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093Y1 - 착즙기용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착즙기용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093Y1
KR200466093Y1 KR2020110007189U KR20110007189U KR200466093Y1 KR 200466093 Y1 KR200466093 Y1 KR 200466093Y1 KR 2020110007189 U KR2020110007189 U KR 2020110007189U KR 20110007189 U KR20110007189 U KR 20110007189U KR 200466093 Y1 KR200466093 Y1 KR 200466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lade
gripping portion
juicer
clean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105U (ko
Inventor
이은숙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이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숙 filed Critical 이은숙
Priority to KR2020110007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09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1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0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10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5Brush with an additional cutting tool, e.g. nail clippers, hai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8Other accessories, e.g. scrapers, rubber buffers for preventing damage to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6Brushes with heads on opposite sides or ends of a handle not intended for simultaneous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73Brush for cleaning specific unusual places not otherwise covered, e.g. gutters, golf clubs, tops of tin cans, corners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용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압착관과 상기 압착관을 지지하는 압착프레임을 갖는 압착통에 묻어있는 착즙찌거기를 제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착즙기용 청소용구에 있어서, 직선상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모를 조밀하게 식재하여 형성된 솔부와; 상단에 오목한 호형 형태를 이루는 청소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청소날이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는 청소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착즙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기용 청소용구{Cleaning Tool for Juicer}
본 고안은 착즙기용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등의 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형태로 음식을 가공하는 착즙기를 청소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료를 일단 분쇄하는 과정을 거친 후, 즙형태로 음식물을 가공하는 착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착즙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된 착즙재료를 압착통(210)과 회전압착부(220)를 시용하여 착즙하고 있다.
압착통(210)은 즙통과공(211a)이 형성되어 있는 압착관(211)과, 압착관(211)을 지지하는 압착프레임(212)을 갖고 있다.
회전압착부(220)는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착통(210)과 회전압착부(220)에 의해 회전압착부(220)가 압착관(211)의 내부에서 회전할 때 착즙재료가 압착되고 압착되면서 생성된 즙은 즙통과공(211a)을 통해 압착관(21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압착통(210)은 압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에 의해 즙통과공(211a)이 막힐 수 있기 때문에 착즙을 한 후 압착통(210)을 청소하기 위한 착즙기 청소용구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6은 종래 착즙기용 청소용구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착즙기용 청소용구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파지부(111)와, 파지부(111)에 형성된 솔부(112)를 갖고 있다.
솔부(112)는 모를 조밀하게 식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착즙기용 청소용구는 솔부(112)를 압착관(211)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왕복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용 청소용구에 따르면, 절단기능이 없고 압착프레임(212)의 인접영역에 접촉시키기 어려운 솔부(112)만을 가지고 섬유질이 많고 압착프레임(212)의 인접영역에 많이 부착되는 착즙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즙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착즙기용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압착관과 상기 압착관을 지지하는 압착프레임을 갖는 압착통에 묻어있는 착즙찌거기를 제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착즙기용 청소용구에 있어서, 직선상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모를 조밀하게 식재하여 형성된 솔부와; 상단에 오목한 호형 형태를 이루는 청소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청소날이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는 청소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청소용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압착관의 내부로 진입한 청소날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청소용구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솔부는 상기 청소날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청소날은 상기 솔부가 상기 압착관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파지부를 상기 압착관의 내부로 삽입할 때 상기 압착관의 내부로 먼저 진입하는 종단이 나중에 진입하는 종단보다 상기 파지부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절단기능을 가지고 압착프레임의 인접영역에 가압접촉시킬 수 있는 청소날부를 추가함으로써, 착즙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청소용구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청소용구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청소용구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청소용구의 사시도,
도6은 종래 착즙기용 청소용구의 사시도,
도7은 일반적인 착즙기의 압착통과 회전압착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청소용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청소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청소용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파지부(11)와, 파지부(11)에 형성된 솔부(12)와, 파지부(11)에 결합된 청소날부(13)를 갖고 있다.
파지부(11)에는 날고정홈(11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솔부(12)는 모를 조밀하게 식재하여 형성되어 있다.
삭제
솔부(12)중 하나는 청소날부(13)의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파지부(11)에 형성되어 있다.
청소날부(13)는 상단에 오목한 호형 형태를 이루는 청소날(13a)이 형성되어 있다.
청소날(13a)은 날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청소날(13a)은 솔부(12)가 압착관(211)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파지부(11)를 압착관(211)의 내부로 삽입할 때 압착관(211)의 내부로 먼저 진입하는 종단이 나중에 진입하는 종단보다 파지부(11)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청소날부(13)는 청소날(13a)이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파지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날고정홈(11a)을 통해 파지부(11)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청소용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솔부(12)를 압착관(211)의 외표면 또는 내표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왕복 이동시킨다.
다음에 청소날(13a)을 압착관(211)의 외표면에 가압한 상태로 이동시킨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청소날(13a)의 양 종단과 파지부(11) 사이의 이격거리가 달라지도록 본 고안을 실시하고 있으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날(13a)의 양 종단과 파지부(11) 사이의 이격거리가 동일하도록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청소날부(13)를 파지부(11)의 일면에 형성하고 있으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날부(13)를 파지부(11)의 대향면에 형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기능을 가지고 압착프레임(212)의 인접영역에 가압접촉시킬 수 있는 청소날부(13)를 추가함으로써, 착즙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청소날(13a)의 양 종단과 파지부(11) 사이의 이격거리를 달리함으로써, 압착관(211)의 내부로 진입한 청소날부(13)의 방해을 받지않고 청소용구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삭제
11, 111 : 파지부 12, 112 : 솔부
13 : 청소날부 210 : 압착통
211 : 압착관 212 : 압착프레임
220 : 회전압착부

Claims (3)

  1. 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압착관과 상기 압착관을 지지하는 압착프레임을 갖는 압착통에 묻어있는 착즙찌거기를 제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착즙기용 청소용구에 있어서,
    직선상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모를 조밀하게 식재하여 형성된 솔부와;
    상단에 오목한 호형 형태를 이루는 청소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청소날이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는 청소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청소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는 상기 청소날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청소날은 상기 솔부가 상기 압착관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파지부를 상기 압착관의 내부로 삽입할 때 상기 압착관의 내부로 먼저 진입하는 종단이 나중에 진입하는 종단보다 상기 파지부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청소용구.
  3. 삭제
KR2020110007189U 2011-08-09 2011-08-09 착즙기용 청소용구 KR200466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189U KR200466093Y1 (ko) 2011-08-09 2011-08-09 착즙기용 청소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189U KR200466093Y1 (ko) 2011-08-09 2011-08-09 착즙기용 청소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05U KR20130001105U (ko) 2013-02-19
KR200466093Y1 true KR200466093Y1 (ko) 2013-04-03

Family

ID=5138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189U KR200466093Y1 (ko) 2011-08-09 2011-08-09 착즙기용 청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0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226A (ko) 2022-07-06 2024-01-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 착즙망 청소도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29U (ja) 1983-07-08 1985-01-29 株式会社 松岡ブラシ産業 清掃用ブラシ
KR970002069Y1 (ko) * 1994-10-11 1997-03-19 김종길 착즙기용 착즙망 세척장치
KR100755440B1 (ko)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29U (ja) 1983-07-08 1985-01-29 株式会社 松岡ブラシ産業 清掃用ブラシ
KR970002069Y1 (ko) * 1994-10-11 1997-03-19 김종길 착즙기용 착즙망 세척장치
KR100755440B1 (ko)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226A (ko) 2022-07-06 2024-01-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 착즙망 청소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05U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3607A1 (en) Juicer
JP6422571B2 (ja) 水平果汁抽出装置
EP2564733A1 (en) Culinary utensil (Corn scraper)
US9339140B2 (en) Zester with scraper assembly
EP3357380A1 (en) Dual function garlic press
JP2014522266A5 (ko)
WO2015150233A1 (en) Juice extractor
KR102254613B1 (ko) 세척을 위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패킹 구조체
TW201601665A (zh) 用於榨汁機的壓榨模組
CN112205653A (zh) 一种灯笼椒辣椒酱生产用去柄装置
KR200466093Y1 (ko) 착즙기용 청소용구
CN107928369A (zh) 一种菠萝去皮机
CN105475454A (zh) 一种螺蛳切尾机
KR20170043553A (ko) 단차형 디자인을 가진 개선된 커피 탬퍼
US8549995B2 (en) Hand-operated appliance for shucking black-eyed pea seed coverings from their kernels
KR20160059056A (ko) 열매 수거장치
WO2008146231A1 (en) Juice extractor comprising relatively sharp members and relatively blunt members for grating items of food
JP6028004B2 (ja) ドーム部が傾斜しているおろし器
KR200470283Y1 (ko) 착즙기용 청소도구
JP5622962B1 (ja) ドーム部が傾斜しているおろし器
CN207432415U (zh) 一种农业木材剥皮机剥皮槽结构
KR20100052442A (ko) 귀이개
KR20120003392U (ko) 석쇠봉을 분리해 세척할 수 있는 위생적인 석쇠
JP2010051934A (ja) 揚げカス処理装置、揚げカス処理装置の清掃方法及び揚げカス処理方法
JP3198036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