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892Y1 - 주전자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주전자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892Y1
KR200146892Y1 KR2019960003047U KR19960003047U KR200146892Y1 KR 200146892 Y1 KR200146892 Y1 KR 200146892Y1 KR 2019960003047 U KR2019960003047 U KR 2019960003047U KR 19960003047 U KR19960003047 U KR 19960003047U KR 200146892 Y1 KR200146892 Y1 KR 200146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ettle
handle body
riv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876U (ko
Inventor
조동준
Original Assignee
조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준 filed Critical 조동준
Priority to KR2019960003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892Y1/ko
Publication of KR970050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7Handles for coffee po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외관이 양호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주전자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전자용 상기 손잡이(3)를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대략 단면 U자 형상으로 만곡되게 연장되는 핸들바디(5)와, 상기 핸들바디(5)의 상면에 끼워지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핸들커버(6)로 구성하고, 상기 핸들바디(5)의 저면에는 저면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파지홈(7)을 형성한다.
또한, 손잡이(3)가 세워진 상태에서 주전자의 뚜껑(2)이 맞닿아 빠지지 않도록 상기 핸들바디(5)의 단부 내측에서 하향연장되는 걸림편(9)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커버(6)는 리벳(12)의 외부로 연장되어 리벳을 은폐한다.

Description

주전자용 손잡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부착된 주전자의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조립상태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해상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해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부 2 : 뚜껑
3 : 손잡이 4 : 토출구
5 : 핸들바디 6 : 핸들커버
7 : 파지홈 8 : 결합공
9 : 걸림편 11 : 삽입홈
14 : 채널홈 16 : 결합리브
본 고안은 주전자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외관이 양호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주전자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양한 형태의 주전자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전자들은 주전자의 본체를 이루는 용기부나 뚜껑의 구조변경을 통해서 그 기능이나 외관을 개선하기도 하지만 주전자의 손잡이부의 구조변경을 통해서 그 기능이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주전자의 용기부나 뚜껑은 이미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개선의 여지는 많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주전자의 손잡이는 중요한 디자인 포인트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주전자의 손잡이는 단순한 형태에 머물러서 단일한 색상의 수지를 일체로 성형하여 리벳으로 용기부의 브라켓에 힌지결합하거나, 합성수지제 손잡이의 상면에 띠형상의 스텐레스커버를 씌운 것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전자의 손잡이는 그 외관이나 색상이 단조롭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주전자의 손잡이 저면 중앙부에 다수의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나, 실제로 물을 따르기 위해 주전자를 기울일 때에 손으로 잡는 부분은 이러한 중앙부 파지홈의 뒤쪽부분이므로 물을 따를 때, 주전자의 안전한 파지가 곤란하고 손잡이가 쉽게 미끄러지기도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대체로 손잡이와 주전자본체의 결합부위인 리벳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상 단정하게 처리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주전자 손잡이의 기능 및 외관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작이나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외관이 양호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주전자용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주전자의 손잡이를 다양한 색상조합의 투갈라나 투톤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손잡이가 시각적인 액센트로 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할 때에 주전자가 미끄러지지 않게 안전하게 파지되며, 주전자 본체를 이루는 용기부와 결합되는 리벳부위가 은폐됨으로써 외관이 단정하게 정리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주전자용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전자의 용기부(1)의 브라켓(10)에 결합되는 손잡이(3)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대략 단면 U자 형상으로 만곡되게 연장되는 핸들바디(5)와, 상기 핸들바디(5)의 상면에 끼워지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핸들커버(6)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바디(5)의 저면에는 저면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파지홈(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용 손잡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3)가 세워진 상태에서 주전자의 뚜껑(2)이 맞닿아 빠지지 않도록 상기 핸들바디(5)의 단부 내측에서 하향연장되는 걸림편(9)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용 손잡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핸들바디(5)의 양단에는 주전자의 용기부(1)의 브라켓(10)이 끼워지는 삽입홈(11)과 이 브라켓(10)에 결합되도록 리벳(12)이 끼워지는 리벳공(13)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커버(6)는 상기 리벳(12)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핸들바디(5)와 결합되어 리벳이 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용 손잡이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적용되는 주전자의 예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조립상태 정면도이고, 제3도와 제4도는 각각 분해상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주전자의 본체를 이루며 토출구(4)가 형성된 용기부(1)와 뚜껑(2)을 포함하며, 용기부(1)의 전후방 상단에는 브라켓(10)이 직립연장되어 손잡이(3)가 결합되는 것은 일반적인 주전자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손잡이(3)는 대략 단면 U자 형상의 핸들바디(5)와 이 핸들바디(5)의 상면을 덮도록 된 핸들커버(6)의 두부분으로 분할제작된다. 이 핸들바디(5)와 핸들커버(6)는 내열성수지, 예를들면, 나일론수지나 베이클라이트 등으로 성형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작되어 이들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손잡이가 투칼라 또는 투톤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핸들바디(5)와 핸들커버(6)의 색상의 조합에 의해 동일한 형태의 손잡이라도 디자인의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핸들바디(5)의 상부에는 결합공(8)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핸들커버(6)에는 결합돌기(15)가 형성되어 이들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핸들바디(5)의 저면에는 그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다수의 만곡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파지홈(7)이 형성된다. 이 파지홈(7)은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토출구(4)의 반대쪽, 즉 주전자를 들어서 물을 따를 때에 실제로 손으로 쥐게 되는 손잡이 부위에 형성함으로써 주전자를 간편하게 들어서 물을 따를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을 개선한다.
한편, 핸들바디(5)의 하단부 내측에는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걸림편(9)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 걸림편(9)은 뚜껑(2)의 상단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하향연장되어서, 손잡이(3)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뚜껑(2)이 이 걸림편(9)에 맞닿아 열 수 없으며, 손잡이(3)를 옆으로 기울여서 걸림편(9)을 회동후퇴시킨 상태에서 뚜껑(2)을 살짝 들어올려서 측방으로 빼내도록 함으로써 뚜껑을 함부로 열 수 없도록 한다.
핸들바디(5)의 양쪽 하단에는 브라켓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이 삽입홈(11)에 용기부(1)의 브라켓(10)이 삽입되며, 핸들바디(5) 하단부의 리벳공(13)을 통해 리벳(12)이 외부로부터 안쪽으로 삽입결합된다. 그리고, 핸들바디(5)의 하단 외측부 측벽, 즉, 리벳공(13)의 외측부에 채널홈(14)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며, 이 채널홈(14)에는 핸들커버(6) 양단부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리브(16)가 하향삽입되어 핸들바디(5)와 핸들커버(6)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핸들커버(6)의 결합리브(16)가 핸들바디(5)의 채널홈(14)에 끼워짐으로 인하여 리벳(12)과 리벳공(13)이 핸들커버(6)의 단부에 의해 은폐되어서 외관이 단정하게 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주전자의 손잡이부를 합성수지로 핸들바디(5)와 핸들커버(6)의 두부분으로 분할 제작하여 이를 간편하게 조립함으로써, 손잡이부를 투칼라나 투톤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손잡이부의 칼라패턴에 변화를 줌으로써 손쉽게 주전자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파지홈(7)을 토출구(4)의 반대쪽으로 치우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할 대에 주전자를 미끄러지지 않도록 간편하게 쥘 수 있다. 또한, 핸들바디(5)의 단부에 걸림편(9)을 일체로 연장성형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뚜껑(2)을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와 주전자본체를 결합하는 리벳공(13)을 핸들바디(5)의 내부에 형성하고 이를 핸들커버(6)로 은폐함으로써 주전자의 외부에서 리벳이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이 단정하게 처리될 수 있다.

Claims (2)

  1. 주전자의 용기부(1)의 브라켓(10)에 결합되는 손잡이(3)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대략 단면 U자 형상으로 만곡되게 연장되는 핸들바디(5)와, 상기 핸들바디(5)의 상면에 끼워지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핸들커버(6)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바디(5)의 저면에는 저면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파지홈(7)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가 세워진 상태에서 주전자의 뚜껑(2)이 맞닿아 빠지지 않도록 상기 핸들바디(5)의 단부 내측에서 하향연장되는 걸림편(9)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디(5)의 양단에는 주전자의 용기부(1)의 브라켓(10)이 끼워지는 삽입홈(11)과 이 브라켓(10)에 결합되도록 리벳(12)이 끼워지는 리벳공(13)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커버(6)는 상기 리벳(12)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핸들바디(5)와 결합되어 리벳이 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용 손잡이.
KR2019960003047U 1996-02-27 1996-02-27 주전자용 손잡이 KR200146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047U KR200146892Y1 (ko) 1996-02-27 1996-02-27 주전자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047U KR200146892Y1 (ko) 1996-02-27 1996-02-27 주전자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876U KR970050876U (ko) 1997-09-08
KR200146892Y1 true KR200146892Y1 (ko) 1999-06-15

Family

ID=1945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047U KR200146892Y1 (ko) 1996-02-27 1996-02-27 주전자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8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56Y1 (ko) * 2011-02-14 2013-04-16 주식회사 홈파워코리아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KR101586057B1 (ko) 2015-09-11 2016-01-15 김동현 주전자의 손잡이 경첩용 리벳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56Y1 (ko) * 2011-02-14 2013-04-16 주식회사 홈파워코리아 주전자용 손잡이 결합구조
KR101586057B1 (ko) 2015-09-11 2016-01-15 김동현 주전자의 손잡이 경첩용 리벳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876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46459S1 (en) Oval cap container with side finger grips
US4624276A (en) Umbrella handle
USD439415S1 (en) Brush with cover handle
USD444834S1 (en) Grooved end cap grip for a lacrosse stick
US5669143A (en) Eating utensil with handle providing a visual amusing effect
KR200146892Y1 (ko) 주전자용 손잡이
USD378456S (en) Fisherman's caddy
ITMI951892A1 (it) Manico per recipienti di cottura, con una parte mobile per il trattenimento del coperchio
US4713860A (en) Handle assembly
US5528795A (en) Handle structure with a swingable curved grip element particularly for luggage containment means
USD425308S (en) Telescoping bowl brush
USD451341S1 (en) Utensil handle
KR200209085Y1 (ko) 주방기구 손잡이
USD418345S (en) Post for bath accessory
KR0138649Y1 (ko) 칼 손잡이 조립구조
KR850003135Y1 (ko) 차수저
JP3379689B2 (ja) 手提げ容器及び容器用把手
JPH0229476B2 (ko)
KR200233442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컵
USD405313S (en) Mating cookware cover and vessel handles
KR200182176Y1 (ko)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
USD496871S1 (en) Hair color analyzer
JP3484101B2 (ja) 湯 桶
USD386253S (en) Toilet seat lifter
USD444546S1 (en) Bath t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