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222Y1 -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 Google Patents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222Y1
KR200464222Y1 KR2020090008871U KR20090008871U KR200464222Y1 KR 200464222 Y1 KR200464222 Y1 KR 200464222Y1 KR 2020090008871 U KR2020090008871 U KR 2020090008871U KR 20090008871 U KR20090008871 U KR 20090008871U KR 200464222 Y1 KR200464222 Y1 KR 200464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lock
biofiltration
backwashing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465U (ko
Inventor
노병기
이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승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승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승개발
Priority to KR2020090008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22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에 설치되는 필터의 파손방지와 역세척후 생물여과 반응조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의 신속배출로 정상운영이 신속히 속개되게하며,
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와 이에 나사결합으로 내부에 조립되는 내부필터의 간격을 메디아입자 보다 좁은 간격이 유지되어 내,외부필터 내로 메디아가 침투되지 못하여 흡착요인의 원천봉쇄로 여과효율의 증대를 꾀할 수 있게 하였으며,
내부필터의 하단여과부를 보강하고 역세척 수의 배출수압을 촉진시켜 역세척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의 내면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내부필터의 상면이 반응조의 블록표면과 동일면이거나 돌출되지 않게하여 필터의 파손을 방지하게 한 구성과, 역세척시 생물여과 반응조내부에 생성되어 잔류하는 에어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필터 나사부직하방에 에어공을 천공시켜 놓아 내부의 잔류에어가 신속히 배출되어 정상운영이 신속하고 원할하게 속개될 수 있게 한 구성과,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에는 블록과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사용중 필터가 블록으로 부터 이탈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고정용 슬리브를 종방향으로 형성하여 준 하단의 내측주연에 얇은 두께의 이탈방지용 차단판(Paffleplate)을 내향돌설되는 데로 형성시켜 외 부필터에 나사조립되는 내부필터의 여과부 상부몸체가 메디아가 통과할 수 없는 좁은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어지게 하여 메디아의 침투를 야기될 수 있는 흡착요인을 차단하여 여과 효율의 증대를 얻을 수 있게 한 구성과,
상향류식 생물막 여과공정으로 하수,오수,폐수의 오염물질을 분해처리하는 부상식메디아(media;여재)를 사용하는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의 내면나사에 나사조립되어 내삽되는 내부필터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여과부는 부상하는 메디아를 받쳐주며, 역세척시에 강한 수압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밑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어서 여과부의 구조를 견고히 하면서도 역세시에 수압강도를 높혀 줄 수 있도록 빗살형의 역세척수 안에 볼록곡면으로 하여 수압의 압력을 배가시켜 역세척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필터체, 외부필터, 내부필터, 내향돌출차단판, 여과부, ∧형 보강빗살, 볼록곡면

Description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AN A FILTER FOR BIOMASS FILTRATION REACTOR}
본 고안은 부상식메디아(Media;여재)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상향류식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폐수를 여과처리할 때 사용되는 필터의 파손을 최소화시키고 역세척후 잔류하는 에어를 신속배출하며 메디아의 필터내 침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역세척수의 역세시 수압을 최대한 배가시켜 역세효율의 증대를 얻을 수 있게 한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상식메디아를 사용하는 상향류식 생물여과공정은 생물학적처리기능이 결합된 오수,하수,폐수처리공정으로서, 오염물질의 분해, 여과시켜 우수한 처리수질을 확보할 수 있는 처리장치로써, 상향류식 여과장치는 미생물이 부착하는 메디아층과 메디아의 유출을 방지하고 유지시키는 필터, 그리고 메디아(Media;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을 역세하기 위한 역세장치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생물학적 처리기능의 여과장치는 여러가지가 개발되어져 이용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제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었다.
이와 같이 상향류식 생물학적 여과장치에서 이의 유출을 방지하고 역세수를 유입하고, 처리수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필터가 개발되어져 있으나, 이는 외부, 중간, 내부의 여러개의 필터를 다수조립하게 되어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시에 조립공간내에 다수의 메디아가 침투와 부착되어 원래의 자기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과 함께 여러개로 분리된 부품들을 조립사용하고 분해하여야 하는 작업상에 불편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역세수의 배출에어공을 구비한 필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구조를 개량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그 고안의 목적은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표면과 본 고안필터의 상면이 동일표면을 이루거나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게 하여 필터의 상면이 파손되어 지는 것과 교체시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하였으며, 역세시에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신속히 실행할 수 있도록 내부필터에 에어공을 형성시켜 놓아 신속한 배출과 즉시 여과기능의 속개가 이루어지도록 기존 배기 구조를 개량하였으며, 외부필터에 분해조립되는 내부필터와의 사이에 메디아의 침투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메디아의 입자크기(약3mm직경임) 보다 좁은 간격(약2mm이내)을 유지할 수 있게하는 내향돌출차단판을 외부필터의 맨하단내측으로 내향돌출테를 형성하여 조립되는 내부필터와의 간격을 조립유지하고, 내부필터의 하단 여과부에는 빗살형의 간격이 메디아가 침투할 수 없는 간격을 유지하되 내측의 보강빗살이 볼록곡면을 유지하여 여과부의 강도를 보강하고 역세시에 공급되는 역세수의 배출수압이 높게 강화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에 고정결합되는 외부필터와 이에 조립되는 내부필터의 단순구조로 이루어져 누구나 손쉽게 분해 및 조립과 분리 청소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고안은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의 내면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내부필터의 상면이 반응조의 블록표면과 동일면이거나 돌출되지 않게하여 필터의 파손을 방지하게 한 구성과, 역세척시 생물여과 반응조내부에 생성되어 잔류하는 에어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필터 나사부직하방에 에어공을 천공시켜 놓아 내부의 잔류에어가 신속히 배출되어 정상운영이 신속하고 원할하게 속개될 수 있게 한 구성과,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에는 블록과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사용중 필터가 블록으로 부터 이탈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고정용 슬리브를 종방향으로 형성하여 준 하단의 내측주연에 얇은 두께의 이탈방지용 차단판(Paffleplate)을 내향돌설되는 데로 형성시켜 외부필터에 나사조립되는 내부필터의 여과부 상부몸체가 메디아가 통과할 수 없는 좁은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어지게 하여 메디아의 침투 를 야기될 수 있는 흡착요인을 차단하여 여과 효율의 증대를 얻을 수 있게 한 구성과,
상향류식 생물막 여과공정으로 하수,오수,폐수의 오염물질을 분해처리하는 부상식메디아(media;여재)를 사용하는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의 내면나사에 나사조립되어 내삽되는 내부필터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여과부는 부상하는 메디아를 받쳐주며, 역세척시에 강한 수압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밑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어서 여과부의 구조를 견고히 하면서도 역세시에 수압강도를 높혀 줄 수 있도록 빗살형의 역세척수 안내볼록곡면으로 하여 수압의 압력을 배가시켜 역세척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는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에 설치되는 필터의 파손방지와 역세척후 생물여과 반응조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의 신속배출로 정상운영이 신속히 속개되게하며,
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와 이에 나사결합으로 내부에 조립되는 내부필터의 간격을 메디아입자 보다 좁은 간격이 유지되어 내,외부필터 내로 메디아가 침투되지 못하여 흡착요인의 원천봉쇄로 여과효율의 증대를 꾀할 수 있게 하였으며,
내부필터의 하단여과부를 보강하고 역세척 수의 배출수압을 촉진시켜 역세척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는 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의 상부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나사결합되는 내부필터의 상면부가 안착되어지므로 내부필터가 외부필터 보다 돌출되어지지 않으며, 외부필터는 블록의 안치부 내에 블록표면 보다 돌출되지 않고 동일표면상이거나 약간들어간 상태를 유지하여 돌출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였으며, 내부필터의 하단에 방사상유입부를 구비한 빗살형 여과부는 역세수배출구 역할에 의한 간격유지로 약해진 단점을 보완하고 역세수의 배출수압을 높여주는 보강빗살의 내면을 볼록곡면으로 하였으며,
내부필터와 외부필터의 조립시에 형성되는 사이공간 내부에 메디아의 침투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외부필터하단에 내향돌출테를 형성하는 차단판을 형성시켜 내,외부필터 사이 공간으로의 메디아 침투를 방지하여 주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내,외부필터를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에 결합한 상태의 일실시 단면예시도이여,
도 2는 본 고안 일시실예에 따른 내부필터의 일부단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필터의 일부단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필터의 하단 여과부의 A-A선 단면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는 상향류부상식 오,폐수처리장치의 기본구성요소로서 인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의 기술구성 등에 관해서만 그 특징 위주로 기술합니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는 크게 두개의 내,외부필터가 결합되어 필터체(A)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외부필터(100)와 이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내부필터(200)로 구성되는 것입니다.
외부필터(100)는 외면에 다수로 외향돌출된 외면슬리브(130)에의해 생물여과반응조의 블록(B)에 긴밀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외부필터(100)의 상면에는 상부안착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원통형 통수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벽에는 다수의 보강살(111)이 내향돌출되어 있는 위에는 내면나사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필터(100)의 맨하단에는 내향으로 돌출테를 이룬 차단판(140)이 형성되어 진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외부필터(100)의 내부통수부구멍에 삽입 설치되는 내부필터(200)의 외면나사부(220)를 외부필터(100)의 내면나사부(120)에 나사 조임으로 결합하여 주게 되면 내부필터(200)의 상면부(210)가 외부필터(100)의 상부안착홈(110)에 도1에서와 같이 블록(B)의 표면보다 높지 않으며 동일평면을 이루거나 약간 들어간 상태로 결합되어지므로 필터의 돌출로 인한 파손이 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내부필터(200)의 외면나사부(220) 직하방에는 적당 크기의 에어공(230)이 한개 이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를 형성시켜놓아 역세척시에 생성된 에어가 처리장치 내에서 오랫동안 잔류하지 못하고 즉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내부필터(200)의 하단여과부(240)는 여과의 효율을 증대하고 역세척시 역세수가 여러단계로 구분되어 공급되므로써 역세효율을 증대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하였으며,
여과부(240)의 여과배출구(250)는 메디아의 침투가 불가능한 간격을 유지하는 보강빗살(251)로 형성하여 여과부(240)의 형상유지를 위한 보강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역세시 수압증대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내면이 볼록곡면(252)을 이루어 역세수의 유속을 좀더 빠르게 촉진하게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필터(200)는 외부필터(10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고정설치되나 내,외부필터(200)(100)사이의 간격이 넓게 벌어지게되면 작은 입자의 메디아가 내,외부필터사이로 침투되어 에어공(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위에서와 같이 메디아가 내,외부필터(200)(100) 사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필터(200)의 관체보다는 내경이 약간 크게되어 있으나 외부필터(100)의 안쪽 내향으로 돌출된 데로 형성되는 내향돌출차단판(140)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은 형태가 되도록 하여주되, 내부필터(200)의 바깥직경과 외부필터(100)의 차단판(140) 내경과의 간격이 2mm 이내가 유지되도록 하여 이보다 직경이큰 메디아가 내,외부필터(200)(100)의 사이로 침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준 것이 다.
이때, 외부필터(100)의 하단에 내향돌출되는 차단판(140)은 돌출내향테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2mm 이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개수로 구획된 돌출부로의 형태 변형도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는 생물여과 반응조 블록(B)의 설치공에 관삽고정설치되는 외부필터(100)의 상부안착홈(110)이 설치공의 안치부에 안착될 때 블록의 표면과 동일면이 되게 안착되거나 약간 들어간 상태로 설치되어지고 이에 나사조립되는 내부필터(200)의 상면부(210) 또한 블록이나 외부필터보다 높지 않고 동일 평면이거나 이보다 낮은 상태에서 설치되어지므로 돌출로 인한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역세시에 내부에서 생성되는 에어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여과장치를 즉시 소개할 수 있도록 촉진시키기 위하여 내부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공(230)을 내부필터(200)와 외부필터(10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생성된 에어가 즉시 배기될 수 있게 한 구성과, 본 고안 필터체(A)의 제작시에 망사형태를 이루어 가장 빈약한 강도를 갖는 내부필터(200)의 하단여과부(240)의 여과배출구(250)를 형성하는 보강빗살(251)의 형태를 내향으로 볼록하게 곡면을 이루어 역세수의 배출수압을 향상시키고 여과부(240)를 보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하여 역세시 배출수압촉진과 여과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게 하였으며, 내부필터(200)가 삽입 나사조립되는 외부필터(100)의 하단 내측에는 내향돌출테를 형성하는 차단판(140)을 일정간격만큼 내부필터 쪽으로 돌출되게하여 내부필터(200)의 본체 외경과 외부필터(100)의 차단판(140)과의 간격이 2mm 이내의 틈새를 유지하도록 이보다 입자가 큰 3mm 크기의 메디아가 차단판(140)과 내부필터(200)의 외경 사이를 통과할 수 없게 되므로 메디아의 침투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에어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 내,외부 필터를 생물여과 반응조의 블록이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내부 필터의 일부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외부 필터의 일부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필터의 하단여과부 A-A선 단면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필터체 B : 블록
100 : 외부필터 140 : 내향돌출차단판
200 : 내부필터 210 : 상면부
220 : 외면나사부 230 : 에어공
240 : 하단여과부 250 : 여과배출구
251 : 보강빗살 252 : 볼록곡면

Claims (5)

  1. 역세시 역세수가 하향 이동되도록 역세수 공급이 윗쪽에서 이루어지게 한 처리방식의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생물여과 반응조용 블록과 동일면상으로 고정설치되고 하단에 내향돌출차단판(140)이 내측으로 돌출테를 이루는 외부필터(100)와;
    상기 외부필터(100)의 내면나사부(120)에 착탈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고 역세시에 잔존하는 에어를 배출시키는 에어배출공이 구비되고 하단여과부가 구비된 내부필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100)와 내부필터(200)의 상부 안착홈(110)과 상면부(210)가 블록(B)의 상면부와 동일면상을 이루거나 낮은 높이를 유지하게 조립설치된 구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필터(100) 하단에는 필터의 내경보다 내향진돌출테가 일체인 내향돌출 차단판(140)을 형성하여 이에 나사결합되는 내부필터(200)의 바깥외경과의 사이의 간격이 메디아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 구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필터(200)의 하단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역세시에 물을 여과반응조로 배출하는 여과부(240)의 여과배출구(250)는 다수의 보강빗살(251)을 볼록곡면(25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5. 삭제
KR2020090008871U 2009-07-09 2009-07-09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KR200464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871U KR200464222Y1 (ko) 2009-07-09 2009-07-09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871U KR200464222Y1 (ko) 2009-07-09 2009-07-09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465U KR20110000465U (ko) 2011-01-17
KR200464222Y1 true KR200464222Y1 (ko) 2013-01-09

Family

ID=4420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871U KR200464222Y1 (ko) 2009-07-09 2009-07-09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22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05Y1 (ko) 2000-10-19 2001-03-15 한전기공주식회사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필터
KR100367097B1 (ko) 2000-01-10 2003-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100405152B1 (ko) 2001-06-07 2003-11-14 은석규 간단한 구조로 사이드 스트림 여과와 클로스 플로우여과가 가능한 가변세공 정밀 여과장치
KR20060010823A (ko) * 2003-05-22 2006-02-02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필터 요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97B1 (ko) 2000-01-10 2003-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KR200215605Y1 (ko) 2000-10-19 2001-03-15 한전기공주식회사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필터
KR100405152B1 (ko) 2001-06-07 2003-11-14 은석규 간단한 구조로 사이드 스트림 여과와 클로스 플로우여과가 가능한 가변세공 정밀 여과장치
KR20060010823A (ko) * 2003-05-22 2006-02-02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필터 요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465U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26833A1 (en) Immers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N204803073U (zh) 一种反硝化深床滤池结构
CN201296713Y (zh) 内循环曝气生物滤池与澄清池联合处理系统
KR200464222Y1 (ko) 생물여과 반응조용 필터
CN102092849A (zh) 一种生物滤池新型反硝化和反冲洗工艺方法
KR101730411B1 (ko) 우수 또는 잡배수를 재이용수로 처리하는 일체형 여과장치
KR20080102340A (ko) 초음파를 이용한 산업용 섬유 여과기
CN105829251A (zh) 散气管以及散气管的清洗方法
JP5768391B2 (ja) 濾過装置
CN204543770U (zh) 一种污水过滤器
KR101454103B1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용 필터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100854019B1 (ko) 고도처리장치용 여과기
CN108911128A (zh) 整体进水分区曝气反冲洗的反硝化生物滤池
KR101629256B1 (ko) 역세효율 증강형 여과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88564B1 (ko) 다중 필터형 2단 빗물 여과기
CN107080997B (zh) 一种过滤器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KR20170128933A (ko) 필터 장치
KR100718791B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CN210505798U (zh) 一种节能环保污水处理装置
KR200273289Y1 (ko) 원통형 망목구조를 갖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CN211734497U (zh) 一种电镀砂轮加工用过滤槽
CN217340387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