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52Y1 -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 Google Patents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952Y1
KR200464952Y1 KR2020100011495U KR20100011495U KR200464952Y1 KR 200464952 Y1 KR200464952 Y1 KR 200464952Y1 KR 2020100011495 U KR2020100011495 U KR 2020100011495U KR 20100011495 U KR20100011495 U KR 20100011495U KR 200464952 Y1 KR200464952 Y1 KR 200464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rake
stroller
frame
umbr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403U (ko
Inventor
권민성
김무준
김지훈
Original Assignee
권민성
김지훈
김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성, 김지훈, 김무준 filed Critical 권민성
Priority to KR2020100011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5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4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7Attachments or holders for umbrellas, parasols or sunsha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0Resilient wheel suspension usin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는 상기 앞바퀴와 뒷바퀴는 각각 2개의 바퀴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임의로 접히지 않게 하는 걸림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요철이 심한 도로나 계단이 생긴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바퀴와 바퀴 사이에 완충장치가 설치되고, 우측 뒷바퀴와 손잡이에는 일정한 힘을 가할 때는 바퀴의 제동이 풀리고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우측 뒷바퀴의 제동이 걸리는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며, 좌측 뒷바퀴에는 발로 누르면 바퀴가 정지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브레이크장치를 조정하는 브레이크레버와,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어 하측에는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행거장치와, 비나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우산 또는 양산을 설치할 수 있는 우산고정장치가 구비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유모차의 프레임에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위의 부주의로 인해 유모차가 자동으로 접히는 현상(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요철이 심하거나 또는 계단이 생긴 도로를 다닐 때 아기를 충격 위험에서 탈피시키고 승차감을 최적으로 하여 항상 아이가 명랑하게 지낼 수 있게 하며,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를 잡고 밀고 가다가 유모차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를 놓게 되면 바퀴가 바로 잠궈지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유모차를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유아들을 보다 안락하게 유모차를 태울 수는 장점이 있으며, 행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부가 유아와 함께 외출하여 쇼핑을 하거나 유아용품이 아닌 다른 물품등 유모차에 구비된 바구니에 수납하기 어려운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물품을 운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Baby Carriage be Strengthen Safety Function}
본 고안은 안전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이 임의로 접히지 않게 하는 걸림장치와, 요철이 심한 도로나 계단이 생긴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장치와, 경사진 곳에서 임의로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장치와, 손잡이에 고정되어 하측에는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행거장치와, 비나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우산 또는 양산을 설치할 수 있는 우산고정장치가 설치된 안전기능과 추가기능이 대폭 강화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유아를 태우고 이동하는 기구로서, 유아의 안전이 가장 먼저 보장되어야 하고 사용이 간편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유모차를 구입할 때 유모차의 구조, 실용성, 미관성 외에도 사용시 유모차의 안전이 중요한 구매요소가 되는데,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법률로써 생산, 제조, 판매되는 유모차는 반드시 안전 고정의 구조를 가지게 하여, 인위적인 손실이나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유모차를 접을 때 발생하는 위험을 방지하여 유모차를 타고 있는 유아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유모차는 주위환경(부모, 타인 등)의 부주의로 인해 유모차가 자동으로 접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유모차에 타고 있던 유아는 치명적인 상해를 입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들은 외출시 유아를 동반하게 되며 유아와 동반 외출시에는 유모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근래에는 핵가족화가 진행되어 부부와 유아로 이루어진 핵가족은 외출시 유모차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부가 유아를 동반하여 외출하는 경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동네산책이나 이웃방문 및 쇼핑을 위한 목적이 대부분이며 외출시에는 유아용품 예컨대 기저기, 분유통 등을 소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유모차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바구니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바구니에 유아용품을 수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주부가 유아와 함께 외출하여 쇼핑을 하거나 유아용품이 아닌 다른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유모차에 고정된 바구니는 너무 협소하여 많은 물건을 수납할 수 없어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유모차를 밀기 위해 두손을 사용하는 경우 유모차의 핸들이나 손목에 물품을 걸고 운반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유모차의 핸들이나 손목에 걸린 물품주머니는 미끄러지거나 자중에 의한 무게에 의해 손목을 다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물품이 다수인 경우에는 어려움은 더욱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오늘날의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더욱 실용적이고 더욱 편리하며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를 고안하게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이 임의로 접히지 않게 하는 걸림장치와, 요철이 심한 도로나 계단이 생긴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장치와, 경사진 곳에서 임의로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장치와, 손잡이에 고정되어 하측에는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행거장치와, 비나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우산 또는 양산을 설치할 수 있는 우산고정구가 설치된 안전기능과 추가기능이 대폭 강화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해결하려는 과제이다.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는 유아가 그 위에서 눕거나 기대어 앉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펼쳐져 좌석부 상부에 유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덮개와,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며 그 하단부에 앞바퀴와 뒷바퀴로 구성된 다수의 바퀴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유모차에 안전 기능이 강화된 것이다.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는 상기 앞바퀴와 뒷바퀴는 각각 2개의 바퀴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임의로 접히지 않게 하는 걸림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요철이 심한 도로나 계단이 생긴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바퀴와 바퀴 사이에 완충장치가 설치되고, 우측 뒷바퀴와 손잡이에는 일정한 힘을 가할 때는 바퀴의 제동이 풀리고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우측 뒷바퀴의 제동이 걸리는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며, 좌측 뒷바퀴에는 발로 누르면 바퀴가 정지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브레이크장치를 조정하는 브레이크레버와,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어 하측에는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행거장치와, 비나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우산 또는 양산을 설치할 수 있는 우산고정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장치는 양말단이 라운드진 플랫바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에 자유롭게 작동토록 결합되고, 상기 걸림장치에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레임결합홀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점이 접히지 않게 고정시키는 잠김홈과, 상기 프레임이 접힐 시 상기 고정점이 상기 걸림장치에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작동홈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장치는 요철이 심한 도로 및 계단이 있는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이 생기면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흡수된 힘의 반동력을 평형되게 하는 오일쇼버와 상기 오일쇼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상기 뒷바퀴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케 하는 브레이크레버와 상기 브레이크와 브레이크레버를 연결하는 브레이크연결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행거장치는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고리부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손잡이결합부와, 상기 고리부와 상기 손잡이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자체가 회전될 수 있고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게 다수개의 고리와 다수개의 고리가 모여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고리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리부의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고리부가 자전할 수 있게 하는 연결봉과, 일측은 상기 연결봉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결합구와 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가 진자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연결대로 구성된다.
상기 우산고정장치는 우산이나 양산을 꽂을 수 있는 우산삽입부와, 상부는 상기 우산삽입부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며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될 수 있게 하는 손잡이연결부로 구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우산삽입부에는 우산이나 양산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연결부는 상기 우산삽입부와 연결되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하부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는 링크 결합하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임의의 각도에서 조절너트로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연결부에는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손잡이결합구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술한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로서 본 고안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유모차의 프레임에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위의 부주의로 인해 유모차가 자동으로 접히는 현상(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요철이 심하거나 또는 계단이 생긴 도로를 다닐 때 아기를 충격 위험에서 탈피시키고 승차감을 최적으로 하여 항상 아이가 명랑하게 지낼 수 있게 하며,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를 잡고 밀고 가다가 유모차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를 놓게 되면 바퀴가 바로 잠궈지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유모차를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유아들을 보다 안락하게 유모차를 태울 수는 장점이 있으며, 행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부가 유아와 함께 외출하여 쇼핑을 하거나 유아용품이 아닌 다른 물품등 유모차에 구비된 바구니에 수납하기 어려운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물품을 운반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걸림장치 사시도 및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걸림장치와 프레임 결합도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완충장치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브레이크장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브레이크장치 작동도
도 7은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스토퍼 작동도
도 8은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행거장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우산고정장치 사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걸림장치 사시도 및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걸림장치와 프레임 결합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완충장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브레이크장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브레이크장치 작동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스토퍼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행거장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에 따른 우산고정장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고안의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는 유아가 그 위에서 눕거나 기대어 앉는 좌석부(A)와, 상기 좌석부(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펼쳐져 좌석부 상부에 유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덮개(B)와, 상기 좌석부(A)를 지지하며 그 하단부에 앞바퀴(C1)와 뒷바퀴(C2)로 구성된 다수의 바퀴(C)를 갖는 프레임(D)과, 상기 프레임(D)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손잡이(E)를 구비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C1)와 뒷바퀴(C2)는 각각 2개의 바퀴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D)에는 임의로 접히지 않게 하는 걸림장치(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요철이 심한 도로나 계단이 생긴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바퀴와 바퀴 사이에 완충장치(2)가 설치되고, 우측 뒷바퀴(C21)와 손잡이(E)에는 일정한 힘을 가할 때는 바퀴의 제동이 풀리고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우측 뒷바퀴(C21)의 제동이 걸리는 브레이크장치(3)가 설치되며, 좌측 뒷바퀴(C22)에는 발로 누르면 바퀴가 정지되는 스토퍼(4)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E)에는 상기 브레이크장치(3)를 조정하는 브레이크레버(32)와, 상기 손잡이(E)에 고정되어 하측에는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행거장치(5)와, 비나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우산 또는 양산을 설치할 수 있는 우산고정장치(6)가 구비되는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이다.
도 2와 도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걸림장치(1)는 유모차가 임의로 접히지 않게 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양말단이 라운드진 플랫바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D)에 자유롭게 작동토록 결합되고, 상기 걸림장치(1)에는 상기 프레임(D)과 결합되는 프레임결합홀(11)과, 상기 프레임(D)에 설치된 고정점(14)이 접히지 않게 고정시키는 잠김홈(12)과, 상기 프레임(D)이 접힐 시 상기 고정점(14)이 상기 걸림장치(1)에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작동홈(1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장치(1)과 프레임(D)의 결합은 고정핀(15)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핀(15)에는 고정머리(152)와 프레임고정압착부(15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머리(152)는 상기 걸림장치(1)가 고정핀(15)에서 빠지지 않게 하며 상기 프레임고정압착부(151)는 상기 프레임(D)에서 상기 고정핀(15)가 빠지지 않게 눌러서 압착한다.
상기 걸림장치(1)과 상기 프레임(D)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스페이서(16)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핀(15)와 걸림장치(1)과 스페이스(16)과 프레임(D)는 약각의 유격이 있어 쉽게 회전될 수 있게 해야 한다.
상기 스페이스(16)은 상기 프레임(D)이 파이프 형태이면 접촉면적을 늘이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D) 쪽은 상기 프레임(D)와 같이 홈이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바일 때는 평와셔와 같은 타입이 바람직하다.
유모차를 접을 때는 상기 작동홈(13)이 형성된 길이쪽을 손으로 들어 상기 고정점(14)가 중앙의 위치에 오게 한 후에 손잡이측 프레임과 반대측 하부프레임을 접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접혀지고, 유모차를 펼 때는 양측 하부프레임을 펴는 쪽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작동홈(13)을 따라 고정점(14)가 중앙으로 움직여 상기 잠김홈(12)으로 들어가면 상술한 것 같이 접을 때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임의로 접혀지지 않아 안전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같이 상기 완충장치(2)는 상기 프레임(D)의 하부에 설치되어 요철이 심한 도로나 계단이 생긴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바퀴와 바퀴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완충장치(2)는 요철이 심한 도로 및 계단이 있는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이 생기면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21)과 상기 스프링(21)에 흡수된 힘의 반동력을 평형되게 하는 오일쇼버(22)와 상기 오일쇼버(22)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D)과 연결되는 브래킷(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장치(2)는 상기 유모차의 프레임에 브래킷(23)을 바퀴 부분 4곳에 볼트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바퀴(C)가 요철이 심한 도로 및 계단이 있는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이 생기면 스프링(21)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흡수된 힘은 스프링에 의하여 반동힘이 생기지만 오일쇼버(22)에 의하여 반동힘이 평형이 되어 안정(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바퀴(C)는 좌,우,전,후로 이동시 방향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도로 지면을 평행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오일쇼버(22) 중심 축과 바퀴 중심을 편심시켜 자동적으로 이동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게 된다. 안내핀(24)은 충격을 도로 지면의 직각 방향으로 원활히 흡수하게 하며, 오일쇼버(22)와 스프링(21)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상기 안내핀(24)이다.
도 5과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브레이크장치(3)는 안전을 위하여 일정한 힘을 가할 때는 바퀴의 제동이 풀리고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우측 뒷바퀴(C21)의 제동이 걸리게 작동하며, 상기 뒷바퀴(C2)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브레이크(31)와 상기 브레이크(31)를 작동케 하는 브레이크레버(32)와 상기 브레이크(31)와 브레이크레버(32)를 연결하는 브레이크연결선(33)으로 구성된다.
도 5-1은 상기 브레이크레버(32)를 손으로 잡지 않았을 때 즉 손으로 일정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상기 브레이크레버(32)에서 손이 떨어졌을 때는 제동이 걸려 움직이지 않는다.
도 5-2는 상기 브레이크레버(32)를 손으로 잡아 잡은 힘이 브레이크연결선을 따라 브레이크스토퍼(311)에 가해지면 브레이크가 풀리고 밀면 바퀴가 회전하여 운직이게 된다.
도 5-1과 도 5-2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브레이크(31)는 프레임의 하측으로 우측 뒷바퀴(C21)와 고정되고, 상기 우측 뒷바퀴(C21)의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정돌기(312)에 상기 브레이크레버(32)에서 상기 브레이크스톱퍼(311)에 가해진 힘이 없어지면 상기 브레이크스톱퍼(311)가 삽입되면서 정지되고, 상기 우측 뒷바퀴(C21)의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고정돌기(312)에 상기 브레이크레버(32)에서 상기 브레이크스톱퍼(311)에 힘을 가하면 상기 브레이크스톱퍼(311)가 상기 고정돌기(312)에서 빠지면서 바퀴가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운행을 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스톱퍼(311)에는 하부에 걸림핀(3111)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핀(3111)이 고정돌기(312)에서 빠지거나 들어가서 바퀴가 회전되거나 정지된다.
이와 같이 유모차를 밀고 가는 도중 유모차를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E)에 형성된 브레이크레버(32)를 놓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스토퍼(311)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 되고 상기 걸림핀(3111)이 바퀴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312)에 걸리면서 바퀴의 회전을 차단하여 유모차가 안전하게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정지된 상태에서 다시 유모차를 운행 하고자 하는 경우를 상기 손잡이(E)에 형성된 브레이크레버(32)를 적당히 눌러 잡으면 브레이크연결선(33)이 당겨지게 되므로 상기 브레이크(31)의 상기 브레이크스토퍼(311)의 걸림핀(3111)이 고정돌기(312)에서 빠져 바퀴가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브레이크의 작동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브레이크스토퍼(311)가 수평으로 되어 있을 때는 상기 걸림핀(3111)이 바퀴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312)에 걸리면서 바퀴의 회전을 차단하여 유모차가 안전하게 정지되고, 상기 브레이크스토퍼(311)가 수직으로 되어 있을 때는 상기 걸림핀(3111)이 바퀴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312)에서 빠지면서 바퀴의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유모차의 운행을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좌측 뒷바퀴(C22)에는 발로 누르면 바퀴가 정지되는 스토퍼(4)가 설치되어 상기 브레이크장치(3)에 더불어 유모차를 안전하게 정지해 있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토퍼(4)는 상기 브레이크장치(3)로는 1바퀴만 제동되므로 약간 경사진 곳에서는 뒷바퀴의 좌우바퀴를 다 제동하여 안전을 높인 것이다. 작동은 상기 브레이크장치(3)과 반대로 작동하게 설치해야 한다.
즉 수평이 되었을 때는 브레이크가 잡히지 않고 발로 눌러 수직이 되었을 때 브레이크가 잡히는 구조이며 상기 브레이크장치(3)과 원리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행거장치(5)는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고리부(51)와, 상기 손잡이(E)에 결합되는 손잡이결합부(52)와, 상기 고리부(51)와 상기 손잡이결합부(52)를 연결하는 연결부(53)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결합부(52)에는 손잡이(E)에 결합될 수 있게 잠금부(521)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E)에 끼워 누르면 잠기게 되며, 연결부핀(533)이 결합될 수 있게 길이 방향의 살두께에 연결부핀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결합부(52)는 2개로 분리되어 열릴 수 있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부(51)는 상기 연결부(53)에 결합되어 자체가 회전될 수 있고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게 다수개의 고리(511)와 다수개의 고리가 모여 상기 연결부(53)에 결합되는 고리몸체(51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고리부(51)의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고리부(51)가 자전할 수 있게 하는 연결봉(531)과, 일측은 상기 연결봉(531)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결합구(52)와 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51)가 진자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연결대(53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봉(53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고리부핀(534)이 관통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고리몸체(512)와 연결봉(531)과 연결대(532)는 고리부핀(534)으로 유격이 있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532)의 상부와 상기 손잡이결합부(52)는 연결부핀(533)으로 유격있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53)는 연결부핀(533)으로 유격이 있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로 진자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리부(51)는 고리부핀(534)으로 유격이 있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행거장치(5)는 주부가 유아와 함께 외출하여 쇼핑을 하거나 유아용품이 아닌 다른 물품등 유모차에 구비된 바구니에 수납하기 어려운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물품을 운반할 수 있어 유모차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우산고정장치(6)는 우산이나 양산을 꽂을 수 있는 우산삽입부(61)와, 상부는 상기 우산삽입부(61)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손잡이(E)에 결합되며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될 수 있게 하는 손잡이연결부(62)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우산삽입부(61)에는 우산이나 양산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611)가 형성되어, 우산이나 양산을 삽입하고 상기 고정볼트(611)로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게 한다.
상기 손잡이연결부(62)는 상기 우산삽입부(61)와 연결되는 상부연결부(621)와 상기 손잡이(E)에 결합되는 하부연결부(62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연결부(621)와 하부연결부(622)는 링크 결합하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임의의 각도에서 조절너트(623)로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연결부(622)에는 상기 손잡이(E)에 결합되는 손잡이결합구(6221)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우산고정장치(6)는 햇빛의 방향이나 비의 방향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조절가능하고 고정가능하여 유모차에 탄 유아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은 유모차의 프레임에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위의 부주의로 인해 유모차가 자동으로 접히는 현상(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요철이 심하거나 또는 계단이 생긴 도로를 다닐 때 아기를 충격 위험에서 탈피시키고 승차감을 최적으로 하여 항상 아이가 명랑하게 지낼 수 있게 하며,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를 잡고 밀고 가다가 유모차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를 놓게 되면 바퀴가 바로 잠궈지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유모차를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유아들을 보다 안락하게 유모차를 태울 수는 장점이 있으며, 행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부가 유아와 함께 외출하여 쇼핑을 하거나 유아용품이 아닌 다른 물품등 유모차에 구비된 바구니에 수납하기 어려운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물품을 운반하는 효과가 있다.
기: 좌석부 B : 덮개
C : 바퀴 C1 : 앞바퀴
C2 : 뒷바퀴 C21 : 우측 뒷바퀴
C22 : 좌측 뒷바퀴 D : 프레임
E : 손잡이
1 : 걸림장치 11 : 프레임결합홀
12 : 잠김홈 13 : 작동홈
14 : 고정점 15 : 고정핀
151 : 프레임고정압착부 16 : 스페이서
2 : 완충장치 21 : 스프링
22 : 오일쇼버 23 : 브래킷
24 : 안내핀 3 : 브레이크장치
31 ; 브레이크 311 : 브레이크스토퍼
3111 : 걸림핀 312 : 고정돌기
32 : 브레이크레버 33 : 브레이크연결선
4 : 스토퍼 5 : 행거장치
51 : 고리부 511 : 고리
512 : 고리몸체 52 : 손잡이결합부
521 : 잠금부 53 : 연결부
531 : 연결봉 532 : 연결대
533 : 연결부핀 534 : 고리부핀
6 : 우산고정장치 61 :우산삽입부
611 : 고정볼트 62 : 손잡이연결부
621 : 상부연결부 622 : 하부연결부
6221 : 손잡이결합구

Claims (3)

  1. 삭제
  2. 유아가 그 위에서 눕거나 기대어 앉는 좌석부(A)와, 상기 좌석부(A)의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펼쳐져 좌석부 상부에 유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덮개(B)와, 상기 좌석부(A)를 지지하며 그 하단부에 앞바퀴(C1)와 뒷바퀴(C2)로 구성된 다수의 바퀴(C)를 갖는 프레임(D)과, 상기 프레임(D)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손잡이(E)를 구비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C1)와 뒷바퀴(C2)는 각각 2개의 바퀴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D)에는 임의로 접히지 않게 하는 걸림장치(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요철이 심한 도로나 계단이 생긴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바퀴와 바퀴 사이에 완충장치(2)가 설치되고,
    우측 뒷바퀴(C21)와 손잡이(E)에는 일정한 힘을 가할 때는 바퀴의 제동이 풀리고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스프링의 힘으로 상기 우측 뒷바퀴(C21)의 제동이 걸리는 브레이크장치(3)가 설치되며,
    좌측 뒷바퀴(C22)에는 발로 누르면 바퀴가 정지되는 스토퍼(4)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E)에는 상기 브레이크장치(3)를 조정하는 브레이크레버(32)와, 상기 손잡이(E)에 고정되어 하측에는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행거장치(5)와, 비나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우산 또는 양산을 설치할 수 있는 우산고정장치(6)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장치(1)는 양말단이 라운드진 플랫바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D)에 자유롭게 작동토록 결합되고,
    상기 걸림장치(1)에는 상기 프레임(D)과 결합되는 프레임결합홀(11)과, 상기 프레임(D)에 설치된 고정점(14)이 접히지 않게 고정시키는 잠김홈(12)과, 상기 프레임(D)이 접힐 시 상기 고정점(14)이 상기 걸림장치(1)에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작동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장치(2)는 요철이 심한 도로 및 계단이 있는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이 생기면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21)과 상기 스프링(21)에 흡수된 힘의 반동력을 평형되게 하는 오일쇼버(22)와 상기 오일쇼버(22)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D)과 연결되는 브래킷(23)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레이크장치(3)는 상기 뒷바퀴(C2)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브레이크(31)와 상기 브레이크(31)를 작동케 하는 브레이크레버(32)와 상기 브레이크(31)와 브레이크레버(32)를 연결하는 브레이크연결선(33)으로 구성되며,
    상기 행거장치(5)는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는 고리부(51)와, 상기 손잡이(E)에 결합되는 손잡이결합부(52)와, 상기 고리부(51)와 상기 손잡이결합부(52)를 연결하는 연결부(53)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51)는 상기 연결부(53)에 결합되어 자체가 회전될 수 있고 여러가지 물건을 걸 수 있게 다수개의 고리(511)와 다수개의 고리가 모여 상기 연결부(53)에 결합되는 고리몸체(512)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고리부(51)의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고리부(51)가 자전할 수 있게 하는 연결봉(531)과, 일측은 상기 연결봉(531)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결합부(52)와 핀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51)가 진자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연결대(532)로 구성되고,
    상기 우산고정장치(6)는 우산이나 양산을 꽂을 수 있는 우산삽입부(61)와, 상부는 상기 우산삽입부(61)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손잡이(E)에 결합되며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될 수 있게 하는 손잡이연결부(62)로 구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삽입부(61)에는 우산이나 양산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61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연결부(62)는 상기 우산삽입부(61)와 연결되는 상부연결부(621)와 상기 손잡이(E)에 결합되는 하부연결부(62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연결부(621)와 하부연결부(622)는 링크 결합하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임의의 각도에서 조절너트(623)로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연결부(622)에는 상기 손잡이(E)에 결합되는 손잡이결합구(6221)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KR2020100011495U 2010-11-08 2010-11-08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KR200464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95U KR200464952Y1 (ko) 2010-11-08 2010-11-08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95U KR200464952Y1 (ko) 2010-11-08 2010-11-08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403U KR20120003403U (ko) 2012-05-16
KR200464952Y1 true KR200464952Y1 (ko) 2013-02-01

Family

ID=4661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495U KR200464952Y1 (ko) 2010-11-08 2010-11-08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14A1 (ko) * 2015-07-03 2017-01-1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91Y1 (ko) * 2013-08-30 2015-01-13 김봄 휠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1689088B1 (ko) * 2015-09-11 2016-12-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모차
CN108482467A (zh) * 2018-03-05 2018-09-04 平湖市至爱童车有限公司 一种双人童车
CN109677479A (zh) * 2019-03-04 2019-04-26 北京小李行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手推式运载工具及制动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730A (ko) * 1996-04-18 1997-11-07 박영두 공기 타이어 바퀴와 가스압쇼바를 장착한 유모차
KR19990042198A (ko) * 1997-11-26 1999-06-15 김연진 유모차의 제동장치
KR20090039294A (ko) * 2007-10-18 2009-04-22 연재민 젖병 보온기능을 구비한 유모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730A (ko) * 1996-04-18 1997-11-07 박영두 공기 타이어 바퀴와 가스압쇼바를 장착한 유모차
KR19990042198A (ko) * 1997-11-26 1999-06-15 김연진 유모차의 제동장치
KR20090039294A (ko) * 2007-10-18 2009-04-22 연재민 젖병 보온기능을 구비한 유모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14A1 (ko) * 2015-07-03 2017-01-12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10106186B2 (en) 2015-07-03 2018-10-23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US11472462B1 (en) 2021-11-15 2022-10-18 Bran-New International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403U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952Y1 (ko) 안전 기능이 강화된 유모차
US9950729B2 (en)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US5290049A (en) Push chair/shopping trolley
CN102256856B (zh) 用于手推童车的座椅附接件
US20150197268A1 (en) Compact foldable stroller with one-handed fold control
US9010769B1 (en) Shopping cart attachment frame apparatus
TWI551502B (zh) Multi-function scooter
US20160257331A1 (en) Convertible toddler platform
EP2851264B1 (en) Chassis for baby pushchairs
US20120193893A1 (en) Stroller with a receiving frame and support straps for receiving car seats
KR101626778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CN103569183A (zh) 收合机构及具有该机构的婴儿车
KR20100025835A (ko) 시트 분리형 유모차
CN102448792A (zh) 手推童车或手推车
EP3160821A2 (en) Foldable stroller
EP2684769A1 (en) Passenger carrier handlebar
CN207433592U (zh) 一种多功能折叠手推车
CN109720398A (zh) 一种儿童推车加长支架
US11014475B2 (en) Child car seat
GB2493364A (en) A pushchair with engagement means for a suitcase or bag
US9862399B2 (en) Dolly for connection to child car seat to form a stroller
CN208582688U (zh) 一种老人助力车
GB2485131A (en) A shopping trolley securable to a stroller
KR200433775Y1 (ko) 보조이동편을 갖는 캐리어
CN208469899U (zh) 购物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