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04Y1 - 캐릭터 반지 - Google Patents

캐릭터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04Y1
KR200465604Y1 KR2020110009857U KR20110009857U KR200465604Y1 KR 200465604 Y1 KR200465604 Y1 KR 200465604Y1 KR 2020110009857 U KR2020110009857 U KR 2020110009857U KR 20110009857 U KR20110009857 U KR 20110009857U KR 200465604 Y1 KR200465604 Y1 KR 200465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haracter
hole
support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훈
Original Assignee
최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치훈 filed Critical 최치훈
Priority to KR2020110009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캐릭터부에는 홀에 삽입되어 링에 고정되거나 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는, 캐릭터 반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있으며 홀이 형성되어 있는 링; 및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링에 부착되거나 탈착되는 캐릭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부는, 장식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캐릭터; 상기 캐릭터에 연결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릭터 반지{CHARACTER RING}
본 고안은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과, 링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링에 부착되는 각종 장식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지는 주로 성인들의 장식용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어린이들, 청소년 또는 20대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단순한 액세서리로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성인들을 위한 장식용구로 제작되는 반지의 경우, 금 또는 은으로 만들어진 링에 다이어몬드, 큐빅, 사파이어, 에매랄드 등이 장식류로 부착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금 또는 은 등으로 형성된 링에 다양한 종류의 문양을 형성하거나 또는 링 자체의 모양에 변형을 줌으로써, 자신만의 개성을 살리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
어린이, 청소년 또는 20대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액세서리 용도로 제작되는 캐릭터 반지의 경우, 플라스틱과 같은 저렴한 가격의 소재를 이용하여 링이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 등이 장식류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반지들은,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 및 장식류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반지들 중, 어린이, 청소년 또는 20대의 젊은이들(사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캐릭터 반지는, 유행에 따라 그 디자인이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캐릭터 반지는 장식류가 링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지의 구매 후 장식류에 식상해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반지가 주는 미감은 링보다는 장식류를 통해 느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장식류에 대한 취향은 사용자의 기분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본인에 의해 구매된 반지인 경우라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사회가 다변화하고, 패션에 대한 취향이 짧은 주기로 바뀌고 있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장식류가 유행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역시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반지를 이용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특허공개번호 10-2004-0021812호 등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장식류를 교체해 가며 이용할 수 있는 반지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1-004391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반지는, 반지의 링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장식류(보석류)에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핀을 장식류의 관통홀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그 양끝단을 링의 결합홈에 삽입시켜서, 반지의 링과 장식류가 결합되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반지는 장식류를 링에 탈부착하기 위해, 장식류와 링에 홈 또는 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핀이라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장식류를 탈부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링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캐릭터부에는 홀에 삽입되어 링에 고정되거나 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는, 캐릭터 반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있으며 홀이 형성되어 있는 링; 및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링에 부착되거나 탈착되는 캐릭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부는, 장식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캐릭터; 상기 캐릭터에 연결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을 가지고 있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판의 중심점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링의 내측면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링을 통과한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며, 상기 링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링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링을 통과한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은, 상기 링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그 입구가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은, 상기 링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갈 수로 그 입구가 좁아지다가, 일정한 내경을 갖는 형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은, 상기 지지대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지지판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은 링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캐릭터부에는 홀에 삽입되어 링에 고정되거나 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캐릭터부를 링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캐릭터부의 탈부착이 간편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의 개성과 분위기에 따라 신속하게 캐릭터를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링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링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링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캐릭터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캐릭터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의 링에 캐릭터부를 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의 링으로부터 캐릭터부를 탈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의 링에 캐릭터를 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링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링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링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캐릭터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 적용되는 캐릭터부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는, 어린이, 청소년 또는 20대의 젊은이들(이하, 간단히 '사용자'라 함)에 의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만화영화의 주인공 또는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자인으로 형성되어 있는 캐릭터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는 사용자가 링에 부착되어 있는 캐릭터를 자신의 기분 또는 복장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10)과 캐릭터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링(10)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원형 또는 사각형 또는 8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들 중 특히 사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있는 링(10)이 도시되어 있다.
링(10)은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실리콘과 같이 보다 부드러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링(10)에는 홀(11)이 형성되어 있다. 홀(11)은 이하에서 설명될 캐릭터부(20)의 지지대(22)와 지지판(23)이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지지대(22)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링(10)에는 지지판(23)이 지지대(22)에 접혀진 상태로 삽입되기 때문에, 링(10)의 내경은 지지판(23)이 지지대(22)에 접혀진 상태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링(10)이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홀(11)로 지지대(22) 및 지지판(23)이 삽입될 때, 일정한 범위 내에서 그 크기가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링(10)의 내경은 지지판(23)이 지지대(22)에 접혀진 상태보다 조금 더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지지판(23)이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링(10)이 탄성이 강한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홀(11)로 지지대(22) 및 지지판(23)이 삽입될 때, 홀(11)의 지름은 지지판(23)의 지름 이상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홀(11)을 지지판(23)이 통과할 수 있는 넓이로 확장시킨 후 지지판(23)을 홀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지지판(23)이 홀을 관통하여 내측면(13)에 인접되면 홀(11)을 확장시켰던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홀(11)이 원래의 작은 크기로 줄어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22) 및 지지판(23)이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진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지지대(22) 및 지지판(23)이 홀(11)에 삽입될 때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링(10)의 내경은 지지판(23)이 지지대(22)에 접혀진 상태보다 조금 더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홀(11)의 형태는 지지대(22)의 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홀(11)은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11)은 링의 외측면(12)으로부터 내측면(13) 방향으로 갈수록 그 입구가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의 외측면(12)으로부터 내측면(13) 방향으로 갈 수록 그 입구가 좁아지다가, 일정한 내경을 갖는 형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홀(11)은 외측면(12)으로부터 내측면(13) 방향으로 갈수록 그 입구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홀(14) 및 제1홀과 연결되어 내측면(13)으로 관통되어져 있으며, 제1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2홀(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11)을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는 이유는, 지지판(2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홀(11)을 통해 링(10)의 내측면(13)에 밀착되어 있는 지지판(23)이 쉽게 홀(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홀(14)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캐릭터부(20)의 지지판(23)이 보다 쉽게 제1홀(1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홀(15)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홀(11)을 통해 내측면(13)에 밀착되어 있는 지지판(23)이 외력에 의해 쉽게 제2홀(15)로 삽입되어 링(10)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캐릭터부(20)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서 장식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캐릭터부(20)는 링(10)에 형성되어 있는 홀(11)을 통해 링(10)에 탈부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서, 이를 위해 캐릭터부(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21), 지지대(22) 및 지지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캐릭터(2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어린이, 청소년 또는 20대의 젊은이들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단순히 구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캐릭터(21)는 사용자들이 좋아하는 미키마우스 또는 뽀로로와 같은 만화주인공의 형상이 될 수도 있으며, 별 또는 공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지지대(22)는 캐릭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링(10)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지지대(22)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22)의 길이는 링(10)의 길이보다는 길어야 한다.
지지대(22)의 형상은 사각형 기둥, 원기둥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23)은 지지대(22)의 일측 끝단에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23)의 모양은 사각형 또는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그 일예로서 원형으로 형성된 지지판(23)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대(22)는 지지판(23)의 중심점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판(23)은 지지대(22)와 겹쳐진 상태로 홀(11)에 삽입되며, 홀(11)을 관통한 상태에서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어, 링(10)의 내측면(13)에 밀착된다.
즉, 홀(11)을 통해 링(10)의 내측면(13)에 밀착되는 지지판(23)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맞닿게 된다.
지지판(2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22)에 겹쳐졌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야 하므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지지판(23)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2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22)에 겹쳐진 상태로 홀(11)을 통과해야 함으로, 홀(11)의 내경은, 지지대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지지판(23)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지지판(23)의 지름이란, 지지판(23)이 원형인 경우에는 그 지름을 말하며, 지지판(23)이 원형 이외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지판의 중심점을 지나는 좌우측 또는 상하측의 길이를 말한다.
즉, 홀(11)의 내경은, 지지판(23)의 두께 및 지지대(22)의 외경을 합친 것보다 커야 한다. 또한, 홀(11)을 관통한 상태에서 링(10)의 내측면(13)에 밀착되어 있는 지지판(23)이 홀(11)을 통해 링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홀(11)의 내경은 지지판(23)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링(10)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지지대(22) 및 지지판(23)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홀(11)의 내경은 지지판(23)의 두께 및 지지대(22)의 외경을 합친 것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링(10)이 탄성이 강한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링(10)에 형성되어 있는 홀(11)의 지름이 지지판(23)의 지름 크기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판(23)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홀을 관통하여, 링(10)의 내측면(13)에 밀착될 수도 있다.
캐릭터(21) 및 지지대(22)는, 지지판(23)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캐릭터부(20)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캐릭터(21) 및 지지대(22)는 지지판(23)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 후에 지지판(23)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캐릭터(21)와 지지대(22)와 지지판(23) 모두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후에 조립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에서 캐릭터부(20)를 링(10)에 탈부착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의 링에 캐릭터부를 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의 링으로부터 캐릭터부를 탈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링(10)에 캐릭터부(20)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캐릭터부(20)의 지지판(23)을 홀(11)의 입구에 삽입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지지판(23)이 홀에 삽입되면서 지지대(22)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후, 지지대(22)를 지속적으로 홀(11)로 삽입시키면, 지지판(23)이 지지대(22)와 밀착된 상태(A)로 홀(11)로 삽입되며, 결국, 링(10)의 내측면(13)을 관통하여 링(11) 밖으로 배출된다.
지지판(23)은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지대(22)와 밀착된 상태로 홀(11)을 관통한 이후에는 다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므로써, 캐릭터부(20)를 링(10)에 부착하는 과정이 종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링에 손가락을 끼우게 되면, 지지판(23)이 손가락과 링(10)의 내측면(13) 사이에 밀착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강한 힘이 작용되지 않는 이상, 지지판(23)은 다시 홀(11)을 통해 외부로 이탈될 수 없다.
다음으로, 링(10)으로부터 캐릭터부(20)를 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캐릭터부(20)의 캐릭터(21) 또는 지지대(22)를 잡고,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캐릭터부(20)를 잡아당기면, 지지판(23)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의 반대방향으로 뒤집혀진 상태(B)로 홀(11)에 삽입된다.
이후, 캐릭터(21) 또는 지지대(22)를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면, 지지판(23)이 링(10)의 외측면(12)을 관통하여 링(11) 밖으로 배출된다.
지지판(23)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링(10)의 홀(11)로부터 분리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는, 지지판(23)의 탄성을 이용하여 캐릭터부(20)를 링(10)에 형성되어 있는 홀(11)에 삽입시키거나, 분리시킴으로써, 캐릭터부(20)를 링(10)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의 링에 캐릭터를 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링(10)이 탄성이 강한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지지대(22) 및 지지판(23)이 홀(11)로 삽입될 때, 홀(11)의 지름은 외력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3)의 지름 이상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링(10)의 홀(11) 주변을 잡고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C, C')으로 잡아당기면, 홀(11)의 지름은 지지판(23)의 지름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재질로 형성된 지지판(23)은 그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확장된 홀(11)을 관통하여 링(10)의 내측면(13)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9의 C-C'의 화살표 방향으로 홀(11)을 잡아당겨, 지지판(23)이 통과할 수 있는 넓이로 확장시킨 후, 지지판(23)을 D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지지판(23)을 홀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지지판(23)이 홀을 관통하여 내측면(13)에 인접되면 홀(11)을 확장시켰던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홀(11)이 원래의 작은 크기로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 반지는, 탄성을 가진 실리콘을 이용하여 링(10)을 형성함으로써, 링(10)에 형성된 홀(11)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홀(11)의 지름이 지지판(23)의 지름 보다 크게 확장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진 지지판(23)을 이용하여 캐릭터부(20)를 링(10)에 탈부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링(10)이 매우 강한 탄성을 가진 경우, 지지판(23)은 탄성이 없거나 또는 적은 재질로 형성하는 한편, 홀(11)의 지름을 지지판(23)의 지름 이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캐릭터부(20)를 링(10)에 탈부착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링 11 : 홀
12 : 외측면 13 : 내측면
14 : 제1홀 15 : 제2홀
20 : 캐릭터부 21 : 캐릭터
22 : 지지대 23 : 지지판

Claims (8)

  1. 삭제
  2.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고 있으며 홀이 형성되어 있는 링; 및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링에 부착되거나 탈착되는 캐릭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부는,
    장식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캐릭터;
    상기 캐릭터에 연결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캐릭터 반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판의 중심점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반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탄성을 가지며,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링의 내측면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링을 통과한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고,
    상기 링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링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링을 통과한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반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링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그 입구가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반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지지대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지지판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반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이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링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반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확장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면과 밀착되는 경우에 그 원형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반지.
KR2020110009857U 2011-11-08 2011-11-08 캐릭터 반지 KR200465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57U KR200465604Y1 (ko) 2011-11-08 2011-11-08 캐릭터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57U KR200465604Y1 (ko) 2011-11-08 2011-11-08 캐릭터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604Y1 true KR200465604Y1 (ko) 2013-02-28

Family

ID=5135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857U KR200465604Y1 (ko) 2011-11-08 2011-11-08 캐릭터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0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716A (ja) 1998-09-14 2000-03-28 Satoshi Aikawa 装身具
KR200280016Y1 (ko) * 2002-03-30 2002-06-27 목영선 장식체 교체형 반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716A (ja) 1998-09-14 2000-03-28 Satoshi Aikawa 装身具
KR200280016Y1 (ko) * 2002-03-30 2002-06-27 목영선 장식체 교체형 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0544B1 (en) Novelty band for storing and displaying toy figures
TWD173414S (zh) 寶石飾物
US20120186121A1 (en) Wristband with removable indicia
US20150164190A1 (en) Decorative element for use with personal items
KR200465604Y1 (ko) 캐릭터 반지
KR200476298Y1 (ko) 형상 변형이 용이한 귀형상의 장식물이 구비된 헤어밴드
CN106793850A (zh) 一种用于手镯和/或项链的装饰部件
US20150157099A1 (en) Accessories with protrusions allowing for the attachment of washers or similar charms with center holes
US20020092323A1 (en) Decorative bead for bracelets, necklaces and the like
US10342305B2 (en) Interchangeable ring
US10004303B1 (en) Customizable bracelet
KR101602310B1 (ko) 장신구의 보석결착구조
CN209436422U (zh) 饰品组合结构
KR200432176Y1 (ko) 다목적 액세서리
CN202819867U (zh) 一种儿童纽扣
KR200365039Y1 (ko) 영문 글자를 교체할 수 있는 장신구.
TWM564372U (zh) Jewelry jewellery piercing structure
KR200336845Y1 (ko) 반지
KR101965641B1 (ko) 스마트 주얼리
KR200276911Y1 (ko) 장식용 반지
KR101510554B1 (ko) 장신구 제조방법
WO2022212903A1 (en) Button cover
US20170181519A1 (en) Ponytail holder with replaceable elastic annular rope
KR200474964Y1 (ko) 액세서리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한 장식물
KR200472527Y1 (ko) 야구공 형태를 이용한 열쇠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