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37Y1 -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537Y1
KR200465537Y1 KR2020110009257U KR20110009257U KR200465537Y1 KR 200465537 Y1 KR200465537 Y1 KR 200465537Y1 KR 2020110009257 U KR2020110009257 U KR 2020110009257U KR 20110009257 U KR20110009257 U KR 20110009257U KR 200465537 Y1 KR200465537 Y1 KR 200465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recycled
cosmetic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우
박윤정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이도우
김상민
박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우, 김상민, 박윤정 filed Critical 이도우
Priority to KR2020110009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5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식물의 씨앗이 내장되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부가 개방되고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며, 하부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천공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멍에 삽입 결합되어 본체 하단을 밀봉하는 돌기가 형성된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화장품을 모두 사용한 후 뚜껑에 내장된 식물의 씨앗을 용기 본체에 심어 화분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자연친화적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reusable as flowerpo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품 용기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에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 내용물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능적 요소뿐 아니라, 화장품이 개인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도구로 작용한다는 특성상 심미적 요소도 함께 고려하여 디자인 및 재질을 선택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의 가격이 전체 화장품 가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화장품 용기의 제조에 투입되는 비용과 노력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용기는 그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재활용 쓰레기로 분류하여 버려지는 것 이외에, 그 외관과 기능을 보전하여 재활용되는 사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장품 용기 내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이후에도, 용기를 버리지 않고 환경 친화적 재활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장품을 모두 사용한 후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는 식물의 씨앗이 내장되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부가 개방되고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며, 하부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천공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멍에 삽입 결합되어 본체 하단을 밀봉하는 돌기가 형성된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식물의 씨앗이 내장된 제1층과; 상기 제1층을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과 격리시키는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층은 씨앗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부재로 충전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탈지면, 스폰지,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층은 용기에 담긴 화장품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우드락, 스티로폼, 플라스틱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개에 형성된 돌기는, 본체 구멍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구형의 돌기머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장품을 모두 사용한 후 뚜껑에 내장된 식물의 씨앗을 용기 본체에 심어 화분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자연친화적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뚜껑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용기 본체의 바닥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마개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1의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붙여진 도면부호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다른 도면이라도 동일한 부호로 표기된 것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화장품 용기에 내용물이 모두 담긴 상태, 즉, 화장품이 사용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기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는 크게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하여 내용물을 밀폐하는 뚜껑(100)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마개(200)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뚜껑(100)에는 식물의 씨앗이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2의 측단면도에 상기 뚜껑(100)에 식물의 씨앗이 내장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면에서와 같이, 뚜껑의 내부는 폐쇄된 상단면으로부터 차례로 씨앗이 내장되는 제1층(110)과, 상기 제1층을 용기 본체의 화장품 내용물과 격리하기 위한 제2층(120)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뚜껑(100) 내부의 상기 제1층(110)은, 완충부재로 충전하여 식물의 씨앗이 내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탈지면, 스폰지,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층(120)은 우드락, 스티로폼, 플라스틱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화장품 용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이동시 충격으로부터 씨앗을 보호할 수 있으며, 씨앗에 화장품 내용물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장되는 씨앗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가능한 빨리 자랄 수 있는 씨앗을 선택하여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벤트성으로 다양한 종류의 식물 씨앗을 내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화장품 용기의 본체(300)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을 충전시키고 뚜껑을 개방하여 본체 상단으로부터 화장품 내용물을 꺼내어 쓸 수 있도록 한 것은, 종래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본체(300)와 뚜껑(100)의 결합부위에는 나사산이 각각 구비되어 본체와 뚜껑이 나사결합 또는 나사결합의 해제로 밀폐 또는 개봉될 수 있도록 한 것도 종래 화장품 용기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는 상기 본체(300)의 하부 바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도 3에 본체(300)의 하부 바닥에 구멍(310)이 형성된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내었다.
상기 본체 하부 바닥의 구멍(310)은, 화장품 내용물이 사용에 의해 모두 소진된 이후에,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를 화분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구성은, 화분으로 재활용시 그 안에 흙을 담고 심은 씨앗 또는 용기에서 자라고 있는 화초에 물을 주었을 때, 용기 바닥의 구멍(310)을 통해 물빠짐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멍(310)의 구체적인 구성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어서, 용기 안에 키울 식물의 종류나 흙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정한 크기 및 개수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300)와 뚜껑(100) 외에 본체(300) 하단에 결합되는 마개(200)가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도 4에 상기 마개(200)의 구조를 측단면도로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개(200)는 본체 바닥에 천공된 구멍(310)에 결합되어 본체 하단을 밀봉하기 위하여 돌기(210)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돌기(210)의 개수 및 크기는 상기 본체 바닥 구멍(310)의 개수 및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예컨대,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기(210)를 원통형으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돌기(210)의 길이를 상기 구멍(310)의 깊이와 동일하게, 돌기(210)의 직경을 구멍(310)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기(210)는 구멍(3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구형의 돌기 머리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돌기 몸체의 길이는 구멍의 깊이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돌기 머리의 직경은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돌기 몸체가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 머리는 본체 바닥의 표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화장품의 사용중 내용물이 본체 바닥 구멍을 통해 누출될 가능성이 한층 감소될 수 있다.
한편,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장품 용기 본체(300)가 대략 구형의 형상일 때, 상기 마개(2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재질을 실리콘으로 구성하여 화분 받침으로 사용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5에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뚜껑 110 제1층
120 제2층 200 마개
210 돌기 300 본체
310 구멍

Claims (7)

  1. 식물의 씨앗이 내장되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과;
    상부가 개방되고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되며, 하부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천공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멍에 삽입 결합되어 본체 하단을 밀봉하는 돌기가 형성된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식물의 씨앗이 내장된 제1층과,
    상기 제1층을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 내용물과 격리시키는 제2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완충부재로 충전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탈지면, 스폰지,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우드락, 스티로폼, 플라스틱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본체의 구멍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구형의 돌기머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본체 상단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20110009257U 2011-10-18 2011-10-18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0465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57U KR200465537Y1 (ko) 2011-10-18 2011-10-18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57U KR200465537Y1 (ko) 2011-10-18 2011-10-18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537Y1 true KR200465537Y1 (ko) 2013-02-28

Family

ID=5135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257U KR200465537Y1 (ko) 2011-10-18 2011-10-18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53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175U (ja) * 1993-03-09 1994-09-27 天龍化学工業株式会社 包装用容器
KR200172910Y1 (ko) 1997-10-13 2000-04-01 송석환 화분으로 사용 가능한 과자포장용기
KR20110000975U (ko) * 2009-07-22 2011-01-28 김승환 테이크아웃용기를 이용한 화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175U (ja) * 1993-03-09 1994-09-27 天龍化学工業株式会社 包装用容器
KR200172910Y1 (ko) 1997-10-13 2000-04-01 송석환 화분으로 사용 가능한 과자포장용기
KR20110000975U (ko) * 2009-07-22 2011-01-28 김승환 테이크아웃용기를 이용한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47Y1 (ko) 다기능 화분장치
KR20100008081U (ko) 물티슈 리필용 지퍼백
KR200465537Y1 (ko) 화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JP5101415B2 (ja) 給水弁、その給水弁を用いた給水装置および植物栽培装置
CN207550930U (zh) 一种茶罐包装盒
GB2506855A (en) Spherical cosmetics container
KR20170130972A (ko) 재활용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92141Y1 (ko) 재활용된 페트병으로 제작되는 심지 화분용 수분 공급 장치 제작 키트
CN206939389U (zh) 瓶盖以及使用该瓶盖的瓶子
CN211663867U (zh) 一种可变换成花盆的油壶
KR200470053Y1 (ko) 테이크아웃 커피홀더를 이용한 미니화분세트
CN205738826U (zh) 一种两用宠物食品包装盒
CN209225800U (zh) 一种带有植物种子的饮料瓶
JP3140514U (ja) 瓶蓋の構造
CN205305530U (zh) 一种市政园林用土培水培两用花盆
CN204377512U (zh) 一种花礼盒
CN204384101U (zh) 新型饮料盛放容器
CN204392949U (zh) 植栽容器
CN207885265U (zh) 一种自动浇水的多功能花盆
JP2013141418A (ja) 植物栽培キット
CN205546702U (zh) 一种山体生态修复的苗木种植装置
KR100857571B1 (ko) 종이 박스
CN209883302U (zh) 多功能餐盒
CN212150060U (zh) 一种复用做花盆的多用罐头瓶
KR200494888Y1 (ko) 화분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