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30Y1 -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 Google Patents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730Y1 KR200466730Y1 KR2020100010518U KR20100010518U KR200466730Y1 KR 200466730 Y1 KR200466730 Y1 KR 200466730Y1 KR 2020100010518 U KR2020100010518 U KR 2020100010518U KR 20100010518 U KR20100010518 U KR 20100010518U KR 200466730 Y1 KR200466730 Y1 KR 2004667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body
- outer body
- chamber
- double container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0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자체적으로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를 갖도록 하여 용기의 보관 성능을 개선하여 내용물 변질을 방지하고 외부 몸체 파손에 의한 내용물 유출에 대비할 수 있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용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를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 전 면적에 형성하여 내용물 보관 성능을 강화시키고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의 밀폐 구조를 변경하여 진공, 가스주입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 저비용 제작, 대량 생산이 가능한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 몸체(20)는 상부에 유출입구(21)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26)이 형성되고, 외부 몸체(30)는 내부 몸체(20)의 외부를 형성하여 내부 몸체(20)의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수직벽면과 바닥면 사이는 간격으로 벌어져 형성된 챔버(40);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를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상부에 구성된 결합수단(50); 내부 몸체(20)의 외벽 면과 상기 내부 몸체(20)가 접촉하는 외부 몸체(30)의 상부에 구성되어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 사이 간격으로 형성된 챔버(40)의 기밀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내부 몸체(20)는 상부에 유출입구(21)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26)이 형성되고, 외부 몸체(30)는 내부 몸체(20)의 외부를 형성하여 내부 몸체(20)의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수직벽면과 바닥면 사이는 간격으로 벌어져 형성된 챔버(40);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를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상부에 구성된 결합수단(50); 내부 몸체(20)의 외벽 면과 상기 내부 몸체(20)가 접촉하는 외부 몸체(30)의 상부에 구성되어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 사이 간격으로 형성된 챔버(40)의 기밀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기 자체적으로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를 갖도록 하여 용기의 보관 성능을 개선하여 내용물 변질을 방지하고 외부 몸체 파손에 의한 내용물 유출에 대비할 수 있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용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를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 전 면적에 형성하여 내용물 보관 성능을 강화시키고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의 밀폐 구조를 변경하여 진공, 가스주입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 저비용 제작과 대량 생산이 가능한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용기는 액체를 담는 목이 좁은 그릇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과 저장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로 되어 있다. 재질은 유리, 합성수지, 금속 및 비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어, 내용물을 저장하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지만 외부 열 영향을 받아 대기 중에서 보온과 보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냉,온수 등을 담아 장시간 보관하면서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온병이 알려져 있다.
보온병은 병의 외 표면을 매질 전달 양이 희박해 지도록 매질을 줄인 진공 챔버를 구성한 것으로써, 보온병에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면, 매질이 희박해진 진공 챔버에 의해 온도 전달을 줄여 몸체에 보관된 내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일반적인 보온병은, 보온병 몸체와, 몸체의 상측에는 몸체의 직경을 감소시킨 유출입구와, 몸체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장착된 진공병과, 진공병을 몸체의 내부에 고정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상측에는 유출입구의 내측면과 진공병의 입구 끝 부분이 대응 되도록 밀착시키는 실링과, 하측에는 기밀을 유지하여 압착시키도록 나사식 회전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구를 구비한다.
몸체의 중앙부에는 조절구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저면 외측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 시키는 저면 뚜껑이 구성된다.
또한 진공병 입구부까지 동일면으로 삽입 되어지도록 돌출된 돌출부와, 유출입구의 내측과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링을 상기 돌출부 외측 둘레면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하여 유출입구의 외측과 나사 결합에 의해 내용물의 유출 및 보온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마개가 구성된다.
그리고, 컵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면서도 보온효과를 얻기 위해 몸체의 상부 외측에 나사 결합 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도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 소재로 사출 성형하여 벽에 진공 챔버를 형성한 플라스틱 이중 용기도 알려져 있다. 도 1은 내부 몸체(10)와 외부 몸체(11) 사이에 진공 챔버(12)를 형성한 이중 용기(13)의 예이다.
이중 용기(13)를 구성하는 내부 몸체(10)와 외부 몸체(11)의 상부 쪽은 밀폐 상태를 유지하여 진공 챔버(12)를 형성하기 위해 밀폐부재(14)를 내부 몸체(10)와 외부 몸체(11)의 상부에 씌우는 모양으로 처리하여 진공 챔버(12)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밀폐부재(14)의 상부에 끼워져 있는 것은 마개(15)이다.
진공 챔버(12)는 내부 몸체(10)와 외부 몸체(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었고, 바닥면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이중 용기(13)는 구조적으로 밀폐부재(14)가 단순히 내부 몸체(10)와 외부 몸체(11)의 상면에 씌워져 있는 구조여서 반복 사용시 이탈 가능성이 있고 또한 온도 및 화학적 분위기에 반응하는 실링제를 적용하는 경우 수축 팽창에 반드시 따르므로 장기간 밀폐상태를 보장하기 어렵다.
또한, 진공 챔버(12)가 용기의 둘레면을 따르는 수직부 영역에 치우쳐 형성되어 진공 챔버(12)가 형성되지 않은 잔여 면적에서는 매질 전달량이 일반 용기와 유사한 상태로 나타나 이중 용기 처리에 의한 진공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하부면에 보조캡(16)을 증설하여 진공 챔버(12)를 형성하는 것도 알려져 있으나 별도의 보조캡(16)을 증설하는 경우 진공 챔버(12)의 공간이 상통되지 못하여 성능이 나쁘고 병의 제조공정이 증가 되므로 생산성 저하, 그리고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병의 디자인도 제약이 따른다.
또한, 밀폐부재(14)를 사용하여 내부 몸체(10)와 외부 몸체(11) 사이를 실링 처리하는 것도 구조적으로 복잡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 용기에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밀폐부재에 의존하지 않고 용기 몸체의 형상을 통해 기밀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 몸체의 자체 구조를 통해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 공간이 수직벽면부를 포함하여 바닥면까지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향상된 보관 성능을 얻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의 기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부재에 의한 실링 처리를 구조적으로 단순화시켜 저비용 제작과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는,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 사이에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를 두고, 그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를 통해 매질 전달율을 작게 하여 보관 물질의 보관 성능을 좋게 하는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는 상부에 유출입구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몸체는 내부 몸체의 외부를 형성하여 내부 몸체의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의 수직벽면과 바닥면 사이는 간격으로 벌어져 형성된 챔버;
상기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의 상부측에 구성된 결합수단;
상기 내부 몸체의 외벽 면과 상기 내부 몸체가 접촉하는 외부 몸체의 상부에구성되어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 사이 간격으로 형성된 챔버의 기밀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삭제
상기 결합수단은,
내부 몸체의 유출입구 외벽 면을 따라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몸체의 선단이 면 접촉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랜지와,
상기 내부 몸체의 플랜지와 면 접촉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외부 몸체의 선단에 형성된 밀착 평면과,
상기 내부 몸체의 유출입구 수직 외벽과 외부 몸체의 대응 수직면 내벽에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의 밀착 상태를 강화시키는 체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내부 몸체의 유출입구 외벽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고, 외부 몸체의 대응 수직면에는 대응 나사산을 형성하여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외부 몸체의 수직면 내벽에 돌기를 돌설하고, 내부 몸체의 유출입구 수직 외벽에는 대응되는 돌기홈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외부 몸체의 수직면 내벽에 돌기를 돌설하고, 내부 몸체의 유출입구 수직 외벽에는 상기 외부 몸체의 돌기를 받쳐줄 수 있도록 돌기의 하부 측에 대응되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공간 또는 단열가스를 채우는 이중 용기 챔버의 기밀 상태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밀폐부재에 의존하지 않고 용기 몸체의 형상을 통해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을 장기간 양호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고 신뢰성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몸체의 챔버 공간이 수직 벽면을 포함하여 바닥면까지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챔버의 공간을 넓혀 용기의 보관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챔버의 기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부재에 의한 실링 처리를 단순화시켜 저비용 제작과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중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중 용기 몸체 외부를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게 챔버로 형성함으로써 이중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에 대한 보냉 및 보온 성능을 향상 시키고, 내용물 변질을 방지하며, 몸체 파손에 의한 내용물 유출에 대비할 수 있어 광범위한 내용물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단면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몸체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작 과정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또 다른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밀폐처리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작 완료 상태 설명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단면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몸체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작 과정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또 다른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밀폐처리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작 완료 상태 설명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단면도이다.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몸체 설명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작 과정 설명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또 다른 설명도 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밀폐처리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 제작 완료 상태 설명도 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 사이를 진공 공간으로 유지시키거나 단열가스를 채울 수 있는 챔버(40)를 둔 이중 용기(100) 이다.
챔버(40)에 진공을 형성하는 경우 진공을 통해 매질 전달율을 낮춰 보온과 보냉 성능을 향상시키고, 단열가스를 채우는 경우 열전도율을 낮춰 마찬가지로 보온과 보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중 용기(100)의 주요 부분은, 내부 몸체(20)는 상부에 유출입구(21)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26)이 형성되고, 외부 몸체(30)는 내부 몸체(20)의 외부를 형성하여 내부 몸체(20)의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수직벽면과 바닥면 사이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챔버(40)가 구성된다.
챔버(40)의 공간은 진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단열가스를 채워넣을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를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상부에 결합수단(50)이 구성된다.
그리고, 내부 몸체(20)의 외벽 면과 상기 내부 몸체(20)가 접촉하는 외부 몸체(30)의 상부에 구성되어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 사이 간격으로 형성된 챔버(40)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밀폐수단(60)을 포함한다.
즉,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수직 벽면과 바닥면 사이에 간격으로 벌어져 형성되는 챔버(40) 공간은 서로 일체형으로 상통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50)은,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외벽 면을 따라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몸체(30)의 선단이 면 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랜지(22)와, 내부 몸체(20)의 플랜지(22)와 면 접촉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외부 몸체(30)의 선단에 형성된 밀착 평면(31)과,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측 수직 외벽과 외부 몸체(30)의 대응 수직면 내벽에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밀착 상태를 강화시키는 체결부(70)로 구성된다.
또한, 체결부(7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 (21) 외벽을 따라 나사산(23)을 형성하고, 외부 몸체(30)의 대응 수직면에는 대응 나사산(32)을 형성하여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체결부(7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몸체(30)의 수직면 내벽에 돌기(33)를 돌설하고,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수직 외벽에는 대응되는 돌기홈(24)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체결부(7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몸체(30)의 수직면 내벽에 돌기(33)를 돌설하고,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수직 외벽에는 상기 외부 몸체(30)의 돌기(33)를 받쳐줄 수 있도록 돌기(33)의 하부 측에 대응되는 걸림턱(25)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밀폐수단(60)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몸체(20)측 플랜지(22)와 외부 몸체(30)의 밀착 평면(31)간 접촉면 사이에 형성된 밀폐링 끼움홈(34)과, 밀폐링 끼움홈(34)에 안착 되어 챔버(40)를 밀폐시키는 오링(80)과,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가 밀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그 외부에 씌워지는 밀폐부재(81)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는 투명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 몸체(20)의 상부측 유출입구(21) 높이는 외부 몸체(30)의 선단부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시켜 외부 몸체(30)를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키도록 하고, 그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는 결합수단(50)과 밀폐수단(60)을 통해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용기 제작용 소재로는 흔히 쓰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폐성이 우수한 다른 재질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또는 나일론 등을 혼용하여 성형함으로써 진공 유지 성능을 개선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를 구성하는 주요 부분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5 및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은 내부 몸체(20)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 몸체(20)에는 유출입구(21)가 있어 이곳을 통해 내용물을 넣거나 빼낼 수 있으며, 내부 몸체(20)와 별도로 표면을 형성하는 외부 몸체(30)가 결합수단(50)을 통해 결합되어 챔버(40)를 형성한다.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는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면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유리 및 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를 투명 처리로 성형하면 내용물의 외부 식별이 가능하다.
이중 용기(100)를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로 따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은,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 사이에 챔버(4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챔버(40)를 두면 통상의 보온병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열을 직접 전달하는 매질이 진공이 형성된 챔버(40)에 의해 희박해져 열전달을 포함한 충격 등이 내부 몸체(20)나 외부 몸체(3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진공은 공간의 기체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 즉 분자밀도가 약 2.5 * 1019분자/cm3 보다 적은 상태를 의미한다. 챔버(40) 내에서의 진공 형성은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 상부를 밀폐하는 결합수단(50)과 밀폐수단(60)을 통해 유지된다.
챔버(40)의 진공은 일반적인 용기 성형 방법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 용기를 구성하는 내,외부 몸체(20)(30)를 각각 제조하고 난 후, 다음 단계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워크 챔버로 부터 공기와 기체를 제거하고, 이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수단(50)을 기계적으로 체결하여 챔버(40)내 공간을 진공공간으로 간단히 만들 수 있다.
또한, 챔버(40)내 공간에는 단열가스를 채워 넣어 열전달을 낮춰 보온과 보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열가스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단열성이 있는 가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단열가스의 주입은 챔버(40) 성형 과정에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챔버(40)가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수직 벽면 및 바닥면부 전 영역에 일체형으로 상호 상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보온 및 보냉 효과가 커진다. 종래에는 부분적으로 챔버를 두고 있어 보온과 보냉 효과가 미흡했는데, 이는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 사이에 챔버를 두어 구조적으로 밀폐시켜 결합하기 어려운데 따른 것이었다. 본 고안은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결합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결합수단(50)과 밀페수단(60)을 통해 챔버(40)가 용기 몸체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내부 몸체(20)의 상부측 선단부 높이는 외부 몸체(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유출입구(21)를 통한 내용물의 유입과 유출이 보다 원할 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동시에 결합수단(50)과 밀폐수단(60)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50)은, 도 2의 나사결합형, 도 3의 일 방향 돌기 결합형, 도 4의 양방향 돌기 결합형 등 다양한 결합수단(50)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결합수단(50)은,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외벽 면을 따라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몸체(30)의 선단이 면 접촉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랜지(22), 내부 몸체(20)의 플랜지(22)와 면 접촉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외부 몸체(30)의 선단에 형성된 밀착 평면(31),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측 수직 외벽과 외부 몸체(30)의 대응 수직면 내벽에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밀착 상태를 강화시키는 체결부(70)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체결부(70)는 나사 결합형으로서,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외벽을 따라 나사산(23)을 형성하고, 외부 몸체(30)의 대응 수직면에는 대응 나사산(32)을 형성하여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 형식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체결부(70)는 돌기 결합형으로서, 외부 몸체(30)의 수직면 내벽에 돌기(33)를 돌설하고,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수직 외벽에는 대응되는 돌기홈(24)을 형성하여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를 결합한 일 방향 돌기 결합 형식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체결부(70)는 돌기 결합형으로서, 외부 몸체(30)의 수직면 내벽에 돌기(33)를 돌설하고,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수직 외벽에는 외부 몸체(30)의 돌기(33)를 받쳐줄 수 있도록 돌기(33)의 하부 측에 대응되는 걸림턱(25)을 형성하여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를 결합한 양 방향 돌기 결합 형식이다.
밀폐수단(60)은, 도 2 내지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몸체(20)측 플랜지(22)와 외부 몸체(30)의 밀착 평면(31)간 접촉면 사이에 밀폐링 끼움홈(34)을 형성하고, 그 밀폐링 끼움홈(34)에 챔버(40)를 밀폐시키는 오링(80)을 안착시켜 기밀 상태를 유지시키며, 도 8과 같이,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가 밀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그 외부에 밀폐부재(81)를 씌워서 챔버(40)내 기밀을 유지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챔버(40)를 갖는 이중 용기(100)의 제작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를 제작한다.
그 후, 도 6과 같이, 외부 몸체(30)에 내부 몸체(20)를 넣으면 내부 몸체(20)의 외벽을 따라 형성된 플랜지(22)가 외부 몸체(30)의 선단 밀착 평면(31)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챔버(40)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려면 챔버(40) 속에 대기압 상태로 채워져 있는 공기를 플랜지(22)와 밀착 평면(31)의 사이 틈을 통해 공기 빼는 기구를 이용하여 강제로 빼낸다. 그 밖에 진공통속에서 조립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단열가스를 채워 넣으려면 단열가스를 플랜지(22)와 밀착 평면(31) 사이를 통해 반대로 단열가스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한다.
챔버(40) 내의 공기를 빼내 진공 상태가 되거나, 또는 단열가스를 채워 넣으면 도 7과 같이, 외부 몸체(30) 안에 내부 몸체(20)가 챔버(40)를 형성한 상태로 안착 된 정 위치 상태가 된다.
이 상태 에서 도 8과 같이, 밀폐부재(81)로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가 결합된 지점인 플랜지(22) 면을 중심으로 외곽 둘레를 따라 실링 처리하여 공기가 챔버(40)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밀폐시켜 챔버(40)의 기밀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내용물 유입과 배출을 위하여, 도 8과 같이, 필요에 따라 유출입구(21)에 마개(82)를 장착하거나 외부에 캡(83)을 씌워서 이중 용기(100)의 완제품 제작을 완료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100)를 다른 형상으로 제작한 예로서, 챔버(40)는 수직 벽면부와 바닥면부가 상호 상통하는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내,외부 몸체(20)(30)가 하나로 통합된 일체형 챔버(40)를 갖도록 되어 있어 몸체의 전방향에서 매질 전달율을 떨어뜨려 보온.보냉 기능이 강화되며, 챔버(40)의 밀폐를 위한 밀폐구조가 기구적으로 간결하면서도 반영구적인 구조로 완성된다.
그리고, 내,외부 몸체(20)(30)인 프리폼 내부에 차단제를 투입하면, 내,외부 몸체(20)(30) 사이 기밀상태를 공고히 하여 장기간 진공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단열가스의 누출을 막아 오랜 기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장품 용기의 향 및 내용물 변형, 물질의 외부 진출입을 막아 용기의 가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보온병 구조에 비해 간결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실링제나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낱개의 제품으로 완성되는 대량 생산도 가능하다.
사용 분야도 보온,보냉 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식음료 판매용 용기, 단열이 필요한 내용물에 대하여 개선된 단열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보관용 용기, 실험과 연구를 위한 연구소 및 산업현장 등에서 소요되는 물질처리 및 보관용 용기, 화장품 보관 및 사용을 위한 용기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목적으로 쓰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20:내부몸체
21:유출입구
22:플랜지
23:나사산
24:돌기홈
25:걸림턱
30:외부몸체
31:밀착평면
32:나사산
33:돌기
34:끼움홈
40:챔버
50:결합수단
60:밀폐수단
70:체결부
80:오링
81:밀폐부재
21:유출입구
22:플랜지
23:나사산
24:돌기홈
25:걸림턱
30:외부몸체
31:밀착평면
32:나사산
33:돌기
34:끼움홈
40:챔버
50:결합수단
60:밀폐수단
70:체결부
80:오링
81:밀폐부재
Claims (9)
-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 사이에 챔버(40)를 두고, 그 챔버(40)를 통해 매질 전달율을 작게 하여 보관 물질의 보관 성능을 좋게 하는 이중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이중 용기(100)는,
상기 내부 몸체(20)는 상부에 유출입구(21)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26)이 형성되고, 외부 몸체(30)는 내부 몸체(20)의 외부를 형성하여 내부 몸체(20)의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수직벽면과 바닥면 사이는 간격으로 벌어져 형성된 챔버(40);
상기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를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상부에 구성된 결합수단(50);
상기 내부 몸체(20)의 외벽 면과 상기 내부 몸체(20)가 접촉하는 외부 몸체(30)의 상부에 구성되어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 사이 간격으로 형성된 챔버(40)의 진공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수단(50)은,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외벽 면을 따라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몸체(30)의 선단이 면 접촉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된 플랜지(22)와,
상기 내부 몸체(20)의 플랜지(22)와 면 접촉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외부 몸체(30)의 선단에 형성된 밀착 평면(31)과,
상기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측 수직 외벽과 외부 몸체(30)의 대응 수직면 내벽에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밀착 상태를 향상시키는 체결부(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70)는,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외벽을 따라 나사산(23)을 형성하고, 외부 몸체(30)의 대응 수직면에는 대응 나사산(32)을 형성하여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70)는,
외부 몸체(30)의 수직면 내벽에 돌기(33)를 돌설하고,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수직 외벽에는 대응되는 돌기홈(24)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70)는,
외부 몸체(30)의 수직면 내벽에 돌기(33)를 돌설하고, 내부 몸체(20)의 유출입구(21) 수직 외벽에는 상기 외부 몸체(30)의 돌기(33)를 받쳐줄 수 있도록 돌기(33)의 하부 측에 대응되는 걸림턱(25)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518U KR200466730Y1 (ko) | 2010-10-13 | 2010-10-13 |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518U KR200466730Y1 (ko) | 2010-10-13 | 2010-10-13 |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2755U KR20120002755U (ko) | 2012-04-23 |
KR200466730Y1 true KR200466730Y1 (ko) | 2013-05-06 |
Family
ID=4660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0518U KR200466730Y1 (ko) | 2010-10-13 | 2010-10-13 |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73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3067B1 (ko) * | 2020-01-02 | 2020-12-18 | 최주영 | 외측용기의 내부에 교체 가능한 내측용기를 구비하는 이중용기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6028B1 (ko) * | 2013-04-25 | 2014-08-13 | 현정희 | 압력 배출이 용이한 보온용기 |
KR102032352B1 (ko) | 2018-08-17 | 2019-10-15 | 김시영 | 진공효율이 우수하고 뚜껑회전이 용이한 대형 보온용기 구조체 |
KR102126980B1 (ko) * | 2018-11-27 | 2020-06-25 | 조문식 | 탈락방지를 위한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256505B1 (ko) | 2019-12-11 | 2021-05-25 | 김시영 |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
KR200496009Y1 (ko) * | 2020-05-28 | 2022-10-12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틴트 용기 |
CN112722586B (zh) * | 2021-01-14 | 2024-07-23 | 上海兴邺材料科技有限公司 | 真空罐 |
KR20240058343A (ko) * | 2022-10-26 | 2024-05-03 | 주식회사 올도완 | 유리병 커버 조립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33264A (ja) * | 2001-07-19 | 2003-02-04 | Thermos Kk | 断熱飲料容器 |
JP2005289417A (ja) | 2004-03-31 | 2005-10-20 | Yoshinobu Toyomura | 二重容器の密閉構造 |
JP2008239157A (ja) * | 2007-03-23 | 2008-10-09 | Nissin Food Prod Co Ltd | プラスチック製の二重容器 |
-
2010
- 2010-10-13 KR KR2020100010518U patent/KR20046673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33264A (ja) * | 2001-07-19 | 2003-02-04 | Thermos Kk | 断熱飲料容器 |
JP2005289417A (ja) | 2004-03-31 | 2005-10-20 | Yoshinobu Toyomura | 二重容器の密閉構造 |
JP2008239157A (ja) * | 2007-03-23 | 2008-10-09 | Nissin Food Prod Co Ltd | プラスチック製の二重容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3067B1 (ko) * | 2020-01-02 | 2020-12-18 | 최주영 | 외측용기의 내부에 교체 가능한 내측용기를 구비하는 이중용기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2755U (ko) | 2012-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6730Y1 (ko) |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 |
EP3288850B1 (en) | Insulated cap | |
US20210068565A1 (en) | Thermally insulated bowl | |
KR20130053317A (ko) | 빨대를 사용할 수 있는 pet 병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 pet 병 | |
CN205597790U (zh) | 一种真空隔热透明保温壶 | |
CN209235637U (zh) | 一种多功能杯中杯 | |
CN203767269U (zh) | 一种储液瓶 | |
KR200460778Y1 (ko) |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 |
CN103786942B (zh) | 一种液体瓶 | |
CN204862387U (zh) | 吊挂式保温速冷杯 | |
CN203767259U (zh) | 一种防漏烟油瓶 | |
US20050126209A1 (en) | Beverage bottle cool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assembly for holding ice and water | |
CN207556049U (zh) | 一种蓄冷式茶叶罐 | |
CN208909208U (zh) | 用于活性护肤品的双层真空瓶 | |
JPH0122605Y2 (ko) | ||
WO2002038489A1 (en) | Container for retaining and discharging of carbon dioxide containing drinks, especially soda water | |
CN214085734U (zh) | 一种防漏液化妆品容器 | |
JPS6313171Y2 (ko) | ||
CN2085183U (zh) | 保温杯 | |
CN204351521U (zh) | 多功能水杯 | |
CN216070977U (zh) | 一种多边形瓶结构 | |
CN209951787U (zh) | 一种隔热密封药瓶 | |
CN201206009Y (zh) | 一种椰子酒瓶盖 | |
CN210455521U (zh) | 一种环保型塑料瓶 | |
CN207157889U (zh) | 瓶盖及瓶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