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857Y1 - 타원형 수저통 - Google Patents

타원형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857Y1
KR200302857Y1 KR20-2002-0032917U KR20020032917U KR200302857Y1 KR 200302857 Y1 KR200302857 Y1 KR 200302857Y1 KR 20020032917 U KR20020032917 U KR 20020032917U KR 200302857 Y1 KR200302857 Y1 KR 200302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val
spoon
cutlery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은숙
Original Assignee
권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은숙 filed Critical 권은숙
Priority to KR20-2002-0032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8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숟가락, 젓가락, 포크와 같은 식사도구를 수납하는 수저통을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외관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차지하는 공간을 적게 하며, 수저통의 측벽과 저면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통풍 및 배수되게 하고 수저통의 하부에는 분리형의 쟁반을 구비하여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한 타원형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저통은 원형으로 되어 있어 디자인이 밋밋하고 차지하는 공간이 크며, 측벽과 저면이 막혀있어 위생에 좋지 않았던 바, 본 고안은 이를 감안하여 수저통을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외관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수저통이 차지하는 공간을 적게 하고, 수저통의 측벽과 저면에는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물기가 배수되게 하면서 공기가 통풍되게 하여 식사도구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며, 수저통의 하부에는 물을 받아낼 수 있는 쟁반을 받쳐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원형 수저통{Oval type tub of spoon and chopsticks}
본 고안은 타원형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사도구를 수납하는 수저통을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외관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차지하는 공간을 적게 하며, 수저통의 측벽과 저면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통풍 및 배수되게 하고 수저통의 하부에는 분리형의 쟁반을 구비하여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숟가락, 젓가락, 포크와 같은 식사도구를 여러개 수용하는 수저통은 일반적으로 납작한 형태로 되어 있고 뚜껑이 있어 수저통으로부터 식사도구를 꺼낼 때 파지가 불편하고 일일이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던 바, 최근에는 수저통을 상방으로 통하도록 개방하여 식사도구를 세워 꽂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한 수저통이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워 꽂는 수저통은 그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어 외관상으로 밋밋한 느낌을 주게 됨은 물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고, 측벽 및 저면이 막혀있어 통풍이 되지 않는 관계로 수저통에 식사도구를 꽂은 상태로 오래 방치저면 세균의 감염우려가 있으며, 특히 식사도구를 씻은 후 곧바로 수저통에 수납하게 되므로 물기가 수저통의 하부에 차게 되어 식사도구의 일부분이 물에 잠겨 있는 형태가 되므로 위생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저통을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도모저면서 수저통이 차지하는 공간을 적게 하며, 수저통의 측벽과 저면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통풍 및 배수되게 하고 수저통의 하부에 타원형의 쟁반을 받쳐 물을 받아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위생성을 향상시킨 타원형 수저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원형 수저통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원형 수저통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저통 11 : 칸막이
12 : 손잡이 13 : 측벽
14 : 저면 15 : 구멍
20 : 쟁반 21 : 테두리
22 : 수납공간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저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해 개방되고, 내부 중간에 칸막이(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손잡이(12)가 일체로 구성된 수저통(10)에 있어서, 수저통(10)을 타원형으로 구성하되, 수저통(10)의 측벽(13)과 저면(14)에는 다수의 구멍(15)을 천공하여 통풍 및 배수되게 하고, 수저통(10)의 하부에는 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테두리(21)가 상부로 절곡되어 내부에 어느 정도의 수납공간(22)을 형성한 타원형의 쟁반(20)을 받쳐 구성한 것이다.
이때, 수저통(10) 및 쟁반(20)은 내구성, 내식성, 내후성을 가진 스테인레스 스틸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사출성형을 통한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타원형 수저통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숟가락(S), 젓가락(C), 포크(P)와 같은 식사도구를 씻은 후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수저통(10)의 위로부터 그대로 꽂으면 도 3과 같이 식사도구가 세워진 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데, 수저통(10)의 측벽(13) 및 저면(14)에는 다수의 구멍(15)이 형성되어 있어 식사도구를 씻으면서 불가분 묻게 되는 수분이 수저통(10) 저면(14)의 구멍(15)을 통해 배수될 수 있으며, 수저통(10)의 측벽(13) 및 저면(14)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5)을 통해 공기가 통풍되어 식사도구에 묻어있는 잔여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균이 증식할 수 있는 수분환경을 수저통(10)으로부터 완전 제거할 수 있어 식사도구를 사용함에 있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자명하며, 수저통(10)의 저면(14)을 통해 배수된 수분은 쟁반(20)으로 떨어져 수납공간(22)에모이게 되므로 쟁반(20)에 어느 정도 물이 차오르게 되면 수저통(10)을 들어내고 쟁반(20)에 모인 물을 버린 후 다시 사용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수저통(10)은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관이 식상하지 않고 미려해지며, 타원의 단축 부분은 폭이 좁으므로 수저통(10)을 놓아두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저통의 측벽과 저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식사도구에 묻어있는 물기가 배수됨과 동시에 공기가 통풍되어 식사도구가 건조됨으로써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수된 물은 쟁반에 모이게 되므로 쟁반에 모인 물을 주기적으로 버린 후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저통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어 외관이 미려해지고 수저통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져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방을 향해 개방되고, 내부 중간에 칸막이(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손잡이(12)가 일체로 구성된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10)을 타원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수저통(10)의 측벽(13)과 저면(14)에는 다수의 구멍(15)을 천공하여 통풍 및 배수되게 하고, 상기 수저통(10)의 하부에는 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테두리(21)가 상부로 절곡되어 내부에 수납공간(22)을 형성한 타원형의 쟁반(20)을 받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수저통.
KR20-2002-0032917U 2002-11-04 2002-11-04 타원형 수저통 KR200302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17U KR200302857Y1 (ko) 2002-11-04 2002-11-04 타원형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17U KR200302857Y1 (ko) 2002-11-04 2002-11-04 타원형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857Y1 true KR200302857Y1 (ko) 2003-02-05

Family

ID=4939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917U KR200302857Y1 (ko) 2002-11-04 2002-11-04 타원형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8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84Y1 (ko) 2009-10-16 2012-03-22 강상규 수저통
KR20220000379U (ko) *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라씨에뜨 이중 수납식 수저통
KR20220094553A (ko) * 2020-12-29 2022-07-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저 분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84Y1 (ko) 2009-10-16 2012-03-22 강상규 수저통
KR20220000379U (ko) *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라씨에뜨 이중 수납식 수저통
KR200495751Y1 (ko) * 2020-08-05 2022-08-10 주식회사 라씨에뜨 이중 수납식 수저통
KR20220094553A (ko) * 2020-12-29 2022-07-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저 분리기
KR102620091B1 (ko) * 2020-12-29 2023-12-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저 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2857Y1 (ko) 타원형 수저통
CN201564128U (zh) 方便果盘
CN208988794U (zh) 一种新型洗碗机下碗篮
KR20100011337U (ko) 위생수저통
CN212346317U (zh) 厨具收纳装置
KR200271336Y1 (ko) 위생 수저통
CN109091043A (zh) 一种多功能厨房刀架
CN210842784U (zh) 一种多功能沥水架
CN213608564U (zh) 一种智能家用小型全自动筷子消毒机
CN205215078U (zh) 一种多用筷子笼
CN212698448U (zh) 一种防尘的餐具收纳架
CN213962879U (zh) 一种壁挂式餐具收纳装置
CN218165077U (zh) 一种沥水篮、沥水篮组件及水槽
KR200284176Y1 (ko) 씽크대용 다용도 개수대
CN215738273U (zh) 一种收纳型筷子盒
CN204336734U (zh) 一种多功能淘洗器具
CN219845985U (zh) 多功能生活杯
CN213309323U (zh) 一种多功能厨房收纳盒
CN219814056U (zh) 一种筷子沥水筒
KR950005019Y1 (ko) 수저함
CN209814730U (zh) 一种家用冰淇淋套装
KR200354736Y1 (ko) 직립형 위생 수저통
CN215424001U (zh) 防掉落勺子
KR20240079512A (ko) 음료용기 건조대
JPH04116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