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420Y1 -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420Y1
KR200465420Y1 KR2020100013423U KR20100013423U KR200465420Y1 KR 200465420 Y1 KR200465420 Y1 KR 200465420Y1 KR 2020100013423 U KR2020100013423 U KR 2020100013423U KR 20100013423 U KR20100013423 U KR 20100013423U KR 200465420 Y1 KR200465420 Y1 KR 200465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ucet
ozone
functional
function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866U (ko
Inventor
권석주
Original Assignee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3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42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8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수돗물이 나오다가 설거지 및 과일세척 등과 같은
세척용도로 사용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오존수와 같은 기능수가 나오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기능전환스위치의 작동신호로 일반 수돗물이 기능수로 전환되는 수도꼭지에
있어서,
기능수를 공급하는 기능수 공급장치가 혼합수 호스 양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기능수 공급장치는 수돗물을 오존수로 전환하는 기능전환스위치와 실시간으로
물 흐름에 대한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는 물감지수단과 상기 기능전환스위치
신호를 받아 물 감지수단에서 보내온 신호에 따라 물이 있을 때에만 부하측에 작동
신호를 주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작동신호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혼합몸통 유로 내부로 내보내는 에어펌프와 에어펌프에서 흡입된 공기에
고압방전을 시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와 온, 냉수가 혼합된 혼합수와
오존을 1차 혼합시키는 유로를 갖는 혼합몸통과 상기 혼합몸통의 출구 측과
나사 산으로 기밀 결합한 마이크로버블 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수가 토출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도꼭지{The Faucet}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조작 레버로 조작하여 온, 냉수 혼합조절밸브에서
혼합된 수돗물이 토수구를 통해 나오다가 설거지 및 과일세척 등과 같은 세척
용도로 사용시 기능전환 스위치의 작동신호에 따라 기능수 발생장치를 통해
수돗물이 기능수로 전환되어 토수구로 나오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도꼭지는 상수도의 온, 냉수 배관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 레버를 통해 온, 냉수 혼합조절밸브에서 혼합된 물이 토수구를 통해 나오는
구조로 오로지 수돗물만 나오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온수기와 같은 기능수 발생제품(200)을 설치시에는 종래 기 설치된
수도꼭지의 연결관 한 측에 구멍을 내거나 분기금구(미도시)로 시공한 후
전용호스(210)로 수도꼭지와 기능수 발생제품 양 사이를 연결해서 사용해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미관상 좋지 않을뿐더러 기 설치된 수도꼭지를 개조해서 설치해야
되고 별도의 기능수 발생제품의 설치 공간이 필요해 협소한 주방환경을 고려시
설치상 공간제약이 많고 수도꼭지(100)와 기능수 발생제품(200)이 각 독립된
상태의 이원화된 작동방식으로 인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세척수로 활용시에는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풍부한 세척력을 기대하기
어렵고 전용노즐(220)에서 물을 받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수도꼭지와 기능수 발생장치가 일체화된 구조로 별도의 장치를
외부로 드러내지 않음으로 미관이 해쳐지지 않고 별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되는 불편함이 없다.
일반 수돗물을 바로 기능수 즉 오존을 마이크로버블 형태로 전환된 오존수로
수돗물과 같은 풍부한 유량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시 수도꼭지의 토수구를
통해 직접 기능수를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음으로 별도의 전용 노즐이 필요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수 토출이 수도꼭지의 조작과 일원화되어 따로 기능수 발생장치와
수도꼭지를 개별로 조작하지 않아도 된다.
본 고안은 수도꼭지의 외관에 기능전환스위치를 연결하고 혼합수 호스
양 사이에 기능수를 발생시키는 기능수 발생장치가 연결된 구조로,
상기 기능수 발생장치에는 물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기능전환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물이 혼합몸통 유로 내부에 있을 때에만 부하 측에 제어신호를 주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부하 측 에어펌프와 오존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을 혼합몸통 유로 내부로
강제 유입시켜 물과 오존수를 1차 혼합시키고 혼합몸통 출구에 기밀 결합되는
마이크로버블 노즐로 통과될 때 물과 오존이 초미세기포의 형태로 수용 액화되어
오존수와 같은 기능수가 수도꼭지의 토수구로 직접 나오게 되므로 유량 감소 없이
일반 수돗물과 같은 유량으로 토출되어 풍부한 세척력을 얻을 수 있고 별도의
전용 노즐이 필요 없어 세척시 불편함이 없다.
또한, 수도꼭지의 급수밸브와 일체화된 구조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칠 염려가 없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도꼭지와 기능수가 나오는 장치가 일체화된 구조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로 하지 않고, 별도의 개조와 시공이 필요하지 않으며,
외관에 별도의 부착물이 없음으로 주방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급수전에 연결된 상수도의 압력 그대로의 수돗물이 기능수로 전환되어
수도꼭지의 토수구로 나옴으로 세척시 유량감소 없이 풍부하다.
수도꼭지와 일체화된 구조로 별도의 기능수 전용노즐이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 기능수를 따로 받아 사용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수도꼭지에서
기능수와 일반 수돗물이 선택적으로 나오는 일원화된 작동방식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일반적인 수도꼭지에 기능수 제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기능수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혼합몸통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블록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도꼭지에 기능수 발생제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기능수 발생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혼합몸통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블록도 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는 평상시에는 일반 수돗물이 나오다가 설거지,
과일세척 등과 같이 세척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수도꼭지에서 기능수가 나오도록
되어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수도꼭지의 외관에 수돗물과 기능수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전환스위치(300)가 있고 혼합수 호스(150) 양 사이에 기능수 발생장치
(400)가 결합한 구조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능수 발생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이들의 결합구조를 참조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기능수 발생장치(400)에서
혼합몸통(450) 입수 측은 온, 냉수 혼합조절밸브측 혼합수 호스(150)와
나사 산으로 기밀결합하고, 혼합몸통의 출수 측은 마이크로버블 노즐(490)과
나사 산으로 기밀결합되어 최종 토수구(160)측 혼합수 호스(150)와
나사 산으로 기밀 결합한 구조로, 물의 흐름을 감시하는 물 감지수단(410)이
혼합몸통(450)의 유로 내부로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가 혼합몸통(450) 유로
내부로 유입되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 돌기(451)가 혼합몸통에 형성되어
오존발생장치(440)의 출구 양 사이를 연결호스(460)로 연결되고 오존발생장치
(440)의 입구는 연결호스(460)에 의해 에어펌프(430)의 출구와 상호 결합된
구조로 하여, 기능전환스위치(300)의 작동신호에 따라 물이 있을 때에만
부하 측 즉 에어펌프(430)와 오존발생장치(440)에 작동신호를 주는 컨트롤러
(420)와 각 부하 측 전원을 인가시켜 주는 전원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도꼭지의 조작레버(120)를 조작하여 수돗물이 토수구(160)로 토출되는 상태에서
기능전환 스위치(300)를 누르면 기능수 발생장치(4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20)가
기능전환 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물 감지수단(410)에서 보내진 신호를 판단하여
물이 있을 때에만 에어펌프(430)와 오존발생장치(440)로 순차적으로 작동신호를
보내면 먼저 에어펌프(430)가 작동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몸통(450)의
유로 내부로 유입시키고 오존발생기(440)에서는 고압방전으로 대기 중 오존을 발생
시켜 유로 내부로 함께 유입된다.
이때, 유로 내에는 수돗물과 오존이 1차 섞여지게 되고 혼합몸통(450) 출구와 기밀
되게 결합한 마이크로버블 노즐(490)로 통과하면서 마이크로버블과 같은 초미세
기포의 형태로 오존이 수용 액화되어 오존수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오존수는 일반적으로 살균능력이 뛰어나 세척시 살균과 세척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의 기능수가 나오는 수도꼭지는 기능수
발생장치(440)가 수도꼭지와 일체화되어 노출되지 않고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추가시공이 없어 경제적이며 수도꼭지의 토수구(160)로 기능수가
나옴으로 유량감소도 없으며,
별도의 전용 노즐이 필요하지 않아 세척시 불편함이 없는 장점이 있다.
100: 수도꼭지 110: 혼냉수 혼합조절밸브
120: 조작레버 150: 혼합수 호스
160: 토수구 200: 기능수 발생제품
300: 기능전환스위치 400: 기능수 발생장치
500: 전원부 410: 물 감지수단
420: 컨트롤러
430: 에어펌프
440: 오존발생기
450: 혼합몸통
460: 연결호스
470: 솔레노이드 밸브
480: 역류방지기
490: 마이크로버블 노즐

Claims (5)

  1. 조작레버(120)와 온, 냉수 혼합조절밸브(110)와 토수구(160)와
    기능전환스위치(300)의 작동스위치에 의해 수돗물이 기능수로 전환되어 토수 되는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에 기능수를 공급하는 기능수 발생장치(400)가 연결되되
    상기 기능수 발생장치(400)는 수돗물과 오존(O3)이 만나는 혼합몸통(450)과
    물을 감지하는 물 감지수단(410)과 물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받아 물이 있을
    때에만 부하측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20)와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440)와 혼합몸통에 공기를 흡입시키는 에어펌프(430)와 수돗물과
    오존을 마이크로버블로 전환하는 마이크로버블 노즐(490)과 각 부하 측의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수 발생장치(400)는 혼합수 호스(15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수 발생장치(400)는 솔레노이드 밸브(47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수 발생장치(400)는 역류방지기(48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5. 삭제
KR2020100013423U 2010-12-27 2010-12-27 수도꼭지 KR200465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423U KR200465420Y1 (ko) 2010-12-27 2010-12-27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423U KR200465420Y1 (ko) 2010-12-27 2010-12-27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66U KR20120004866U (ko) 2012-07-05
KR200465420Y1 true KR200465420Y1 (ko) 2013-02-19

Family

ID=4685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423U KR200465420Y1 (ko) 2010-12-27 2010-12-27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9247A4 (en) * 2018-01-10 2021-10-27 Xiamen Solex High-tech Industries Co., Ltd. TAP FOR DISPENSING OZONATED WA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762A (zh) * 2021-12-29 2022-04-01 浙江高澳卫浴有限公司 臭氧水龙头
KR102598002B1 (ko) * 2022-05-18 2023-11-06 주식회사 원앙 2-way 급수 싱크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4615A (ja) 1999-12-10 2001-06-19 Toto Ltd 吐水装置
KR20090065016A (ko) * 2007-12-17 2009-06-22 (주)지앤지코리아 초미세기포 발생기능을 가지는 욕조
JP2010090586A (ja) * 2008-10-07 2010-04-22 Mizutani Valve Kogyo Kk 水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4615A (ja) 1999-12-10 2001-06-19 Toto Ltd 吐水装置
KR20090065016A (ko) * 2007-12-17 2009-06-22 (주)지앤지코리아 초미세기포 발생기능을 가지는 욕조
JP2010090586A (ja) * 2008-10-07 2010-04-22 Mizutani Valve Kogyo Kk 水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9247A4 (en) * 2018-01-10 2021-10-27 Xiamen Solex High-tech Industries Co., Ltd. TAP FOR DISPENSING OZONATED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66U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420Y1 (ko) 수도꼭지
US20110036761A1 (en) Automatic ozone water output device
WO2013073732A1 (ko) 상수압을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JP2010090586A (ja) 水栓装置
US20130146516A1 (en) Automatic ozone water output device
CN215820707U (zh) 一种带有出洗手皂液感应结构的智能感应水龙头
EP3739247B1 (en) Faucet for outputting ozonated water
CN102679036A (zh) 一种自发电臭氧供气的水龙头
WO2006047381A3 (en) Dry suction fitting assembly
JP2014094339A (ja) 炭酸泉マイクロバブル生成装置、炭酸泉マイクロバブル生成装置を備えた炭酸泉マイクロバブルシャワー装置及びマイクロバブル炭酸泉装置並びに微細化吐出部材
CN214657515U (zh) 智能马桶功能演示循环供水装置
TW200624076A (en) Dishwasher
CN104748362B (zh) 电热水器
CN205062954U (zh) 沟槽厕所冲水装置
CN201062380Y (zh) 一种带有洁身器的马桶
CN103225339B (zh) 一种防堵节能坐便器
CN111350236A (zh) 一种模块化双泵式给液水龙头
CN202674381U (zh) 一种自发电臭氧供气的水龙头
KR200266540Y1 (ko) 상수압을 이용한 기체 흡입 및 수중 혼합 장치를 구비한샤워헤드
KR200432582Y1 (ko)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CN209705410U (zh) 一种多功能龙头出水转换器
KR101526560B1 (ko) 수압을 이용한 공기 공급장치
CN219690656U (zh) 一种出水系统及浴室柜
CN220286599U (zh) 一种带有感应器的雨林混合阀
KR20240077583A (ko) 스마트 살균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