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499Y1 -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499Y1
KR200465499Y1 KR2020100009100U KR20100009100U KR200465499Y1 KR 200465499 Y1 KR200465499 Y1 KR 200465499Y1 KR 2020100009100 U KR2020100009100 U KR 2020100009100U KR 20100009100 U KR20100009100 U KR 20100009100U KR 200465499 Y1 KR200465499 Y1 KR 200465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cap
viscou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86U (ko
Inventor
김강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플라텍 filed Critical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to KR2020100009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49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185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the outer closure being a foil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성식품을 수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에 식품정리막이 형성된 캡을 결합하여 제조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성식품이 담겨진 용기는 점성식품이 담겨진 상태에서 밀봉으로 상측에 실링지를 부착하고 덮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용기에서 숟가락을 이용하여 점성식품을 퍼내게 되면 숟가락에 잔여분의 점성식품이 묻혀지게 되어 처리를 위하여 숟가락을 씻게 되거나 손으로 닦아내는 등의 잔여분의 점성식품을 버리게 되어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용기의 상단에 숟가락에 묻은 잔여량의 점성식품을 제거하기 위한 식품처리막을 일체로 형성한 용기를 제공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은 용기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식품처리막을 성형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고 또한 용기에 점성식품이 담겨진 상태에서 밀폐를 위한 실링지의 부착이 어려워 사실상 제조가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숟가락에 묻어있는 점성식품의 제거를 위한 식품정리대와 밀폐를 위한 실링처리가 되어진 캡을 용기에 결합토록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면서 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A uessel be formed jast about raking}
본 고안은 고추장과 같은 점성을 가진 식품을 담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에 담겨진 식품을 숟가락으로 퍼낸 후 숟가락에 묻은 잔량의 점성식품을 긁어내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장, 된장 등의 점성을 가진 식품이 담겨진 용기는 개폐되어지는 덮개이외에 담겨진 점성식품의 냄새방지와 부페 및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단테두리부에 실링지를 부착하여 밀폐시킨 후 그 상부로 덮개를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에서 점성식품을 퍼내기 위해서는 덮개를 분리한 후 용기의 상부테두리부에 형성된 실링지를 제거한 후 담겨진 점성식품을 숟가락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퍼내어 사용하고 다시 덮개를 덮어 보관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기에 담겨진 점성식품을 숟가락으로 퍼내게 되면 숟가락에 점성식품의 잔여분이 묻어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잔여분의 점성식품을 숟가락에서 덜어내기 위하여는 점성이 묻은 숟가락을 그대로 물로 씻어내거나 별도의 숟가락을 이용하여 긁어내거나 손으로 닦아내거나 점성식품 묻혀진 숟가락을 그대로 음식물에 넣어 제거하였다.
하지만 물로 그냥 씻거나 다른 숟가락으로 긁어내거나 손으로 닦아내게 되면 세척을 여러 번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손을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비위생적이고 또 씻겨진 점성식품이 그대로 버려지게 되어 낭비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또한 음식물에 그냥 넣어 사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점성식품이 첨가되어 음식맛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된 것으로 공개번호 10-2005-105585호에 용기(100)의 상단 모서리부분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굴곡모양으로 형성된 식품정리막(11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점성식품이 묻은 숟가락의 오목면과 볼록면을 굴곡모양으로 형성된 식품정리막(110)에 긁어내면서 잔여량의 점성식품을 다시 용기(100)에 담아 낭비를 줄이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식품정리막(110)을 용기(100)의 상측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사출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것이고 설령 제조가 가능하더라도 점성식품을 담은 용기(100)에는 대부분이 담겨진 점성식품의 냄새 및 이물질 유입 또한 부페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100)에 점성식품을 담은 상태에서 상측으로 실링지를 부착하여 밀폐토록 하고 있는 것이나 상기와 같이 용기(100)에 식품처리막(110)이 일체로 성형된 상태에서는 용기(100)에 점성식품을 담은 후 실링지를 부착하기가 사실상 곤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숟가락에 묻어있는 점성식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면서 제조는 물론 사용이 편리토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에 캡을 절첩되게 성형토록 하고, 상기 캡의 모서리 부분에 점성식품을 퍼낸 후 숟가락에 묻은 점성식품의 제거를 위한 식품처리막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별도의 실링지를 사용치 아니하고, 캡에 밀폐를 위한 밀폐막을 형성하면서 밀폐막에는 커팅라인에 의해 식품처리막을 캡의 모서리에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점성식품이 담겨진 용기에 점성식품을 퍼낸 숟가락에 묻은 점성식품을 제거하여 낭비를 줄이기 위한 식품처리막과 실링부가 형성된 캡을 사출성형으로 별도로 성형하여 결합토록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면서 제조단가와 시간을 절약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용기에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캡이 결합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식품처리막과 밀폐막이 형성된 캡이 용기에 결합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캡에서 밀폐막이 제거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용기와 결합되는 캡에 밀폐벽이 형성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캡에 형성된 밀폐벽이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된 단면도.
도 6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숟가락에 묻은 점성식품을 제거하는 사용상태도.
도 9는 종래의 식품처리막이 용기에 일체로 형성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점성식품이 담겨지는 용기에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캡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추장이나 된장 등의 점성식품이 수납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1)에 밀폐를 위한 실링지(30)를 부착한 후 그 상측으로 일측에 절첩으로 덮혀지는 덮개(21)가 형성되고 내측부분에는 용기에 담겨진 점성식품을 퍼낸 숟가락에 묻은 잔여분의 점성식품을 긁어내는 식품처리막(23)이 형성된 캡(20)을 결합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용기(10)에 점성식품을 담은 상태에서 개구부(11)에 실링지(30)를 열융착으로 부착하고 그 상측으로 상기의 내측에 식품처리막(23)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절첩되는 덮개(21)가 형성된 캡(20)을 결합하면 제품이 완성되는 것으로 식품처리막(23)이 형성된 용기(10)의 제조가 용이한 것이고 사용을 할 때에는 캡(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실링지(30)를 제거하고 다시 캡(20)을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용기(10)와 캡(20)은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사출성형으로 제조되어 용기(10)와 캡(20)의 결합은 원터치 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캡(20)에 식품처리막(23)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사출성형으로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캡(20)은 상,하부가 개구된 테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캡(20)의 내측의 모서리 부분에 점성식품을 퍼낸 후 숟가락에 묻은 점성식품을 긁어내기 위한 식품처리막(23)이 형성이 되는 것이다.
상기 식품처리막(23)을 캡(2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함은 숟가락의 긁음 동작을 할 때 식품처리막(23)으로 전달되는 가압 힘이 분산되어 식품처리막(23)이 부러지지 않고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용기(10)에 밀폐를 위한 실링지(30) 부착으로 별도의 열융착을 위한 가공작업을 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을 성형할 때 내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식품처리막(23)과 캡(20)의 테두리(20a) 라인을 따라 얇은 컷팅라인(25)으로 제거되는 밀폐막(24)을 성형시 일체로 형성토록 함으로 써 실링지(30)를 부착하는 별도의 가공작업 없이 한번에 성형이 가능하여 제조가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캡(20)에 컷팅라인(25)으로 제거되는 밀폐막(24)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용기(10)에 담겨진 점성식품으로 이물질의 유입 및 냄새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면서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용기(10)에 상기 캡(20)을 원터치로 결합하게 됨으로써 포장 또한 간단하게 조립이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서 생산단가 및 생산되는 시간 또한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캡(20)에 밀폐를 위해 형성된 밀폐막(24)에는 캡(20)에서 밀폐막(24)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상부의 일측에 개방고리(26)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개방고리(26)는 밀폐막(24)이 잘 찢어지도록 모서리부에 개방고리(26)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모서리부분의 컷팅라인(25)이 다른 부분의 컷팅라인(25)보다 당김이 용이하면서 또한 모서리 부분의 컷팅라인(25)이 얇게 형성되어 있어 약간의 힘만으로도 잘 찢어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방고리(26)를 잡아당기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라인(25)이 쉽게 찢어지면서 밀폐막(24)이 식품처리막(23)과 캡(20)의 테두리(20a) 라인을 따라서 제거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10)에 캡(20)이 결합될 때 더욱 밀폐력을 좋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상단에 캡(20)의 밑면이 받침되는 받침부(12)를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개구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캡(20)은 덮개(21)가 결합되는 단턱부(29)를 형성하고 내측의 중앙에 식품처리막(23)과 연장부(27)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식품처리막(23)과 연장부(27)의 라인을 따라서 컷팅라인(25)에 의해 제거되는 밀폐막(24)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7)의 하측으로 용기(10)와 캡(20)의 결합시 용기(10)의 개구부(11)의 내벽과 밀착되는 밀착벽(28)을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캡(20)이 용기(10)에 결합될 때 캡(20)에 형성된 밀착벽(28)이 용기(10)의 개구부(11)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긴밀하게 결합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덮개(21)는 캡(20)의 일측으로 절첩부(22)로 인해 절첩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캡(20)과 덮개(21)를 각각 형성하여 힌지결합으로 결합되어 절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캡(20)의 모서리에 형성된 식품처리막(23)은 도 6내지 8과 같이 숟가락의 앞부분의 오목한 부분과 뒷부분의 볼록한 부분을 긁어낼 수 있도록 물결모양으로 굴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식품처리막(23)의 볼록면(23a)은 숟가락 앞부분의 오목한 부분에 묻은 점성식품을 긁어내어 제거토록 한 것이고 식품처리막(23)의 오목면(23b)은 숟가락 뒷부분의 볼록한 부분에 묻은 점성식품을 긁어내어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품처리막(23)은 캡(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숟가락을 긁어낼 때 식품처리막(23)이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긁힘이 용이하면서 부러짐 등의 파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식품처리막(23)이 형성된 반대 모서리 부분에 굴곡면이 작은 식품처리막(23)을 대칭되게 형성하여 사용되는 숟가락의 크기에 따라서 숟가락에 묻은 점성식품의 제거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점성식품을 담는 용기(10)는 점성식품이 담겨진 용기(10)에 식품처리막(23)이 형성된 캡(20)을 결합토록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밀폐를 위한 실링지(30) 부착작업을 한 후 캡(20)을 결합하게 되어 점성식품 용기(10)의 실질적인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링지(30)를 별도 부착작업 없이 캡(20)을 사출로 성형제조할 때 식품처리막(23)과 캡(20)의 테두리(20a) 라인을 따라서 컷팅라인(25)으로 제거되는 밀폐막(24)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제조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 용기 11: 받침부
12: 개구부
20: 캡 20a: 테두리
21: 덮개 22: 절첩부
23: 식품처리막 24: 밀폐막
25: 컷팅라인 26: 개방고리
27: 연장부 28: 밀폐벽
29: 단턱 30: 실링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점성식품이 수납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에 수납되는 점성식품의 보존을 위해 개구부(11)를 밀폐토록 하기 위한 실링지(30)가 개구부(11)의 테두리에 부착되고
    상기 개구부(11)를 갖는 용기(10)를 덮어주기 위한 캡(20)은 테두리(20a)의 일단변에서 절첩부(22)에 의하여 절첩되는 덮개(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의 테두리(20a)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는 숟가락에 묻은 점성식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식품처리막(23)이 형성되고,
    상기 캡(20)을 사출성형시 식품처리막(23)과 캡(20)의 테두리(20a) 라인을 따라 얇은 컷팅라인(25)으로 구분되는 밀폐막(24)을 일체로 형성토록 하고,
    상기 식품처리막(23)은 숟가락의 앞부분의 오목한 부분과 뒷부분의 볼록한 부분을 긁어낼 수 있도록 볼록면(23a)과 오목면(23b)으로 된 물결모양으로 굴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캡(20)에 일체로 형성된 밀폐막(24)에 제거가 용이하도록 상부의 일측에 개방고리(26)를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상단에 캡(20)의 밑면이 받침되는 받침부(12)를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개구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캡(20)은 덮개(21)가 결합되는 단턱부(29)를 형성하고 내측의 중앙에 식품처리막(23)과 연장부(27)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식품처리막(23)과 연장부(27)의 라인을 따라서 컷팅라인(25)에 의해 제거되는 밀폐막(24)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7)의 하측으로 용기(10)와 캡(20)의 결합시 용기(10)의 개구부(11)의 내벽과 밀착되는 밀착벽(28)을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00009100U 2010-08-31 2010-08-31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KR200465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00U KR200465499Y1 (ko) 2010-08-31 2010-08-31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00U KR200465499Y1 (ko) 2010-08-31 2010-08-31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315U Division KR20130001069U (ko) 2012-12-27 2012-12-27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의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86U KR20120001686U (ko) 2012-03-08
KR200465499Y1 true KR200465499Y1 (ko) 2013-02-28

Family

ID=4660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100U KR200465499Y1 (ko) 2010-08-31 2010-08-31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9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057A (ko) * 2005-08-12 2005-09-01 주식회사 이생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KR20050105585A (ko) * 2004-04-30 2005-11-04 최우현 식품 절약형의 용기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585A (ko) * 2004-04-30 2005-11-04 최우현 식품 절약형의 용기 구조
KR20050088057A (ko) * 2005-08-12 2005-09-01 주식회사 이생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86U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191B1 (ko) 패킹의 탈착이 용이한 밀폐용기 뚜껑
US2806227A (en) Disposable sink mat and garbage wrapper
KR200465499Y1 (ko) 사출성형시 제조가 용이한 식품처리막이 형성된 점성식품 용기.
AU7230000A (en) Combined paint pourer, brush wipe and brush rest
KR100740260B1 (ko) 스푼을 일체형으로 설치한 식품 보관용기
KR101844352B1 (ko)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잠금수단을 갖는 스텐뚜껑
JP3089256U (ja) 飲用手段を備えた飲料水缶
KR101411065B1 (ko)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KR200443066Y1 (ko) 분말 또는 액상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JP2006199364A (ja) 収納部付き納豆容器
KR200458714Y1 (ko) 식품 저장용기
CN207956522U (zh) 多功能防溢出的打包用餐盒
CN201176310Y (zh) 带有虚线的可裁剪蛋糕盒
KR20110116332A (ko) 이물질 제거수단을 갖춘 음료용 캔 용기
KR100781568B1 (ko) 믹싱밀폐용기
JP6076204B2 (ja) 水切り上手容器
KR200367420Y1 (ko) 음식물 찌꺼기 보관 통
KR200439639Y1 (ko) 일회용 식품 용기
CN203332510U (zh) 具有双腔体的容器瓶
KR20180064249A (ko) 컵라면 용기의 물 배출구조
CN206984596U (zh) 包装罐
TWI389823B (zh) 可撓式蓋子及具有其之容器
JP3119553U (ja) 匙を内蔵する食品等の保存容器
WO2008146965A1 (en) Structure for joining body and cap to the vessel
CN205615933U (zh) 食品包装盒盖及餐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