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498B1 -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 Google Patents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498B1
KR102212498B1 KR1020190071939A KR20190071939A KR102212498B1 KR 102212498 B1 KR102212498 B1 KR 102212498B1 KR 1020190071939 A KR1020190071939 A KR 1020190071939A KR 20190071939 A KR20190071939 A KR 20190071939A KR 102212498 B1 KR102212498 B1 KR 10221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oard
board body
weight
parts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232A (ko
Inventor
김영곤
Original Assignee
김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곤 filed Critical 김영곤
Priority to KR102019007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4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평면과 저면의 각 둘레부분 사방에 만곡형 배수홈이 형성된 도마본체가 제공됨으로써 만곡형 배수홈을 통해 음식물을 썰거나 다지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하고나서 세척 후에 잔존하는 수분에 대한 외부로의 배수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종래와 달리 인체에 해로운 세균의 번식 발생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도마본체의 각 변에 대하여 2점 접지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도마본체의 세척 후 직립보관시 바닥접지면적을 최소화하여 접지면적이 넓은 종래의 도마와 달리,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Cutting board with drain water function}
본 발명은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과 저면의 각 둘레부분 사방에 만곡형 배수홈이 형성된 도마본체가 제공됨으로써 만곡형 배수홈을 통해 음식물을 썰거나 다지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하고나서 세척 후에 잔존하는 수분에 대한 외부로의 배수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종래와 달리 인체에 해로운 세균의 번식 발생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도마본체의 각 변에 대하여 2점 접지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도마본체의 세척 후 직립보관시 바닥접지면적을 최소화하여 접지면적이 넓은 종래의 도마와 달리,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한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마는 하면 음식재료를 썰거나 다지기 위한 것으로, 두껍고 단단한 나무일수록 좋은데, 근래에는 나무 도마의 단점 때문에 플라스틱 도마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나무 도마의 경우에는 도마를 사용한 후, 씻어서 보관할 때, 씻은 후 도마 표면에 잔존하는 물의 수분이나 음식물 재료로부터 나온 물이 도마에 스며들어 쉽게 마르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박테리아가 번식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마의 색상이 검게 변하는 것은 물론 박테리아가 점차 번식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기존도마제품 중에서 플라스틱 도마는 수명이 오래가고 튼튼한 장점이 있으므로, 플라스틱 재질의 도마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의 도마도 음식물을 썰거나 다지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한 후에, 세척하여 판 상의 도마를 가로나 세로방향으로 직립시켜 세워두거나 걸어두면서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도마는 음식물을 썰거나 다지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하고나서 가로나 세로방향으로 직립시켜 세워두거나 걸어 보관할 경우에, 세척 후 잔존하는 수분에 대한 외부로의 배수처리가 원활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잔존하는 수분으로 인한 인체에 해로운 세균의 번식이 발생하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음식물을 썰거나 다지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하고나서 세척 후에 잔존하는 수분에 대한 외부로의 배수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종래와 달리 인체에 해로운 세균의 번식 발생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7-0003389호 2017.10.10.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38865호 2017.05.17.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97691호 2017.01.12.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면과 저면의 각 둘레부분 사방에 만곡형 배수홈이 형성된 도마본체가 제공됨으로써 만곡형 배수홈을 통해 음식물을 썰거나 다지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하고나서 세척 후에 잔존하는 수분에 대한 외부로의 배수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종래와 달리 인체에 해로운 세균의 번식 발생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도마본체의 각 변에 대하여 2점 접지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도마본체의 세척 후 직립보관시 바닥접지면적을 최소화하여 접지면적이 넓은 종래의 도마와 달리,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토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는 일정두께를 가지되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진 장방형 판 상으로 형성되는 도마본체로 형성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에 있어서, 상기 도마본체는 평면에서 봤을 때 각 변으로부터 내향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깊이 함몰되되, 각 변의 양측 라운드진 모서리부분 끝단 사이 영역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내향 오목하게 만곡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일정 폭을 가지면서 하향 함몰되어 배수홈이 형성되며, 어느 일 측 모서리부분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일정지름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손잡이 기능을 하거나 걸이 바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공이 관통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마본체의 배수홈은 폭 방향에 대한 상기 도마본체의 중앙 측을 향하는 측벽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안내부 및 폭 방향에 대한 상기 도마본체의 둘레 변 측을 향하는 측벽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홈은 바닥면에 대한 길이방향 정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 양측으로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함몰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마본체는 직립보관시 바닥접지면이 2점 지지 구조로서 바닥접지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홈과 대응되어 각 변의 양측 라운드진 모서리부분 끝단 사이 영역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내향 오목하게 만곡 라운드진 형상이 되도록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마본체는 배수처리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홈의 외부와 이웃하는 측벽부분에 대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수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배수홈 측이 넓고 도마본체의 외부 측이 좁은 내광외협의 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마본체는 상기 배수홈에 대하여 평면과 저면 부분에 각각 대칭으로 상하 함몰형성되어, 저면에서 봤을 때에도 각 변으로부터 내향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깊이 함몰되되, 각 변의 양측 라운드진 모서리부분 끝단 사이 영역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내향 오목하게 만곡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일정 폭을 가지면서 하향 함몰되어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도마본체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도마본체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성형되되, 플라스틱 조성물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로서, 첨가제 10중량부 및 열가소성수지 30~4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참숯 분말 15~25중량부, 녹차 또는 소나무잎 추출물 2~3중량부, 아크릴산 3~7중량부, 감자 또는 옥수수 전분 11~16중량부, 무기질 필러 5~10중량부, 그라프트제 3중량부, 생분해효소 5~10중량부, 실란트(sealant) 15~20중량부, 습윤제, 증점제, 암모니아, 알코올, 목초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와 폴리에틸렌(PE)과 폴리스틸렌(PS)과 폴리염화비닐(PVC)과 아크릴수지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면과 저면의 각 둘레부분 사방에 만곡형 배수홈이 형성된 도마본체가 제공됨으로써 만곡형 배수홈을 통해 음식물을 썰거나 다지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하고나서 세척 후에 잔존하는 수분에 대한 외부로의 배수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종래와 달리 인체에 해로운 세균의 번식 발생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도마본체의 각 변에 대하여 2점 접지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도마본체의 세척 후 직립보관시 바닥접지면적을 최소화하여 접지면적이 넓은 종래의 도마와 달리,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의 배수홈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배수홈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걸친 부분에 대한 배수홈 구조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의 요부인 배수홈 구조 및 배수공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는 일정두께를 가지되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진 장방형 판 상으로 형성되는 도마본체(100)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마본체(100)는 특히, 평면에서 봤을 때 각 변으로부터 내향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깊이 함몰되되, 각 변의 양측 라운드진 모서리부분 끝단 사이 영역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내향 오목하게 만곡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일정 폭을 가지면서 하향 함몰되어 배수홈(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마본체(100)는 어느 일 측 모서리부분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일정지름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손잡이 기능을 하거나 걸이 바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공(150)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도마본체(100)에서의 배수홈(1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립시켰을 때 배수홈(110) 측으로 유입되어 배수홈(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가 안내되되 배수홈(110)의 폭 방향에 대하여서도 배수가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라운드안내부(111) 및 경사안내부(113)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라운드안내부(111)는 상기 배수홈(110)에서, 폭 방향에 대한 상기 도마본체(100)의 중앙 측을 향하는 측벽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라운드안내부(11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홈(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도마본체(100)의 중앙 측을 향하는 측벽과 도마본체(100)의 외면에 걸친 모서리를 형성하는 부분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안내부(113)는 상기 배수홈(110)에서, 폭 방향에 대한 상기 도마본체(100)의 둘레 변 측을 향하는 측벽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경사안내부(113)는 배수홈(1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도마본체(100)의 둘레 변 측을 향하는 측벽 상에 둘레 변 측을 향하여 점차 홈이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도마본체(100)는 직립보관시 바닥접지면이 2점 지지 구조로서 바닥접지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마본체(100)는 상기 배수홈(110)과 대응되어 각 변의 양측 라운드진 모서리부분 끝단 사이 영역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내향 오목하게 만곡 라운드진 형상이 되도록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마본체(100)는 상기 배수홈(110)에 대하여 평면과 저면 부분에 각각 대칭으로 상하 함몰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마본체(100)는 평면뿐만 아니라 저면에서 봤을 때에도 각 변으로부터 내향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깊이 함몰되되, 각 변의 양측 라운드진 모서리부분 끝단 사이 영역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내향 오목하게 만곡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일정 폭을 가지면서 하향 함몰되어 배수홈(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도마본체(100)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도마본체(100)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성형되되, 플라스틱 조성물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로서, 첨가제 10중량부 및 열가소성수지 30~4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참숯 분말 15~25중량부, 녹차 또는 소나무잎 추출물 2~3중량부, 아크릴산 3~7중량부, 감자 또는 옥수수 전분 11~16중량부, 무기질 필러 5~10중량부, 그라프트제 3중량부, 생분해효소 5~10중량부, 실란트(sealant) 15~20중량부, 습윤제, 증점제, 암모니아, 알코올, 목초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와 폴리에틸렌(PE)과 폴리스틸렌(PS)과 폴리염화비닐(PVC)과 아크릴수지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의 배수홈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배수홈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걸친 부분에 대한 배수홈 구조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배수홈(110)의 바닥면 구조에 대하여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 1 내지 3을 함께 참고하되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하여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에서의, 배수홈(110)은 바닥면에 대한 길이방향 정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 양측으로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도마본체(110)의 세척 후 직립시키는 경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물 빠짐의 흐름 경로에서와 같은 중앙부분에서 다량의 물이 흘러내릴 경우에 변 부분의 중앙부분에 편중되는 물에 대하여 배수홈(110)의 양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면서 배수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의 요부인 배수홈 구조 및 배수공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배수홈(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수공이 더 관통형성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 1 내지 3을 함께 참고하되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하여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에서의, 상기 도마본체(100)는 배수처리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마본체(100)는 배수홈(110)의 외부와 이웃하는 측벽부분에 대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수공(130)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수공(130)은 상기 배수홈(110) 측이 넓고 도마본체(100)의 외부 측이 좁은 내광외협의 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에 의하면, 평면과 저면의 각 둘레부분 사방에 만곡형 배수홈이 형성된 도마본체가 제공됨으로써 만곡형 배수홈을 통해 음식물을 썰거나 다지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하고나서 세척 후에 잔존하는 수분에 대한 외부로의 배수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종래와 달리 인체에 해로운 세균의 번식 발생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평면과 저면의 각 둘레부분 사방에 만곡형 배수홈이 형성된 도마본체가 제공되되 도마본체의 배수홈 길이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측벽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수공이 더 관통형성됨으로써 세척 후에 잔존하는 수분에 대한 외부로의 배수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마본체의 각 변에 대하여 2점 접지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도마본체의 세척 후 직립보관시 바닥접지면적을 최소화하여 접지면적이 넓은 종래의 도마와 달리,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더욱이, 도마본체에 대하여 항균성 물질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로 성형함으로써 사용시 항균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폐기시에 친환경적인 폐기처리가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도마에 대한 친환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도마본체
110: 배수홈
111: 라운드안내부
113: 경사안내부
130: 배수공
150: 걸이공

Claims (10)

  1. 일정두께를 가지되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진 장방형 판 상으로 형성되는 도마본체(100)로 형성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에 있어서,
    상기 도마본체(100)는 평면에서 봤을 때 각 변으로부터 내향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깊이 함몰되되, 각 변의 양측 라운드진 모서리부분 끝단 사이 영역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내향 오목하게 만곡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일정 폭을 가지면서 하향 함몰되어 배수홈(110)이 형성되며, 어느 일 측 모서리부분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일정지름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손잡이 기능을 하거나 걸이 바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공(15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배수홈(110)은,
    상기 도마본체(100)의 각 변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단부가 해당 모서리부분에서 외측으로 개방되어 집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폭 방향에 대한 상기 도마본체(100)의 중앙 측을 향하는 측벽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안내부(111) 및
    폭 방향에 대한 상기 도마본체(100)의 둘레 변 측을 향하는 측벽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도마본체(100)는 배수처리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홈(110)의 외부와 이웃하는 측벽부분에 대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수공(130)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110)은 바닥면에 대한 길이방향 정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 양측으로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본체(100)는 직립보관시 바닥접지면이 2점 지지 구조로서 바닥접지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홈(110)과 대응되어 각 변의 양측 라운드진 모서리부분 끝단 사이 영역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내향 오목하게 만곡 라운드진 형상이 되도록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130)은 상기 배수홈(110) 측이 넓고 도마본체(100)의 외부 측이 좁은 내광외협의 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본체(100)는 상기 배수홈(110)에 대하여 평면과 저면 부분에 각각 대칭으로 상하 함몰형성되어, 저면에서 봤을 때에도 각 변으로부터 내향 일정거리 떨어져 하향 일정깊이 함몰되되, 각 변의 양측 라운드진 모서리부분 끝단 사이 영역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내향 오목하게 만곡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고 일정 폭을 가지면서 하향 함몰되어 배수홈(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본체(100)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본체(100)는 플라스틱 조성물로 성형되되, 플라스틱 조성물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로서, 첨가제 10중량부 및 열가소성수지 30~4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참숯 분말 15~25중량부, 녹차 또는 소나무잎 추출물 2~3중량부, 아크릴산 3~7중량부, 감자 또는 옥수수 전분 11~16중량부, 무기질 필러 5~10중량부, 그라프트제 3중량부, 생분해효소 5~10중량부, 실란트(sealant) 15~20중량부, 습윤제, 증점제, 암모니아, 알코올, 목초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와 폴리에틸렌(PE)과 폴리스틸렌(PS)과 폴리염화비닐(PVC)과 아크릴수지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KR1020190071939A 2019-06-18 2019-06-18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KR10221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39A KR102212498B1 (ko) 2019-06-18 2019-06-18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39A KR102212498B1 (ko) 2019-06-18 2019-06-18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32A KR20200144232A (ko) 2020-12-29
KR102212498B1 true KR102212498B1 (ko) 2021-02-03

Family

ID=7409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939A KR102212498B1 (ko) 2019-06-18 2019-06-18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4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66Y1 (ko) * 1999-08-20 2000-04-15 정주연 가변형 도마
JP2006231023A (ja) * 2005-01-26 2006-09-07 Minoshima Mokkosha:Kk まな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106A1 (ko) 2015-06-30 2017-01-05 코오롱인더스트리(주)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101697691B1 (ko) 2015-07-06 2017-02-01 주식회사 뉴라이프 시트 교환형 도마
KR101738865B1 (ko) 2016-02-17 2017-05-23 박정호 경량 이중사출 도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66Y1 (ko) * 1999-08-20 2000-04-15 정주연 가변형 도마
JP2006231023A (ja) * 2005-01-26 2006-09-07 Minoshima Mokkosha:Kk まな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32A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498B1 (ko) 물 빠짐 기능을 갖는 도마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KR20090001817U (ko) 전분제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도마
US20170143186A1 (en) Shoe cleaning assembly
CN103251335A (zh) Pvc防滑切菜板
CN210630842U (zh) 具有储物功能的红木饮茶桌
KR101592172B1 (ko) 간수 배출이 가능한 소금 보관장
CN202819109U (zh) 植栽用容器结构
CN209770173U (zh) 一种水槽后方塑料收纳盒
KR20160001447U (ko) 기능성 목재화분
CN214905738U (zh) 硅藻泥沥水刀筷桶
KR200494888Y1 (ko) 화분 포장 용기
CN106031376A (zh) 一种便携式白蚁灭杀器
CN105532290A (zh) 一种带有储水器的花盆
JP2007259833A (ja) 木製植木鉢
CN211049191U (zh) 一种便于沥水且适应性更好的置物盒
KR101584958B1 (ko) 소금 보관 상자
KR101254422B1 (ko)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위생적인 양면도마
KR200243242Y1 (ko) 멸치 건조대
CN206424011U (zh) 一种厨房工具收纳箱
KR200343689Y1 (ko) 김치절단기용 틀
CN219147416U (zh) 一种刀座
CN204743892U (zh) 一种多功能切菜板
CN216060284U (zh) 一种多功能木菜板
KR880001669Y1 (ko) 어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