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96Y1 -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고압 유공관 - Google Patents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고압 유공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96Y1
KR200464596Y1 KR2020110008843U KR20110008843U KR200464596Y1 KR 200464596 Y1 KR200464596 Y1 KR 200464596Y1 KR 2020110008843 U KR2020110008843 U KR 2020110008843U KR 20110008843 U KR20110008843 U KR 20110008843U KR 200464596 Y1 KR200464596 Y1 KR 200464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ate
raw material
high pressure
polyethylen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884U (ko
Inventor
김주열
Original Assignee
럭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럭키산업(주) filed Critical 럭키산업(주)
Priority to KR2020110008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9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60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 B29C53/6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rotatable about the wind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2Cores or mandrels
    • B29C53/821Mandrels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29C53/825Mandrels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for continuous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출물 가이드와 배수관 구조를 이중으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에 의하여 압출물이 유도되고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는 냉각수 공급관과 온수 배출관을 각각 구비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고압 유공관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은 유공관 형태가 이중벽의 내부 유공에 지지벽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고압 유공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상기 고압 유공관의 상부에 차량 등이 통과하여도 고압 유공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고압 유공관{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y ethylene High Pressure Perforated Drain Pipe and High Pressure Perforated Drain Pipe making by the said Apparatus}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상기 고압 유공관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에틸렌 튜브 사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출시켜서 폴리에틸렌 고압 유공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작업 라인의 설치 면적과, 제조 비용을 줄이고, 이중벽 고압 유공관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며, 제조 시 고압 유공관의 유공 내에 지지벽을 구비하도록 제조하는 폴리에틸렌(PE)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상기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오수나 우수 등을 배출시키는 고압 유공관은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 바, 주로 지하에 매설하는 과정에서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폐수, 오수 및 해수 등에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재질의 고압 유공관을 사용하며, 이 중에서 폴리에틸렌을 고압 유공관으로 성형하여 내구성을 높인 고압 유공관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PE) 고압 유공관은 폴리에틸렌 튜브를 나선형으로 감은 후, 그 사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출 방식으로 상기 폴리에틸렌 튜브를 접착 고정시켜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틸렌(PE) 고압 유공관은 타관과 비교하여 수명이 월등히 길고, 부설 및 접합이 간편하여 자재비, 시공비, 사용연수를 감안할 때 경제성이 매우 우수하며, 중량이 가볍고 연성관으로 유연하며, 충격에 강하므로 점차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본 고안의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관련한 배경기술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10-2008-0023084호(2008년 03월13일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출원한 배경기술을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 장치의 제조 흐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인장기에 롤링부, 이음재 사출기, 제 1, 제2 가이더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상기도 1도 내지 2도를 중심으로 종래의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에틸렌 파쇄물이 투입호퍼(103)를 통해 유입된 후, 실린더(102) 내부에서 실린더 외주면에 다수개 설치된 히터(105)에 의해 가열되면서 용융되며, 용융물은 실린더(102) 내부의 스크루(미도시)로 이동된 후, 실린더(102) 선단의 다이(die)(111)를 통해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튜브 형태로 압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출물 안내수단은, 'ㅁ'자형 단면을 구비한 하드(hard)한 재질의 케이싱(casing) 구조를 갖는 압출물 가이드(113)의 일단부가 다이(111) 저면을 관통하여 소정 높이로서 돌출되고, 상기 압출물 가이드(113) 내부에는 하단부가 밀폐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온수배출호스(114)가 내장되며, 상기 온수배출호스(114)의 상단부는 상기 압출물 가이드(113)의 상단 중앙부를 관통한 후, 상기 다이(111)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수관(112)에 연결되고, 상기 압출물 가이드(113)는 롤링부(1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갈고리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다이(111) 저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압출물 가이드(113)의 상단은 상기 온수배출호스(114)가 관통하는 중앙부를 제외한 다른 부위가 밀폐되고, 하단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압출물 가이드(113)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관(115)이 상기 다이(111)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압출물 가이드(113)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냉각수관(115)은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다이(111)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연결호스(181)의 일단부가 상기 배수관(112)을 경유하여 상기 온수배출호스(114)와 연결되고, 연결호스(181)의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101)에 설치된 모터 펌프(18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펌프(180)의 타측에는 상기 연결호스(181)를 통해 배출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연결호스(182)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롤링부(120)는 다수의 롤러(121)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며, 동력발생 및 전달수단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수단의 일 실시 예로서는, 상기 베이스(101)의 내측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131)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이 벨트(133)를 통해 감속기(132)에 전달되고, 상기 감속기(132)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구동풀리(134)와, 상기 롤링부(120)의 일측에 설치된 종동풀리(135)가 체인(136)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롤링부(120)가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121)의 외주면에는, 압출물을 상온에서 일정 시간 냉각시킴과 아울러, 상기 원료 압출부(110)로부터 압출된 압출물이 관(管)의 형상을 갖도록 권취시키기 위한 나선 형태의 가이더(122)가 소정 길이로서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는 상기 압출물 사이 간격 부위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이음재를 사출하는 이음재 사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음재 사출는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10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111)의 하부에 있는 압출물 가이드(113)의 외측으로 압출된 압출물은 롤러(121)의 외주면에 시계방향으로 나선형태로서 권취되면서 관(管)의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이음재 사출기에 의해 상기 압출물 사이 간격 부위에 상기한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이음재가 사출 성형됨에 따라 압출물이 고정 이음되면서 이중벽 고압 유공관(700)의 형태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는 압출물 가이드가 하나의 유공관이 형성되도록 단일의 "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차량과 같은 중량물이 상기 고압 유공관을 통과하게 되면 고압 유공관이 파손되어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 고압 유공관을 지하에 매설하고 중량물이 통과하여도 잘 파손되지 않는 지지벽을 구비한 폴리에틸렌 고압 유공관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고압 유공관 제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압출물 가이드와 배수관 구조를 이중으로 구성한 것으로 원료인 폴리에틸렌 파쇄물의 투입 및 용해가 이루어지는 원료 투입 및 용해부(100)와, 상단에 한쌍의 배수관(112, 112-1)이 연결되며 용해된 원료를 하방으로 압출시키는 다이(111)와, 상기 다이(111) 내부에 수납되고 일정한 간격의 2개의 'ㅁ'자형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 저면을 관통하며 롤링부(120)를 돌아 소정 높이로 돌출된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와,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에 내장되어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각각의 온수 배출 호스(114, 114-1)와,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 내면 둘레를 따라 냉각수가 유입되는 공간부(183, 183-1)를 포함 구성하여서 된 원료 압출부(110)와, 다수의 롤러(121)가 조합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원료 압출부로 압출된 압출물이 관의 형상을 갖도록 권취시키는 롤링부(120)와,상기 공간부(183, 183-1)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각수관과, 상기 롤링부(120)의 롤러(121)의 외주면에 상기 압출물의 상온 냉각 및 권취 안내를 위한 나선 형태의 가이더(122)와, 상기 롤링부(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출물 사이 간격 부위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이음재를 사출하는 이음재 사출기(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은 상기 고압 유공관의 유공에 지지벽이 형성되어 고압 유공관의 압축 강도를 증가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고압 유공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상기 고압 유공관의 상부에 차량 등이 통과하여도 고압 유공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고압 유공관이 파손됨으로써 발생하는 고압 유공관 교체를 위한 빈번한 땅파기 및 되메우기 작업 등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 장치 구성도,
도 2는 종래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의 원료 압출부 및 롤링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롤링부, 제 1, 제 2 가이더부에 이중으로 된 배수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이중으로 구성된 압출물 가이드 및 롤링부에 압출물이 감기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롤링부, 다이 및 가이더부, 이음재 사출기, 제 1, 제 2가이더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롤링부에 압출물이 감기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 선 단면도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원료인 폴리에틸렌 파쇄물의 투입 및 용해가 이루어지는 원료투입 및 용해부(100); 상기 원료투입 및 용해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용해된 원료를 압출시키는 원료 압출부; 상기 원료 압출부의 하부에 구성된 이중으로 된 압출물 가이드, 이중으로 된 배수 시스템 및 상기 원료 압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롤러가 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원료 압출부로부터 압출된 압출물이 관(管)의 형상을 갖도록 권취시키는 롤링부;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원료 압출부는, 상기 용해된 원료를 하방향으로 압출시키는 다이와; 상기 다이 내부에 수납된 이중으로 된 압출물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다이의 상단에 이중으로 된 배수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압출물 안내수단은, 인접한 2개의 'ㅁ'자형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 저면을 관통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된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와;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에 내장되어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각각의 온수배출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는, 상기 롤링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의 외면 둘레를 따라 압출물이 한쌍의 튜브 형태로 압출되고,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의 내면 둘레를 따라 냉각수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다이를 경유하여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의 상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각의 냉각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상기 압출물의 상온 냉각 및 권취 안내를 위한 나선 형태의 가이더가 소정 길이로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롤링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출물 사이 간격 부위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이음재를 사출하는 이음재 사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롤링부의 직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출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압출물의 폭을 조절하는 제1가이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롤링부의 상단 타측에 설치되어 압출물과, 상기 압출물 사이에 개재되는 이음재를 가압하는 제2가이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PE)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이중으로 구성된 압출물 가이드 및 롤링부에 압출물이 감기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롤링부, 다이 및 가이더부, 이음재 사출기, 제1, 제2가이더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롤링부에 압출물이 감기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 창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 사시도 이고, 도 9는 상기도 8 고압 유공관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도 3에서 원료투입 및 용해부(100)는 베이스(101)의 상단 길이 방향을 따라 실린더(10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102)의 일측에 원료인 폴리에틸렌 파쇄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03)가 연결되며, 실린더(102)의 타측에 연결관(104)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02)의 외주면에 히터(105)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103)를 통해 유입된 원료가 상기 히터(105)에 의해 가열되어 용해되면서 실린더(102) 내부의 스크루(미도시)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실린더(102)와 히터(105) 및 연결관(104) 사이에는 플랜지(106, 107)가 구성되어 상호 연결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원료 압출부(110)는 도 3 내지 도 6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용융물을 하방향으로 압출시키는 다이(111)의 일측에 상기 연결관(104)이 연결되고, 상기 다이(111)의 상단에 한쌍의 배수관(112, 112-1)이 연결되며, 상기 다이(111)의 하부에 한쌍의 압출물 안내수단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출물 안내수단은 인접한 2개의 'ㅁ'자형 단면을 구비한 하드(hard)한 재질의 케이싱(casing) 구조를 갖는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의 일단부가 다이(111) 저면을 관통하여 소정 높이로서 돌출되고,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 내부에는 하단부가 밀폐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한쌍의 온수배출호스(114, 114-1)가 각각 내장되며, 상기 한쌍의 온수배출호스(114, 114-1)의 상단부는 각각 상기 압출물 가이드(113, 113-1)의 상단 중앙부를 관통한 후, 상기 다이(111)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한쌍의 배수관(112, 112-1)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부(1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갈고리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이(111) 저면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의 각각 상단은 각각의 온수배출호스(114, 114-1)가 관통하는 중앙부를 제외한 다른 부위가 밀폐되고, 각각의 하단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 각각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냉각수관(115, 115-1)이 상기 다이(111)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의 각각 상단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냉각수관(115, 115-1)은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다이(111)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각의 연결호스(181, 181-1)의 일단부가 상기 각각의 배수관(112, 112-1)을 경유하여 상기 각각의 온수배출호스(114, 114-1)와 연결되고, 각각의 연결호스(181, 181-1)의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101)에 설치된 각각의 모터펌프(180, 180-1)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모터펌프(180)의 타측에는 상기 각각의 연결호스(181, 181-1)를 통해 배출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각각의 또 다른 연결호스(182, 182-1)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롤링부(1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121)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며, 동력발생 및 전달수단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수단의 일 실시 예로서는, 상기 베이스(101)의 내측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131)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이 벨트(133)를 통해 감속기(132)에 전달되고, 상기 감속기(132)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구동풀리(134)와, 상기 롤링부(120)의 일측에 설치된 종동풀리(135)가 체인(136)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롤링부(120)가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121)의 외주면에는, 압출물(190)을 상온에서 일정 시간 냉각시킴과 아울러, 상기 원료 압출부(110)로부터 압출된 압출물(190)이 관(管)의 형상을 갖도록 권취시키기 위한 나선 형태의 가이더(122)가 소정 길이로서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는 상기 압출물(190) 사이 간격 부위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이음재(141)를 사출하는 이음재 사출기(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음재 사출기(140)는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10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는 상기 압출물(19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압출물(19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1가이더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더부(150)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브라켓트(151)가 상기 베이스(101)의 일측에 부착되고, 핸들 브라켓트(152)가 좌우 한 쌍의 제1가이드봉(153)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 브라켓트(151)에 연결되며, 일측에 나사봉(154a)이 구비된 핸들(154)이 상기 핸들 브라켓트(152)를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압출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육면체 형상을 갖는 가이드 베이스(155)가 상기 나사봉(154a)과 제1가이드봉(153)의 외주면상에 설치되고, 제2가이드봉(156)이 상기 가이드 베이스(155)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가이드봉(156)의 하단에 사각 형상의 가이드(157)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PE)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는 압출물(190)과, 상기 압출물(190) 사이에 개재되는 이음재(141)를 가압하기 위한 제 2가이더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가이더부(160)는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형 단면을 갖는 베이스 브라켓트(161)가 상기 베이스(101)의 일측에 부착되고, 핸들 브라켓트(162)가 상하 한 쌍의 제1가이드봉(163)을 매개로 상기 베이스 브라켓트(161)에 연결되며, 일측에 나사봉(164a)이 구비된 핸들(164)이 상기 핸들 브라켓트(162)를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육면체 형상을 갖는 가이드 베이스(165)가 상기 나사봉(164a)과 제1가이드봉(163)의 외주면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베이스(165)의 일측에 제2가이드봉(166)이 부착되며, 상기 제2가이드봉(166)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3가이드봉(167) 선단부에 롤러(168)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투입호퍼(103)에 폴리에틸렌 파쇄물이 유입된 후, 실린더(102) 내부에서 히터(105)에 의해 가열되면서 용융되며, 용융물은 스크루(미도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연결관(104)을 통해 다이(111) 내부로 유입된 후, 압출된다.
이때, 상기 압출되는 압출물(190)은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113-1)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서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의 둘레를 따라 한쌍의 튜브 형태로 압출되며, 이때, 상기 2개의 냉각수관(115, 115-1)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와 상기 각각의 온수배출호스(114, 114-1) 사이의 공간 즉,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의 내면 둘레를 따라 유입되면서, 외측의 압출물(190)을 1차 냉각시킨다.
위와 같이 압출되는 압출물(190)은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에 의해 롤러(121)의 외주면을 타고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며, 압출물(190)이 상기 가이더(122)를 통해 롤러(121)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온에서 일정 시간 2차 냉각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도 5에 도시된 언 오프 레버(171)가 부착된 냉각수 공급 라인(170)의 냉각수 분출호스(172)를 통해 상기 압출물(190)에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압출물에 대한 3차 냉각 작용이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더(122)를 통과한 압출물(190)은 롤러(121)의 외주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나선형태로서 권취되면서 관(管)의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이음재 사출기(140)로부터 사출되는 이음재(141)에 의해 상기 압출물(190) 사이 간격 부위가 고정이음되면서 전술한 유공에 지지벽을 구비한 고압 유공관(700)의 형태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제 1가이더부(150)의 핸들(154)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 핸들(154)에 연결된 가이드베이스(155)가 전,후진하고, 상기 가이드베이스(155) 하단에 연결된 가이드(157)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압출물(19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압출물(19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가이더부(160)의 핸들(164)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이 핸들(164)에 연결된 가이드 베이스(165)가 전,후진하고, 이 가이드 베이스(165)에 연결된 롤러(168)가 회동하면서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압출물(190)과 이음재(141)를 가압하므로써, 압출물(190)과 이음재(141)의 결합 상태를 견고히 함과 아울러 이중벽 고압 유공관(700)의 외형을 매끈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완성된 이중벽 고압 유공관(700)은 베이스부에 설치된 롤러를 타고 이동하며, 일정 길이 이상 형성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게끔 커팅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한쌍의 냉각수 호스(115, 115-1)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일정 시간 이상 공급시, 높은 온도를 갖는 상기 압출물(190)에 의해 소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되어 온수 상태가 되며, 이 경우 상기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의 하단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터펌프(180, 180-1)의 펌핑 작용에 의해 각각의 온수배출호스(114, 114-1)를 통해 상기 각각의 온수배출호스(114, 114-1) 주변의 온수를 각각의 온수배출호스(114, 114-1)와, 각각의 연결호스(181, 181-1)(182, 182-1)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도 7은 상기도 6의 A-A 선 단면도이다. 상기도 7에서 인접한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 내부에는 각각의 온수배출호스(114, 114-1)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압출물 가이드(113, 113-1)와 온수배출호스(114, 114-1)의 공간부(183, 183-1)을 통하여 냉각수가 공급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냉각수는 상기 압출물 가이드(113, 113-1)의 외측을 흐르는 압출물(190)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의 사시도 이다. 상기도 8에서 본 고안의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700)은 고압 유공관 외측에 형성되는 유공(701) 내부에 지지벽(702)이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것이다.
도 9는 상기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도 9에서 본 고안의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고압 유공관은 외측에 유공(701)을 갖는 사다리꼴 모양의 이중벽(70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공(701) 내에 지지벽(702)을 형성하도록 제조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베이스, 102 : 실린더,
103 : 투입 호퍼, 105 : 히터,
110 : 원료 압출부, 111 : 다이,
112 : 배수관, 113 : 압출물 가이드,
114 : 온수 배출호스, 115 : 냉각수관,
120 : 롤링부, 121 : 롤러,
122 : 가이더, 131 : 구동모터,
132 : 감속기, 133 : 벨트,
134 : 구동 풀리, 135 : 종동풀리,
136 : 체인, 140 : 이음재 사출기,
150 : 제1가이더부, 151 : 베이스 브라켓트,
152 : 핸들 브라켓트, 160 : 제2가이드부,
170 : 냉각수 공급라인, 190 : 압출물,
700 : 고압 유공관, 701 : 유공,
702 : 지지벽, 703 : 이중벽

Claims (2)

  1. 원료인 폴리에틸렌 파쇄물의 투입 및 용해가 이루어지는 원료 투입 및 용해부(100)와;
    상단에 한쌍의 배수관(112, 112-1)이 연결되며 용해된 원료를 하방으로 압출시키는 다이(111)와, 상기 다이(111) 내부에 수납되고 일정한 간격의 2개의 'ㅁ'자형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 저면을 관통하며 롤링부(120)를 돌아 소정 높이로 돌출된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와,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에 내장되어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각각의 온수 배출 호스(114, 114-1)와,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 내면 둘레를 따라 냉각수가 유입되는 공간부(183, 183-1)를 포함 구성하여서 된 원료 압출부(110)와;
    다수의 롤러(121)가 조합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원료 압출부로 압출된 압출물이 관의 형상을 갖도록 권취시키는 롤링부(120)와;
    상기 공간부(183, 183-1)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각수관과;
    상기 롤링부(120)의 롤러(121)의 외주면에 상기 압출물의 상온 냉각 및 권취 안내를 위한 나선 형태의 가이더(122)와;
    상기 롤링부(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출물 사이 간격 부위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이음재를 사출하는 이음재 사출기(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제조 장치.
  2.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은,
    원료 투입 및 용해부(100)에 의하여 원료가 투입 용해되는 단계와;
    상기 원료 투입 및 용해부의 상단에 한쌍의 배수관(112, 112-1)이 연결되며 용해된 원료를 하방으로 압출시키는 다이(111)와, 상기 다이(111) 내부에 수납되고 일정한 간격의 2개의 'ㅁ'자형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 저면을 관통하며 롤링부(120)를 돌아 소정 높이로 돌출된 한쌍의 압출물 가이드(113, 113-1)와,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에 내장되어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각각의 온수 배출 호스(114, 114-1)와, 상기 각각의 압출물 가이드 내면 둘레를 따라 냉각수가 유입되는 공간부(183, 183-1)를 포함 구성하여서 된 원료 압출부(110)에 의하여 용해된 원료가 압출되는 단계와;
    다수의 롤러가 조합된 롤링부(12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원료 압출부로 압출된 압출물이 관의 형상을 갖도록 권취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간부(183, 183-1)에 하나 이상의 냉각수관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하는 단계와;
    상기 롤링부(120)의 롤러(121)의 외주면에서 상기 압출물의 상온 냉각 및 권취 안내를 위한 나선 형태의 가이더(122)에 의하여 냉각되고 권취되는 단계와;
    상기 롤링부(12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고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는 이음재를 사출하는 이음재 사출기(140)에 의하여 압출물 사이의 간격에 이음재가 사출하는 단계와;
    제2가이더부(160)에 의하여 압출물 사이에 개재되는 이음재를 가압하는 단계로 제조된 것으로 상기 이중벽 고압 유공관을 형성하는 이중벽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중벽 내측에 형성된 유공(701) 중앙에 지지벽(7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이중벽 고압 유공관.
KR2020110008843U 2011-10-04 2011-10-04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고압 유공관 KR200464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843U KR200464596Y1 (ko) 2011-10-04 2011-10-04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고압 유공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843U KR200464596Y1 (ko) 2011-10-04 2011-10-04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고압 유공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240 Division 2011-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84U KR20120005884U (ko) 2012-08-21
KR200464596Y1 true KR200464596Y1 (ko) 2013-01-10

Family

ID=5135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843U KR200464596Y1 (ko) 2011-10-04 2011-10-04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고압 유공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9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904A (ko) * 2003-04-12 2003-05-27 유옥수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855082B1 (ko) 2008-03-13 2008-08-29 럭키산업(주) 폴리에틸렌(pe) 이중벽 하수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904A (ko) * 2003-04-12 2003-05-27 유옥수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855082B1 (ko) 2008-03-13 2008-08-29 럭키산업(주) 폴리에틸렌(pe) 이중벽 하수관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84U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4603B (zh) 地下和部分埋入管子的卷绕设备及方法
CN102269298B (zh) 输水管,制造输水管的带材、方法和装置
CN205136860U (zh) 塑钢加强筋聚乙烯复合管
JP4567376B2 (ja) 既設管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及びその施工方法に用いられる製管機
KR100855082B1 (ko) 폴리에틸렌(pe) 이중벽 하수관 제조장치
KR200464596Y1 (ko) 고압 유공관 제조장치 및 고압 유공관
KR100792353B1 (ko) 합성수지 이중관,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458608B1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100894522B1 (ko) 차수막 이중벽 관 성형장치 및 성형 방법
JP6485762B1 (ja) 金属又は合成繊維の線材補強の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管の製造方法
KR101094779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성형장치
KR101090296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CN202753391U (zh) 双平壁螺旋中空结构壁管的制造装置
KR101260678B1 (ko) 고강도 발포형 다중벽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그 고강도 발포형 다중벽관
KR100632779B1 (ko) 프로파일 나선형 합성수지관 코팅 직관 파이프
KR100290302B1 (ko) 삼중관과삼중관제조장치및그방법
CN210390101U (zh) 一种工业管道制作系统
KR100927627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이중관 제조방법
KR102103124B1 (ko) 합성수지 차수벽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206779B1 (ko) 이동식 수지벽관 제조장치
KR20060019210A (ko) 기설관의 라이닝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방법에 이용되는제관기
KR100869208B1 (ko) 나선형 부재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1057634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KR100970994B1 (ko) 메탈라스를 이용한 플라스틱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KR101690529B1 (ko) 격벽이 형성된 물막이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