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154Y1 - 휴대용 가방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7154Y1 KR200467154Y1 KR2020110009525U KR20110009525U KR200467154Y1 KR 200467154 Y1 KR200467154 Y1 KR 200467154Y1 KR 2020110009525 U KR2020110009525 U KR 2020110009525U KR 20110009525 U KR20110009525 U KR 20110009525U KR 200467154 Y1 KR200467154 Y1 KR 20046715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wall
- storage space
- article
- partition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outside compart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6—Inser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을 구분 수납한 후 휴대가능하므로 물품을 간편하게 넣거나 뺄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수납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휴대함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가능하게 잠금수단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하여 구비되고 물품을 종류별로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체는 상기 수납공간의 구획 여부를 선택하여 상기 몸체에 내삽하거나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을 구분 수납한 후 휴대가능하므로 물품을 간편하게 넣거나 뺄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수납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휴대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이나 화장품, 필기구, 책, 서류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실외로 가지고 나가야 할 경우에는 물품을 넣어 편리하게 들고다니거나 메고 다니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가방을 구비한 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가방은 사용자가 휴대할 물품의 종류 및 사용용도에 따라 여행가방, 서류가방, 휴대용 가방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제작된다. 그 중, 휴대용 가방은 화장품이나 휴대폰 등 외출할 때 항시 휴대할 필요성이 있는 물품을 넣어 다닐 수 있도록 비교적 작고 적절한 크기로 제작되어 용이하게 사용한다.
이러한 휴대용 가방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1639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1263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1267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가방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1639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1263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1267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용 가방은 휴대성을 도모하고자 작은 크기로 제작되고 내부공간에 경박단소한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그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극히 제한된 물품만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나머지 물품은 특별히 분류하지 못한 채 무분별하게 수납하여 물품을 찾거나 꺼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방은 휴대성을 높이고자 천과 같이 가벼운 소재만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수납된 물품에 대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손상될 여지가 있어 물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외출할 때마다 항시 소지하게 되는 필수적인 물품이지만 의류의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니기에는 그 크기가 다소 큰 물품으로서 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 전자사전 등의 전자물품들이 제시된다.
이러한 전자물품에 대해 사용자가 주머니 속에 넣어 다닐 경우 활동성이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활동이 불편하고, 이에 기존의 휴대용 가방에 넣어 휴대하는 경우 협소한 공간에서 다른 물품과 지속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물품에 잦은 흠이나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자물품을 별도로 꺼내 다소 큰 가방 속에 다른 여러 부류의 물품과 함께 무분별하게 넣어 다닐 경우에는 가방의 내부공간이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이는 필요할 때마다 물품을 찾아 사용하기가 어려움은 물론 신속하게 물품을 찾아 사용하기에는 더욱 어렵고 물품의 분실위험도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지퍼를 사용하여 가방을 개방하는 과정만으로는 물품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므로 가방을 연후 서로 대치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벌린 다음에야 물품을 찾아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번거로우며 물품을 꺼내는 과정에서 지퍼에 접촉하여 흠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을 구분 수납할 수 있게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수단을 구성하므로 가방 내부의 수납공간을 항시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고 물품을 쉽게 찾을 수 있음은 물론 간편하게 넣거나 뺄 수 있어 물품의 수납 및 사용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휴대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수납한 물품에 대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하므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가방의 내부 수납공간에서 물품 간의 접촉이나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하여 물품에 흠이나 손상이 가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며, 전자물품(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의 구분 수납에 탁월하면서도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가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물품의 수납공간을 개방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영역이 확대되도록 구성하므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이는 물품을 신속하게 찾아 쉽게 꺼낼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가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휴대용 가방은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가능하게 잠금수단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하여 구비되고 물품을 종류별로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체는 상기 수납공간의 구획 여부를 선택하여 상기 몸체에 내삽하거나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는 외부 표면을 이루고 양쪽 측면 및 상면이 절개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기 잠금수단이 설치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면에 봉제 접합하여 물품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내피와, 상기 외피와 내피의 사이에 구비되고 물품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완충시키는 제1쿠션재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의 외피는 상기 잠금수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경우에 전/후면이 서로 대칭된 형태를 이루며 자연히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측면과 전/후면 간에 봉제 접합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는 내부 상기 수납공간의 전/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수납포켓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체의 내면에 상부가 고정 접합하고, 상기 몸체의 내면과 접하는 사이 공간에 상기 격벽체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고정가능토록 형성된다.
상기 격벽체는 양쪽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벽과, 상기 사이드벽 간에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다수의 물품 간에 서로를 구획하고 상단 중심에 접지선을 통해 접혀 이중벽면을 이루며 하단이 서로 접합하는 격벽과, 상기 사이드벽 및 격벽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연결하고 하부 면을 형성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벽 및 격벽에는 각각 물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토록 완충하는 제2쿠션재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체는 상기 격벽의 개수를 달리하여 다양한 부류로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할 물품의 개수 및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적용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체는 이중벽면을 이루도록 서로 접하는 격벽으로부터 접합상태를 해제한 후 하나의 수납가능한 공간만을 이룰 수 있게 수납구조를 가변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격벽체는 상기 격벽의 이중벽면을 서로 접합상태나 접합해제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격벽의 상측에 상기 접지선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하측에 위치하고 상호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방에 의하면 내부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체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므로 물품의 종류 및 크기에 맞게 수납공간의 구조를 바꿔 다양한 물품의 원활한 수납이 가능하고, 가방 내부에 구분된 수납공간을 이루어 항상 정돈된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물품을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으며 물품을 간편하게 넣거나 뺄 수 있어 물품의 수납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제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은 내부에 수납된 물품에 대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함은 물론 내부 수납공간에서 물품 간의 접촉이나 충격을 완충하도록 제1쿠션재와 제2쿠션재를 구성하므로 외부충격을 완화하여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물품에 흠이나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가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물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은 내부 수납공간을 적절하게 구획하여 구분하도록 격벽체와 함께 충격을 완충토록 제1,2쿠션재를 구비하여 구성하므로 디지털카메라나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물품을 구분하여 안전하게 수납함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의류의 주머니와 같이 직접적으로 소지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은 내부 수납공간을 잠금수단을 통해 개방하면 개구된 개방영역이 자동으로 열려 확대되도록 봉제 접합하여 구성하므로 수납된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함은 물론 물품을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찾아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물품을 꺼내는 과정에서 잠금수단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물품에 흠이나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물품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격벽체의 제1실시예를 펼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격벽체의 제2실시예를 펼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격벽체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변형 전과 변형 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격벽체의 제1실시예를 펼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격벽체의 제2실시예를 펼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격벽체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변형 전과 변형 후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은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가능하게 잠금수단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하여 구비되고 물품을 종류별로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체는 상기 수납공간의 구획 여부를 선택하여 상기 몸체에 내삽하거나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외부 표면을 이루고 양쪽 측면 및 상면이 절개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기 잠금수단이 설치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면에 봉제 접합하여 물품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내피와, 상기 외피와 내피의 사이에 구비되고 물품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완충시키는 제1쿠션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피는 상기 잠금수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경우에 전/후면이 서로 대칭된 형태를 이루며 자연히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측면과 전/후면 간에 봉제 접합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내부 상기 수납공간의 전/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수납포켓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체의 내면에 상부가 고정 접합하고, 상기 몸체의 내면과 접하는 사이 공간에 상기 격벽체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고정가능토록 형성되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체는 양쪽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벽과, 상기 사이드벽 간에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다수의 물품 간에 서로를 구획하고 상단 중심에 접지선을 통해 접혀 이중벽면을 이루며 하단이 서로 접합하는 격벽과, 상기 사이드벽 및 격벽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연결하고 하부 면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벽 및 격벽에는 각각 물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토록 완충하는 제2쿠션재가 형성되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체는 상기 격벽의 개수를 달리하여 다양한 부류로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할 물품의 개수 및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적용가능하도록 구성하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격벽체는 이중벽면을 이루도록 서로 접하는 격벽으로부터 접합상태를 해제한 후 하나의 수납가능한 공간만을 이룰 수 있게 수납구조를 가변형으로 형성하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체는 상기 격벽의 이중벽면을 서로 접합상태나 접합해제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격벽의 상측에 상기 접지선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하측에 위치하고 상호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가방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와, 격벽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서리부분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육면체의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용적량을 갖는 수납공간(13)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공간(13)의 용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형의 전자제품 즉, 디지털카메라나 스마트폰 등을 적어도 2개 이상 수용가능한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몸체(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표면을 이루는 외피(11)와, 내부에서 상기 수납공간(13)의 벽면을 이루는 내피(16)와, 상기 외피(11)와 내피(16)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쿠션재(18)로 구성된다.
상기 외피(11)는 기본적인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전/후면과 하면이 하나의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좌우 측면과 상면이 하나의 연결된 구조를 이룬 후 서로 접하는 모서리 부분이 서로 연계된 연결구조를 갖도록 봉제 접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외피(11)의 양쪽 측면 및 상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개구부(12)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2)에는 상기 수납공간(13)을 개폐가능하도록 잠금수단(14)이 봉제 접합하여 구비된다.
상기 잠금수단(14)은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부(12)의 절개된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지퍼(zipper)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외피(11)는 도 3에서처럼 전/후면이 각각 상기 개구부(12)의 반대방향을 향해 가상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10~15°정도 기울어진 경사면(15)을 이루도록 측면과 전/후면 간에 봉제 접합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외피(11)는 상기 잠금수단(14)으로부터 상기 개구부(12)를 개방할 경우에 전/후면이 서로 대칭된 형태를 이루며 자연히 벌어지도록 봉제 접합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외피(11)가 원천적으로 경사면(15)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잠금수단(14)으로부터 상기 수납공간(13)을 개방하는 조작만으로 수납된 물품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어 원하는 물품을 원활하게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으며 물품을 꺼내거나 수납하는 과정에서 물품이 상기 잠금수단(14)에 접촉됨이 없어 물품에 흠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피(11)는 유연하면서도 형상복원력 및 형상을 유지함이 뛰어난 반투명의 합성비닐(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등)을 소재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10)의 내피(16)는 상기 외피(11)의 내면에 봉제 접합하여 상기 수납공간(13)에 수용된 물품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피(16)는 얇고 가벼운 유연한 재질로서 천 또는 캔버스와 같은 소재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3)에는 상기 내피(16)와 접하여 위치하고 비교적 작고 얇은 물품(예를 들면, 카드 등)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30)는 상기 수납공간(13)의 전/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구비하되 전후 양면에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30)에는 주머니 형태를 이루어 물품을 수납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수납포켓(31)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30)는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상부만 봉제 접합하여 상기 내피(16)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수납부(30)의 하부를 비롯한 양측은 접합하지 않은 상태로서 상기 수납부(30)가 상기 몸체(10)의 내면 즉, 상기 내피(16)와 접하는 사이 공간에 상기 격벽체(20)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고정가능토록 형성된다.
상기 제1쿠션재(18)는 상기 외피(11)와 내피(16)의 사이에 위치하여 전체적인 면에 구비되고 물품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완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쿠션재(18)는 5~12㎜의 두께로 형성되고, 스펀지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격벽체(20)는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3)에 수용할 물품을 종류별로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13)을 일정하게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격벽체(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납공간(13)의 구획여부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내삽하거나 분리가능하게 분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체(20)는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배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격벽체(2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위치하되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수납부(30)로부터 감싸져 안정적으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격벽체(2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내에 물품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이드벽(21) 및 격벽(23)과, 연결부(25)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벽(21)은 상기 격벽체(20)의 양쪽 외측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사이드벽(21)은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대응하는 면적의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부(3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결합관계를 유지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격벽(23)은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3)으로 수용되는 다수의 물품 간에 서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사이드벽(21) 간에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상기 격벽(23)은 이중벽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격벽(23)은 두 개의 벽체가 서로 접하여 이중의 벽면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격벽(23)의 상단 중심에 위치하는 접지선(24)을 통해 접히고 하단을 서로 봉제 접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벽(21) 및 격벽(23)에는 각각 물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토록 완충하는 제2쿠션재(27)가 형성된다.
상기 제2쿠션재(27)는 상술한 제1쿠션재(18)와 동일하게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25)는 상기 사이드벽(21) 및 격벽(23)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벽(21)과 격벽(23)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연결하고 상기 몸체(10)에 내삽한 후 하부 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5)의 길이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하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 격벽체(20)는 상기 격벽(23)의 개수를 달리하여 다양한 부류로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13)에 수납할 물품의 개수 및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적용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10)에 수납할 물품이 크기가 작은 종류의 물품이거나 여러 개의 물품을 수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격벽(23)을 2개 이상 즉, 수용할 물품의 개수에 맞춘 상기 격벽체(20)로 교체하여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3)에 적용한다.
상기와 같이 격벽체(20)를 다양한 부류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3)에 수납할 물품을 개수에 따라 각각 구획하여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물품의 종류에 따라 구획할 공간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제품의 효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체(2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격벽(23)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공간으로부터 하나의 수납가능한 공간만을 이룰 수 있게 수납구조의 형상을 변형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변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변형의 상기 격벽체(20)는 이중벽면을 이루도록 서로 접하는 상기 격벽(23)으로부터 접합상태를 해제한 후 하나의 수납가능한 공간을 이루고, 상기 격벽(23)의 벽체는 각각 양쪽에 구비된 상기 사이드벽(21)을 향해 접함에 따라 상기 사이드벽(21)이 이중벽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가변형의 상기 격벽체(20)에는 고정부재(29)와 보조연결부(2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9)는 상기 격벽(23)의 이중벽면을 서로 접합상태나 접합해제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23)의 벽면 간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9)는 상기 격벽(23)이 서로 접하는 한쪽 면상의 중앙에 서로 대응하여 접하도록 한 개의 쌍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격벽(23)이 서로 접하는 한쪽 면상의 좌우 양쪽에 각각 한 쌍씩 두 개의 쌍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안정적인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29)는 소정의 자력을 통해 서로 접하도록 구성되는 자석단추를 적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재(29)는 접착테이프 형태를 갖는 벨크로(velcro:찍찍이)를 적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고정부재(29)는 수단추와 암단추를 서로 눌러 맞추므로 채우는 형태를 갖는 스넵 파스너(snap fastener:똑딱단추)를 적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연결부(26)는 상기 격벽(23)의 상측에 각각 상기 접지선(24)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하측에 소정의 길이범위를 이루며 위치한다.
상기 보조연결부(26)의 길이는 상기 연결부(25)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연결부(26)는 한쪽 상기 격벽(23)과의 경계선을 기점으로 상호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변형의 상기 격벽체(20)를 변형함에는 도 6의 (a)에서처럼 상기 격벽(23)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3)을 복수로 구획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의 수납공간(13)에 수용할 물품이 하나로서 그 부피가 클 경우에는 도 6의 (b)에서처럼 상기 고정부재(29)를 접합해제한 후 상기 격벽(23)의 벽면이 양쪽 상기 사이드벽(21)에 이중으로 접하도록 접어 상기 보조연결부(26)가 하면을 이루도록 구조를 변형함에 따라 하나의 수납가능한 공간을 이루도록 변형한 후 적용한다.
상기와 같이 격벽체(20)를 가변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하나의 격벽체(20)로부터 수납할 물품에 대응하여 수납공간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몸체(10)에 구비된 제1쿠션재(18)와 더불어 상기 격벽체(20)에 구비된 제2쿠션재(27)로부터 2중으로 물품을 보호하므로 완충작용을 높여 물품의 안전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방에 의하면, 내부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체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므로 물품의 종류 및 크기에 맞게 수납공간의 구조를 바꿔 다양한 물품의 원활한 수납이 가능하고, 가방 내부에 구분된 수납공간을 이루어 항상 정돈된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물품을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으며 물품을 간편하게 넣거나 뺄 수 있어 물품의 수납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제품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내부에 수납된 물품에 대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함은 물론 내부 수납공간에서 물품 간의 접촉이나 충격을 완충하도록 제1쿠션재와 제2쿠션재를 구성하므로 외부충격을 완화하여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물품에 흠이나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가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물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 수납공간을 적절하게 구획하여 구분하도록 격벽체와 함께 충격을 완충토록 제1,2쿠션재를 구비하여 구성하므로 디지털카메라나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물품을 구분하여 안전하게 수납함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의류의 주머니와 같이 직접적으로 소지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 수납공간을 잠금수단을 통해 개방하면 개구된 개방영역이 자동으로 열려 확대되도록 봉제 접합하여 구성하므로 수납된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함은 물론 물품을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찾아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물품을 꺼내는 과정에서 잠금수단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물품에 흠이나 스크레치 등의 손상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물품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 : 몸체 11 : 외피 12 : 개구부
13 : 수납공간 14 : 잠금수단 15 : 경사면
16 : 내피 18 : 제1쿠션재 20 : 격벽체
21 : 사이드벽 23 : 격벽 24 : 접지선
25 : 연결부 26 : 보조연결부 27 : 제2쿠션재
29 : 고정부재 30 : 수납부 31 : 수납포켓
13 : 수납공간 14 : 잠금수단 15 : 경사면
16 : 내피 18 : 제1쿠션재 20 : 격벽체
21 : 사이드벽 23 : 격벽 24 : 접지선
25 : 연결부 26 : 보조연결부 27 : 제2쿠션재
29 : 고정부재 30 : 수납부 31 : 수납포켓
Claims (10)
-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가능하게 잠금수단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하여 구비되고 물품을 종류별로 구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격벽체는 양쪽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벽과, 상기 사이드벽 간에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다수의 물품 간에 서로를 구획하고 상단 중심에 접지선을 통해 접혀 이중벽면을 이루며 하단이 서로 접합하는 격벽과, 상기 사이드벽 및 격벽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연결하고 하부 면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상기 수납공간이 구비된 상기 몸체에 내삽하거나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부 표면을 이루고 양쪽 측면 및 상면이 절개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기 잠금수단이 설치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면에 봉제 접합하여 물품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내피와, 상기 외피와 내피의 사이에 구비되고 물품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완충시키는 제1쿠션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피는 상기 잠금수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 경우에 전/후면이 서로 대칭된 형태를 이루며 자연히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측면과 전/후면 간에 봉제 접합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 상기 수납공간의 전/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가능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수납포켓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몸체의 내면에 상부가 고정 접합하고, 상기 몸체의 내면과 접하는 사이 공간에 상기 격벽체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고정가능토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벽 및 격벽에는 각각 물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토록 완충하는 제2쿠션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체는, 상기 격벽의 개수를 달리하여 다양한 부류로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할 물품의 개수 및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적용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
- 청구항 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체는, 이중벽면을 이루도록 서로 접하는 격벽으로부터 접합상태를 해제한 후 하나의 수납가능한 공간만을 이룰 수 있게 수납구조를 가변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격벽체는, 상기 격벽의 이중벽면을 서로 접합상태나 접합해제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격벽의 상측에 상기 접지선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하측에 위치하고 상호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9525U KR200467154Y1 (ko) | 2011-10-26 | 2011-10-26 | 휴대용 가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9525U KR200467154Y1 (ko) | 2011-10-26 | 2011-10-26 | 휴대용 가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705U KR20130002705U (ko) | 2013-05-06 |
KR200467154Y1 true KR200467154Y1 (ko) | 2013-05-31 |
Family
ID=5242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9525U KR200467154Y1 (ko) | 2011-10-26 | 2011-10-26 | 휴대용 가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7154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99120B2 (ja) * | 2005-02-07 | 2007-03-28 | 株式会社スーパープランニング | 多目的バッグ |
KR200451267Y1 (ko) * | 2010-05-07 | 2010-12-06 | 정은득 | 휴대용 가방 |
-
2011
- 2011-10-26 KR KR2020110009525U patent/KR20046715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99120B2 (ja) * | 2005-02-07 | 2007-03-28 | 株式会社スーパープランニング | 多目的バッグ |
KR200451267Y1 (ko) * | 2010-05-07 | 2010-12-06 | 정은득 | 휴대용 가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705U (ko) | 2013-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13412B2 (en) |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case and article carrying pouch | |
US20130048520A1 (en) | Accessory retention band | |
KR101371564B1 (ko) | 분할식 수납공간을 갖는 레저용 접이식 가방 | |
US8267130B1 (en) | Handbag with padded pockets | |
US20200352297A1 (en) | Bag organizer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 |
US10314374B2 (en) | Luggage with hidden storage compartment within expandable area | |
KR101098523B1 (ko) | 휴대폰 케이스 | |
WO2013121314A1 (en) | Handbag or travelling bag provided with a pocket for containing a tablet, a smartphone, a palmtop computer or other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externally viewable screen and with a window to allow the user to see the screen of this device and interact with it | |
KR200469872Y1 (ko) | 접이식 칸막이가 마련된 여행용 가방 | |
KR200472280Y1 (ko) |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 |
KR101436890B1 (ko) | 가방 수납공간이 분활되게 착탈되는 분할판 | |
KR101251936B1 (ko) | 휴대기기용 지퍼케이스 | |
KR200457395Y1 (ko) | 터치스크린 패널을 갖는 휴대형 단말기용 가방 | |
KR200467154Y1 (ko) | 휴대용 가방 | |
JP3214128U (ja) | スーツケース | |
KR200454805Y1 (ko) | 여행용 가방 | |
JP3170635U (ja) | 手提げバッグ | |
JP3187772U (ja) | 硬質スーツケース用電子製品収納構造 | |
KR200489991Y1 (ko) | 노트북 전용가방 | |
JP2008178494A (ja) | パソコンバッグ | |
KR101285622B1 (ko) | 북 포켓 겸용의 분리형 보조백을 갖는 가방 | |
CN203538567U (zh) | 一种平板电脑的多功能手提保护装置 | |
JP7491128B2 (ja) | 電子機器収納ケース | |
KR20160134057A (ko) | 여행용 파우치 | |
KR200472307Y1 (ko) | 휴대폰 보호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