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456Y1 -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456Y1
KR200466456Y1 KR2020110001209U KR20110001209U KR200466456Y1 KR 200466456 Y1 KR200466456 Y1 KR 200466456Y1 KR 2020110001209 U KR2020110001209 U KR 2020110001209U KR 20110001209 U KR20110001209 U KR 20110001209U KR 200466456 Y1 KR200466456 Y1 KR 200466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ettle
protruding piece
hing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893U (ko
Inventor
권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파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파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파워코리아
Priority to KR2020110001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5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5Bails, e.g. for pails, for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전자의 용기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는 손잡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돌출편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용기부 상부에는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밀폐되어 손잡이가 한쪽 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상기 수용부는 횡단면이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힌지홀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은 상기 가이드홈에 억지끼움되되, 상기 돌출편과 수용부의 접촉면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돌출편은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 세워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편의 일측에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힌지핀에 의해 상기 힌지홀과 체결공이 관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Binding -Structure For The Handle of Kettle Type}
본 고안은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한쪽 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하여 주전자가 양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손잡이를 일정 각도에서 정지 세워둘 수 있도록 한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전자는 물을 끓이기 위한 주방용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담기 위한 용기부(10)와, 용기부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 및 주전자를 들기 위한 손잡이(3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주전자 손잡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자 몸체 양단의 지지플레이트(40)에 리벳형태의 연결핀(50)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공회전되어 각도 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주전자를 화로 등에 올려놓고 물을 끓이거나 할 때 손잡이의 플라스틱 부분이 눌어붙는 현상이 잦았다.
그리고 주전자의 손잡이(30)를 잡고 물이 담긴 주전자를 이동하려고 할 때, 주전자의 용기부(10)가 양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운반이 어려우며 물이 넘치거나 밖으로 흐를 우려가 있었다.
특히 주전자를 기울여 물 등을 따를 때 용기부(10)의 흔들림이 심하여 반드시 한 손으로는 주전자를 받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자의 양 지지플레이트(40) 중 하나의 일측에 회전각도 제한용 걸림턱(60)을 형성하여 손잡이가 일측 방향으로만 젖혀질 수 있는 주전자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주전자는 흔들림은 덜하나, 손잡이(30)가 여전히 세워지지 않고 쉽게 젖혀짐에 따라 화로 등에 올려 물을 끓이거나 할 때 손잡이가 주전자의 몸체 일측면에 닿게 되면 열기에 의해 손잡이의 플라스틱 부분이 심하게 눌거나, 또한 물을 끓인 후 손잡이를 다시 잡았을 때 손을 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가 한쪽 방향으로는 젖혀지지 않도록 하여 주전자의 용기부가 양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주전자의 손잡이가 빡빡하게 움직여 상황에 따라 일정 각도에서 정지 세워둘 수 있도록 한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주전자의 용기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는 손잡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돌출편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용기부 상부에는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밀폐되어 손잡이가 한쪽 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상기 수용부는 횡단면이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힌지홀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은 상기 가이드홈에 억지끼움되되, 상기 돌출편과 수용부의 접촉면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돌출편은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 세워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편의 일측에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힌지핀에 의해 상기 힌지홀과 체결공이 관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열 전달이 잘 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손잡이를 잡고 주전자를 이동시에 주전자의 용기부가 양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달그락거리는 소리 및 불필요한 마찰 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전자를 화로 등에 올려 물을 끓이거나 할 때 손잡이를 일정 각도에서 정지 세워두어 손잡이의 플라스틱 부분이 눌어붙지 않도록 하며, 손잡이를 다시 잡았을 때 손을 델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전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주전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전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주전자의 부분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주전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는 크게 손잡이(100), 돌출편(200), 수용부(3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손잡이(100)는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지가 용이하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되어 열전달이 잘 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돌출편(200)은 상기 손잡이(10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손잡이(100)의 폭보다는 좁게 형성되며, 재질은 손잡이(10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돌출편(200)의 하부 일측에는 체결공(210)이 관통형성되어 후술할 힌지 핀(400)이 체결되도록 한다.
다음은 수용부(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용부(300)는 용기부(1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200)을 수용하여 힌지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 등의 내열성 수지로 제작된다.
특히 상기 수용부(300)는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밀폐되게 형성되어 손잡이(100)가 한쪽 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주전자를 이동시 주전자 용기부(10)가 양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달그락거리는 소음 및 불필요한 마찰로 인한 마모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수용부(300)의 횡단면이 'ㄷ' 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돌출편(200)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310)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힌지홀(320)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200)은 상기 가이드 홈(310)에 억지끼움되어 가압밀착되며, 힌지 핀(400)에 의해 상기 힌지홀(320)과 체결공(210)이 관통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편(200)과 수용부(300)의 접촉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여 돌출편(200)이 빡빡하게 움직이게 되고, 상황에 따라 임의의 각도에서 손잡이(100)를 정지 세워둘 수 있다.
따라서 주전자를 화로 등에 올려놓고 물을 끓일 때, 손잡이(100)가 용기부 일측면에 닿지 않도록 일정 각도에서 정지 세워 둘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손잡이(100)가 용기부(10)에 눌어붙을 염려가 없으며,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다시 잡을 때 손을 델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주전자를 들어서 물을 따를 때 실제로 손으로 쥐게 되는 손잡이(100) 부위에 다수개의 돌기(110)를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제 적용례를 살펴본다.
사용자는 주전자에 물을 채우기 위하여, 손잡이를 한쪽 방향으로 젖힌 다음 뚜껑을 연다.
다음 용기부에 물을 일정량 채운 후 다시 뚜껑을 닫고, 손잡이를 잡고 일정한 힘을 가하여 반대편으로 서서히 젖혀서 일정한 각도(30~45°)에서 손잡이를 정지 세워둔다.
그리고 주전자를 화로에 올려놓고 물을 끓이며, 물을 다 끓인 후에는 다시 손잡이를 직각(90°)으로 완전히 세운 다음 손잡이를 잡고 주전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손잡이가 한쪽 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하며 또한 주전자의 손잡이를 일정한 각도에서 손쉽게 세워둘 수 있도록 한 주전자용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용기부
100: 손잡이
110: 돌기
200: 돌출편
210: 체결공
300: 수용부
310: 가이드홈
320: 힌지홀
400: 힌지핀

Claims (4)

  1. 주전자의 용기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는 손잡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돌출편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용기부 상부에는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밀폐되어 손잡이가 한쪽 방향으로만 젖혀지도록 상기 수용부는 횡단면이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힌지홀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은 상기 가이드홈에 억지끼움되되, 상기 돌출편과 수용부의 접촉면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돌출편은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 세워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편의 일측에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힌지핀에 의해 상기 힌지홀과 체결공이 관통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열 전달이 잘 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KR2020110001209U 2011-02-14 2011-02-14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KR200466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09U KR200466456Y1 (ko) 2011-02-14 2011-02-14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09U KR200466456Y1 (ko) 2011-02-14 2011-02-14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93U KR20120005893U (ko) 2012-08-22
KR200466456Y1 true KR200466456Y1 (ko) 2013-04-16

Family

ID=5138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209U KR200466456Y1 (ko) 2011-02-14 2011-02-14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057B1 (ko) 2015-09-11 2016-01-15 김동현 주전자의 손잡이 경첩용 리벳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6351B (zh) * 2014-06-10 2019-11-12 T与I有限公司 脊椎支撑架
KR20210021425A (ko) 2019-08-18 2021-02-26 양재혁 뒤쪽에 손잡이가 달린 주전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892Y1 (ko) * 1996-02-27 1999-06-15 조동준 주전자용 손잡이
KR200346292Y1 (ko) * 2003-12-11 2004-03-31 안종연 다기능 주전자
KR200352607Y1 (ko) * 2004-03-04 2004-06-09 박용철 용기의 손잡이구조
KR20050115839A (ko) * 2005-11-17 2005-12-08 신재율 주전자 손잡이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892Y1 (ko) * 1996-02-27 1999-06-15 조동준 주전자용 손잡이
KR200346292Y1 (ko) * 2003-12-11 2004-03-31 안종연 다기능 주전자
KR200352607Y1 (ko) * 2004-03-04 2004-06-09 박용철 용기의 손잡이구조
KR20050115839A (ko) * 2005-11-17 2005-12-08 신재율 주전자 손잡이 각도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057B1 (ko) 2015-09-11 2016-01-15 김동현 주전자의 손잡이 경첩용 리벳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93U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40B1 (ko) 공회전 방지 버팀대가 구비된 포장용기 마개
KR101636109B1 (ko) 일체화된 플립 탑 손잡이를 갖춘 병 마개
KR200466456Y1 (ko)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JP4921513B2 (ja) 着脱斜め把手の片手鍋。
US20150083741A1 (en) Cover for food containers
KR200463179Y1 (ko) 냄비
JP6033964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JP2010527865A (ja) 栓紛失及び空回転防止容器
KR101300211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465367Y1 (ko) 조리용 냄비
KR101165816B1 (ko) 조리용기
KR101027486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US20080135585A1 (en) Kettle that automatically opens the spout cap when tilted to pour out water
KR20130106233A (ko) 컵라면 뚜껑의 홀더
TWI717513B (zh) 用於廚房用具的耳柄的可拆卸握持裝置
KR200288135Y1 (ko) 조리용기용 실리콘 손잡이
KR200363093Y1 (ko)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BE1016990A6 (fr) Butee amovible.
KR200348811Y1 (ko) 잠금장치를 가진 양면 프라이팬
CN213488443U (zh) 一种面包机的开盖结构
US639208A (en) Strainer for vessels.
KR200440995Y1 (ko) 뚜껑이 잠기는 안전 냄비
KR200421290Y1 (ko) 프라이팬의 손잡이
JP3136410U (ja) 鍋敷
KR20080004115U (ko) 손잡이가 형성된 플라스틱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