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18Y1 - 다기능 운반차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818Y1
KR200466818Y1 KR2020120012027U KR20120012027U KR200466818Y1 KR 200466818 Y1 KR200466818 Y1 KR 200466818Y1 KR 2020120012027 U KR2020120012027 U KR 2020120012027U KR 20120012027 U KR20120012027 U KR 20120012027U KR 200466818 Y1 KR200466818 Y1 KR 200466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chassis
support
wheel
whe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선
Original Assignee
김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선 filed Critical 김형선
Priority to KR2020120012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8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62B1/2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involving parts being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1/202Detachable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62B1/18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comprising an additional wheel, e.g. mounted on the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0Detachable wheels
    • B62B2205/104Detachable wheel units, e.g.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Abstract

본 고안은 차대에 이동 가능한 가변대를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일륜 또는 이륜으로 변경하여 구성이 가능하며, 운반함이나 컨테이너박스 모두 장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다기능 운반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기능 운반차는, 상부는 받침부(110)로 구성되고 하부는 구동부(120)로 구성되는 차대(100); 상기 받침부(110)의 일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200); 상기 구동부(120)에 회전되게 장착되는 바퀴부재(300); 상기 받침부(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운반구(400); 상기 받챔부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500); 상기 구동부(120)에 너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변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퀴부재(300)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대(6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대(600) 사이 또는 상기 가변대(600)와 상기 차대(100)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반차 {A mulit function cart}
본 고안은 다기능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논밭 등에서 수확물이나 자재 등을 운반할 때 사용되며, 운반물이나 지면 상태에 따라 구조를 변경하여 효과적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다기능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운반차는 바퀴가 2개로 이루어진 이륜차가 안정적이고 사용이 편리하나, 밭의 골과 골 사이를 이동하거나 울퉁불퉁한 지면을 운반차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바퀴가 1개로 이루어진 일륜차를 사용한다.
종래의 일륜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쇠 파이프로 이루어진 차대(1)와, 차대(1)의 하부 전방에 회전되게 장착되는 바퀴(4)와, 상기 차대(1)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어 정지시 지면에 접하여 상기 차대(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5)와, 상기 차대(1)의 상부에 장착되어 운반물을 수용하는 운반함(3)과, 상기 차대(1)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운전대 손잡이(2)로 이루어진다.
한편, 요즘 농어촌에서는 운반함이 부착된 운반차도 사용하지만, 사각 박스 즉, 콘테이너박스에 농수산물 등의 운반물을 담아 운반차에 싣고 이동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운반함이 부착된 운반차에는 콘테이너박스를 실을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콘테이너박스 운반차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래의 일륜 운반차는 밭 사이를 이동할 때에는 편리하지만, 일반 도로를 이동할 때에는 바퀴가 하나로 이루어져 균형을 잡기 힘들고, 힘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63438호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2130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대에 이동 가능한 가변대를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일륜 또는 이륜으로 변경하여 주행 가능하며, 운반함이나 컨테이너박스 모두 장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운반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기능 운반차는, 상부는 받침부(110)로 구성되고 하부는 구동부(120)로 구성되는 차대(100); 상기 받침부(110)의 일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200); 상기 구동부(120)에 회전되게 장착되는 바퀴부재(300); 상기 받침부(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운반구(400); 상기 받침부(110)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500); 및 상기 구동부(120)에 너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변대(600);를 포함하되, 상기 바퀴부재(300)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대(6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대(600) 사이 또는 상기 가변대(600)와 상기 차대(100)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구동부(120)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가변대(60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너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가이드홈(121) 및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가이드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대(600)는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홈(121) 및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홈(122)에 각각 장착되는 제1가변대(610) 및 제2가변대(6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가 상기 차대(100)의 가운데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부재(300)는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가 각각 상기 차대(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부재(300)는 상기 차대(100)와 상기 제1가변대(610) 사이 및 상기 차대(100)와 상기 제2가변대(620)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110)는, 상기 운반구(400)의 하부와 접하여 상기 운반구(400)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11);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운반구(40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12);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양측에 각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운반구(400)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측부프레임(113);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대(100)의 전방에는 상기 바퀴부재(300)를 임시로 보관하는 바퀴보관대(7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기능 운반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측부프레임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운반구의 전면과 측면을 모두 지지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후술할 상기 운반구가 사각 컨테이너박스이거나 사다리꼴 운반함일 경우 모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별도의 운반차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차대에 너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가변대를 설치함으로써, 주행장소에 따라, 즉 좁은 밭의 골 사이를 이동할 때는 일륜으로, 넓은 농로를 이용할 때에는 이륜으로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주행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바퀴부재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륜 운반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일륜 구동시 평면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이륜 구동시 평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일륜 구동시 평면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의 이륜 구동시 평면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반차는 차대(100), 지지대(200), 바퀴부재(300), 운반구(400), 손잡이부(500), 가변대(600) 및 바퀴보관대(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대(100)는 내부가 빈 원형 파이프를 절곡 및 용접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받침부(110)와 구동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110)는 상기 차대(100)의 전체적인 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써, 하부프레임(111), 전방프레임(112) 및 측부프레임(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프레임(111)은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평평하게 배치되고, 후술할 상기 운반구(400)의 하부와 접하여 상기 운반구(40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너비 방향 양측에는 타단, 즉 후방으로 후술할 상기 손잡이부(50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12)은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세워진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일단, 즉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게 배치되어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전방프레임(112)은 상기 운반구(400)의 전면과 접하거나 나사 결합되어 상기 운반구(400)가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측부프레임(113)은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너비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세워지게 배치된다.
상기 측부프레임(113)은 후술할 상기 운반구(400)의 측면과 접하거나 결합되어, 상기 운반구(400)가 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부(110)는 상기 하부프레임(111)에 상기 전방프레임(112) 및 상기 측부프레임(113)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운반구(400)의 전면과 측면을 모두 지지함으로써, 상기 받침부(110)에 안착되는 후술할 상기 운반구(400)의 형태가 다양하더라도, 즉 사각 컨테이너박스이거나 사다리꼴 운반함일 경우 모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각 용도별로 운반차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구동부(120)는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일단, 즉 전방이 상기 전방프레임(112)의 하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너비 방향으로 제1가이드홈(121)과 제2가이드홈(1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121)은 2개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120)의 길이 방향 양단에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120)의 너비 방향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 즉 내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122)은 2개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 양단에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120)의 너비 방향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내측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홈(121)과 상기 제2가이드홈(122)은 너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너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홈(121)과 상기 제2가이드홈(122)에는 후술할 상기 가변대(600)의 양단이 너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110)의 일단, 즉 후방에는 지면 방향으로 'U'자 형상의 지지대(2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받침부(110)와 마찬가지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110)의 너비 방향 양측, 즉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너비 방향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200)는 운반차의 정지시 지면에 고정되어 후술할 상기 바퀴부재(3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대(200)의 하단에 뾰족한 앵커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200)가 지면에 잘 박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바퀴부재(300)는 일반적인 운반차의 바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120)의 내측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상기 바퀴부재(300)는 일륜으로 구동할 시에는 후술할 상기 가변대(600) 사이에 1개만 장착되고, 이륜으로 구동할 시에는 상기 차대(100) 즉, 상기 구동부(120)의 너비방향 양측과 상기 가변대(600) 사이에 1개씩, 총 2개가 장착된다.
또한, 운반차가 일륜으로 구동될 때에는 2개의 상기 바퀴부재(300) 중 나머지 하나는 후술할 상기 바퀴보관대(700)에 임시 보관된다.
상기 운반구(400)는 운반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는 용기로써,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운반함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구(400)는 사각형 형상의 컨테이너박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운반구(400)는 그 형태와 크기가 다르더라도, 상기 받침부(110)의 상기 전방프레임(112)과 상기 측부프레임(11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110)의 하부프레임(111)의 너비 방향 양단에는 타단 방향, 즉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손잡이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00)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 커버가 장착된다.
운반차를 운전할 때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500)의 끝단을 잡고 방향을 조절하면서 앞으로 밀어 운반차를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가변대(600)는 상기 구동부(120)에 너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운반차를 일륜 또는 이륜으로 선택적으로 변형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대(600)는 상기 제1가이드홈(121)에 삽입되는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이드홈(122)에 삽입되는 제2가변대(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는 상호 동일한 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가변대(610)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120)의 너비방향 일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가이드홈(121)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120)의 너비방향 타측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가이드홈(121)에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가변대(620)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제2가이드홈(122)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12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제2가이드홈(122)에 삽입된다.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는 수동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홈(121) 및 상기 제2가이드홈(122)을 따라 상기 차대(100)의 너비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가 일륜으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가 상기 차대(100)의 가운데 방향, 즉 상기 구동부(12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 사이에 상기 바퀴부재(300)가 1개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는 상기 제1가이드홈(121) 및 상기 제2가이드홈(122)의 일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퀴부재(30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1가변대(610)는 상기 제1가이드홈(121)의 일단, 즉 우측단에 접하고, 상기 제2가변대(620)는 상기 제2가이드홈(121)의 일단, 즉 좌측단에 접한다.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 사이에 상기 바퀴부재(300)가 결합되면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는 너비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반면, 도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가 이륜으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가 각각 상기 차대(100), 즉 상기 구동부(12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120)의 너비 방향 일측단과 상기 제1가변대(610) 사이 및 상기 받침부(120)의 너비방향 타측단과 상기 제2가변대(620) 사이에 상기 바퀴부재(300)가 1개씩, 총 2개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는 상기 제1가이드홈(121) 및 상기 제2가이드홈(122)의 타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퀴부재(30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1가변대(610)는 상기 제1가이드홈(121)의 타단, 즉 좌측단에 접하고, 상기 제2가변대(620)는 상기 제2가이드홈(121)의 타단, 즉 우측단에 접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구동부(120)의 좌측단 사이에 상기 바퀴부재(300)가 1개 연결되고, 상기 제2가변대(620)와 상기 구동부(120)의 우측단 사이에 상기 바퀴부재(300)가 1개 연결되면,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는 너비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대(100)에 너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가변대(600)를 설치함으로써, 주행하는 장소에 따라, 즉 좁은 밭의 골 사이를 이동할 때는 일륜으로, 넓은 농로를 이용할 때에는 이륜으로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주행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가변대(600)와 상기 차대(1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바퀴부재(300)의 크기도 다양하게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대(100)의 전방에는 상기 바퀴부재(300)를 임시로 보관하는 상기 바퀴보관대(700)가 형성된다.
상기 바퀴보관대(70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정면에서 바라볼 때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바퀴보관대(700)는 상기 전면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며, 운반차가 일륜으로 구동될 때 여분의 상기 바퀴부재(300)가 임시로 보관된다.
본 고안인 다기능 운반차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차대, 110 : 받침부,
111 : 하부프레임, 112 : 전방프레임,
113 : 측부프레임, 120 : 구동부,
121 : 제1가이드홈, 122 : 제2가이드홈,
300 : 바퀴부재, 400 : 운반구,
500 : 손잡이부, 600 : 가변대,
610 : 제1가변대, 620 : 제2가변대,
700 : 바퀴보관대,

Claims (4)

  1. 상부는 받침부(110)로 구성되고 하부는 구동부(120)로 구성되는 차대(100);
    상기 받침부(110)의 일단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200);
    상기 구동부(120)에 회전되게 장착되는 바퀴부재(300);
    상기 받침부(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운반구(400);
    상기 받침부(110)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500);
    상기 구동부(120)에 너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변대(600);를 포함하되,
    상기 바퀴부재(300)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대(6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대(600) 사이 또는 상기 가변대(600)와 상기 차대(100)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120)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기 가변대(60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너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가이드홈(121) 및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가이드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대(600)는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홈(121) 및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홈(122)에 각각 장착되는 제1가변대(610) 및 제2가변대(6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가 상기 차대(100)의 가운데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부재(300)는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가변대(610)와 상기 제2가변대(620)가 각각 상기 차대(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부재(300)는 상기 차대(100)와 상기 제1가변대(610) 사이 및 상기 차대(100)와 상기 제2가변대(620)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반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10)는,
    상기 운반구(400)의 하부와 접하여 상기 운반구(400)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11);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운반구(40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12);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양측에 각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운반구(400)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측부프레임(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반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100)의 전방에는 상기 바퀴부재(300)를 임시로 보관하는 바퀴보관대(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반차.
KR2020120012027U 2012-12-20 2012-12-20 다기능 운반차 KR200466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27U KR200466818Y1 (ko) 2012-12-20 2012-12-20 다기능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27U KR200466818Y1 (ko) 2012-12-20 2012-12-20 다기능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818Y1 true KR200466818Y1 (ko) 2013-05-16

Family

ID=5371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027U KR200466818Y1 (ko) 2012-12-20 2012-12-20 다기능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8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7533A (zh) * 2020-12-20 2021-04-09 南京奥帕思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能防止颠簸并能对深坑进行填埋的水泥推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215A (ja) * 2005-11-29 2007-06-14 Takada Seisakusho:Kk 手押し式二輪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215A (ja) * 2005-11-29 2007-06-14 Takada Seisakusho:Kk 手押し式二輪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7533A (zh) * 2020-12-20 2021-04-09 南京奥帕思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能防止颠簸并能对深坑进行填埋的水泥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515A (en) Handy carrier
US7025363B1 (en) Cargo transportation dolly
US5758887A (en) Wheelbarrow with increased efficiency and stability
US8939315B2 (en) Dual wheeled portable cooler
JP5364283B2 (ja) 運搬台車
US3829125A (en) Bicycle trailer
US8123238B1 (en) Transport device
KR200466818Y1 (ko) 다기능 운반차
US6186528B1 (en) Wheelchair and trailer system
US20120248721A1 (en) Wood Log and Article Wheeled Barrow
WO2011074458A1 (ja) 手押し式二輪車
JP6059540B2 (ja) 組立式手押し台車
US20220227406A1 (en) Cart
CN207535922U (zh) 一种新型建筑用推车
US20110241410A1 (en) Carriagage wheel assembly
CN215793980U (zh) 一种手推车用减震底盘
JP3168927U (ja) 車輪と橇の切替台車
JP3167532U (ja) 人力荷物兼パレット移動用台車
CN203111208U (zh) 一种便捷式谷物加工用的拉车
US20060108758A1 (en) Adaptor to attach conveyance device to wheel
CN216660097U (zh) 一种独立悬挂驱动机构
CN208119180U (zh) 电子商务物流车
JP2019188933A (ja) 多機能三輪台車
CN201049644Y (zh) 一种篮车
KR200424957Y1 (ko) 카트 겸용 캐리어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