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176Y1 -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 - Google Patents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176Y1
KR200182176Y1 KR2019990030526U KR19990030526U KR200182176Y1 KR 200182176 Y1 KR200182176 Y1 KR 200182176Y1 KR 2019990030526 U KR2019990030526 U KR 2019990030526U KR 19990030526 U KR19990030526 U KR 19990030526U KR 200182176 Y1 KR200182176 Y1 KR 200182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cup
us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필
Original Assignee
전석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석필 filed Critical 전석필
Priority to KR2019990030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85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몸체(1)와 이 용기 몸체(1)의 일측에 부착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2)로 컵 용기(3)가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2)의 외측이 원호를 이루면서 라운딩부(4)가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2)의 내측에는 다수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5)과 돌기(6)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요철부(7)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1)에 고정되는 손잡이(2)의 고정부재(8)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나의 손가락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파지홀(9)이 형성된 구조로서, 컵 용기나 포트 용기 등의 손잡이를 보다 견고한 상태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용기의 기울어짐에 의한 내용물의 유출을 막을 수 있고, 손잡이의 형상이 외적 미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생맥주잔이나 포트형 용기와 같이 특수한 용기에 적용되어 보다 안전하게 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A handle for a cup instrument}
본 고안은 각종 용기에 형성되는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 형상을 갖는 용기의 일측에 파지하기 쉽도록 부착되어 내용물을 보다 안정되게 보호함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도록 한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내용물이 담겨지게 되는 용기는 그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게 되는 바, 주로 음료를 담아서 직접 마시게 되는 경우에는 컵 형상의 용기가 사용되고, 또한 물을 끓이에 되는 포트형 용기도 사용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용기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컵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몸체(101)와 이 용기 몸체(101)의 일측에 부착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102)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 몸체(101)의 손잡이(102)를 잡고 그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2)의 경우에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것인 바, 주로 내용물이 뜨거운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생맥주집의 생맥주잔과 같이 내용물이 많을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용기(103)에 설치된 손잡이(102)는 보통 민밋하게 성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할 경우 미끄러지기 쉽고, 이에 따라 용기(103)의 파손이나 내용물의 유출로 인한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되는 결점이 있으며, 특히 내용물이 많이 들어가는 생맥주잔의 경우에는 담겨진 맥주에 의해 생맥주잔이 기울어지기 쉽기 때문에 이로 인해 맥주를 흘리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면서도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용기에 부착되어 내용물을 보다 안정되게 보호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몸체와 이 용기 몸체의 일측에 부착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컵 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외측이 원호를 이루면서 라운딩부가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는 다수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과 돌기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에 고정되는 손잡이의 고정부재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나의 손가락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파지홀이 형성된 구조이다.
즉, 컵 용기의 손잡이가 상기의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할 경우, 상기 손잡이 외측의 라운딩부가 손바닥에 안착되고, 다수의 손가락이 상기 손잡이 내측의 요철부에 안착되며, 또한 상기 파지홀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로 손잡이를 견고히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컵 용기나 포트 용기 등의 손잡이를 보다 견고한 상태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용기의 기울어짐에 의한 내용물의 유출을 막을 수 있고, 손잡이의 형상이 외적 미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생맥주잔이나 포트형 용기와 같이 특수한 용기에 적용되어 보다 안전하게 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컵 용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컵 용기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컵 용기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또다른 용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용기 몸체 2 : 손잡이
3 : 컵 용기 4 : 라운딩부
5 : 요홈 6 : 돌기
7 : 요철부 8 : 고정부재
9 : 파지홀 10 : 포트 용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컵 용기의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컵 용기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또다른 용기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몸체(1)와 이 용기 몸체(1)의 일측에 부착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2)로 컵 용기(3)가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2)의 외측이 원호를 이루면서 라운딩부(4)가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2)의 내측에는 다수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5)과 돌기(6)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요철부(7)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1)에 고정되는 손잡이(2)의 고정부재(8)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나의 손가락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파지홀(9)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컵 용기(3)에 설치되는 손잡이(2)의 특징은 외측의 라운딩부(4)와 내측의 요철부(7) 및 연결부에 형성된 파지홀(9)에 있는 바, 상기 라운딩부(4)와 요철부(7) 및 파지홀(9)을 통해 사용자가 보다 견고하게 손잡이(2)를 잡을 수 있고, 외적인 미감을 향상시켜 컵 용기(3)의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손잡이(2)를 파지할 경우, 상기 손잡이(2) 외측의 라운딩부(4)가 손바닥에 안착되고, 다수의 손가락이 상기 손잡이(2) 내측의 요철부(7)에 안착되며, 또한 상기 파지홀(9)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로 손잡이(2)를 견고히 잡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2)는 그 내측에 다수의 요홈(5)이 형성되는 바, 상기 요홈(5)이 손잡이(2)의 내측 뿐만아니라 표면부로 연장되어 손가락과의 접촉을 보다 안정되게 하고, 또한 상기 손잡이(2)의 중앙에 형성된 파지홀(9)에 손가락을 넣어 잡게 되면 손가락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재(8)에 손가락이 접촉됨으로써 고정부재(8)가 손잡이(2)의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의 외측에 형성된 라운딩부(4)에 손바닥이 접촉됨과 더불어 그 일측면에 엄지손가락을 접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2)의 파지가 용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끓일 수 있도록 된 포트 용기(10)에 적용되어, 보다 안전하게 포트 용기(10)를 이동시키거나 포트 용기(10)를 기울여 내용물을 또다른 용기에 따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각종 용기에 적용되는 상기 손잡이(2)에 의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용기를 취급할 수 있고, 용기의 제품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구매력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에 의하면, 컵 용기나 포트 용기 등의 손잡이를 보다 견고한 상태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용기의 기울어짐에 의한 내용물의 유출을 막을 수 있고, 손잡이의 형상이 외적 미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생맥주잔이나 포트형 용기와 같이 특수한 용기에 적용되어 보다 안전하게 용기를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몸체(1)와 이 용기 몸체(1)의 일측에 부착고정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2)로 이루어진 컵 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의 외측이 원호를 이루면서 라운딩부(4)가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2)의 내측에는 다수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5)과 돌기(6)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요철부(7)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1)에 고정되는 손잡이(2)의 고정부재(8)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나의 손가락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파지홀(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
KR2019990030526U 1999-12-30 1999-12-30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 KR200182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26U KR200182176Y1 (ko) 1999-12-30 1999-12-30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26U KR200182176Y1 (ko) 1999-12-30 1999-12-30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176Y1 true KR200182176Y1 (ko) 2000-05-15

Family

ID=1960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526U KR200182176Y1 (ko) 1999-12-30 1999-12-30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1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69Y1 (ko) * 2007-12-07 2011-05-19 원정제관(주) 용기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69Y1 (ko) * 2007-12-07 2011-05-19 원정제관(주) 용기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368B2 (en) Multifunctional mug cap with a sipper and straw
US6076699A (en) Drinking cup and lid
US4829618A (en) Coaster/opener for beverage containers
US6126024A (en) Convertible cup for vacuum bottle
JPH06296543A (ja) 缶ホルダー
US8141740B2 (en) Portable container
KR200182176Y1 (ko) 컵 용기용 손잡이 구조
US5284271A (en) Safety mug for liquids with improved lid which permits the liquid to retain its temperature and improved exterior body contour to facilitate designs silkscreened on the mug
KR200305968Y1 (ko) 패트병 홀더
KR970000773Y1 (ko) 음료 용기용 수납컵
CN220369809U (zh) 一种杯套
KR200354296Y1 (ko) 휴대용 보온 컵
KR200199736Y1 (ko) 생수통
KR200146892Y1 (ko) 주전자용 손잡이
KR200201197Y1 (ko) 음료수병용홀더
CN212755157U (zh) 一种方便抓握的杯子
CN215099514U (zh) 一种防滑饮料瓶
KR200207382Y1 (ko) 음료수 휴대용 손잡이
JPH0635945Y2 (ja) 把手付き容器
KR200197924Y1 (ko) 음용이 편리한 캔
KR200310069Y1 (ko) 미끄럼방지 턱이 있는 뚝배기 받침대
KR200332147Y1 (ko) 다기능 병따개
KR200242027Y1 (ko) 봉지형 종이컵
KR200174882Y1 (ko) 수저 보관함이 형성된 물통
KR200224476Y1 (ko) 음료수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