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40Y1 - Drain apparatus for ship - Google Patents

Drain apparatus for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940Y1
KR200464940Y1 KR2020100009493U KR20100009493U KR200464940Y1 KR 200464940 Y1 KR200464940 Y1 KR 200464940Y1 KR 2020100009493 U KR2020100009493 U KR 2020100009493U KR 20100009493 U KR20100009493 U KR 20100009493U KR 200464940 Y1 KR200464940 Y1 KR 200464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ain pipe
ship
chamber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4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2009U (en
Inventor
김상현
나승재
여세동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9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40Y1/en
Publication of KR20120002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00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4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14Closet or like flushing arrangements; Washing or bathing facilities peculiar to shi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Abstract

선박의 챔버 유닛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챔버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과, 배수관에 연결 파이프로 연결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부 및 하우징에 내재된 유체를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를 포함하는 트랩부를 포함한다. A drain pipe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to discharge the fluid inside the chamber unit of the ship, a housing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to the drain pipe and a partition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fluid contained in the housing. It includes a trap unit including a.

Description

선박의 배수 장치{DRAIN APPARATUS FOR SHIP}Drainage device for ships {DRAIN APPARATUS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선박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apparatus of a ship,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apparatus of a ship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space of the vessel.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활용 가능한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화장실 등이 챔버(chamber) 형태의 컴팩트한 공간에 설치된다. In general, the space available to the ship is limited, toilets, etc. are installed in a compact space in the form of a chamber (chamber).

선박의 화장실은 사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챔버 유닛과, 챔버 유닛의 내부에서 발생된 오폐수의 배출을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챔버 유닛은 선박의 내부에서 일정한 사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배수장치는 챔버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폐수를 챔버의 외부로 배출한다. The toilet of the ship includes a chamber unit for securing a use space and a drainage device for discharging wastewater generated inside the chamber unit. The chamber unit is formed so that a constant use space is formed inside the ship, and the drainage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unit to discharge the wast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이러한 선박의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화장실을 구성하는 챔버 유닛의 크기를 일정 크기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화장실의 사용중에 답답한 느낌을 받는다. The user using the toilet of such a ship cannot form the size of the chamber unit constituting the toilet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user feels frustrated while using the toilet.

즉, 챔버 유닛의 크기를 확대하면 화장실의 사용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지만, 선박에는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챔버의 크기를 확대 하면 인접 설비와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size of the chamber unit is enlarged, the space for use of the toilet can be secured more widely. However, the space that can be used is limited in the ship, and when the size of the chamber is enlarg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terference with adjacent facilities occurs.

본 고안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의 화장실의 내부 사용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선박의 배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background art, to provide a drainage device of the ship that can further secure the internal use space of the toilet of the ship.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챔버 유닛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챔버 유닛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과, 배수관에 연결 파이프로 연결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부 및 하우징에 내재된 유체를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를 포함하는 트랩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ipe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unit to discharge the fluid inside the chamber unit of the ship, the housing which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nd the housing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And a trap portion including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fluid contained in the housing.

하우징은 연결 파이프의 상측으로 돌출하여 공기가 충진되는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의 상측은 커버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may protrude upward of the connecting pipe to form an air layer filled with air.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may be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드레인 파이프는 하우징의 저면에서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선단은 연결 파이프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The drain pipe protrude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protruding tip may be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connecting pipe.

격부에는 드레인 파이프의 단부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end of the drain pipe can be inserted into the compartment.

챔버 유닛의 바닥부 상에는 배수관 위치에서 최소 높이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플로워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플로워부는 배수관 위치에서 바닥부에 접할 수 있다.On the bottom portion of the chamber unit, a floor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a minimum height at a drain pipe position may be formed. The follower may abut the bottom at the drain pipe posi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수장치를 화장실의 외부에 설치하여, 화장실의 사용 공간 극대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선박 화장실의 쾌적한 사용 환경이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drainag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marine toilet on the outside of the toile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se space of the toilet to enable a comfortable use environment of the marine toilet.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수 장치를 선박 화장실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의 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배수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drainage device of a 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hip toilet.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ainage apparatus of the ship of FIG. 1.
3 is a view cut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ainage apparatus of a sh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the drainage device of FIG. 4 viewed from above. FIG.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의 배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a vessel drainage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complet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수 장치를 선박 화장실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박의 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drainage apparatus of a 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hip toilet,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ater drainage apparatus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수 장치(100)는, 선박의 챔버 유닛(10)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를 배출하도록 연장되는 배수관(20)과, 배수관(20)에 연결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트랩부(30)를 포함한다.1 and 2, the drainage device 100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ipe 20 extending to discharge fluid from the inside of the chamber unit 10 of the ship to the outside And, it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20 includes a trap unit 30 for discharging the fluid.

챔버 유닛(10)은 본 실시예에서 선박의 내부에서 화장실(TOILET)의 사용 공간(12)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챔버 유닛(1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염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주방 등의 격리 공간에 적용될 수 있다. 챔버 유닛(10)에는 사용 공간(12)에서의 유체 배출을 위해 배수관(20)이 설치된다. The chamber unit 10 illustrates the application to the use space 12 of the TOILET in the interior of the ship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chamber unit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n isolation space such as a kitchen for discharging contaminated fluid to the outside. The chamber unit 10 is provided with a drain pipe 20 for discharging fluid from the use space 12.

배수관(20)은 파이프 형태이며, 일단은 챔버 유닛(10)의 측벽(13)에 설치되어 챔버 유닛(10)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챔버 유닛(10)의 외부로 연장된다. 배수관(20)은 설치 위치의 변경에 따라 직선 또는 일부분이 굴곡된 형상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관(20)은 파이프 형태로 챔버 유닛(10)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수관(20)은 챔버 유닛(10)의 측벽(13)을 관통한 관로 형태로도 가능하다. The drain pipe 20 is in the form of a pipe,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13 of the chamber unit 10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unit 10, and the other end thereof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unit 10. The drain pipe 2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straight line or a part is ben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rain pipe 20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chamber unit 10 in the form of a pipe. However, the drain pipe 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ain pipe 20 passes through the side wall 13 of the chamber unit 10. It is also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관(20)은 챔버 유닛(10)의 바닥부(15)의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챔버 유닛(10)의 측벽(13)에 설치되어, 배수관(20)의 설치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만큼 챔버 유닛(10)의 사용 공간(12)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수관(20)의 설치 위치 변경에 따른 챔버 유닛(10)의 사용 공간(12)의 확대는 이하에서 챔버 유닛(10)의 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rain pipe 20 is not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bottom 15 of the chamber unit 10, but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13 of the chamber unit 10 to correspond 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rain pipe 20.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use space 12 of the chamber unit 10 as much as possible. The enlargement of the use space 12 of the chamber unit 10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rain pipe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unit 10 in detail below.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챔버 유닛(10)의 바닥부(15) 상에는 유체(11)를 배수관(20) 방향으로 유도하는 플로워부(17)가 형성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a floor 17 is formed on the bottom 15 of the chamber unit 10 to guide the fluid 11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ipe 20.

플로워부(17)는 배수관(20) 위치에서 바닥부(15)에 접하여 최소 높이를 갖고, 배수관(20)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최대 높이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15)에는 유체(11)의 유출 방지를 위한 실링부(19)가 설치될 수 있다.The follower 17 is inclined to have a minimum height in contact with the bottom 15 at the position of the drain pipe 20 and to have a maximum height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rain pipe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15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portion 19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fluid 11.

이와 같이, 플로워부(17)의 일부분이 바닥부(15)에 접하는 최소 위치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배수관(20)이 플로워부(17)와 바닥부(15)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챔버 유닛(10)의 측벽(13)에 설치됨으로써 가능하다. 즉, 기존에는 배수관이 플로워부(17)와 바닥부(15)의 사이에 위치하여, 플로워부(17)와 바닥부(15) 사이의 높이를 배수관의 설치 공간보다 작은 최소한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관(20)을 챔버 유닛(10)의 측벽(13)에 설치하여 챔버 유닛(10)의 플로워부(17)의 높이를 배수관(20)의 설치 공간 만큼 낮게 형성하여, 플로워부(17)와 바닥부(15) 사이의 거리를 최소한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챔버 유닛(10)은 외형의 크기는 일정한 크기로 한정한 상태에서 플로워부(17)의 높이를 최대한으로 낮추는 것이 가능하여, 챔버 유닛(10)의 사용공간(12)의 극대화가 가능하게 된다.Thus, it is possible that a part of the floor 17 may have a minimum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15 so that the drain pipe 20 is not located between the floor 17 and the bottom 15, and the chamber This is possible by being provided on the side wall 13 of the unit 10. That is, conventionally, the drain pipe is located between the floor 17 and the bottom 15 to form a height between the floor 17 and the bottom 15 at a minimum height smaller tha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rain pipe. It was impossible.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by installing the drain pipe 20 on the side wall 13 of the chamber unit 10 to form a height of the follower 17 of the chamber unit 10 as low as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rain pipe 2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follower 17 and the bottom 15. Therefore, the chamber unit 10 can lower the height of the follower 17 to the maximum in a state where the size of the outer shape is limited to a constant size, thereby maximizing the use space 12 of the chamber unit 10. do.

배수관(20)에는 챔버 유닛(10)외부로 연장된 부분에 트랩부(30)가 설치된다.The drain pipe 20 is provided with a trap part 30 in a portion extending out of the chamber unit 10.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도면이다. 3 is a view cut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부(30)는 배수관(20)에 연결되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부(33) 및 유체(11)를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35)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trap part 30 includes a housing 31 connected to the drain pipe 20, a partition 33 and a fluid that divide the inside of the housing 31 into a plurality of spaces. 11) a drain pipe 35 for discharging.

하우징(3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측면에는 연결 파이프(37)가 설치되어 챔버 유닛(10)으로부터 유체(11)가 유입된다. 하우징(31)은 녹이 발생하지 않는 방청 작업이 된 스틸 소재 또는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31 has a space formed therein, and a connecting pipe 37 is installed at a side thereof so that the fluid 11 flows from the chamber unit 10. The housing 31 may be formed of a steel material or a reinforced plastic material which has been subjected to rust prevention operation.

이러한 하우징(31)은 배수관(20)에 연결 파이프(37)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배수관(20)은 직선 형상의 파이프 형상으로 챔버 유닛(1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is housing 31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20 using a connecting pipe 37. The drain pipe 2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hamber unit 10 in a straight pipe shape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chamber unit 10.

본 실시예에서 배수관(20)은 연결 파이프(37)에 커넥팅 파이프(32)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37)와 배수관(20) 및 커넥팅 파이프(32)는 수평한 동일 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연결 파이프(37)를 통해서 배출된 유체(11)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커넥팅 파이프(32)를 자바라 타입의 연결 수단으로 대체한다면, 연결 파이프(37)가 배수관(20)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관(20)과 연결 파이프(37) 및 커넥팅 파이프(32)는 트랩부(30)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분해 결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ain pipe 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37 by using the connecting pipe 32. The connecting pipe 37, the drain pipe 20, and the connecting pipe 32 may be install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is is to prevent the fluid 11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ng pipe 37 from flowing bac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connecting pipe 32 is replaced with a bellows type connecting means, the connecting pipe 37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drain pipe 20.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pipe 20 and the connecting pipe 37 and the connecting pipe 32 may be coupled to be disassembled and coupled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trap unit 30.

연결 파이프(37)는 일단은 배수관(20)에 연결되고 타단은 트랩부(30)의 하우징(31)에 연결된다. 연결 파이프(37)는 볼트 결합 등으로 연결 파이프(37)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ipe 37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drain pipe 20 and at the other end to the housing 31 of the trap part 30. The connection pipe 37 may be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37 by bolting or the like.

하우징(31)은 연결 파이프(37)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파이프(37)가 하우징(31)의 높이의 절반 이하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하우징(31)이 연결 파이프(37)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1)의 격부(33) 내부에는 공기층(39)이 형성된다.The housing 31 protrudes above the connecting pipe 37.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ipe 37 is install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less than half of the height of the housing 31, so that the housing 31 may protrude upward of the connection pipe 37. Accordingly, the air layer 39 is formed in the partition 33 of the housing 31.

공기층(39)은 사이펀(siphon) 현상에 의한 유체(11)의 유실을 방지하여, 별도의 환기 장치 없이도 챔버 유닛(10) 내부로 냄새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사이펀 현상은 유체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특별한 동력 없이 이동할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 The air layer 39 prevents the loss of the fluid 11 due to the siphon phenomenon,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odor into the chamber unit 10 without a separate ventilation device. Siphon is a phenomenon in which a fluid can move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without any special power.

즉, 본 실시예의 하우징(31)의 내부에는 공기층(39)이 완충 작용을 하여, 유체(11)가 트랩 실(A) 부분에서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만약 공기층(39)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유체(11)의 계속적인 유입으로 하우징(31) 내부의 압력은 상승하여, 급격한 사이펀 현상으로 트랩 실(A) 부분의 유체(11)가 유실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31) 내부에 공기층(39)이 존재하여, 하우징(31)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이펀 현상에 의한 트랩 실(A) 부분의 유체 유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That is, the air layer 39 buff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31 of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fluid 11 is not lost in the trap chamber A portion. More specifically, if the air layer 39 is not present, the pressure in the housing 31 is increased due to the continuous inflow of the fluid 11, and the fluid 11 in the trap seal A part is caused by a sudden siphon phenomenon. ) Is lost. However,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layer 39 is present inside the housing 31, thereby preventing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31 from rising above a certain pressure, thereby preventing fluid loss in the trap seal A portion due to the siphon phenomenon. To prevent.

또한, 하우징(31) 내부의 공기층(39)은 챔버 유닛(10)으로부터 유입된 유체(11)가 후술하는 드레인 파이프(35)를 통해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즉, 공기층(39)은 하우징(31)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11)가 드레인 파이프(35)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우징(31) 내부에 공기층(39)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대량의 유체(11)가 하우징(31)의 내부로 급격하게 유입되면, 별도의 완충 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하우징(31) 내부는 진공 상태로 변환되어 유체(11)의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1) 내부에 공기층(39)의 완충 공간이 존재하여, 대량의 유체가 하우징(31)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공기층이 완충 공간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공기층(39)은 하우징(31)의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유체(11)의 배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완충 공간은 공기층(39)을 말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air layer 39 inside the housing 31 allows the fluid 11 introduced from the chamber unit 10 to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35 described later. That is, the air layer 39 prevents the inside of the housing 31 from becoming a vacuum state, so that the fluid 11 can be easily discharged by the drain pipe 35. In more detail, when the air layer 39 does not exist in the housing 31, when a large amount of fluid 11 is rapidly introduced into the housing 31, there is no separate buffer spac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1 is converted into a vacuum state so that the fluid 11 does not procee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ffer space of the air layer 39 exists inside the housing 31, so that the air layer functions as a buffer space even when a large amount of fluid flows into the housing 31. Therefore, the air layer 39 prevents the inside of the housing 31 from becoming in a vacuum state so that a smooth discharge operation of the fluid 11 is achieved. The buffer space here refers to the air layer 39.

하우징(31)의 내부는 격부(33)가 설치되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격부(33)는 하우징(31) 내부에서 커버(34)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31)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34)는 하우징(3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커버(34)를 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시키면 격부(33)도 함께 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31)과 커버(34) 및 격부(33)의 분리가 용이하여 청소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1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33 is provided. In more detail, the partition 33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cover 34 in the housing 31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housing 31 into a plurality of spaces. In this case, the cover 34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housing 31. When the cover 34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31, the partition 33 may also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31. Therefore, the housing 31 and the cover 34 and the partition 33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격부(33)는 양단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31)의 내벽면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격부(33)는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플레이트 들이 하우징(3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하우징(31)의 내부를 복수의 구획 공간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격부(33)는 다각 기둥의 형상으로도 가능하다.The partition 3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both ends open, and may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3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ition 33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plates may be installed with the plate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31 to for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1 as a plurality of compartments. Do. In addition, the partition 33 may be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llar.

격부(33)는 복수의 구획 공간의 형성을 위해 하우징(31)의 내벽면과 일정 거리(a, b)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격부(33)의 외벽면과 하우징(31)의 내벽면의 사이와, 격부(33)의 내벽면 사이에 각각 유체(11)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간격 b가 간격 a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는 간격 b의 공간에서는 연결 파이프(37)로부터 유입된 유체(11)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고, 간격 a는 최소로 하여 트랩부(30)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간격 b는 유체(11)가 원활하게 흐르기 위해 연결 파이프(37)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33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3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b) to form a plurality of partition spaces. Thus,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partition 33 and the housing 31 may be installed. A space in which the fluid 11 can be moved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wall an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partition 33. Referring to FIG. 3, an interval b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terval a. This is to allow the fluid 11 flowing from the connecting pipe 37 to flow smoothly in the space of the interval b, and to minimize the size of the trap part 30 with the interval a minimum. The spacing b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37 for the fluid 11 to flow smoothly.

한편, 격부(33)의 개구된 하단은 배수관(20)의 위치보다 하방향에 위치한다. 그리고, 격부(33)의 개구된 하단에는 드레인 파이프(35)의 일부가 삽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ned lower end of the partition 33 is located below the position of the drain pipe 20. Then, a part of the drain pipe 35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33.

드레인 파이프(35)는 하우징(31)의 저면에서 그 내부 방향으로 일단이 돌출되고, 타단은 하우징(31)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드레인 파이프(35)의 일단의 돌출된 위치는 연결 파이프(37) 설치 위치의 하부에 위치된다.One end of the drain pipe 35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31 in the inner direction thereof, and the other end of the drain pipe 35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31. The protruding position of one end of the drain pipe 35 is located below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necting pipe 37.

따라서, 유체(11)는 하우징(31)의 저면에서 드레인 파이프(35)의 돌출된 길이에 해당하는 높이로 항상 하우징(31) 내부에 잔존하게 되어, 드레인 파이프(35)로부터 악취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드레인 파이프(35)의 선단이 배수관(20)의 위치보다 하방향에 위치되어, 유체(11)가 배수관(20) 방향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fluid 11 always remains inside the housing 31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drain pipe 35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31, so that odors cannot flow back from the drain pipe 35. do. In addition, the tip of the drain pipe 35 is located below the position of the drain pipe 20 to prevent the fluid 11 from flowing back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ipe 20.

전술한 드레인 파이프(35)는 하우징(31)의 외부로 직선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분이 구부러진 형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bove-described drain pipe 35 may protrude in a linear shap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shape in which a part is bent.

한편 도 3을 다시 참조 하면, 하우징(31)의 상측은 커버(34)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하우징(31)의 상측은 플랜지부(31a)가 절곡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31a)에 커버(34)가 볼트(36)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랩부(30)의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 커버(34)를 개방하여 트랩부(30)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참조번호 38은 커버(34)의 개폐를 돕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를 말한다.Meanwhile, referring back to FIG. 3, the cover 3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31 so that the cover 34 may be opened and closed.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1, the flange portion 31a is formed bent, the cover 34 may be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31a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bolt (36). Accordingly, when the inside of the trap part 30 is to be cleaned, the cover 34 may be opened to easily clean the inside of the trap part 30. Reference numeral 38 denotes a ring-shaped gripping portion to assist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34.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배수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ter drainage apparatus of a sh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viewed from above of the water drainage apparatus of FIG. 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FIGS. 1 to 3 refer to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below.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수 장치(200)는, 연결 파이프(137)가 하우징(31)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배수 파이프(20)는 연결 파이프(137)에 대응하여 동일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4 and 5, in the ship drainag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connection pipes 137 may be radially installed in the housing 31. have. In this case, the drain pipe 20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ipe 137.

이와 같이, 연결 파이프(137)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하면, 여러곳에서 이동되는 유체(11)를 용이하게 챔버 유닛(10)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uch, when at least two connection pipes 137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the fluid 11 moving in various places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unit 10.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10...챔버 유닛 11...유체
13...측벽 15...바닥부
17...플로워부 20...배수관
30...트랩부 31...하우징
32...커넥팅 파이프 34...커버
33...격부 35...드레인 파이프
37...연결 파이프 38...파지부
39...공기층
10 ... Chamber Unit 11 ... Fluid
13 ... side wall 15 ... bottom
17 ... Floor part 20 ... Drainage pipe
30 Trap section 31 Housing
32 ... Connecting pipe 34 ... Cover
33 ... well 35 ... drain pipe
37 ... connection pipe 38 ... grip
39.Air layer

Claims (8)

선박의 챔버 유닛의 내부 유체를 배출하도록 챔버 유닛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부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재된 유체를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를 포함하는 트랩부;
를 포함하는 선박의 배수 장치.
A drain pipe extending out of the chamber unit to discharge the fluid inside the chamber unit of the ship; And
A trap unit including a housing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an interior of the housing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fluid contained in the housing;
Drainage of the ship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연결 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는 선박의 배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using a connecting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파이프의 상측으로 돌출하여 공기가 충진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선박의 배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housing protrudes above the connecting pipe to form an air layer filled with ai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은 커버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박의 배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is a drainage device of the ship that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돌출된 선단은 상기 연결 파이프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선박의 배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drain pipe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protruding tip of the drain pipe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connecting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부에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단부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선박의 배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ortion of an end portion of the drain pipe is inserted into the parti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유닛의 바닥부 상에는 상기 배수관 위치에서 최소 높이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플로워부가 형성되는 선박의 배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loor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to have a minimum height at the drain pipe position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chamber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워부는 상기 배수관 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에 접하는 선박의 배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floo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at the drain pipe position.


KR2020100009493U 2010-09-09 2010-09-09 Drain apparatus for ship KR20046494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493U KR200464940Y1 (en) 2010-09-09 2010-09-09 Drain apparatus for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493U KR200464940Y1 (en) 2010-09-09 2010-09-09 Drain apparatus for s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09U KR20120002009U (en) 2012-03-19
KR200464940Y1 true KR200464940Y1 (en) 2013-01-24

Family

ID=4617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493U KR200464940Y1 (en) 2010-09-09 2010-09-09 Drain apparatus for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40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6568A (en) * 2018-01-05 2018-05-11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Can filter residue self-draining arrangement
JP2024509320A (en) * 2021-11-11 2024-02-29 ヒュンダイ ヘビ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Container loading auxiliary device, container carrier equipped with the same, and container cargo handl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126Y1 (en) 1999-09-10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Reusing apparatus of drainage condensing water in steam trap
KR200317064Y1 (en) 2003-03-11 2003-06-25 주식회사 잎성 Pulp molding apparatus with air pressure unit and air eject vacuum unit
KR20060075575A (en) * 2004-12-28 2006-07-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back stream of acid gas
KR101073637B1 (en) 2011-05-25 2011-10-14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Air-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126Y1 (en) 1999-09-10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Reusing apparatus of drainage condensing water in steam trap
KR200317064Y1 (en) 2003-03-11 2003-06-25 주식회사 잎성 Pulp molding apparatus with air pressure unit and air eject vacuum unit
KR20060075575A (en) * 2004-12-28 2006-07-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back stream of acid gas
KR101073637B1 (en) 2011-05-25 2011-10-14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Air-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09U (en)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7316B2 (en) Openable and closable twin tank type wash water container using recirculated water
EP1989361A2 (en) Drain assembly
KR200464940Y1 (en) Drain apparatus for ship
JP6533441B2 (en) Drain
JP6060344B2 (en) Waterproof pan and tank
JP4875438B2 (en) Drainage system
JP4797205B2 (en) Drain trap
JP5703824B2 (en) Drain trap
JP3721469B2 (en) Drain pipe
JP2013100716A (en) Drain pipe for draining device, and drain trap
JP6326578B2 (en) Drainage member
JP4872055B2 (en) Drain trap
KR101335632B1 (en) toilet unit for ship
JP2005232936A (en) Drain trap
KR100654309B1 (en) Drainage Trap of sewer line
JP2005307473A (en) Draining unit
JP2010270465A (en) Storage tank for siphon drainage system, and siphon drainage system
JP4388441B2 (en) Bathroom drain piping
KR101726293B1 (en) Cartridge for urinal
JP4206437B2 (en) Drainage equipment
CN211693584U (en) Sanitary ware blowdown valve body
JP2005314997A (en) Drain trap
CN201991049U (en) Flush closestool
JP5779759B2 (en) Drain trap
JP3097207U (en) Upper gas cleaning tank for d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