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00Y1 -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 Google Patents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00Y1
KR200464600Y1 KR2020080001974U KR20080001974U KR200464600Y1 KR 200464600 Y1 KR200464600 Y1 KR 200464600Y1 KR 2020080001974 U KR2020080001974 U KR 2020080001974U KR 20080001974 U KR20080001974 U KR 20080001974U KR 200464600 Y1 KR200464600 Y1 KR 200464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line
fan
side portio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311U (ko
Inventor
서나래
심아영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080001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0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종이컵의 몸체를 형성하고 펼쳤을 때 부채꼴 형상이며 부채꼴 형상의 양 옆 끝 단인 측면 라인보다 부채꼴 형상의 반경 방향의 중앙 라인이 더 길게 형성되어 부채꼴 형상의 외곽 원주인 상부 라인이 내곽 원주의 하부 라인보다 더 길게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부 라인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 측으로 말아 넣어 형성된 롤링부, 상기 측면부의 하부 라인 상에 접합되는 저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측면 라인을 결합할 경우 상기 측면부의 상부라인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소비자들이 취식할 때 안의 내용물이 잘 보이게 함으로써 종이컵을 기울여서 먹지 않아도 되므로 종이컵에 신체의 일부가 닿지 않도록 하고 덮개부와 측면부의 디자인이 함께 보이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쉽게 관심을 받을 수 있다.
종이컵, 경사, 측면부, 저면부, 롤링부, 덮개 필름부, 플라스틱 캡

Description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A Paper Cup Having A Sloped Rim}
본 고안은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내부의 내용물을 잘 보이도록 하고 덮개부와 측면부의 디자인이 함께 보이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쉽게 관심을 받을 수 있는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 음료, 라면, 스프 등 뜨거운 물을 부어서 취식하는 식품을 담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종이컵이 이용된다.
특히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정수기나 음료대에는 관리 및 위생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유리컵 또는 플라스틱 컵을 대신하여 일회용 종이컵이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사용되는 종이컵은 물을 흡수하지 않는 펄프로 만들어지거나 특수 코팅 처리되고, 일회용 종이컵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이컵 수거함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이 정수기나 음료대에 비치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일회용 종 이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의 분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살펴보면,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100)은 종이컵(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측면부(110)와 종이컵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부(130) 및 종이컵의 측면부 상단에서 원주를 따라 외부로 말려 있는 롤링부(120)로 구성된다.
종이컵(100)은 전체적으로 내면이 방수처리된 얇은 지류로 구성된다.
종이컵(100)을 분해한 도 2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측면부(110)는 원주를 따라 형성된 상부라인(112)과 하부라인(114), 상부라인(112)과 하부라인(114)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측면라인(116)을 외곽으로 하여 형성된다. 측면부(110)의 양 측면라인(116)을 접합제로 접합하여 연결하면 큰 직경을 갖는 상부와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의 상하부의 직경이 서로 다른 종이컵의 측면부(110)가 형성된다.
종이컵의 측면부(110)를 형성한 후 측면부(110)의 하부라인(114)에 저면부(130)를 접합하고, 원주방향의 측면부(110)의 상부라인(112)을 따라 일정 두께 만큼(2 점 쇄선) 외부로 말아 놓는다. 이렇게 형성된 롤링부(120)는 종이컵을 쥘 때 종이컵의 형태를 유지하고 종이컵을 손으로 쥐는 경우 더 큰 힘을 받을 수 있다.
종이컵의 롤링부(120)는 입을 이용하여 취식하는 부분으로서 동등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이컵을 들고 내부 물질을 취식하는 경우 입이 닿는 부위가 아닌 반대편에 얼굴상부(코부위)가 닿는 문제점이 있고,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해 컵을 기울여야하므로 컵 내부의 내용물을 쏟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종이컵의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이 잘 보이도록 하고 종이컵을 기울였을 때 신체의 일부 면에 닿지 않도록 하며 종이컵의 덮개부와 측면부의 디자인이 함께 보이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쉽게 관심을 받도록 하기 위해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은 뜨거운 물을 부어서 취식하는 식품에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에 있어서,종이컵의 몸체를 형성하고 펼쳤을 때 부채꼴 형상이며 부채꼴 형상의 양 옆 끝 단인 측면 라인보다 부채꼴 형상의 반경 방향의 중앙 라인이 더 길게 형성되어 부채꼴 형상의 외곽 원주인 상부 라인이 내곽 원주의 하부 라인보다 더 길게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부 라인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 측으로 말아 넣어 형성된 롤링부; 상기 측면부의 하부 라인 상에 접합되는 저면부; 상기 롤링부에 맞게 구비되며, 외면에 디자인이 인쇄된 타원형의 덮개 필름부; 및 플라스틱 캡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측면 라인을 결합할 경우 상기 측면부의 상부라인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타원형이며, 상기 플라스틱 캡은, 다른 종이컵이 상부에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된 캡 바닥면, 및 상기 롤링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캡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덮개 필름부는 "+"형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을 이용하는 경우 소비자들이 취식할 때 안의 내용물이 잘 보이게 함으로써 종이컵을 기울여서 먹지 않아도 되므로 종이컵에 신체의 일부가 닿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부와 측면부의 디자인이 함께 보이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쉽게 관심을 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습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에 플라스 틱 캡(26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은 뜨거운 물을 부어서 취식하는 식품에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으로서,종이컵의 몸체를 형성하고 펼쳤을 때 부채꼴 형상이며 부채꼴 형상의 양 옆 끝 단인 측면 라인(216)보다 부채꼴 형상의 반경 방향의 중앙 라인(218)이 더 길게 형성되어 부채꼴 형상의 외곽인 상부 라인(212)이 내곽의 하부 라인(214)보다 더 길게 형성된 측면부(210), 측면부(210)의 상부 라인(2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 측으로 말아 넣어 형성된 롤링부(220), 측면부(210)의 하부 라인(214) 상에 접합되는 저면부(2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에 있어서 측면부(210)의 측면 라인(216)을 결합할 경우 측면부(210)의 상부라인(212)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은 전체적으로 내면이 방수처리된 얇은 지류로 구성된다. 보통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펄프재를 이용할 것이고 종이컵의 내부면은 수분을 흡수하지 않도록 비닐 코팅될 것이다.
종이컵(200)을 분해한 도 4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측면부(210)는 부채꼴 형상으로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외곽 원주의 상부 라인(212)과 내곽 원주의 하부 라인(214), 상부 라인(212)과 하부 라인(214)의 양 옆 끝단을 연결하는 측면 라인(216)을 외부 라인으로 하여 형성된다.
부채꼴 형상의 측면부(210)의 반경 방향의 중앙 라인(218)을 기준으로 하여 중앙 라인(218)의 반경이 가장 길고, 양 옆 끝단으로 향할수록 반경은 줄어든다. 즉,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의 측면부와 비교하였을 때 부채꼴 형상의 외곽인 상부 라인(212)의 바깥 방향으로 초승달 형상의 지류가 더해진다.
따라서 측면부(210)의 양 측면 라인(216)을 접합제로 접합하여 연결하면 큰 직경을 갖는 상부와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의 상하부의 직경이 서로 다른 종이컵의 측면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 종이컵의 한 쪽 높이는 높고 다른 쪽 높이는 낮게 되어 전체적으로 상부가 기울어지게 된다. 소비자들은 보통 높은 쪽 면에 입을 대어서 종이컵 내의 내용물을 섭취할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내용물을 취식할 때 안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잘 볼 수 있으므로 종이컵을 구부려서 먹지 않아도 된다. 또한 많이 기울이지 않아도 되므로 신체의 일부에 종이컵이 닿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종이컵의 측면부(210)를 형성한 후 측면부(210)의 하부 라인(214)에 저면부(230)를 접합하고, 원주방향의 측면부(210)의 상부 라인(212)을 따라 일정 두께 만큼(2 점 쇄선) 외부로 말아 놓는다. 이렇게 형성된 롤링부(220)는 종이컵을 쥘 때 종이컵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종이컵을 손으로 쥐는 경우 더 큰 힘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말아 형성된 롤링부(220)는 비닐 코팅된 종이컵의 안쪽면을 바깥쪽으로 말아서 형성하므로 음료를 마실 때 액체가 종이로 스며들지 않으므로 종이컵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사시도를 살펴보면, 완성된 종이컵(200)의 롤링부(220)는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경사진 타원형에 맞게 덮개 필름부(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종이컵은 다수의 종이컵이 겹쳐져서 운반되는데 라면이나 스프와 같은 건조 식품의 내용물이 종이컵에 들어가는 경우 겹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상부에 롤링부(220)의 라인을 따라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 필름부(240)를 이용할 수 있다.
덮개 필름부(240)의 일 면에는 측면부(210)에 표현된 디자인과 어울리도록 한 다른 종류의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매할 때 덮개 필름부(240)의 인쇄된 디자인과 측면부(210)의 디자인을 함께 볼수 있으므로 쉽게 관심을 받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덮개 필름부(240) 일 측에는 "+"형 절개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형 절개부(250)는 주로 빨대와 같은 흡입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는 흡입기구를 통하여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덮개 필름부(240)를 제거하고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상부에 플라스틱 캡(260)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에 내용물이 들어가 있는 경우 한번에 많은 수의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을 운반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이컵이 기울어지지 않게 플라스틱 캡(260)을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캡(260)은 뒤집어 놓은 그릇 형상으로서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상부가 들어가는 캡 입구부(264)와 캡 입구부(264)의 맞은 편에 형성된 평평한 캡 바닥면(262)으로 구비된다.
플라스틱 캡(260)의 캡 입구부(264)는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롤링부(220)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라스틱 캡(260)은 종이컵(200)의 측면부(210) 상부라인(212)에 고정될 수 있어야 다수의 종이컵을 적층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캡(260)의 입구부의 직경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스틱 캡(26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덮개 필름부(240)에 인쇄된 디자인을 소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100)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100)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의 사시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200)에 플라스틱 캡(26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210 : 측면부
212 : 상부라인 214 : 하부라인
216 : 측면라인 218 : 중앙라인
220 : 롤링부 230 : 저면부
240 : 덮개 필름부 250 : "+"형 절개부
260 : 플라스틱 캡 262 : 캡 바닥면
264 : 캡 입구부

Claims (3)

  1. 뜨거운 물을 부어서 취식하는 식품에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에 있어서,
    종이컵의 몸체를 형성하고 펼쳤을 때 부채꼴 형상이며 부채꼴 형상의 양 옆 끝 단인 측면 라인보다 부채꼴 형상의 반경 방향의 중앙 라인이 더 길게 형성되어 부채꼴 형상의 외곽 원주인 상부 라인이 내곽 원주의 하부 라인보다 더 길게 형성된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부 라인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 측으로 말아 넣어 형성된 롤링부;
    상기 측면부의 하부 라인 상에 접합되는 저면부;
    상기 롤링부에 맞게 구비되며, 외면에 디자인이 인쇄된 타원형의 덮개 필름부; 및
    플라스틱 캡
    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측면 라인을 결합할 경우 상기 측면부의 상부라인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타원형이며,
    상기 플라스틱 캡은, 다른 종이컵이 상부에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된 캡 바닥면, 및 상기 롤링부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캡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캡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필름부는 "+"형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3. 삭제
KR2020080001974U 2008-02-14 2008-02-14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KR200464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74U KR200464600Y1 (ko) 2008-02-14 2008-02-14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74U KR200464600Y1 (ko) 2008-02-14 2008-02-14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11U KR20090008311U (ko) 2009-08-19
KR200464600Y1 true KR200464600Y1 (ko) 2013-01-10

Family

ID=4130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974U KR200464600Y1 (ko) 2008-02-14 2008-02-14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0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402U (ja) * 1996-10-02 1997-04-22 興亜硝子株式会社 介護用コップ
KR19980059489U (ko) * 1998-07-14 1998-10-26 김안자 일회용 음식용기
KR200415585Y1 (ko) * 2006-02-20 2006-05-03 강명도 경사진 컬링부를 갖는 종이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402U (ja) * 1996-10-02 1997-04-22 興亜硝子株式会社 介護用コップ
KR19980059489U (ko) * 1998-07-14 1998-10-26 김안자 일회용 음식용기
KR200415585Y1 (ko) * 2006-02-20 2006-05-03 강명도 경사진 컬링부를 갖는 종이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11U (ko)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265B1 (ko) 포장재를 겸하는 일회용 컵 및 그 제조방법
TWM570062U (zh) Drink cup
TWI285094B (en) Drinking vessels
KR200464600Y1 (ko) 상부가 경사진 종이컵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KR101725792B1 (ko) 종이컵 장착형 음료용기
RU91513U1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ластиковый стакан с двойным дном
TWM573609U (zh)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KR20090024900A (ko)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KR200466728Y1 (ko) 유아용 다용도 컵
TWM530802U (zh) 零食飲料結構
US20180098650A1 (en) Plate With Collapsible and Non-Collapsible Beverage Holder
RU49514U1 (ru) Одноразовая упаковка для заварного и растворим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CN208761277U (zh) 一种咖啡外带包装组合
KR200487454Y1 (ko) 즉석 식품 포장 세트
JP2023068589A (ja) コップ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101945096B1 (ko) 유동형 격리벽이 형성되는 음료수용 용기
KR200412075Y1 (ko) 스푼이 부착된 일회용 종이컵
KR100463400B1 (ko) 스푼이 부착된 일회용 종이컵
TWM457701U (zh) 杯蓋
JP3102139U (ja) 2種類以上の飲み物を、1つの容器にセット出来るようにしたドリンク容器
TW202007323A (zh) 易清洗環保吸管杯
JP2004008610A (ja) 抽出フィルター内蔵紙コップ蓋
JP3129229U (ja) ハンバーガー・ガ−ド・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