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695Y1 -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 Google Patents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695Y1
KR200467695Y1 KR2020100009641U KR20100009641U KR200467695Y1 KR 200467695 Y1 KR200467695 Y1 KR 200467695Y1 KR 2020100009641 U KR2020100009641 U KR 2020100009641U KR 20100009641 U KR20100009641 U KR 20100009641U KR 200467695 Y1 KR200467695 Y1 KR 200467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broth
fram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113U (ko
Inventor
여종승
Original Assignee
여종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종승 filed Critical 여종승
Priority to KR2020100009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69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6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국물용 내용물이 충진되어 망용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망용기와 상기 망용기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지지테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면에 힌지회동되게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테에 체결되도록 하부 외측면에 결합테가 형성된 망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테에는 목부와 걸림헤드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테에는 상기 걸림헤드가 관통되는 입구와 상기 목부가 안내되는 곡선의 안내부로 이루어진 고정홈이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본체와 망덮개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고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며 이동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 filter net container }
본 발명은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망덮개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고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며 이동이 간편한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름망용기는 그 크기가 큰것으로 부터 작은것 까지 여러종류가 있으며, 이 거르개기의 내부에 차나 커피, 곡물같은 재료를 넣고 볶아서 식품으로 사용하거나 멸치와 같은 재료를 넣고 다려서 국물을 제조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거름망용기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여과공이 구비된 용기와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한 용기에 육수나 국물의 맛을 내기 위한 내용물(커피, 차, 결명자등의 곡물과 멸치나 미역, 다시마 등)을 넣은 후 별도의 집게로 용기와 덮개의 연결부위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내용물이 넣어진 망용기를 불어 굽거나 끊는물에 집어 넣는다. 그러면 멸치는 끊는물에 담겨지게 되고, 일정시간 지나면서 멸치의 국물이 제조된다. 이때, 멸치가 끊으면서 생기는 잔류물은 거름망용기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거름망용기는 손잡이가 없어 파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국물제조 후 잔존하는 내용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체결된 집게를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여과공을 갖는 별도의 거름망용기를 써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와 망덮개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고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며 이동이 간편한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국물용 내용물이 충진되어 망용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망용기와 상기 망용기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지지테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면에 힌지회동되게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테에 체결되도록 하부 외측면에 결합테가 형성된 망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테에는 목부와 걸림헤드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테에는 상기 걸림헤드가 관통되는 입구와 상기 목부가 안내되는 곡선의 안내부로 이루어진 고정홈이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망용기의 내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거름공간을 갖는 내부망용기와 상기 내부망용기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테로 이루어진 내부본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본체에는 내부덮개망과 고정테로 이루어진 내부개폐덮개가 탈착가능하게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헤드의 저면에는 경사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의 외곽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게 경사돌부가 마련되어 상기 덮개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면에 상기 경사돌부가 가압하여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고정링과 손잡이로 이루어진 배출부재가 더 체결되되, 상기 지지테의 저면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링에는 지지돌부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링에 끼움,고정된 상기 본체에서 상기 덮개가 회전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는 본체와 망덮개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고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분리되지 않으며 이동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10)(이하 거름망용기)는 국물용 내용물(멸치,미역 등)이 충진되는 망용기로서, 이에 이와같은 거름망용기(10)는 본체(20)와 망덮개(3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체(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금속의 망용기(21)와 상기 망용기(21)의 상부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금속의 지지테(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망덮개(30)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망덮개(30)는 금속의 망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힌지회동되게 손잡이부(31)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22)에 체결되도록 하부 외측면을 따라 결합테(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테(22)에는 목부(221a)와 걸림헤드(221b)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토퍼(221)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테(32)에는 상기 걸림헤드(221b)가 관통되는 입구(321a)와 입구에 끼움된 상기 목부(221a)가 안내되는 곡선의 안내부(321b)로 이루어진 고정홈(321)이 상기 스토퍼(221)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테(22)와 상기 결합테(32)는 상기 망용기(21)와 상기 망덮개(30)의 외측면에 용접고정시킬 수 있으며, 망용기(21)의 상단부 및 망덮개(30)의 하단부를 외측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환형의 절곡부(도시생략)에 지지테 및 결합테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걸림헤드(221b)의 저면에는 경사면(221b')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21)의 외곽에는 상기 경사면(221b')에 대응되게 경사돌부(321c)가 마련되어 상기 망덮개(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면(221b')를 상기 경사돌부(321c)가 가압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서,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스토퍼(221)가 고정홈(321)에서 이동되게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름망용기(10)는 먼저 본체(20) 내부에 국물용 내용물(도시생략)을 충진한 후 본체(20)의 상부에 망덮개(30)를 체결하게 된다. 즉 지지테(22)의 스토퍼(221)에 결합테(32)의 입구(321a)를 끼운 후 손잡이부(31)를 회전시켜 스토퍼(221)의 목부(221a)가 안내부(321b)에 안내됨과 아울러 걸림헤드(221b)에 의해 걸림되어 손쉽게 본체(20)에 망덮개(30)가 체결된다.
다음, 체결된 거름망용기(10)를 끓는 물에 넣고 국물이 우려나오게 일정시간 끓인 후 손잡이부(31)를 파지하여 끓는 물에서 거름망용기(10)를 꺼내게 되고, 손잡이부(31)를 회전시켜 망덮개(30)를 분리한 후 국물용 내용물을 제거함으로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망용기(21)의 내측면에는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11)에는 거름공간을 갖는 내부망용기(41)와 상기 내부망용기(41)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테(42)로 이루어진 내부본체(40)가 더 설치된다.
즉, 망용기(21)의 메시(mesh)보다 작은 메시를 갖는 내부망용기(41)를 상기 걸림턱(211)에 걸림되게 설치시킨 후 망용기(21)에는 통과하지만 내부망용기(41)에는 통과하지 못하는 국물용내용물(곡물이나 입자가 작은 약제등)을 내부망용기(41)에 배치한 후 국물이 우려라게 한다.
이때, 상기 내부본체(40)에는 내부덮개망(51)과 고정테(52)로 이루어진 내부개폐덮개(50)가 탈착가능하게 더 설치된다. 상기한 내부본체(40)와 내부개폐덮개(50)의 체결구조는 본체(20)와 망덮개(30)의 체결구조와 동일하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면, 상기에서는 망덮개(30)에 손잡이부(31)를 설치하여, 본체(20)에 체결된 망덮개(30)를 회전시켜 분리시키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본체(20)에는 고정링(61)과 손잡이(62)로 이루어진 배출부재(60)가 더 체결되되, 상기 지지테(22)의 저면에는 걸림돌기(222)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링(61)에는 지지돌부(611)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링(61)에 끼움되고 걸림,고정된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망덮개(30)가 회전분리되도록 한다.
즉, 본체(20)를 고정시키기 위해 배출부재(60)에 본체(20)를 끼운 후 망덮개의 손잡이부(31)를 회전시키면, 본체(20)의 걸림돌기(222)가 지지돌부(611)에 걸림되어 고정되면서 망덮개(30)만 회전되어 고정홈(321)에서 스토퍼(221)를 분리하게 됨으로서, 국물제조용 용기에서 건지어낸 뜨거운 국물이 흐르는 본체(20)에서 망덮개(3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에 곡물이 충진된 본체(20)에 배출부재(60)를 설치한 후 불로 가열하여 곡물을 굽거나 익힐 수 있게 된다.
10 : 거름망용기 20 : 본체
30 : 망덮개 40 : 내부본체
50 : 내부개폐덮개 60 : 배출부재
21 : 망용기 211 : 걸림턱
22 : 지지테 221 : 목부
221b : 걸림헤드 221b' : 경사면
222 : 걸림돌기 31 : 손잡이부
32 : 결합테 321 : 고정홈
321a : 입구 321b : 안내부
321c : 경사돌부 41 : 내부망용기
42 : 걸림테 51 : 내부덮개망
52 : 고정테 61 : 고정링
611 : 지지돌부 62 : 손잡이

Claims (5)

  1. 국물용 내용물이 충진되어 망용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망용기와 상기 망용기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지지테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며 상면에 힌지회동되게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테에 체결되도록 하부 외측면에 결합테가 형성된 망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테에는 목부와 걸림헤드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테에는 상기 걸림헤드가 관통되는 입구와 상기 목부가 안내되는 곡선의 안내부로 이루어진 고정홈이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게 형성된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에 있어서,
    상기 망용기의 내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거름공간을 갖는 내부망용기와 상기 내부망용기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테로 이루어진 내부본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본체에는 내부덮개망과 고정테로 이루어진 내부개폐덮개가 탈착가능하게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고정링과 손잡이로 이루어진 배출부재가 더 체결되되, 상기 지지테의 저면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링에는 지지돌부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링에 끼움,고정된 상기 본체에서 상기 덮개가 회전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KR2020100009641U 2010-09-14 2010-09-14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KR200467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41U KR200467695Y1 (ko) 2010-09-14 2010-09-14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41U KR200467695Y1 (ko) 2010-09-14 2010-09-14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13U KR20120002113U (ko) 2012-03-23
KR200467695Y1 true KR200467695Y1 (ko) 2013-06-28

Family

ID=4617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641U KR200467695Y1 (ko) 2010-09-14 2010-09-14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6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10B1 (ko) * 2012-11-13 2014-08-05 서달근 합성수지제 식품 건조 용기
KR101430024B1 (ko) * 2012-12-18 2014-08-20 박소정 국물의 양과 건더기의 양을 함께 조절할 수 있는 국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20Y1 (ko) * 2004-08-13 2004-11-03 주식회사삼일스텐 조리 용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20Y1 (ko) * 2004-08-13 2004-11-03 주식회사삼일스텐 조리 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13U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402B2 (en) Loose coffe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070186779A1 (en) Re-usable beverage maker filter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20060169149A1 (en) Basket for holding coffee grounds in coffee brewing machine
KR200467695Y1 (ko) 곡물구이 및 국물제조용 거름망용기
US8701549B2 (en) Brewing apparatus
US9089237B1 (en) Collapsible colander
US9968211B2 (en) Personal egg peeler
KR101926670B1 (ko)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TWI571319B (zh) 濾除裝置
JP6407424B2 (ja) 着脱式取っ手を備えた調理容器
KR100866930B1 (ko) 찻잎 거름망
CN106419674A (zh) 一种组合式调味盒
KR100614111B1 (ko) 삼계탕을 위한 찜닭 장치
CA2580870C (en) Arrangement for a grill
KR102186655B1 (ko) 거름 망을 구비한 조리용 기구
CN208973307U (zh) 新型两用锅
CN208582185U (zh) 烹饪器具
KR200488732Y1 (ko) 국물 제조용 거름망
KR200373948Y1 (ko) 착탈이 가능한 걸름통을 구비한 음식용구
KR200488731Y1 (ko) 국물 제조용 거름망
WO1994028778A1 (en) Saucepan
KR200479511Y1 (ko) 깔때기가 부설되는 조리용 거름망
JP3229558U (ja) 茶類成分抽出器具
KR200452919Y1 (ko) 소금단지
CN207654053U (zh) 一种油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