌.우측면판(34, 35) 중 하나에는 타이머(81), 마이크(62), 스피커(82) 및 디지털 녹음기(61)를 부착하여, 별도의 스위치부(63)의 작동을 통해서 실험시간의 계측과 실험의 과정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칩부(60)이 있고, 상기 케이스(30)의 하단 일측에는 시험관(1)이나 깔때기(2)에서 빠지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공(83)이 있으며, 상기 케이스(30)를 이루는, 정면판(31), 배면판(32), 저면판(33), 좌.우측면판(34, 35) 및 간격판(36)에는 시험관(1)이나 깔때기(2)와 접촉할 수 있는 케이스(3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에 일정한 두께의 필름층을 형성하여 깔때기(2)와 시험관(1)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실리콘패드층(39)이 형성된다. 또한 이 건 시험관대는, 케이스(30)의 외곽부 일측에 결합되는 스푼정리함(90)이 있고, 상기 커버결합구조(B)는 시험관커버판(40)과 깔때기커버판(50)의 양단폭이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정면판(31)과 배면판(32) 내측 상단에 장형의 홈 형태의 안착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10)의 하단으로 상기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두께를 수용하여 정면판(31)과 배면판(32)이 슬리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을 형성하되, 안착부(10)의 높이와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의 높이는 모두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크도록 형성하여, 커버판이 안착부(10)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가이드홈(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시험관(1)은 물론 깔때기(2)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실험의 과정은 물론 그 결과도 시간의 체크와 녹음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시험관(1), 삼각비이커 및 깔때기(2)를 사용 후 재 사용을 위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관대(100)가 주요한 기능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러한 주요한 기능 이외에 실험에 대한 모든 경과, 과정, 결과를 체크하고 녹음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형태적으로는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37)를 갖는 케이스(30)가 있고, 이 케이스(30) 상부 개방부(37)를 폐쇄시킬 수 있는 커버판을 별도로 가진다. 케이스(30)의 경우, 평면의 형상이 도시된 도 2 내지 3에서처럼,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장형의 변이되는 정면판(31)과 배면판(32)이 있고, 밑판이 되는 저면판(33)이 있으며, 단형의 변이되는 좌.우측면판(34, 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30)의 정면판(31)과 배면판(32)은 그 중심부분을 가르도록 간격판(36)이 형성되는데, 이 간격판(36)에 의해서 시험관(1)과 깔때기(2) 및 삼각비이커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30)의 좌.우측면판(34, 35) 중 하나는 경첩(75)을 통해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는 형태로 하는데, 좌측면판(34)이 도어의 형태가 되면 우측면판(35)이 고정된 형태가 되고, 우측면판(35)이 도어의 형태가 되면 좌측면판(34)이 고정된 형태로 케이스(30)를 형성한다. 이 도어의 경우, 일측단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작용을 마감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개폐수단(70)을 가진다. 경첩을 통해서 우측면판(우측면판을 도어의 형태로 한 실시예의 경우)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한다면, 상기 우측면판(35)의 외곽면에는 벨크로테입(72)이 결합된다. 물론 이에 대응하는 대응벨크로테입(71)은 정면판(31)에 부착한다. 회동 가능한 우측면판(35)의 경우 정면판(31)의 대응벨크로테입(71)과 도어의 끝단에 부착한 벨크로테입(72)으로 인하여 완벽하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완벽하게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폐수단(70)이라 칭하는데, 벨크로테입(72) 형태의 개폐수단(70) 이외의 다른 수단이나 구성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0)의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최 상단에 커버판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결합구조(B)가 있는데, 정확한 체결의 구조는 후술한다. 단지 이 커버결합구조(B)는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홈이나 절개부 및 커버판의 결합구조이다.
이 결합구조를 달성하는 커버판의 경우, 시험관커버판(40)과 깔때기커버판(50)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양자가 모두 사용될 수 있고, 하나의 커버판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시험관커버판(40)만을 사용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시험관대(100)는 시험관(1)만을 보관할 수 있고, 깔때기커버판(50)만을 사용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시험관대(100)는 깔때기(2)만을 모두 보관할 수 있다. 물론 양자를 모두 사용하게 되면 깔때기(2)와 시험관(1)을 모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시험관커버판(40)은 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과 폭을 가진 다수의 시험관공(41)이 형성되는데, 도시된 도 2와 3에서처럼 플레이트 형태의 시험관커버판(4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벌린 상태로 형성되고, 일렬의 시험관공(41)이 위와 아래로 더 형성된다. 하나의 시험관커버판(40)을 이용하여 다수의 시험관(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시험관공(41)의 저면에는 시험관(1)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조임공(43)을 가진 실리콘필름층(42)이 형성되는데, 만일 시험관공(41)에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상부에서 하부로 시험관(1)이 끼워지게 되면 실리콘필름층(42)의 조임공(43)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시험관정리대(66) 내부에 수용시킨다. 실리콘필름층(42)은 고 탄력을 가진 층으로 상기 조임공(43)은 시험관(1)의 지름에 비하여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기에 벌어지면서 시험관(1)을 수용하게 된다. 이 시험관(1)은 조임공(43)에 끼워져 하단의 시험관정리대(66) 내측으로 들어간다. 간혹 진동에 의해서 시험관(1)이 떨리게 되면, 상기 조임공(43)을 형성하는 실리콘필름층(42)은 그 탄성력에 의해서 시험관(1)이 시험관공(41)의 내주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시험관(1)이 보관의 과정에서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시험관정리대(66)의 경우도 그 내주면에 얇은 실리콘패드층(39)이 도포된 상태이기에 시험관(1)이 부딪쳐도 깨지지 않는다. 즉, 시험관(1)은 그 저면은 시험관정리대(66)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저면판(33)의 상부에 깔린 실리콘패드층(39)에 안착되어 고 탄성을 가진 실리콘패드층(39)의 보호를 받으며, 상부는 상기 실리콘필름층(42)의 탄성에 의해서 시험관공(41) 내측으로 만의 연동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시험관(1)이 깨지는 것을 예방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서 그 간격판(36)을 통해서 구분되는 깔때기정리대(67)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케이스(30)는 그 간격판(36)을 통해서 명목상 깔때기정리대(67)와 시험관정리대(66)로 구획된다. 사실상 상부의 커버판을 시험관커버판(40)을 끼우느냐 깔때기커버판(50)을 끼우느냐에 따른 구분이기에 명목상 붙인 명칭이다. 그럼 깔때기커버판(50)을 설명한다.
상기 깔때기커버판(50)은 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과 폭을 가진 다수의 깔때기공(51)이 형성되는데, 도시된 도 2와 3에서처럼 플레이트 형태의 깔때기커버판(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벌린 상태로 형성되고, 그 깔때기커버판(50)과 케이스(30)의 크기에 따라 일렬의 깔때기공(51)이 위 아래로 더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깔때기커버판(50)을 이용하여 다수의 깔때기(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깔때기공(51)의 저면에는 깔때기(2)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조임공(53)을 가진 실리콘필름층(52)이 형성되는데, 만일 깔때기공(51)에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상부에서 하부로 깔때기(2)가 끼워지게 되면 실리콘필름층(52)의 조임공(53)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깔때기정리대(67) 내부에 수용시킨다. 실리콘필름층(52)은 고 탄력을 가진 층으로 상기 조임공(53)은 깔때기(2)의 지름에 비하여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기에 벌어지면서 깔때기(2)를 수용하게 된다. 이 깔때기(2)는 조임공(53)에 끼워져 하단의 깔때기정리대(67) 내측으로 들어간다. 간혹 진동에 의해서 깔때기(2)가 떨리게 되면, 상기 조임공(53)을 형성하는 실리콘필름층(52)은 그 탄성력에 의해서 깔때기(2)가 깔때기공(53)의 내주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깔때기(2)가 보관의 과정에서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깔때기정리대(67)의 경우도 그 내주면에 얇은 실리콘패드층(39)이 도포된 상태이기에 깔때기(2)가 부딪쳐도 깨지지 않는다. 즉, 깔때기(2)는 그 저면은 깔때기정리대(67)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저면판(33)의 상부에 깔린 실리콘패드층(39)에 안착되어 고 탄성을 가진 실리콘패드층(39)의 보호를 받으며, 상부는 상기 실리콘필름층(52)의 탄성에 의해서 깔때기공(53) 내측으로 만의 연동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깔때기(2)가 깨지는 것을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30)의 좌.우측면판(34, 35) 중 하나에는 메모리칩부(60)가 형성되는데, 이 메모리칩부(90)에는 타이머(81), 마이크(62), 스피커(82) 및 디지털 녹음기(61)를 부착하여, 별도의 스위치부(63)의 작동을 통해서 실험시간의 계측과 실험의 과정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메모리칩부(60)는 실험을 위해서 다양한 기능을 시험관대(100)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생물학, 화학 등의 실험의 경우, 정확한 반응시간과 측정시간을 준수할 필요가 있는데, 메모리칩부(60)의 타이머(81)는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정확하게 타이밍을 맞추어 정확하게 입력한 시간에 부저 등을 울려주는 형태로 실험자가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일정한 현상이 계속되는 시간을 실험자가 인식하고 싶다면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스톱워치의 기능도 가진다. 메모리칩(90)의 경우 소형의 마이컴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별도로 내장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작동될 수 있기에 다양한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특히 실험자는 실험을 하면서, 실험의 과정과 경과 그 내용을 녹음할 수도 있는데, 이는 별도로 마련되는 마이크(62)와 디지털 녹음기(61)를 통해서 달성한다. 디지털 녹음기(61)의 경우 상기 마이컴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작동이 가능하다. 소리의 입력을 위해서 마이크가 준비되는 것도 당연하고, 입력된 소리의 재생을 위한 스피커(82)도 준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시험관(1)과 깔때기(2) 및 삼각비이커 등 보관 기능, 실험의 과정과 경과 및 결과를 체크하는 기능, 녹음을 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즉, 이 건 발명의 상기 케이스(30)의 하단 일측에는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시험관(1)이나 깔때기(2)에서 빠지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공(83)이 형성되어, 시험관(1)이나 깔때기(2), 삼각비이커 및 삼각플라스크에서 빠져나오는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시험관(1)이나 깔때기(2)의 경우 실험을 하고 난 후, 깨끗이 세척하고 시험관대(100)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물기가 빠져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전술된 실리콘패드층(39)으로 흘러 드레인공(83)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케이스(30)를 이루는, 정면판(31), 배면판(32), 저면판(33), 좌.우측면판(34, 35) 및 간격판(36)에는 시험관(1)이나 깔때기(2)와 접촉할 수 있는 케이스(3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일정한 두께의 필름층이 형성되는데, 이 실리콘패드층(39)은 깔때기(2)와 시험관(1)이 깨지지 않도록 하면서, 배출되는 물을 흘려 상기 드레인공(83)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 건 발명의 케이스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약간의 색상이 들어가도 무방하다.
그럼 앞에서 그 설명을 미뤄 논 커버결합구조(B)를 상세히 설명한다.
즉, 상기 커버결합구조(B)는 시험관커버판(40)과 깔때기커버판(50)을 케이스(30)의 개방부(37)에 안착시켜 결합시키는 구조를 칭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2가지 형태의 결합구조를 가진다. 하나는 안착부(10)를 이용하는 것이고 하나는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상기 시험관커버판(40)과 깔때기커버판(50)은 양단폭이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정면판(31)과 배면판(32) 내측 상단에 장형의 홈 형태의 안착부(10)를 형성하고 있다. 정면판(31)과 배면판(32)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되는데, 이 간격과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로 깔때기커버판(40)과 시험관커버판(50)이 마련된다. 안착부(10)는 정면판(31)과 배면판(32) 최 상단에 내주면에 형성되는 장형의 홈과 같다. 정면판(31)과 배면판(32) 사이 간격이 깔때기커버판(40)과 시험관커버판(50)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기에 상기 커버판을 살짝 안착시키면 안착부(10)가 커버판의 측면을 수용하면서 안착이 이루어진다. 안착부(10)가 되는 평면부(11) 위에 커버판을 올려 놓는 형태로 안착된다. 이 건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깔때기커버판(50)과 시험관커버판(40)을 이용하여 케이스(30)의 개방부(37)를 커버하는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커버판을 달리 형성하여도 이 방식의 결합구조는 모두 수용할 수 있기에 사용이 편리하다.
이에 반하여 또 다른 결합구조의 경우 상기 정면판(31)과 배면판(32) 최 상단 내주면 즉, 상기 안착부(10) 바로 직 하방에는 일정한 간격을 형성한 가이드홈(20)을 형성하여 상기 깔때기커버판(50)과 시험관커버판(40)을 끼워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상기 안착부(10)의 하단으로 상기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간격을 수용하여 시험관커버판(40)과 깔때기커버판(50)이 슬리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을 형성하되, 안착부(10)의 높이(h1)와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의 높이(h2)는 모두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도록 형성한다. 깔때기커버판(50)과 시험관커버판(40)을 상기 가이드홈(20)에 맞춘 상태에서 가볍게 밀어넣게 되면, 상기 커버판은 가이드홈(20)을 따라 이동하여 케이스(30)의 상단 개방부(37)를 커버한다. 이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구조가 더욱 안정된 체결을 유지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경우 안착부(10)와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을 모두 활용하여 다양하게 커버판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스푼정리함(90)은, 도어가 되는 좌측면판(34) 또는 우측면판(35)의 외곽부에 장착하되,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함(91)을 형성하고, 밑판(92)에는 물빠짐공(93)을 형성하며, 케이스함(91)의 내측은 간격패널(94)을 이용하여 스푼(4)과 유리막대(3)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실험을 위한 모든 기기와 자재는 본 고안의 시험관대(100)를 이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대다수가 시험관(1), 깔때기(2), 스푼(4), 교반을 위한 유리막대(3)를 모두 별도로 보관수단을 통해서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시된 도 11에서처럼 좌.우측면판(34, 35) 중 도어로 형성한 측면판에 스푼정리함(90) 케이스(30)를 일체화시켜 실시한다.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밑판(92)의 경우만 조그만 물빠짐공(93)을 형성하여 통풍은 물론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30) 내부에 별도의 간격패널(94)을 결합시켜 스푼(4)과 유리막대(3)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가 개방되면서 흔들리는 작용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물을 드레인시키면서 스푼(4)과 유리막대(3)를 보관할 수 있다.
1; 시험관 2; 깔때기
10; 안착부 20; 가이드홈
30; 케이스 31; 정면판
32; 배면판 33; 저면판
34; 좌측면판 35; 우측면판
40; 시험관커버판 41; 시험관공
42; 실리콘필름층 43; 조임공
50; 깔때기커버판 61; 디지털 녹음기
62; 마이크 63; 스위치부
81; 타이머 82; 스피커
90; 스푼정리함 91; 케이스함
92; 밑판 93; 물빠짐공
94; 간격패널

Claims (2)

  1. 다수의 시험관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관대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개방부(37)를 갖고,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정면판(31), 배면판(32), 저면판(33), 및 좌.우측면판(34, 35)으로 이루어진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의 정면판(31)과 배면판(32)을 가로질러 연결하여 칸막이로 이용되는 간격판(36)과;
    상기 케이스(30)의 좌.우측면판(34, 35) 중 하나는 경첩(75)을 통해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는 형태로 하고, 일측단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작용을 마감할 수 있도록 정면판(31)에 부착한 대응벨크로테입(71)과 도어의 끝단에 부착한 벨크로테입(72)으로 이루어진 개폐수단(70)과;
    상기 케이스(30)의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최상단에 커버판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결합구조(B)와;
    상기 커버결합구조(B)에 끼워지도록 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과 폭을 가진 다수의 시험관공(41)을 형성하고, 시험관공(41)의 저면에 시험관(1)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조임공(43)을 가진 실리콘필름층(42)을 형성한 시험관커버판(40)과;
    상기 커버결합구조(B)에 끼워지도록 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과 폭을 가지고 깔때기(2)를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깔때기공(51)을 형성하고, 깔때기공(51)의 저면에 깔때기(2)의 흔들림을 차단하기 위한 조임공(53)을 가진 실리콘필름층(52)을 형성한 깔때기커버판(50)과;
    상기 케이스(30)의 좌.우측면판(34, 35) 중 하나에는 타이머(81), 마이크(62), 스피커(82) 및 디지털 녹음기(61)를 부착하여, 별도의 스위치부(63)의 작동을 통해서 실험시간의 계측과 실험의 과정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칩부(60)와;
    상기 케이스(30)의 하단 일측에는 시험관(1)이나 깔때기(2)에서 빠지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공(83);
    상기 케이스(30)를 이루는 정면판(31), 배면판(32), 저면판(33), 좌.우측면판(34, 35) 및 간격판(36)에는 시험관(1)이나 깔때기(2)와 접촉할 수 있는 케이스(3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면에 일정한 두께의 필름층을 형성하여 깔때기(2)와 시험관(1)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실리콘패드층(39);
    상기 케이스(30)의 외곽부 일측에 결합되는 스푼정리함(90)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결합구조(B)는 시험관커버판(40)과 깔때기커버판(50)의 양단폭이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정면판(31)과 배면판(32) 내측 상단에 장형의 홈 형태의 안착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10)의 하단으로 상기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두께를 수용하여 정면판(31)과 배면판(32)이 슬리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을 형성하되, 안착부(10)의 높이와 슬라이딩 가이드홈(20)의 높이는 모두 정면판(31)과 배면판(3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크도록 형성하여, 커버판이 안착부(10)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가이드홈(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시험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정리함(90)은,
    도어가 되는 좌측면판(34) 또는 우측면판(35)의 외곽부에 장착하되,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91)를 형성하고, 밑판(92)에는 물빠짐공(93)을 형성하며, 케이스(91)의 내측은 간격패널(94)을 이용하여 스푼(4)과 유리막대(3)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시험관대.
KR2020130003237U 2013-04-25 2013-04-25 다기능 시험관대 KR200467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237U KR200467794Y1 (ko) 2013-04-25 2013-04-25 다기능 시험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237U KR200467794Y1 (ko) 2013-04-25 2013-04-25 다기능 시험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794Y1 true KR200467794Y1 (ko) 2013-07-09

Family

ID=5139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237U KR200467794Y1 (ko) 2013-04-25 2013-04-25 다기능 시험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79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6681A (zh) * 2015-04-29 2015-08-12 苏州泰欧阔仪器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实验用烧瓶
KR101612316B1 (ko) * 2015-01-22 2016-04-29 서은빈 멀티 시험관 거치대
KR200486992Y1 (ko) 2018-05-31 2018-08-27 김은새 Led와 폐휴대폰(스마트폰)을 활용한 편리한 시험관대
CN108682266A (zh) * 2018-06-21 2018-10-19 山东东泰水处理有限公司 一种反渗透阻垢剂工作演示架
CN108906162A (zh) * 2018-07-19 2018-11-30 广西壮族自治区环境监测中心站 一种消解辅助装置
CN109794311A (zh) * 2019-03-12 2019-05-24 阳江核电有限公司 一种便于批量清洗试管的试管架
CN110841750A (zh) * 2019-11-29 2020-02-28 宇环智能科技(徐州)有限公司 一种生物技术研究用试管架收纳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574Y1 (ko) * 1992-04-02 1995-04-12 김낙연 다용도 실험용 스탠드
KR200406624Y1 (ko) * 2005-11-07 2006-01-23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체 또는 액체 저장용기용 보관 및 운반기구
US20080206112A1 (en) * 2006-10-25 2008-08-28 Michael Fu Modular test tube hol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574Y1 (ko) * 1992-04-02 1995-04-12 김낙연 다용도 실험용 스탠드
KR200406624Y1 (ko) * 2005-11-07 2006-01-23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체 또는 액체 저장용기용 보관 및 운반기구
US20080206112A1 (en) * 2006-10-25 2008-08-28 Michael Fu Modular test tube hold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16B1 (ko) * 2015-01-22 2016-04-29 서은빈 멀티 시험관 거치대
CN104826681A (zh) * 2015-04-29 2015-08-12 苏州泰欧阔仪器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实验用烧瓶
CN104826681B (zh) * 2015-04-29 2016-08-24 苏州泰欧阔仪器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实验用烧瓶
KR200486992Y1 (ko) 2018-05-31 2018-08-27 김은새 Led와 폐휴대폰(스마트폰)을 활용한 편리한 시험관대
CN108682266A (zh) * 2018-06-21 2018-10-19 山东东泰水处理有限公司 一种反渗透阻垢剂工作演示架
CN108906162A (zh) * 2018-07-19 2018-11-30 广西壮族自治区环境监测中心站 一种消解辅助装置
CN109794311A (zh) * 2019-03-12 2019-05-24 阳江核电有限公司 一种便于批量清洗试管的试管架
CN109794311B (zh) * 2019-03-12 2023-09-26 阳江核电有限公司 一种便于批量清洗试管的试管架
CN110841750A (zh) * 2019-11-29 2020-02-28 宇环智能科技(徐州)有限公司 一种生物技术研究用试管架收纳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794Y1 (ko) 다기능 시험관대
US9354055B2 (en) Tilt indicator
WO2008041808A1 (en) Structure of vessel for powdered milk and spoon
TW200922678A (en) Cartridge-filter type dust collector, and method for removing cartridge filter from the cartridge-filter type dust collector
JP5631227B2 (ja) 観賞魚用水槽装置
WO2007117113A1 (en) Tip arranger, apparatus for loading tip having the same, and tip used for the same
CN101595397B (zh) 剂量计容器
US200700628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drinking utensils
JP5048016B2 (ja) プレパラート収納ケース
JP5947123B2 (ja) 化粧料容器
JP3852907B2 (ja) 釣用携行具
CN214636573U (zh) 一种体检中心用采血试剂架
CN218353945U (zh) 非人灵长类动物认知测试装置
CN212952096U (zh) 一种具有防潮功能的防护箱
JP2000333949A (ja) 超音波診断装置のプローブホルダ
KR101755444B1 (ko) 포매 카세트의 보관이 용이한 케이스
CN211838039U (zh) 一种医用试管箱
CN211190261U (zh) 搅拌子清洗收纳盒
CN220107238U (zh) 一种控制柜柜门的启闭装置
CN217332475U (zh) 一种流体样品收集检测装置
CN214183155U (zh) 一种检验科临床化验试剂储存盒
RU2015101229A (ru) Одноразовая диагностическая карт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счи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211357749U (zh) 一种儿童图片识别玩具
JPH0968928A (ja) 装置のケース構造
JP2009109480A (ja) 計時板アクチュエータ及び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