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185Y1 -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 - Google Patents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185Y1
KR200465185Y1 KR2020110000050U KR20110000050U KR200465185Y1 KR 200465185 Y1 KR200465185 Y1 KR 200465185Y1 KR 2020110000050 U KR2020110000050 U KR 2020110000050U KR 20110000050 U KR20110000050 U KR 20110000050U KR 200465185 Y1 KR200465185 Y1 KR 200465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trainer
filter
support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106U (ko
Inventor
김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
Priority to KR2020110000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18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1Removal or measurement of solid or liquid contamination, e.g.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15Fil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장치를 작동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내 유압장치의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장치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로서, 상면의 중앙에 개방공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상기 개방공이 형성된 하부에 위치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망, 상기 몸체망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망, 및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의 둘레를 함께 감싸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접합부는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a strainer for hydraulic apparatus and, oil filter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유압장치를 작동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내 유압장치의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장치는 유체의 압력으로 작동하는 장치로서, 굴삭기에 구비되는 바스켓을 작동하기 위한 유압장치 및 불도저의 바스켓을 작동하기 위한 유압장치, 건설장비 차량이 넘어지지 않도록 구비되는 다리를 작동하는 유압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유압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유압장치는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로 구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다른 구성 예컨대, 굴삭기의 바스켓 또는 암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유압장치는 유압을 발생하는 유체에 이물질이 포함될 경우, 유체가 유압장치를 순환하면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예컨대, 실린더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또는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막아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에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실린더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유압장치가 고장 및 파손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유압장치에는 유체에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스트레이너가 설치되었다.
종래의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는 유체가 공급되는 부분을 밀폐하고 중앙에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판의 하부로 공급공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공급공을 감싸는 형태의 원통형상의 측면망과, 측면망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는 유체가 공급되는 부분에 상판이 밀폐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유체가 상판에 형성된 공급공으로 유입되고, 측면망 및 바닥망을 거쳐 측면망 및 바닥망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유압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유압장치의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하였다.
한편, 종래의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를 제작할 때에는 금속으로 된 상판의 하부에 측면망을 용접하고, 측면망의 하단에 바닥망을 용접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는 각 구성이 서로 용접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스트레이너를 제조할 때 작업자가 일일이 각 구성을 용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판, 측면망 및 바닥망을 서로 용접하기 위해서 스트레이너의 모든 구성이 금속으로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스트레이너의 무게가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유압장치의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면망과 바닥망이 서로 용접되는 부분은 망끼리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강성이 약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측면망과 바닥망이 쉽게 분리되어 스트레이너의 내구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장치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로서, 상면의 중앙에 개방공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상기 개방공이 형성된 하부에 위치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망, 상기 몸체망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망, 및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의 둘레를 함께 감싸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접합부는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몸체 둘레를 지지하도록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 및 상기 접합부를 상기 몸체망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망의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세로대, 및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바닥망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 상기 세로대 및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판 및 상기 접합부와 함께 상기 몸체망 및 상기 바닥망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몸체망 및 상기 바닥망 각각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지지하는 지지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세로대 중 어느 하나의 세로대는 상기 몸체망의 이음매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망이 이음매 부분을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바이패스 밸브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가 구비된 오일필터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트레이너, 및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단을 밀폐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로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면의 중앙에 개방공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상기 개방공이 형성된 하부에 위치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망, 상기 몸체망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망, 및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의 둘레를 함께 감싸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접합부는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몸체 둘레를 지지하도록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 및 상기 접합부를 상기 몸체망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망의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세로대, 및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바닥망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 상기 세로대 및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판 및 상기 접합부와 함께 상기 몸체망 및 상기 바닥망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몸체망 및 상기 바닥망 각각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지지하는 지지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세로대 중 어느 하나의 세로대는 상기 몸체망의 이음매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망이 이음매 부분을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의 몸체망 및 바닥망이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상판 및 접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종래와 같이 접합부분을 일일이 용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시간 및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망 및 바닥망이 세로대, 가로대 및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망 및 바닥망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오일필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오일필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strainer) 및 오일필터는 유압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유체가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또는 오일필터를 거쳐 불순물이 걸러진 상태로 유압장치에 공급되도록 유압장치에서 유체를 공급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상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판(13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판(130)의 중앙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판(130)에 형성된 개방공(131)의 둘레에는 하기에 설명될 바이패스 밸브(230)가 안착되는 안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안착부(133)는 상판(130)에서 개방공(131)이 형성된 둘레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함몰된 부분에 바이패스 밸브(230)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130)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판(13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몸체망(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몸체망(110)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으로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공(131)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몸체망(110)을 거쳐 몸체망(11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판(130)의 개방공(131)이 형성된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망(110)은 지지망(111)과 여과망(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망(113)은 실질적으로 이물질을 걸러내는 망이고, 지지망(111)은 여과망(113,123)을 지지하는 망이다.
한편, 몸체망(110)은 여과망(113)과 지지망(111)이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과망(113)은 지지망(11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여과망(113)이 지지망(111)보다 더 간극이 세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망(111)은 여과망(113)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이 강한 황동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과망(113)은 지지망(111)보다 세밀한 망을 형성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몸체망(110)은 복수의 황동 또는 스테인리스 철사가 얽힌 망을 원통형으로 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 판을 원통형으로 마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바닥망(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바닥망(120)은 몸체망(110)의 하단을 밀폐하여 상판(130)의 개방구로 유입되는 유체가 몸체망(110) 및 바닥망(120)을 거쳐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망(120)은 몸체망(110)의 구성과 동일하게 지지망(121)과 여과망(123)이 서로 겹쳐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망(120)을 구성하는 지지망(121)과 여과망(123)은 상기한 몸체망(110)을 구성하는 지지망(111)과 바닥망(113)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바닥망(120)은 몸체망(110)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몸체망(110)의 하단의 둘레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접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접합부(170)는 바닥망(120)과 몸체망(110)을 접합시킬 수 있다. 한편, 접합부(170)는 바닥망(120)과 몸체망(110)이 접하는 부분 더 구체적으로는 몸체망(110)의 하단 둘레와 바닥망(120)의 외측 둘레가 접하는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바닥망(120)과 몸체망(110)을 접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접합부(170)는 바닥망(120)과 몸체망(110)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접합부(170)를 사출 성형하는 금형에 바닥망(120)과 몸체망(110)을 삽입하고 바닥망(120)과 몸체망(110)의 접합부(170)분에 접합부(170)가 사출 성형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가로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로대(140)는 몸체망(110)이 유압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몸체망(110)의 중간 부분에 몸체망(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로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로대(140)가 구비될 경우 몸체망(110)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세로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세로대(150)는 몸체망(110)이 상판(130)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몸체망(1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몸체망(110)이 유압에 의해 상판(1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세로대(150)는 상판(130)의 하부로 몸체(231) 방향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판(130), 상기 가로대(140) 및 접합부(17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세로대(150)는 몸체망(110)의 외면에 몸체망(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세로대(150) 중 어느 하나의 세로대(150)는 몸체망(110)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때 형성되는 이음매의 부분에 위치되어 이음매 부분을 세로대(150)가 접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지지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대(160)는 바닥망(120)의 지지력을 견고히 하여 유압에 의해 바닥망(120)이 접합부(17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대(160)는 바닥망(120)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60)는 바닥망(12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몸체망(110) 및 바닥망(120)을 스트레이너(100)를 형성할 크기로 절단한다. 이때, 몸체망(110) 및 바닥망(120)을 각각 구성하는 여과망(113,123)과 지지망(111,121)을 동일 크기로 절단한다.
그리고, 몸체망(110)을 원통형상으로 말은 후, 서로 겹쳐지는 양단이 일부 겹쳐진 상태로 절곡하여 이음매 부분을 형성한다. 이음매 부분은 서로 일부 겹쳐진 상태에서 겹쳐진 부분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마는 형태로 절곡하기 때문에 이음매를 용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후, 상판(130), 가로대(140), 세로대(150), 접합부(170) 및 지지대(160)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금형에 몸체망(110)과 바닥망(120)을 삽입하고, 금형을 조립하여 사출성형을 수행한다.
그리고, 합성수지가 사출되면 금형을 분리하여 금형에서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를 분리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유압장치에서 유압장치를 작동하는 유체가 지나는 부분에 상판(130)이 유체가 지나는 통로를 막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판(130)에 형성된 개방공(131)으로 유체가 유입되고, 몸체망(110) 및 바닥망(120)을 거쳐 몸체망(110) 및 바닥망(120)에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유압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장치에 스트레이너(100)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를 유압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유압장치가 이물질에 의해 고장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상판(130)과 몸체망(110)이 연결되는 부분과, 몸체망(110) 및 바닥망(120)이 결합되는 부분 그리고, 몸체망(110)의 이음매 부분을 종래와 같이 용접할 필요가 없이 합성수지로 사출성형 하기 때문에 제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트레이너(100)의 강성을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트레이너(100)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가 구비된 오일필터(200)는 필터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필터부재(210)는 유압장치를 작동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한편, 필터부재(2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부재(210)의 중앙에는 필터부재(210)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재(210)는 필터부재(210)의 외부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가 공급되고,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가 필터부재(210)를 거쳐 이물질을 걸러내고 필터부재(2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1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형태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가 구비된 오일필터(200)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상기에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가 설치되므로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는 필터부재(21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의 몸체망(110)은 필터부재(210)의 관통공(211)으로 삽입되고,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의 상판(130)이 몸체망(110)의 필터부재(210)의 상단에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몸체망(110)은 필터부재(210)의 관통공(211)의 내주보다 작은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의 상판(130)과 필터부재(210)가 접촉하는 부분은 틈새가 없도록 완벽히 밀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가 구비된 오일필터(200)는 바이패스 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바이패스 밸브(230)는 필터부재(210)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필터부재(210)가 여과할 수 없는 많은 량의 유체가 필터부재(210)로 유입된 경우, 이물질이 함유된 유체가 필터부재(21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를 거쳐 유압장치에 제공하도록 하여 유압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밸브(230)는 스트레이너(100)에 형성된 개방공(131)에 설치되어 평상 시에는 개방공(131)을 밀폐하고, 필터부재(210)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필터부재(210)가 여과할 수 없는 많은 량의 유체가 유입될 때, 개방공(131)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 밸브(230)는 몸체(231), 밀폐부(233), 개폐부재(235) 및 스프링(237)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231)는 중앙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232)이 형성되며, 밀폐부(233)는 몸체(231)의 둘레 외측으로 돌출되어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 더 구체적으로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에 형성된 안착부(133)에 안착된다.
그리고 개폐부재(235)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체의 압력에 따라 유입공(232)에서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여 유입공(232)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235)는 몸체(231)에 스프링(237)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평상 시에는 유입공(232)을 폐쇄하는 상태로 위치되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유압이 작용할 때 예컨대,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210)가 막히거나 필터부재(210)가 처리할 수 있는 유체의 량보다 많은 량의 유체가 유입될 경우, 개폐부재(235)가 하향되어 유입공(232)을 개방함으로써, 유입공(232)을 통해 필터부재(210)의 관통공(211)으로 유체가 바로 유입되어 유압장치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 밸브(230)는 일정 압력이상이 되면 유입공(232)을 개방하는 공지된 다양한 바이패스 밸브(230)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바이패스 밸브(230)의 구성 및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가 구비되는 오일필터(200)는 필터부재(210)의 관통공(211)에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가 안착되고, 스트레이너(100)의 개방공(131)으로는 바이패스 밸브(230)가 안착된다.
이렇게 구성된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가 구비되는 오일필터(200)는 유압장치에서 유압장치를 작동시키는 유체가 공급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유체가 필터부재(210)의 외부에서 공급되고, 필터부재(210)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필터부재(210)의 관통공(211)을 통해 유압장치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가 구비되는 오일필터(200)를 유압장치에 설치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유체를 유압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이물질로 인한 유압장치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필터부재(210)에 이물질이 많이 끼거나 필터부재(210)가 처리할 수 있는 량의 유체보다 많은 량의 유체가 공급되면 필터부재(210)에 설치된 바이패스 밸브(230)가 유압에 의해 개방된다.
그리고, 바이패스 밸브(230)의 개방된 유입공(232)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에 의해 유체의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유압장치에 공급되기 때문에, 바이패스 밸브(2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도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에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유압장치에 유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재(210)가 기능이 상실되어도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에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혼입된 유체에 의해 유압장치가 고장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가 구비되는 오일필터(200)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의 제작시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가 구비되는 오일필터(200)의 제작 시 제작시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100)가 몸체망(110) 및 바닥망(120)을 제외한 부분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110: 몸체망
111,121: 지지망 113,123: 여과망
120: 바닥망 130: 상판
131: 개방공 133: 안착부
140: 가로대 150: 세로대
160: 지지대 170: 접합부
200: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가 구비된 오일필터
210: 필터부재 211: 관통공
230: 바이패스 밸브 231: 몸체
232: 유입공 233: 밀폐부
235: 개폐부재 237: 스프링

Claims (12)

  1.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장치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로서,
    상면의 중앙에 개방공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상기 개방공이 형성된 하부에 위치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망, 상기 몸체망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망, 및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의 둘레를 함께 감싸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접합부는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몸체 둘레를 지지하도록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 및 상기 접합부를 상기 몸체망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망의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세로대, 및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바닥망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 상기 세로대 및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판 및 상기 접합부와 함께 상기 몸체망 및 상기 바닥망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몸체망 및 상기 바닥망 각각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지지하는 지지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로대 중 어느 하나의 세로대는 상기 몸체망의 이음매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망이 이음매 부분을 접합하며,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바이패스 밸브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트레이너, 및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단을 밀폐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로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면의 중앙에 개방공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상기 개방공이 형성된 하부에 위치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망, 상기 몸체망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망, 및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의 둘레를 함께 감싸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접합부는 상기 몸체망과 상기 바닥망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몸체 둘레를 지지하도록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가로대, 상기 가로대 및 상기 접합부를 상기 몸체망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망의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세로대, 및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바닥망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 상기 세로대 및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판 및 상기 접합부와 함께 상기 몸체망 및 상기 바닥망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몸체망 및 상기 바닥망 각각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지지하는 지지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로대 중 어느 하나의 세로대는 상기 몸체망의 이음매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망이 이음매 부분을 접합하며,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오일필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20110000050U 2011-01-04 2011-01-04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 KR200465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50U KR200465185Y1 (ko) 2011-01-04 2011-01-04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050U KR200465185Y1 (ko) 2011-01-04 2011-01-04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06U KR20120005106U (ko) 2012-07-12
KR200465185Y1 true KR200465185Y1 (ko) 2013-02-06

Family

ID=4685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050U KR200465185Y1 (ko) 2011-01-04 2011-01-04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5248A (ko) 2022-07-27 2024-02-05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오일필터 예지보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995A (ko) 2019-05-15 2020-11-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유압 인라인 필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431U (ko) * 1998-01-23 1999-08-25 이정수 상향식 스트레이너
KR20040100306A (ko) * 2003-05-22 2004-12-02 덴소풍성(주) 차량용 오일필터의 제조방법
KR100870089B1 (ko) 2007-08-13 2008-11-25 박병근 삽탈이 용이한 유체 필터
KR20090006530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세원 필터 안전밸브 부착구조 및 부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431U (ko) * 1998-01-23 1999-08-25 이정수 상향식 스트레이너
KR20040100306A (ko) * 2003-05-22 2004-12-02 덴소풍성(주) 차량용 오일필터의 제조방법
KR20090006530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세원 필터 안전밸브 부착구조 및 부착방법
KR100870089B1 (ko) 2007-08-13 2008-11-25 박병근 삽탈이 용이한 유체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5248A (ko) 2022-07-27 2024-02-05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오일필터 예지보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06U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938B1 (ko) 필터 장치
JP5890421B2 (ja) 流体フィルタシステム
CN104548702A (zh) 具有旁通管的过滤元件以及具有过滤元件的过滤装置
EP2676713B1 (de) Gasfiltereinsatz
KR200465185Y1 (ko) 유압장치용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오일필터
JP5624006B2 (ja) オイルフィルター
CN105107243B (zh) 一种可变间隙反冲洗过滤器
US20130193083A1 (en) Filtration system
EP2542320A2 (en) Filtering elemen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EA025819B1 (ru) Водозаборный фильтр
US10563415B2 (en) System and method of a pool filter operation
TWI473643B (zh) 用於流體過濾器的單件式彈性組合式底支座及減壓閥端封元件
CN206315535U (zh) 用于流体供给系统的过滤器
US20100108595A1 (en) Strainer
KR101193732B1 (ko) 여과면적이 확대된 수처리용 필터 구조체
JP2011007083A (ja) オイルパン
EP1366358B1 (en) Chromatography device
KR20150055943A (ko) 필터 세척기능을 구비한 백 필터
US20170128862A1 (en) Gasket having an integral drain
CN113847117A (zh) 一种新型机油滤芯
WO2015135667A1 (de) Siebfilterelement für ein kraftstofffilterelement mit einer mehrstufigen wasserabscheidung und kraftstofffilterelement
JP2004255310A (ja) フィルタ
CN104857748A (zh) 砂石-滤网集成式灌溉过滤器、灌溉过滤系统及冲洗方法
KR101265972B1 (ko) 선박용 오일 필터
US20230356122A1 (en) Fluid filter anti-prefil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