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588Y1 -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588Y1
KR200466588Y1 KR2020120010602U KR20120010602U KR200466588Y1 KR 200466588 Y1 KR200466588 Y1 KR 200466588Y1 KR 2020120010602 U KR2020120010602 U KR 2020120010602U KR 20120010602 U KR20120010602 U KR 20120010602U KR 200466588 Y1 KR200466588 Y1 KR 200466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allery window
chain
arcade
gall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영
신은총
Original Assignee
신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영 filed Critical 신수영
Priority to KR2020120010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5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13Adjustable or movable by 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Abstract

본 고안은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주가 설치된 기본골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과, 지붕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을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하는 갤러리창으로 구성된 아케이드의 갤러리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갤러리창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과 갤러리창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에 있어서,
구동부는 골조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의 구동축에 이중으로 된 체인서프라킷을 설치하여 외측의 체인서프라킷은 핸들을 이용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주에 설치된 수동서프라킷과 체인으로 연결하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과 와이어를 환형으로 연결하여 체인 부분은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내측의 체인서프라킷에 연결하고, 와이어 부분은 골조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풀리에 연결하되, 체인과 와이어의 일측 연결에는 완충수단을 설치하고, 체인과 와이어의 타측 연결부에는 장력조절수단을 설치하며; 연결부는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가압판을 고정 설치하고, 갤러리창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통공부를 형성하고, 통공부 중앙에는 와이어에 고정된 가압판이 끼워져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서 힘을 전달받는 작동실을 형성한 연결브라켓을 설치하여 가압판과 작동실의 일측 내벽 간에는 압축스프링을 개입 설치함으로써 개폐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초기 시설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 Arcade for gallery window switchgear }
본 고안은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갤러리창 개폐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초기 시설비를 줄일 수 있게 한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케이드(arcade)란 주로 시장이나 상업 지역의 건물과 건물 사이에 형성된 상업공간을 강한 햇빛이나, 눈, 비, 바람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지붕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아케이드 아래에 형성된 상업공간의 경우에는 일기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상업 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대부분의 재래시장 등에서는 아케이드의 설치가 일반화된 실정이다.
한편, 아케이드의 일반적인 설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아케이드를 설치할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주(B)를 설치한 후, 지주(B)의 상단부에는 지주(B)와 지주(B)를 가로, 세로로 이어주는 기본골조(A)를 설치하고, 기본골조(A) 상부에는 통로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아치형의 지붕을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아케이드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통로 공간을 따라서 터널처럼 길게 설치되기 때문에 아케이드의 양 측면은 건물들에 의해 모두 막혀있는 형태가 되므로 아케이드의 길이 방향 양끝에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만이 아케이드 내부 공간의 환기가 가능케 되어 환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는 아케이드가 온실효과를 가져와 통로 공간의 온도가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더위에 따른 불편이 클 뿐만 아니라, 아케이드 내부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환기성이 떨어지는 이유로 인하여 유독가스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못하여 인명피해를 증가시킬 우려가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아케이드의 아치형 지붕 하부에 환기성을 향상시키고, 햇빛이나, 눈, 비 등이 아케이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갤러리창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된 실정이다.
또한, 개폐장치를 이용해 갤러리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기성 향상과 더불어, 아케이드 내부나 아케이드 주변 상가의 화재 발생시에 갤러리창의 개방을 통해서 소방수의 살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최근에 설치되는 아케이드는 대부분이 이러한 개폐형 갤러리창이 보편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갤러리창 개폐장치는 아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다수가 설치되는 갤러리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각각의 갤러리창에 모터를 비롯한 각종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개폐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갤러리창을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함으로써 다수의 개폐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초기 시설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초기 시설비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에 다수의 갤러리창을 고정하여 와이어를 이용해 갤러리창을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개발된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개폐장치는 장기간 사용시 와이어가 쉽게 늘어나거나,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하여 개폐장치의 고장 발생이 빈번하고, 갤러리창의 개폐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갤러리창을 하나의 모터로 구성된 개폐장치를 이용해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간소화한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주(B)가 설치된 기본골조(A)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C)과, 지붕(C)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D1)을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하는 갤러리창(D)으로 구성된 아케이드의 갤러리창(D)을 개폐하기 위하여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갤러리창(D)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과 갤러리창(D)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에 있어서,
구동부는 골조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1)의 구동축에 이중으로 된 체인서프라킷(101)을 설치하여 외측의 체인서프라킷(101)은 핸들(201)을 이용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주(B)에 설치된 수동서프라킷(2)과 체인(3)으로 연결하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3)과 와이어(4)를 환형으로 연결하여 체인(3) 부분은 모터(1)의 구동축에 설치된 내측의 체인서프라킷(101)에 연결하고, 와이어(4) 부분은 골조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풀리(401)에 연결하되, 체인(3)과 와이어(4)의 일측 연결에는 완충수단(5)을 설치하고, 체인(3)과 와이어(4)의 타측 연결부에는 장력조절수단(6)을 설치하며,
연결부는 와이어(4)에 일정 간격으로 가압판(402)을 고정 설치하고, 갤러리창(D)에는 와이어(4)가 관통하는 통공부(701)를 형성하고, 통공부(701) 중앙에는 와이어(4)에 고정된 가압판(402)이 끼워져 와이어(4)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서 힘을 전달받는 작동실(702)을 형성한 연결브라켓(7)을 설치하여 가압판(402)과 작동실(702)의 일측 내벽 간에는 압축스프링(703)을 개입 설치한 구성이다.
한편, 기본골조(A) 일측에는 스프링(801)의 압력에 의해 와이어(4)를 눌러서 와이어(4)의 장력을 긴장시키는 장력조절롤러(8)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아케이드의 지붕 하부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다수의 갤러리창을 하나의 모터로 구성된 개폐장치를 이용해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초기 시설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소화된 구조로 인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터를 이용한 자동개폐와 더불어 사람이 직접 인력을 이용해 수동 개폐도 가능케 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아케이드 구조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갤러리창 설치부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갤러리창 설치부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와 구동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갤러리창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본 고안은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주(B)가 설치된 기본골조(A)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C)과, 지붕(C)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D1)을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하는 갤러리창(D)으로 구성된 아케이드의 갤러리창(D)을 개폐하기 위하여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갤러리창(D)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과 갤러리창(D)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데 각 구성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구동부는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골조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1)의 구동축에 이중으로 된 체인서프라킷(101)을 설치하여 외측의 체인서프라킷(101)은 핸들(201)을 이용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주(B)에 설치된 수동서프라킷(2)과 체인(3)으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동부는 모터(1)에 의한 전동식으로 갤러리창(D)을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1)의 고장이나 정전과 같이 모터(1)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 지주(B)에 설치된 수동서프라킷(2)을 핸들(201)을 이용해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모터(1)의 구동축에 이중으로 설치된 체인서프라킷(101)을 회전시켜 체인서프라킷(101)에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갤러리창(D)의 자동/수동 개폐가 모두 가능케 된다.
이때, 수동서프라킷(2)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01)은 안전을 위하여 탈부착이 가능케 하고, 핸들(201)은 관리자에 의해 별도로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본 고안의 동력전달수단은 체인(3)과 와이어(4)를 환형으로 연결하여 체인(3) 부분은 모터(1)의 구동축에 설치된 내측의 체인서프라킷(101)에 연결하고, 와이어(4) 부분은 골조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풀리(401)에 연결하게 된다.
이때, 체인(3)과 와이어(4)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일측 연결부에는 인장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5)의 일측이 체인(3)의 단부에 연결되고, 완충수단(5)의 타측은 와이어(4)에 연결되도록 완충수단(5)을 설치함으로써 구동부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될 때 구동수단의 강력한 토크를 완충수단(5)이 완화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의 늘어남이나 끊어짐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인(3)과 와이어(4)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타측 연결부에는 턴버클과 같은 장력조절수단(6)을 설치함으로써 체인(3)과 와이어(4)가 환형으로 연결된 동력전달수단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장력이 변화하는 경우에 턴버클을 조이거나 풀어서 동력전달수단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골조 일측에는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와이어(4)를 눌러서 와이어(4)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긴장시키는 장력조절롤러(8)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4)가 풀리(401)를 돌아서 회전할 때 미끄러짐의 발생을 방지하여 와이어(4)에 연결된 갤러리창(D)의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연결부는 와이어(4)에 일정 간격으로 가압판(402)을 고정 설치하고, 갤러리창(D)에는 와이어(4)가 관통하는 통공부(701)를 형성하고, 통공부(701) 중앙에는 와이어(4)에 고정된 가압판(402)이 끼워져 와이어(4)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서 힘을 전달받는 작동실(702)을 형성한 연결브라켓(7)을 설치하게 된다.
즉,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C) 하부에 설치되는 갤러리창(D)에 연결브라켓(7)을 설치하고, 그 연결브라켓(7)에 형성된 작동실(702) 내부에 끼워지도록 와이어(4)에 가압판(402)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브라켓(7)에 형성된 통공부(701)를 관통하는 와이어(4)를 구동부의 동력을 이용해 일측으로 당기면 와이어(4)에 고정된 가압판(402)이 작동실(702) 내부에서 와이어(4)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가압판(402)의 일측이 작동실(702)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면서 와이어(4)에 가해지는 힘이 가압판(402)을 통해 연결브라켓(7)으로 전달되어 연결브라켓(7)이 설치된 갤러리창(D)이 와이어(4)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갤러리창(D)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연결브라켓(7)의 작동실(702) 내부에 위치하도록 와이어(4)에 고정되는 가압판(402)과 작동실(702)의 일측 내벽 간에는 압축스프링(703)을 개입 설치함으로써 압축스프링(703)의 압력에 의해 가압판(402)이 연결브라켓(7)의 작동실(702) 일측 내벽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4)가 일측으로 당겨지는 순간에 가압판(402)이 연결브라켓(7)의 작동실(702) 일측 내벽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동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량체인 갤러리창(D)이 구동부에 의해 개폐를 위한 가동을 시작한 후 가동을 멈출 때 발생하는 관성을 연결브라켓(7) 내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703)이 흡수, 완화함으로써 가압판(402)이 고정된 와이어(4)에 갤러리창의 관성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기본골조 B: 지주
C: 지붕 D: 갤러리창
1: 모터 101: 체인서프라킷
2: 수동서프라킷 201: 핸들
3: 체인 4: 와이어
401: 풀리 402: 가압판
5: 완충수단 6: 장력조절수단
7: 연결브라켓 701: 통공부
702: 작동실 703: 압축스프링
8: 장력조절롤러

Claims (2)

  1.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주가 설치된 기본골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과, 지붕 하부에 설치되어 창틀을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하는 갤러리창으로 구성된 아케이드의 갤러리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갤러리창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과 갤러리창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에 있어서,
    구동부는 골조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의 구동축에 이중으로 된 체인서프라킷을 설치하여 외측의 체인서프라킷은 핸들을 이용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주에 설치된 수동서프라킷과 체인으로 연결하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과 와이어를 환형으로 연결하여 체인 부분은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내측의 체인서프라킷에 연결하고, 와이어 부분은 골조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풀리에 연결하되, 체인과 와이어의 일측 연결에는 완충수단을 설치하고, 체인과 와이어의 타측 연결부에는 장력조절수단을 설치하며,
    연결부는 와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가압판을 고정 설치하고, 갤러리창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통공부를 형성하고, 통공부 중앙에는 와이어에 고정된 가압판이 끼워져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서 힘을 전달받는 작동실을 형성한 연결브라켓을 설치하여 가압판과 작동실의 일측 내벽 간에는 압축스프링을 개입 설치한 구성으로 된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골조 일측에는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와이어를 눌러서 와이어의 장력을 긴장시키는 장력조절롤러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KR2020120010602U 2012-11-20 2012-11-20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KR200466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02U KR200466588Y1 (ko) 2012-11-20 2012-11-20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02U KR200466588Y1 (ko) 2012-11-20 2012-11-20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588Y1 true KR200466588Y1 (ko) 2013-04-24

Family

ID=5138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602U KR200466588Y1 (ko) 2012-11-20 2012-11-20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5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215B1 (ko) * 2020-03-30 2020-08-26 신수학 갤러리 창호의 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950A (ja) * 1992-04-21 1993-11-09 Umeda Kinzoku:Kk 開閉障子における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
KR200194374Y1 (ko) 2000-04-03 2000-09-01 배복한 미닫이식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20070018320A (ko) * 2005-08-09 2007-02-14 조도영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JP2008038403A (ja) 2006-08-03 2008-02-2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パワースライド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950A (ja) * 1992-04-21 1993-11-09 Umeda Kinzoku:Kk 開閉障子における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
KR200194374Y1 (ko) 2000-04-03 2000-09-01 배복한 미닫이식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20070018320A (ko) * 2005-08-09 2007-02-14 조도영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JP2008038403A (ja) 2006-08-03 2008-02-2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パワースライドド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215B1 (ko) * 2020-03-30 2020-08-26 신수학 갤러리 창호의 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588Y1 (ko) 아케이드용 갤러리창 개폐장치
CN109301699A (zh) 一种通信基站的防雷装置
CN101151959A (zh) 高效节能型内保温日光温室
KR100713129B1 (ko) 전동 롤 스크린 장치
CN105781388B (zh) 自控定位回卷纱窗
KR101008203B1 (ko) 갤러리 창호
KR101287808B1 (ko) 우적센서를 이용한 자동 창문 개폐장치
KR20100118723A (ko) 슬라이드 스크린의 자동 구동장치
CN105072861A (zh) 电气柜
CN201354573Y (zh) 一种可紧急逃生的节能卷窗
CN208253801U (zh) 一种住宅的空调室外机放置结构
KR200429774Y1 (ko) 전동 롤 스크린 장치
CN107347835A (zh) 一种带防雨机构的园林灭蚊灯
CN202797676U (zh) 一种通过铰链开启泄压功能的开关柜顶烟囱式通风装置
CN202883265U (zh) 风力发电机防护装置
CN108963927A (zh) 一种智能组合式母线槽
CN210320365U (zh) 一种空调挂机立式电器架
CN210868448U (zh) 一种自动爬架用主电控箱
WO2013156650A3 (es) Protector de cortina con refrigeración para placas solares
CN215723781U (zh) 一种水冷型空调机组
CN204827171U (zh) 多用途纱窗门
CN208620032U (zh) 一种养老院使用的监护装置
CN205046760U (zh) 一种fcs防风天棚帘
CN216565939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多功能巨幕控制器
CN210425316U (zh) 一种空调外机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