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7583A - 스마트 살균수전 - Google Patents

스마트 살균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7583A
KR20240077583A KR1020220158602A KR20220158602A KR20240077583A KR 20240077583 A KR20240077583 A KR 20240077583A KR 1020220158602 A KR1020220158602 A KR 1020220158602A KR 20220158602 A KR20220158602 A KR 20220158602A KR 20240077583 A KR20240077583 A KR 20240077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ixed
pipe
sterilizing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칠
이후승
홍성수
윤지양
홍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7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로 부터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되는 혼합수가 토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토출되거나 공급되는 혼합수가 살균모듈을 통과한 후 살균되어 토수구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하나의 토수구를 통하여 혼합수와 살균수가 선택적으로 토출토록 설치되는 스마트 살균수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살균수전{SMART FAUCET WITH FUNTION OF STERILIZATION}
본 발명은 카트리지로 부터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되는 혼합수가 토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토출되거나 공급되는 혼합수가 살균모듈을 통과한 후 살균되어 살균수가 토수구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하나의 토수구를 통하여 혼합수와 살균수가 선택적으로 토출토록 설치되는 스마트 살균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업소 등에서 식기, 과일이나 채소 등의 음식물을 세척하기 위해 별도의 전용 합성세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2차적인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최대 원인 중 하나이다.
또한, 최근에는,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상당수의 채소에서 살충제, 제초제 성분이 검출되고, 특히 병원성 대장균이나 살모넬라균, 장염 비브리오등 각종 균에 오염된 채소로 인한 식중독 발생이 문제되고 있어 식재료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살균세척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주방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살균세척수의 생성방법 및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살균세척수는 주방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침구, 가구, 각종 전자제품, 장난감, 세탁물 및 욕실의 살균세척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각종 의료기구의 살균세척에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고, 상기와 같은 살균수의 생성은 염소계로 대표되는 화학적 살균제를 사용하거나 오존, 자외선, 초음파, 플라즈마, 전기분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744569호에 급수시스템의 구성이 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급수시스템이 급수관(10), 유입관(20), 살균수 생성모듈(30) 및 공급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급수관(10)은 유입관(20)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유입관(20)은 급수관(10)으로 공급되는 수도수의 일부가 살균수 생성모듈(30)에 의해 수중 방전될 수 있도록 수도수의 일부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급수관(10)과 유입관(20)에 정량밸브(11,12)를 각각 설치하여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급수시스템은, 수도수와 살균수가 혼합되어 농도가 일정한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수도수 또는 살균수의 선택적인 공급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급수관(10)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용도로 적용하여 사용할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수 또는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수전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 작동 등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세정제의 남용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문제 및 환경 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듈화/빌트인 타입으로 장소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일반적인 세척은 물론 컵의 세척도 용이하여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살균수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트리지로 부터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되는 혼합수가 토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토출되거나
카트리지에서 공급되는 혼합수가 살균모듈을 통과한 후 살균되어 살균수가 토수구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나의 토수구를 통하여 혼합수와 살균수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토출토록 설치되는 스마트 살균수전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트리지의 혼합수가 공급되도록 혼합수입수관이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입수관을 따라 살균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살균모듈은, 자외선살균, 오존살균, 초음파살균, 전기분해살균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살균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살균모듈을 통과한 살균수는 혼합수출수관을 통하여 배출되어 토수구에 공급되고,
상기 혼합수입수관의 일측에는 혼합수가 혼합수출수관으로 그대로 공급토록 제1분기관로가 설치되며,
상기 살균모듈로의 혼합수 공급을 제어토록 제1제어밸브가/ 제1분기관로의 혼합수 공급을 제어토록 제2제어밸브가/ 상기 살균모듈을 통과한 물의 역류를 방지토록 제1체크밸브가 구비되는 스마트 살균수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모듈을 통과한 살균수가 공급되는 혼합수출수관은 일측에 제2분기관로가 설치되어 혼합수출수관 일측의 컵세척출수관과 연결되어 살균수를 공급되며,
상기 컵세척유닛은, 컵의 내측 및 외측을 동시에 세척토록 본체의 내측에 하향 및 복원토록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중앙 및 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는 메인노즐 및 보조보즐을 통하여 고압수를 공급토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물의 비산을 방지토록 충돌판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배출되는 물을 싱크대에 공급토록 배수구가 구비되는 스마트 살균수전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혼합수출수관의 단부 일측에 살균모듈을 통과한 살균수 및 혼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토록 제2출수관로가 구비되어 컵세척출수관에 연결되는 스마트 살균수전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살균모듈을 통과한 살균수가 공급되는 혼합수출수관은 일측에 제2분기관로가 설치되어 컵세척유닛에 살균수를 공급토록 설치되는 컵세척출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분기관로와 혼합수출수관은 제3제어밸브를 갖는 제3출수관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컵세척출수관에 혼합수와 살균수를 선택공급토록 설치되고,
상기 제2분기관로의 일측에 제2체크밸브가 더 구비되는 스마트 살균수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모듈 및 제어밸브는 제어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되는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출력부를 통하여 제어신호가 공급토록 설치되는 스마트 살균수전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살균모듈과 제어밸브, 관로는 케이싱의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모듈화 되며,
상기 모듈화되는 케이싱의 외부에는 혼합수입수관, 혼합수출수관, 컵세척출수관이 노출되고,
상기 혼합수입수관, 혼합수출수관, 컵세척출수관을 통하여 수전 또는 컵세척유닛과 연결되는 스마트 살균수전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수 또는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수전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 작동 등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며, 세정제의 남용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문제 및 환경 문제 발생을 예방하고, 모듈화/빌트인 타입으로 장소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며, 일반적인 세척은 물론 컵의 세척도 용이하여 다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급수시스템을 도시한 연결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살균수전의 설치상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의한 스마트 살균수전의 배관연결상태도이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전의 배관연결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전에 구비되는 컵 세척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인식 기능의 입출력부 설치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전(110)의 카트리지(120)로 부터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되는 혼합수가 토수구(115)를 통하여 그대로 토출되거나
카트리지(120)에서 공급되는 혼합수가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후 살균되어 살균수가 토수구(115)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살균슈전(100)은, 하나의 토수구(115)를 통하여 혼합수와 살균수가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토출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트리지(120)의 혼합수가 공급되도록 혼합수입수관(7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는, 온수 및 냉수가 공급되면서 온도가 조절되는 혼합수가 배출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혼합수입수관(710)을 따라 살균모듈(3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살균모듈(300)은, 자외선살균, 오존살균, 초음파살균, 전기분해살균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살균수단이 구비된다.
계속하여, 상기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살균수는 혼합수출수관(750)을 통하여 배출되어 수전(110)의 토수구(115)에 공급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수입수관(710)의 일측에는 혼합수가 혼합수출수관에 공급토록 제1분기관로(720)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살균모듈(300)로의 혼합수 공급을 제어토록 제1제어밸브(910)가/ 제1분기관로(720)의 혼합수 공급을 제어토록 제2제어밸브(930)가/ 상기 살균모듈을 통과한 물의 역류를 방지토록 제1체크밸브(9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살균수가 공급되는 혼합수출수관(750)은 일측에 제2분기관로(740)가 설치되어 혼합수출수관 일측에 더 설치되는 컵세척출수관(770)과 연결되어 컵세척유닛(800)에 살균수를 공급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컵세척유닛(800)은, 컵의 내측 및 외측을 동시에 세척토록 본체(810)의 내측에 하향 및 복원토록 가압플레이트(830)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830)는 중앙 및 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는 메인노즐(831) 및 보조보즐(833)을 통하여 고압수를 공급토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물의 비산을 방지토록 충돌판(850)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배출되는 물을 싱크대에 공급토록 배수구(87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혼합수출수관(750)의 단부 일측에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살균수 및 혼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토록 제2출수관로(760)가 더 구비되어 컵세척출수관(770)에 연결토록 설치된다.
다른 한편, 상기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살균수가 공급되는 혼합수출수관(750)은 일측에 제2분기관로(740)가 설치되어 컵세척유닛에 살균수를 공급토록 설치되는 컵세척출수관(77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분기관로(740)와 혼합수출수관은 제3제어밸브(970)를 갖는 제3출수관로(780)를 통하여 연결되어 컵세척출수관에 혼합수와 살균수를 선택공급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2분기관로의 일측에 제2체크밸브(98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 및 제어밸브는 제어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되는 제어부(5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입출력부(510)를 통하여 제어신호가 공급토록 설치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살균모듈과 제어밸브, 각 관로는 케이싱(600)의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모듈화 된다.
즉, 본 발명은 모듈화되는 케이싱(600)의 외부에는 혼합수입수관(710), 혼합수출수관(750), 컵세척출수관(770)이 각각 노출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혼합수입수관, 혼합수출수관, 컵세척출수관을 통하여 수전 또는 컵세척유닛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전(110)의 카트리지(120)로 부터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되는 혼합수가 토수구(115)를 통하여 그대로 토출되거나 카트리지(120)에서 공급되는 혼합수가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후 살균되어 살균수가 토수구(115)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나의 토수구를 통하여 살균수와 혼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전(100)은, 입출력(510)로 입력되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제어밸브에 제어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하나의 토수구(115)를 통하여 혼합수와 살균수가 선택적으로 토출토록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세정제가 필요없이 살균모듈에 의한 살균동작이 가능하여 세정제의 남용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문제 및 환경 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입출력부(510)를 통한 제어신호의 입력후 수전의 손잡이를 당겨 물을 공급하면 미리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혼합수와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토출되어 싱크대로 배출토록 되고, 혼합수와 살균수의 공급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일정비율로 휘석되는 살균수의 형성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음성인식에 의해 혼합수 및 살균수가 토수구 또는 컵세척유닛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성인식기능은 토출시간의 설정, 토출방향의 설정도 가능토록 되며, 모듈화 되는 케이싱의 내측에 제어부가 장착될 때 싱크대 일측에 별도의 입출력부(510)를 설치하지 않아도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입출력부(510)는 도2와 같이 싱크대의 일측에 터치에 의해 입력신호가 공급토록 설치되어도 되며, 도7과 같이 수전(110)의 일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온도의 설정, 토출량, 토출시간, 토출방향등을 음성에 의해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입출력부는 음성에 의한 제어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미도시)와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한 작동상태의 표시를 위한 엘이디창이 일체로 구비되며, 온/오프 동작에 의해 음성인식 및 터치에 의한 일반적인 제어신호의 입력이 선택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트리지(120)의 혼합수가 혼합수입수관(710)을 통하여 공급될 때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1제어밸브 또는 제2제어밸브를 개방하는 동작으로 혼합수가 혼합수출수관으로 향하거나 살균모듈을 통과한 후 혼합수출수관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살균모듈(300)은, 자외선살균, 오존살균, 초음파살균, 전기분해살균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살균수단이 구비되어 공급되는 혼합수를 살균한 후 혼합수출수관으로 공급한다.
즉, 상기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살균수는 혼합수출수관(750)을 통하여 배출되어 수전(110)의 토수구(115)에 공급토록 되어 원하는 살균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수입수관(710)의 일측에는 혼합수가 혼합수출수관에 곧바로 공급토록 제1분기관로(720)가 더 설치되어 살균모듈을 통과하지 않고 일반수인 혼합수를 토수구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2와 같이 상기 살균모듈(300)의 전단에 혼합수 공급을 제어토록 제1제어밸브(910)가/ 혼합수를 혼합수출수관에 바로 공급토록 설치되는 제1분기관로(720)의 혼합수 공급을 제어토록 제2제어밸브(930)가/ 상기 살균모듈을 통과한 물의 역류를 방지토록 제1체크밸브(950)가 구비되어 혼합수가 살균모듈로 공급되어 살균수가 되거나 별도의 살균과정없이 혼합수를 바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도3과 같이 상기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살균수가 공급되는 혼합수출수관(750)은 일측에 제2분기관로(740)가 설치되어 컵세척출수관(77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컵세척출수관(770)을 통하여 토수구에 살균수의 공급시 컵세척유닛(800)에 살균수를 공급토록 한다.
이때, 도6과 같이 상기 컵세척유닛(800)은, 컵의 내측 및 외측을 동시에 세척토록 본체(810)의 내측에 스프링을 통하여 하향 및 복원토록 가압플레이트(830)가 구비되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830)는 중앙 및 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는 메인노즐(831) 및 보조노즐(833)을 통하여 가압시 고압수를 공급토록 설치되어 컵으로 가압플레이트를 누르게 되면서 메인노즐을 통하여 컵의 내측/ 보조노즐을 통하여 컵의 주둥이를 동시에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절곡되는 충돌판(850)이 구비되어 물의 비산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배수구(870)가 구비되어 세척후 배수되는 물을 싱크대로 배수토록 한다.
한편, 도4와 같이 상기 혼합수출수관(750)의 단부 일측에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살균수 및 혼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토록 제2출수관로(760)가 더 구비되어 컵세척출수관(770)에 연결토록 설치되어 혼합수출수관(750)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살균수와 혼합수가 컵세척출수관(770)에 동시 공급된다.
다른 한편, 도5에서와 같이 상기 살균모듈(300)을 통과한 살균수가 공급되는 혼합수출수관(750)은 일측에 제2분기관로(740)가 설치되어 컵세척출수관(770)에 연결됨으로써 컵세척유닛에 살균수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제2분기관로(740)와 혼합수출수관은 제3제어밸브(970)를 갖는 제3출수관로(780)를 통하여 연결되어 컵세척출수관에 혼합수와 살균수를 선택공급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분기관로(720)와 제3출수관로(780)는 혼합수출수관에 사방밸브(790)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3출수관로(780)로 연결되는 컵세척출수관에 살균수 또는 혼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 및 제어밸브는 제어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되는 제어부(500)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신호 공급시 살균수 및 혼합수의 선택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2와 같이 본 발명의 살균모듈과 제어밸브 및 각 관로는 케이싱(600)의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모듈화 되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싱은 싱크대등의 하측에 수납하거나 노출한 후 케이싱(600)의 외부에 노출되는 혼합수입수관(710), 혼합수출수관(750), 컵세척출수관(770)에 수전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에 설치되는 수전설비의 변경이나 철거없이 모듈화되는 케이싱(600)에 수전의 온수 및 냉수관과 토수구등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간단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100...살균수전 110...수전
120...카트리지 300...살균모듈
500...제어부 710...혼합수입수관
750...혼합수출수관 770...컵세척출수관
800...컵세척유닛

Claims (7)

  1. 카트리지로 부터 온도가 조절되어 공급되는 혼합수가 토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토출되거나
    카트리지에서 공급되는 혼합수가 살균모듈을 통과한 후 살균되어 살균수가 토수구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나의 토수구를 통하여 혼합수와 살균수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토출토록 설치되는 스마트 살균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혼합수가 공급되도록 혼합수입수관이 구비되며,
    상기 혼합수입수관을 따라 살균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살균모듈은, 자외선살균, 오존살균, 초음파살균, 전기분해살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살균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살균모듈을 통과한 살균수는 혼합수출수관을 통하여 배출되어 토수구에 공급되고,
    상기 혼합수입수관의 일측에는 혼합수가 혼합수출수관으로 그대로 공급토록 제1분기관로가 설치되며,
    상기 살균모듈로의 혼합수 공급을 제어토록 제1제어밸브가/ 제1분기관로의 혼합수 공급을 제어토록 제2제어밸브가/ 상기 살균모듈을 통과한 물의 역류를 방지토록 제1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살균수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을 통과한 살균수가 공급되는 혼합수출수관은 일측에 제2분기관로가 설치되어 혼합수출수관 일측의 컵세척출수관과 연결되어 살균수를 공급되며,
    상기 컵세척유닛은, 컵의 내측 및 외측을 동시에 세척토록 본체의 내측에 하향 및 복원토록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중앙 및 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는 메인노즐 및 보조보즐을 통하여 고압수를 공급토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물의 비산을 방지토록 충돌판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배출되는 물을 싱크대에 공급토록 배수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살균수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출수관의 단부 일측에 살균모듈을 통과한 살균수 및 혼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토록 제2출수관로가 구비되어 컵세척출수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살균수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을 통과한 살균수가 공급되는 혼합수출수관은 일측에 제2분기관로가 설치되어 컵세척유닛에 살균수를 공급토록 설치되는 컵세척출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분기관로와 혼합수출수관은 제3제어밸브를 갖는 제3출수관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컵세척출수관에 혼합수와 살균수를 선택공급토록 설치되고,
    상기 제2분기관로의 일측에 제2체크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살균수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 및 제어밸브는 제어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되는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출력부의 터치를 통하여 제어신호의 입력 및 입출력부의 음성인식을 통한 제어신호의 입력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살균수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과 제어밸브, 관로는 케이싱의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모듈화 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노출되는 혼합수입수관, 혼합수출수관, 컵세척출수관을 통하여 수전 또는 컵세척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살균수전.
KR1020220158602A 2022-11-23 스마트 살균수전 KR20240077583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7583A true KR20240077583A (ko) 2024-06-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8838A1 (en)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US20090000024A1 (en)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and injector therefor
US20100021598A1 (en) Ozonated liquid dispensing unit
TWI760648B (zh) 具有供水系統的衛生設備、水路系統及洗手台
CN101557749A (zh) 用于对带水的家用设备的管道系统进行消毒的方法及这种家用设备
CN113041866A (zh) 微气泡发生装置和热水器
KR20240077583A (ko) 스마트 살균수전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CN105581656A (zh) 一种直饮水机出水口的清洁装置
CN210647581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管道清洗设备
EP4015098A1 (en) Apparatus for pressure cleaning and method for pressure cleaning
KR200465420Y1 (ko) 수도꼭지
Grant Water conservation products
DE60129609D1 (de) Dosiervorrichtung für flüssigwaschmittel
US20160192819A1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scale remover to a dishwasher
US10537210B1 (en) Whirlpool bath with descaling function
AU2016366559A1 (en) Flow balancing in food processor cleaning system
TW201211357A (en) Use of method and for manufacturing fine fluid foam
CN210124583U (zh) 厨卫产品
CN111350236A (zh) 一种模块化双泵式给液水龙头
KR102565704B1 (ko) 스마트 손세정기 및 세정 자원 관리 시스템
US11096550B1 (en) Semi-automatic ware washing sprayer system
KR102489880B1 (ko) 전해수 수전바디가 일체로 결합되어진 주방 수전
CN207863061U (zh) 一种可阻挡异味的水槽龙头
KR102598002B1 (ko) 2-way 급수 싱크대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