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505B1 -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 Google Patents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505B1
KR102256505B1 KR1020190164831A KR20190164831A KR102256505B1 KR 102256505 B1 KR102256505 B1 KR 102256505B1 KR 1020190164831 A KR1020190164831 A KR 1020190164831A KR 20190164831 A KR20190164831 A KR 20190164831A KR 102256505 B1 KR102256505 B1 KR 10225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hole
container lid
thermal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영
김연집
Original Assignee
김시영
김연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영, 김연집 filed Critical 김시영
Priority to KR102019016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0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일정시간 동안 보온을 하기 위한 보온용기 구조체에 있어서,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성되어 진공단열층을 가지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와 덮개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내용기로 내입되는 제1용기뚜껑내입부와 걸림부 및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용기뚜껑 및 상기 제1용기뚜껑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와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밀폐부재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제2용기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관통공을 막은 관통공밀폐부재의 면적이 전체 제1용기뚜껑이나 제2용기뚜껑뚜껑의 면적보다 현저하게 작아서 보온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이나 하강에 영향을 작게 받고, 관통공밀폐부재가 형성된 제2용기뚜껑이 회전식으로 쉽게 열려 보온용기 구조체에서 용기뚜껑과 용기본체를 분리하는데 과다한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Thermal insulation structure with easy lid rotation}
본 발명은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열된 물이나 국 등과 같은 뜨거운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온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뜨거운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보온용기 구조체의 제1용기뚜껑에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제2용기뚜껑에 관통공밀폐부재를 형성시켜, 제1용기뚜껑과 제2용기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는 관통공밀폐부재가 관통공을 막아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이 유지되며, 제2용기뚜껑이 회전식으로 열리면서 관통공밀폐부재가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고 관통공이 개방되어 내부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동일하게 됨으로써, 뚜껑회전을 용이하게 할수 있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용기는 내용기와 단열된 외용기 사이를 진공 상태로 처리한 용기로서, 물, 음료수, 밥 등의 식품이나 고온을 유지해야 하는 물질 등을 장시간 고온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보온용기는 내용기와 외용기를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이중적으로 중첩 설치하여 진공단열층을 구비한 이중용기를 구성하고, 내용기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보온용기는 표면에서 외부와의 매질에 의한 에너지 전달 양을 줄이기 위하여,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를 매질을 없앤 진공단열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의 보온용기 구조체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밥이나 국 등의 내용물이 매우 뜨거워 증기가 발생되는 동안 보온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뚜껑부분에 상승되는 압력이 가해져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고, 용기본체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강하게 체결된 용기뚜껑을 돌리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용기뚜껑과 용기본체를 분리하는데 과다한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나아가, 종래의 보온용기 구조체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밥이나 국 등의 내용물이 장시간이 경과하여 저온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보온용기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게 되고, 뚜껑부분에 하강되는 압력이 가해져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고, 용기본체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강하게 체결된 용기뚜껑을 돌리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용기뚜껑과 용기본체를 분리하는데 과다한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2755호에 나타난 보온 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는 용기 자체적으로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를 갖도록 하여 용기의 보관 성능을 개선하여 내용물 변질을 방지하고 외부 몸체 파손에 의한 내용물 유출에 대비할 수 있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용기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를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 전 면적에 형성하여 내용물 보관 성능을 강화시키고 진공 또는 단열가스 챔버의 밀폐 구조를 변경하여 진공, 가스주입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여 저비용 제작, 대량 생산이 가능한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온 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의 종래 기술은 내부 몸체 상부에 유출입구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몸체는 내부 몸체의 외부를 형성하여 내부 몸체의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의 수직벽면과 바닥면 사이는 간격으로 벌어져 형성된 챔버,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의 상부에 구성된 결합수단, 내부 몸체의 외벽 면과 상기 내부 몸체가 접촉하는 외부 몸체의 상부에 구성되어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 사이 간격으로 형성된 챔버의 기밀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 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의 종래 기술 또한 내부에 저장되는 밥이나 국 등의 내용물이 매우 뜨거워 증기가 발생되는 동안 보온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거나, 내부에 저장되는 밥이나 국 등의 내용물이 장시간이 지나 저온에 도달하게 되어 보온용기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게 되는 경우 뚜껑부분에 상승 또는 하강되는 압력이 가해져 뒤틀림이 발생하고 용기뚜껑과 용기본체를 분리하는데 과다한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여전히 잔존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2755호(공개일: 2012년 04월 23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뜨거운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보온용기 구조체의 제1용기뚜껑에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제2용기뚜껑에 이와 대응되는 관통공밀폐부재를 형성시켜 뚜껑을 회전시켜 열기 전에는 관통공밀폐부재가 관통공을 막아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이 유지되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통공을 막은 관통공밀폐부재의 면적이 전체 제1용기뚜껑이나 제2용기뚜껑뚜껑의 면적보다 현저하게 작아서 보온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이나 하강에 영향을 작게 받고, 관통공밀폐부재가 형성된 제2용기뚜껑이 회전식으로 쉽게 열리면서 관통공밀폐부재가 관통공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통공밀폐부재가 형성된 제2용기뚜껑이 회전식으로 쉽게 열리면서 관통공이 개방되어 용기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이 용이하게 동일하게 되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통공을 제1용기뚜껑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관통공밀폐부재도 제2용기뚜껑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시켜,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가능성을 줄이고 보온용기의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을 향상시키며, 관통공을 막은 관통공밀폐부재가 제2용기뚜껑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리콘밀폐부재를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 바깥부분인 제1용기뚜껑하부와 헤드부 사이에 형성시켜 제1용기뚜껑하부와 헤드부 사이의 밀착성 및 밀폐성이 향상시키고 물이나 음식물 등의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위험을 줄이고 보온성능이 유지되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용기뚜껑 상부에 회동 가능한 손잡이부재 및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지는 돌출부재를 형성시켜 제2용기뚜껑을 쉽게 잡을 수 있어 제2용기뚜껑의 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내용물을 일정시간 동안 보온을 하기 위한 보온용기 구조체에 있어서,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성되어 진공단열층을 가지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와 덮개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내용기로 내입되는 제1용기뚜껑내입부와 걸림부 및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용기뚜껑 및 상기 제1용기뚜껑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와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밀폐부재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제2용기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관통공은 상기 제1용기뚜껑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관통공밀폐부재도 상기 제2용기뚜껑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상기 제2용기뚜껑 상부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부재 및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지는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뜨거운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보온용기 구조체의 제1용기뚜껑에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제2용기뚜껑에 이와 대응되는 관통공밀폐부재를 형성시켜 뚜껑을 회전시켜 열기 전에는 관통공밀폐부재가 관통공을 막아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관통공을 막은 관통공밀폐부재의 면적이 전체 제1용기뚜껑이나 제2용기뚜껑뚜껑의 면적보다 현저하게 작아서 보온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이나 하강에 영향을 작게 받고, 관통공밀폐부재가 형성된 제2용기뚜껑이 회전식으로 쉽게 열리면서 관통공밀폐부재가 관통공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관통공밀폐부재가 형성된 제2용기뚜껑이 회전식으로 쉽게 열리면서 관통공이 개방되어 용기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이 용이하게 동일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관통공을 제1용기뚜껑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관통공밀폐부재도 제2용기뚜껑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시켜,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가능성을 줄이고 보온용기의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을 향상시키며, 관통공을 막은 관통공밀폐부재가 제2용기뚜껑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실리콘밀폐부재를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 바깥부분인 제1용기뚜껑하부와 헤드부 사이에 형성시켜 제1용기뚜껑하부와 헤드부 사이의 밀착성 및 밀폐성이 향상시키고 물이나 음식물 등의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위험을 줄이고 보온성능이 유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여섯째,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제2용기뚜껑 상부에 회동 가능한 손잡이부재 및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지는 돌출부재를 형성시켜 제2용기뚜껑을 쉽게 잡을 수 있고 제2용기뚜껑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관통공이 제1용기뚜껑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부재 상에 형성되며, 관통공과 관통공밀폐부재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1용기뚜껑하부에 관통부재의 일단이 통과하는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1용기뚜껑상부에 관통부재의 일단이 안착되는 수용부재와 관통공과 연결되는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부재의 일단은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을 통과하여 수용부재에 안착되고, 관통부재의 타단에는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헤드부가 형성되며, 제1용기뚜껑하부와 헤드부 사이에 실리콘밀폐부재가 형성되며, 제2용기뚜껑 상부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부재 및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지는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내용물을 일정시간 동안 보온을 하기 위한 보온용기 구조체에 있어서, 내용기(110)와 외용기(120)로 구성되어 진공단열층(130)을 가지는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덮개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내용기(110)로 내입되는 제1용기뚜껑내입부(221)와 걸림부(231) 및 관통공(211)이 형성되는 제1용기뚜껑(200) 및 상기 제1용기뚜껑(200)의 관통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와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밀폐부재(3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제2용기뚜껑(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용기본체(10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재질은 열전도율이 196kcal/℃, 철 재질은 열전도율이 62kcal/℃, 스테인레스 재질은 열전도율 14kcal/℃를 나타낸다. 즉, 스테인레스 재질은 열전도율이 알루미늄 재질에 비해 약 1/14, 철 재질에 비해 약 1/5 정도로 작아서, 스테인레스 재질이 금속 중에 가장 열전도율이 낮은 편에 속하고 내부의 열을 외부로, 외부의 열을 내부로 잘 전도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용기본체(100)는 효과적인 보온 및 보냉을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 재질의 용기본체(100)는 내용기(110)와 외용기(120)로 구성되며, 내용기(110)와 외용기(120) 사이에 진공단열층(130)을 가진다. 스테인레스 재질 용기본체(100)의 내용기(110) 두께는 0.4mm 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용기(120) 두께는 0.5mm 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내용기(110)와 외용기(120) 사이에 진공단열층(130)은 5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에서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덮개식으로 체결되는 제1용기뚜껑(200)은 열전도도율이 작은 스테인레스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2용기뚜껑(300)은 밀도가 작아 무게가 가볍고 제조비용이 작게드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용기뚜껑(200)에는 내용기(110) 쪽으로 내입되는 제1용기뚜껑내입부(221)와 내용기(110)의 턱에 걸리는 걸림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제1용기뚜껑내입부(221)의 외경은 내용기(110)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 제1용기뚜껑내입부(221)는 내용기(110) 쪽으로 용이하게 내입될 수 있다. 제1용기뚜껑내입부(221)는 어느 정도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이상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보온성능이 우수하게 유지된다. 걸림부(231)의 직경은 내용기(110)의 외경보다 크고 외용기(120)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231)의 직경이 내용기(110)의 외경과 외용기(120)의 내경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걸림부(231)는 내용기(110)의 턱에 걸리게 되어 내용기를 덮게되고 내용기(110)는 제1용기뚜껑내입부(221)에 의해 1차밀폐되게 된다. 나아가, 제2용기뚜껑(300)이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면서 제1용기뚜껑(200)을 눌러 걸림부(231)와 내용기(110)의 턱이 밀착되게 되고 밀폐성능이 향상되게 되고 보온성능이 우수하게 유지되게 된다.
제1용기뚜껑(200)에는 제1용기뚜껑(200)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11)의 직경과 제1용기뚜껑(200)의 직경의 비는 1:100-1:3000의 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211)의 직경이 제1용기뚜껑(200)의 직경 대비 충분히 작아야 내용기(110)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외부 유출 가능성이 작아져 밀폐성이 유지되고 외부와의 열교환이 작아 보온성능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211)의 직경이 제1용기뚜껑(200)의 직경 대비 충분히 작아야 관통공밀폐부재(310)에 의해 관통공(211)이 밀폐된 후 내용기(110)의 압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작은 힘에 의해서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가능하여 보온용기 구조체의 뚜껑 즉,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제2용기뚜껑(300)의 회전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용기뚜껑(200)의 관통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와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밀폐부재(310)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제2용기뚜껑(300)은 내용기(110)의 압력변화에 영향을 작게 받아 상대적으로 작은 힘에 의해서 회전이 가능하다. 즉, 제2용기뚜껑(300)은 내용기(110)의 압력 증가나 감소에 의한 영향을 작은 면적에서만 받으므로 내용기(110)의 압력 증가나 감소에 의한 영향을 작게 받고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즉, 관통공(211)의 직경이 제1용기뚜껑(200)의 직경 대비 충분히 작은 경우에만 관통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와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밀폐부재(310)의 직경도 작게되고, 제1용기뚜껑(20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밀폐부재(310)는 작은 직경에 상응하는 압력의 영향만을 받게되어 결과적으로 제1용기뚜껑(200)은 작은 힘에 의해서 용이하게 회전이 가능하다.
제2용기뚜껑(300)의 하부에는 제1용기뚜껑(200)의 관통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와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밀폐부재(3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용기뚜껑(200)의 관통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와 직경을 가져야 제2용기뚜껑(300)이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면서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을 막아 밀폐되게 된다. 관통공밀폐부재(310)의 외경과 제2용기뚜껑(300)의 내경 비는 관통공(211)의 직경과 제1용기뚜껑(200)의 직경 비와 대응되게 1:100-1:3000의 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용기뚜껑(300)은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된다. 제2용기뚜껑(300)이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제2용기뚜껑(300)은 용기본체(100)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용기뚜껑(300)이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어 결합됨으로써,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을 강하게 막아 밀폐시키고 제2용기뚜껑(300)이 제1용기뚜껑(200)을 눌러 걸림부(231)와 내용기(110)의 턱이 밀착되게 되고 보온용기 구조체의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반대로 제2용기뚜껑(300)이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어 분리됨으로써,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으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내용기(110)와 외부와의 압력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작은 힘에 의해서 제2용기뚜껑(300)을 회전시켜 관통공밀폐부재(310)를 관통공(211)으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시켜 내용기(110)의 압력을 외부와의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관통공(211)은 제1용기뚜껑(200)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11)이 제1용기뚜껑(2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용기뚜껑(200) 상부의 관통공(211)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제1용기뚜껑(200) 하부의 관통공(211)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를 이룬다. 제1용기뚜껑(200) 하부의 관통공(211)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제1용기뚜껑(200) 하부의 관통공(211)을 통한 내용물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어 밀폐성이 유지되고 외부와의 열교환이 작아 보온성능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용기뚜껑(200) 상부의 관통공(211)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내용기(110)의 압력이 고압인 경우 내부의 증기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상부 관통공(211)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고, 내용기(110)의 압력이 저압인 경우 외부의 공기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상부 관통공(211)을 통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관통공(211)이 제1용기뚜껑(200)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면 관통공밀폐부재(310)는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2용기뚜껑(300) 하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공밀폐부재(310)는 관통공(211)의 형태와 대응되게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을 강하게 막아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보온용기 구조체는 우수한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의 형태와 대응되게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주어 제2용기뚜껑(300)을 회전시켜 관통공밀폐부재(310)를 상부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고 관통공(211)으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관통공이 제1용기뚜껑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부재 상에 형성되며, 관통공과 관통공밀폐부재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에서 관통공(211)은 상기 제1용기뚜껑(200)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관통공밀폐부재(310)도 상기 제2용기뚜껑(300)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1)은 상기 제1용기뚜껑(20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부재(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11)은 상기 제1용기뚜껑(20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부재(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11)이 제1용기뚜껑(200)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 보다는 제1용기뚜껑(20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부재(210)에 형성되는 경우가 제조공정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고 제조원가가 작게 들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서 유리하다.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제1용기뚜껑(200)은 열전도도율이 작은 스테인레스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1용기뚜껑(200)에 관통공(211)을 직접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공정의 난이도가 올라가고 재료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반해 관통부재(210)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플라스틱 재질의 관통부재(210)에 관통공(211)을 직접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공정의 난이도가 내려가고 재료 비용이 작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즉 플라스틱 재질의 관통부재(210)에 관통공(211)을 먼저 형성시킨 이후에, 관통공(211)이 형성된 관통부재(210)를 제1용기뚜껑과 체결시키는 것이 상대적으로 공정이 쉽고 비용이 작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관통공(211)은 관통부재(210)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11)이 관통부재(2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관통부재(210) 상부의 관통공(211)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관통부재(210) 하부의 관통공(211)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를 이룬다. 관통부재(210) 하부의 관통공(211)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관통공(211)을 통한 내용물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어 밀폐성이 유지되고 외부와의 열교환이 작아 보온성능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재(210) 상부의 관통공(211)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내용기(110)의 압력이 고압인 경우 내부의 증기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상부 관통공(211)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거나 내용기(110)의 압력이 저압인 경우 외부의 공기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상부 관통공(211)을 통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관통공(211)이 관통부재(210)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면 관통공밀폐부재(310)도 이에 대응되는 제2용기뚜껑(300) 하부 위치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을 강하게 막아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보온용기 구조체는 우수한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을 가지게 되며, 반대로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주어 제2용기뚜껑(300)을 회전시켜 관통공밀폐부재(310)를 상부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여 관통공(211)으로 부터 관통공밀폐부재(310)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1용기뚜껑하부에 관통부재의 일단이 통과하는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1용기뚜껑상부에 관통부재의 일단이 안착되는 수용부재와 관통공과 연결되는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부재의 일단은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을 통과하여 수용부재에 안착되고, 관통부재의 타단에는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헤드부가 형성되며, 제1용기뚜껑하부와 헤드부 사이에 실리콘밀폐부재가 형성되며, 제2용기뚜껑 상부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부재 및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지는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에서 상기 제1용기뚜껑(20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플라스틱 재질의 제1용기뚜껑상부(230)로 구성되고 내부에 스티로폼으로 된 제1용기뚜껑단열층(24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용기뚜껑하부(220)에는 상기 관통부재(210)의 일단이 통과하는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용기뚜껑상부(230)에는 상기 관통부재(210)의 일단이 안착되는 수용부재(232)와 상기 관통공(211)과 연결되는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2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재(210)의 일단은 상기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부재(232)에 안착되고, 상기 관통부재(210)의 타단에는 상기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헤드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상기 헤드부(212) 사이에는 실리콘밀폐부재(2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용기뚜껑(300) 상부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부재(320) 및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볼록부(321)와 오목부(322)를 가지는 돌출부재(3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용기뚜껑(200)이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플라스틱 재질의 제1용기뚜껑상부(230)로 구성되며 내부에 스티로폼으로 된 제1용기뚜껑단열층(240)을 가질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제1용기뚜껑상부(230)와 스티로폼으로 된 제1용기뚜껑단열층(240)을 가짐으로써 제조공정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고 재료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공정의 효율성 및 보온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용기뚜껑(200) 전체를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조하는 경우 제조공정이 어렵고 재료비용이 많아 요구되며, 내용기(110)에 수용되는 고온의 내용물로 인해 스테인레스의 비틀림이 발생하여 뚜껑회전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용기뚜껑상부(230)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용기뚜껑상부(230)가 플라스틱 재질을 가짐으로써 재료비용을 줄일 수 있고, 제조공정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의 제1용기뚜껑상부(230)가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1용기뚜껑하부(220)의 비틀림을 잡아주므로 뚜껑회전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플라스틱 재질의 제1용기뚜껑상부(230) 사이에 위치하는 제1용기뚜껑단열층(240)은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에 우수한 보온성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플라스틱 재질의 제1용기뚜껑상부(230) 사이에 위치하는 제1용기뚜껑단열층(24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1용기뚜껑하부(220)의 비틀림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여 비틀림을 줄여주므로 뚜껑회전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1용기뚜껑단열층(240)에는 상기 제1용기뚜껑상부(230)에 형성된 수용부재(232)가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용기뚜껑하부(220)에는 상기 관통부재(210)의 일단이 통과하는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을 관통부재(210)의 일단이 통과하고 관통부재(210)의 일단이 상기 제1용기뚜껑상부(230)에 형성된 수용부재(232)에 안착한다. 상기 관통부재(210)의 일단의 외경보다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의 내경이 약간 크고, 상기 관통부재(210)의 일단의 외경보다 제1용기뚜껑상부(230)에 형성된 수용부재(232)의 내경이 약간 크므로 관통부재(210)의 일단은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을 통과하여 수용부재(232)에 용이하게 내입될 수 있다. 수용부재(232)의 안쪽과 상기 제1용기뚜껑상부(230)의 표면에는 관통공(211)과 연결되는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23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재(210)의 일단이 수용부재(232)에 용이하게 내입되면서, 관통부재(210) 상에 형성된 관통공(211)이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233)과 연결될 수 있다. 관통부재(210)의 타단에는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의 직경보다 큰 헤드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재(210)의 타단이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의 직경보다 큰 헤드부(212)를 가짐으로써,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 바깥부분인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헤드부(212)가 밀착, 밀폐하게 되고 보온용기 구조체는 우수한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을 가지게 된다. 나아가,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 바깥부분인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상기 헤드부(212) 사이의 밀착성 및 밀폐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리콘밀폐부재(213)가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 바깥부분인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상기 헤드부(212) 간에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밀폐부재(213)의 직경은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233)의 직경보다는 크고, 헤드부(212)의 직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이 큰 헤드부(212)에 의해 실리콘밀폐부재(213)가 제1용기뚜껑하부(220) 방향으로 압착되면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헤드부(212) 사이의 밀착성 및 밀폐성이 향상되고 물이나 음식물 등의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위험이 줄고 보온성능이 유지되는 결과를 가진다.
헤드부(212) 상에는 관통공(211)이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부재(210)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211)과 헤드부(212) 상에 형성된 관통공(211)은 서로 연통한다. 관통부재(210)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211)은 헤드부(212) 쪽으로 진행될 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재(210)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211)의 지름이 가장 크고, 헤드부(212) 상에 형성된 관통공(211)의 지름이 가장 작은 형태를 가진다. 관통부재(210)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211)의 지름은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233)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233)도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공(211)이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관통공밀폐부재(310)도 상기 제2용기뚜껑(300)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관통공밀폐부재(310)가 관통공(211)을 강하게 막아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보온용기 구조체는 우수한 밀폐성능과 보온성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관통공(211) 및 관통공밀폐부재(310) 모두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주어 제2용기뚜껑(300)을 회전시켜 관통공밀폐부재(310)를 상부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고 관통공밀폐부재(310)를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관통공(211)으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인 보온용기 구조체는 전체적으로 용이한 뚜껑회전을 가지게 된다.
앞서본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상부에는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플라스킥 재질의 제2용기뚜껑(300)이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플라스킥 재질의 제2용기뚜껑(300)의 상부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부재(320) 및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볼록부(321)와 오목부(322)를 가지는 돌출부재(330)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재(320)가 플라스킥 재질의 제2용기뚜껑(300)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사람이 한손으로 잡기가 용이하지 아니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제2용기뚜껑(300)에서 손잡이부재(320)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제2용기뚜껑(300)을 용기본체(100)으로부터 큰 힘을 가하지 않고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었다. 이 경우 회동가능한 손잡이부재(320)는 평상시에는 내부으로 안착시켜 놓았다가 제2용기뚜껑(300)을 용기본체(100)와 분리시키는 경우나, 보온용기 구조체를 운반하는 경우에 손잡이부재(320)를 회동시켜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라스킥 재질의 제2용기뚜껑(300)의 상부에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볼록부(321)와 오목부(322)를 가지는 돌출부재(330)가 형성됨으로써, 회동가능한 손잡이부재(320)가 내부로 안착된 상태이거나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도 사람이 한손으로 잡기가 용이하지 아니한 보온용기 구조체의 제2용기뚜껑(300)에서 볼록부(321)와 오목부(322)를 가지는 돌출부재(330)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제2용기뚜껑(300)을 용기본체(100)으로부터 큰 힘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용기본체(100)의 하부와 결합되는 용기바닥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바닥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측에 오목한 형태의 바닥부를 포함하고, 오목한 형태의 바닥부 중앙에는 돌출된 형태의 제1돌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1돌출부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직경 4-6cm의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의 외곽에는 링형상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 사이에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날개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에는 내용물로 밥과 국 반찬이 수용될 수 있으며, 하부에 밥이 수용되고 그 위에 국통이 내입될 수 있고, 그 위에 반찬통도 내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는 밥과 국, 반찬이 분리되어 수용되는 방식으로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국통과 반찬통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이며, 그 내입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뜨거운 국이 수용되는 국통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며, 뜨겁지 않은 반찬이 수용되는 반찬통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 국통과 반찬통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국통과 반찬통의 내부는 국 종류 갯수와 반찬 종류 갯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할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소형 물통이 보온용기 구조체 내부에 추가로 내입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인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에 내용물로 단일의 액체가 수용되는 경우, 내부 국통, 반찬통, 물통 등은 제거되며, 내부에는 액체만이 수용될 수 있고, 다양한 변화를 통해 식당에서 물통이나 음식을 배달하는 보온통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외부의 레저활동에 따른 도시락 용기로 활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실시 또는 추가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 또는 추가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내용기 120: 외용기 130: 진공단열층
200: 제1용기뚜껑
210: 관통부재
211: 관통공 212: 헤드부 213: 실리콘밀폐부재
220: 제1용기뚜껑하부
221: 제1용기뚜껑내입부
222: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
230: 제1용기뚜껑상부
231: 걸림부
232: 수용부재 233: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
240: 제1용기뚜껑단열층
300: 제2용기뚜껑
310: 관통공밀폐부재 320: 손잡이부재 330: 돌출부재
331: 볼록부 332: 오목부

Claims (6)

  1. 내용물을 일정시간 동안 보온을 하기 위한 보온용기 구조체에 있어서,
    내용기(110)와 외용기(120)로 구성되어 진공단열층(130)을 가지는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덮개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내용기(110)로 내입되는 제1용기뚜껑내입부(221)와 걸림부(231) 및 관통공(211)이 형성되는 제1용기뚜껑(200);
    상기 제1용기뚜껑(200)의 관통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와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밀폐부재(3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와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제2용기뚜껑(300); 및
    상기 관통공(211)은 상기 제1용기뚜껑(20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부재(2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을 포함하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11)은 상기 제1용기뚜껑(200)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관통공밀폐부재(310)도 상기 제2용기뚜껑(300)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뚜껑(20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플라스틱 재질의 제1용기뚜껑상부(230)로 구성되어 내부에 스티로폼으로 된 제1용기뚜껑단열층(24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뚜껑하부(220)에는 상기 관통부재(210)의 일단이 통과하는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용기뚜껑상부(230)에는 상기 관통부재(210)의 일단이 안착되는 수용부재(232)와 상기 관통공(211)과 연결되는 제1용기뚜껑상부관통공(2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부재(210)의 일단은 상기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부재(232)에 안착되고, 상기 관통부재(210)의 타단에는 상기 제1용기뚜껑하부관통공(22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헤드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용기뚜껑하부(220)와 상기 헤드부(212) 사이에는 실리콘밀폐부재(2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뚜껑(300) 상부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부재(320) 및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볼록부(321)와 오목부(322)를 가지는 돌출부재(3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KR1020190164831A 2019-12-11 2019-12-11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KR10225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31A KR102256505B1 (ko) 2019-12-11 2019-12-11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31A KR102256505B1 (ko) 2019-12-11 2019-12-11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505B1 true KR102256505B1 (ko) 2021-05-25

Family

ID=7614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831A KR102256505B1 (ko) 2019-12-11 2019-12-11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5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305U (ko) * 1987-10-12 1989-05-2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알 신축 샤프트의 연결구조
KR20120002755U (ko) 2010-10-13 2012-04-23 동아정밀공업(주)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JP2013043644A (ja) * 2011-08-20 2013-03-04 Seven Seven:Kk 容器
KR20130119869A (ko) * 2012-04-24 2013-11-01 서어모스 케이.케이. 뚜껑부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305U (ko) * 1987-10-12 1989-05-2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알 신축 샤프트의 연결구조
KR20120002755U (ko) 2010-10-13 2012-04-23 동아정밀공업(주)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JP2013043644A (ja) * 2011-08-20 2013-03-04 Seven Seven:Kk 容器
KR20130119869A (ko) * 2012-04-24 2013-11-01 서어모스 케이.케이. 뚜껑부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699B1 (ko) 전자레인지용 머그컵
CN103027555A (zh) 能速冷速热的保温杯
KR102256505B1 (ko) 뚜껑회전이 용이한 보온용기 구조체
US1593650A (en) Heat-insulated cooking and serving dish
US2655255A (en) Picnic jug
CN108308994A (zh) 一种兼具多阶快速降温及保温的功能杯
CN205144195U (zh) 化学加热剂型保温杯
CN209275220U (zh) 一种保鲜盖体
CN216907122U (zh) 一种保温饭盒
CN208582140U (zh) 一种可以分区域控制温度的保温装置
CN213832937U (zh) 液态食物容器自加热结构
CN206603585U (zh) 夹层锅
JP2008263871A (ja) 加工ニンニクの製造方法
CN209018317U (zh) 一种方便使用的保温杯
CN211795823U (zh) 户外高温焖烧杯
JP4609130B2 (ja) 断熱容器
CN212448882U (zh) 一种自热食品包装餐盒
KR102095232B1 (ko) 장시간 보온유지 가능한 불도장요리용 용기
CN216293271U (zh) 一种独立分格提锅
CN213962947U (zh) 户外高温可泄压焖烧杯
CN220800324U (zh) 防摔组合式保温饭盒
CN215127244U (zh) 一种陶瓷蒸饭器
CN203987705U (zh) 三层结构的盛水器皿
CN217185569U (zh) 一种可切换不同温度水的保温杯
CN209846395U (zh) 一种可快速冷却的保温饮水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