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888Y1 - 화분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화분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88Y1
KR200494888Y1 KR2020200000964U KR20200000964U KR200494888Y1 KR 200494888 Y1 KR200494888 Y1 KR 200494888Y1 KR 2020200000964 U KR2020200000964 U KR 2020200000964U KR 20200000964 U KR20200000964 U KR 20200000964U KR 200494888 Y1 KR200494888 Y1 KR 200494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pot
plant
packaging container
cover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159U (ko
Inventor
김태균
김나은
Original Assignee
김태균
김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균, 김나은 filed Critical 김태균
Priority to KR2020200000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88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수용된 화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화분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 포장 용기{PACKAGING CONTAINER FOR POT}
본 고안은 화분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수용된 화분을 수용하는 몸체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커버부에 형성된 홀더부가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의 줄기와 화분에 수용된 토양을 지지하여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뽑히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 화분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의 기능은 견고한 용기에 다양한 식물을 심고 물을 주고 장기간 아름답게 가꾸고 감상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분은 합성수지, 철판, 알루미늄판, 주석판, 유리판, 목재, 세라믹 또는 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량으로 생산되어 표면처리하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화분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며 화분을 제작할 수 있는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페놀수지, 폴리아크릴수지, 폴리스틸렌수지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의 화분은 백색 또는 갈색과 같은 단색이며 표면이 쉽게 더러워지고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0421호(1999.11.26. 등록)인 "양면이 비닐 코팅처리된 종이로 만들어진 화분"을 살펴보면, 자동화 기계장치에 의하여 제조하게 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인쇄가 가능한 종이를 이용하여 양면을 비닐 코팅처리하고, 이를 테이퍼 상태의 원통체로 가열 융착시켜 형성한 후 밑받침을 타발 형성하여 끼우고 가열 압착시켜 완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마와 닥을 주재료로 하는 한지 등의 종이펄프를 이용하지 않고, 양면이 인쇄된 비닐 코팅 처리된 종이를 사용하였으므로 내구성이 증대되나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042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수용된 화분을 수용하는 몸체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커버부에 형성된 홀더부가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의 줄기와 화분에 수용된 토양을 지지하여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뽑히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 새로운 구조의 화분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운반용 띠지로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연결하여 화분이 수용된 몸체부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분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수용된 화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화분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층과 상기 내부층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외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층과 상기 외부층 사이에 수분을 흡수하기위한 부직포로 형성된 수분흡수층 및 상기 수분흡수층의 외측면에 방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바디; 상기 커버바디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된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로부터 절곡된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밀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커버바디의 일면을 '+'자로 절개한 커버유닛이 상기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의 줄기를 지지해주는 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의 핸드바디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며 절개된 홈이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핸드바디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곡선형상의 돌기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화분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는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수용된 화분을 수용하는 몸체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에 형성된 홀더부가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의 줄기와 화분에 수용된 토양의 상부를 지지하여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화분으로부터 뽑히는 것을 방지하고, 화분이 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는 화분을 몸체부에 수용한 상태로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을 키우는 경우, 종이재질의 몸체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화분에 공급된 물이 넘칠 때 배출공으로 배수되게 하고, 수분을 흡수한 몸체부가 습도를 유지하여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는 소정의 넓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함으로써, 화분을 운반 시 토양이 낙하하거나 구근식물이 흔들리는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부에 의해 한번에 여러개의 화분을 동시에 운반이 가능하고, 운반이 완료되면 손잡이부를 해체하여 화분이 수용된 상태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의 몸체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의 홀더부가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의 지지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의 몸체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의 홀더부가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의 지지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10)은 몸체부(100), 커버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1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수용된 화분(F)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몸체부(100), 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200) 및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토양 및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수용된 화분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110)을 형성한다.
또한, 몸체부(100)는 하부의 외주면 일측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120)이 형성되어 화분(F)에 공급된 물이 배수되게 하여 수용공간(110)에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몸체부(100)는 종이재질로 형성되어 화분에 공급한 물이 화분에 형성된 배출공으로 배수된 물을 흡수한다. 그리고 흡수된 수분을 배출하여 화분의 하부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장시간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이를 위해, 몸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흡수층(130) 및 방수층(140)을 더 포함한다.
다시 설명하면, 몸체부(100)는 수용공간(110)을 형성하는 내부층과 내부층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외부층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층과 외부층 사이에 수분을 흡수하기위한 부직포로 형성된 수분흡수층(130) 및 수분흡수층(130)의 외측면에 방수층(140)이 형성된다.
특히,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내부층 및 외부층은 두꺼운 종이로 형성되어 수분에도 찢어지거나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흡수층(130)은 내부층의 외측면에 부직포를 형성하여 내부층으로 흡수된 수분을 흡수한다.
이로 인해, 부직포로 흡수된 수분이 다시 내부층으로 배출되어 수용공간(110)으로 수분을 일정하게 배출하고, 배출된 수분이 화분의 하부에 위치한 토양으로 유입되게 한다.
방수층(140)은 수분흡수층(130)과 외부층 사이에 배치되어 부직포에서 흡수된 수분을 외부층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몸체부(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부(200)는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화분(F)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의 줄기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커버부(200)는 커버바디(210), 체결부(220) 및 홀더부(230)를 더 포함한다.
커버바디(2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부(220)는 커버바디(210)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된 측벽(221)과 측벽(221)으로부터 연장된 플랜지(222) 및 플랜지(222)로부터 절곡된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223)를 포함하고, 돌기(223)가 몸체부(100)의 상부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체결부(220)는 몸체부(100)가 쓰러지더라도 커버바디(210)가 튕겨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홀더부(230)는 커버바디(210)의 일면을 '+'자로 절개한 커버유닛이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홀더부(230)는 수용공간(110)에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수용된 화분을 수용시키고, 커버바디(210)로 몸체부(100)의 상부를 폐쇄 시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의 잎이 '+'자로 절개된 커버유닛 사이로 빠져나가게 한다. 그리고 커버유닛은 탄성력에 의해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의 줄기방향으로 밀착된다.
이로 인해, 홀더부(230)는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의 줄기방향으로 세워지면서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을 지지하고, 화분에 수용된 토양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부(300)는 몸체부(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핸드바디부(310), 결합홈(320) 및 결합돌기(330)를 더 포함한다.
핸드바디부(3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의 손잡이로 구비된다.
결합홈(320)은 몸체부(100)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며 절개된 홈이 형성된다.
결합돌기(330)는 핸드바디부(310)의 양측에 형성되고 결합홈(32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300)는 화분이 수용된 몸체부(100)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이동 시, 토양이 떨어지거나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포장 용기(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몸체부(100)의 내측면에 곡선형상의 돌기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10)으로 삽입되는 화분의 외측면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부(400)는 화분이 수용공간(110)으로 삽입된 후, 몸체부(100)의 이동으로 심한 흔들림 또는 부주의로 인해 몸체부(100)의 낙하 시, 화분을 견고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부(400)는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수용공간(110)의 하부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화분 포장 용기
F : 화분
100 : 몸체부
110 : 수용공간
120 : 배수공
130 : 수분흡수층
140 : 방수층
200 : 커버부
210 : 커버바디
220 : 체결부
230 : 홀더부
300 : 손잡이부
310 : 핸드바디부
320 : 결합홈
330 : 결합돌기
400 : 지지부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이 수용된 화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층과 상기 내부층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외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층과 상기 외부층 사이에 수분을 흡수하기위한 부직포로 형성된 수분흡수층 및 상기 수분흡수층의 외측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곡선형상의 돌기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화분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흡수층은 상기 부직포로 흡수된 수분이 상기 내부층으로 배출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을 일정하게 배출하고, 배출된 수분이 화분의 하부에 위치한 토양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바디;
    상기 커버바디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된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로부터 절곡된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밀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커버바디의 일면을 '+'자로 절개한 커버유닛이 상기 구근식물 또는 일반식물의 줄기를 지지해주는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화분 포장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의 핸드바디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며 절개된 홈이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핸드바디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화분 포장 용기.
  4. 삭제
KR2020200000964U 2020-03-20 2020-03-20 화분 포장 용기 KR200494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64U KR200494888Y1 (ko) 2020-03-20 2020-03-20 화분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64U KR200494888Y1 (ko) 2020-03-20 2020-03-20 화분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59U KR20210002159U (ko) 2021-09-29
KR200494888Y1 true KR200494888Y1 (ko) 2022-01-18

Family

ID=7791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64U KR200494888Y1 (ko) 2020-03-20 2020-03-20 화분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8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9418A1 (en) 1998-08-13 2000-02-24 The Sunblush Technologies Corporation Corrugated-paperboard package for cut flowers
JP3025165B2 (ja) 1995-01-25 2000-03-27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電位治療装置
KR200429798Y1 (ko) * 2006-07-05 2006-10-27 천지영농조합법인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KR100794260B1 (ko) * 2007-03-02 2008-01-14 홍우종 통기성 조절이 용이한 이중 구조 화분
KR101959722B1 (ko) * 2018-10-02 2019-03-19 김정훈 식물 재배 용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165U (ja) * 1995-11-24 1996-06-11 志銓 高 農産物の鮮度保持装置
KR200170421Y1 (ko) 1999-08-31 2000-02-15 박승근 양면이 비닐 코팅처리된 종이로 만들어진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165B2 (ja) 1995-01-25 2000-03-27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電位治療装置
WO2000009418A1 (en) 1998-08-13 2000-02-24 The Sunblush Technologies Corporation Corrugated-paperboard package for cut flowers
KR200429798Y1 (ko) * 2006-07-05 2006-10-27 천지영농조합법인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KR100794260B1 (ko) * 2007-03-02 2008-01-14 홍우종 통기성 조절이 용이한 이중 구조 화분
KR101959722B1 (ko) * 2018-10-02 2019-03-19 김정훈 식물 재배 용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59U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2137B (zh) 可填充水的植物容器
KR20190116324A (ko) 적어도 하나의 식물을 경작하기 위한 요소 및 그 요소의 제조 방법
KR200494888Y1 (ko) 화분 포장 용기
JP3044352U (ja) 水耕栽培器
KR200445088Y1 (ko) 전분제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도마
KR200486547Y1 (ko) 다기능 화분장치
US2595961A (en) Coaster
KR101327568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20120004374U (ko) 이중 바닥 먹줄기
JP2005022735A (ja) 生花包装用容器
CN208159438U (zh) 一种具有花盆及存钱罐功能的盒体结构
JP2000050752A (ja) 給水装置
JP2007259833A (ja) 木製植木鉢
US20080072493A1 (en) Mould for preventing water accumulation in flower pots
KR102212498B1 (ko)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KR101824872B1 (ko) 화분으로 재활용 가능한 일회용 컵 조립체
JPH11318216A (ja) 定水位底面給水式植物栽培装置または水飲み給水装置関係品
JP3055023U (ja) 植木鉢の給水具
KR200152324Y1 (ko) 신선도가 유지되는 김치통
US20020132551A1 (en) Bubble blower
KR100857571B1 (ko) 종이 박스
TWI758002B (zh) 飼養容器結構
KR200275690Y1 (ko) 콩나물 재배 및 유통 용기
FR2538993A1 (fr) Germoir
KR200369971Y1 (ko) 이중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