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927Y1 - 의자겸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의자겸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927Y1
KR200463927Y1 KR2020090009936U KR20090009936U KR200463927Y1 KR 200463927 Y1 KR200463927 Y1 KR 200463927Y1 KR 2020090009936 U KR2020090009936 U KR 2020090009936U KR 20090009936 U KR20090009936 U KR 20090009936U KR 200463927 Y1 KR200463927 Y1 KR 200463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ir
loading
sea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255U (ko
Inventor
심현학
Original Assignee
(주) 아이마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마스트 filed Critical (주) 아이마스트
Priority to KR2020090009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92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9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62B1/2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involving parts being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1/2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involving parts being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having a prop or stand for maintain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6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spiders or adapte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캐리어는 물건이 올려지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후방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부; 및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상기 적재부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접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의자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캐리어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적재부와; 상기 의자부 또는 상기 적재부의 하방에 결합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의자겸용 캐리어로서, 상기 의자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접힌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좌대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좌대의 전방측이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좌대의 하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좌대받침대를 포함한다.
의자, 캐리어, 가방

Description

의자겸용 캐리어{Carrier with Chair}
본 고안은 의자겸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행용 가방인 캐리어에 접철 가능한 의자의 기능을 추가하여, 여행자가 필요시 캐리어에 결합된 의자를 펼쳐, 의자위에 걸터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겸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장기간의 해외 여행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짐을 가지고 다니기 위해, 바퀴가 달린 여행용 가방을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정해진 시간내에 최대한 많은 곳을 다니려 하므로, 여행 중 잠시 걸터앉아 쉴 곳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 때, 걸터앉을 만한 곳이 없는 경우, 일부 여행자들은 가방을 깔고 앉아 쉬기도 하는데, 이는 보기에도 안 좋을 뿐만 아니라, 가방을 손상시키고, 더럽게 만들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리어에 절첩 가능한 의자를 결합시켜, 여행자가 어디에서도 의자 위에 걸터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절첩이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한 구조의 의자겸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캐리어는 물건이 올려지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 후방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부; 및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상기 적재부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접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의자부를 포함한다.
의자부는,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접힌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좌대 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좌대의 전방측이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좌대의 하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좌대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대받침대는,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좌대의 하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받침부재와, 일단이 상기 메인받침부재에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의자부가 펼쳐져, 상기 좌대와 상기 좌대받침대 사이의 각도가 커지면, 상기 보조부재가 상기 메인받침부재를 전방측으로 밀어 상기 좌대와 상기 메인받침부재 사이의 각도가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링크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대는,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링크와, 상기 전방링크의 좌우 양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측방링크와, 상기 측방링크 사이를 연결하는 착좌부지지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고정부재는, 메인받침부재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와,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통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절개원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원통부에는 상기 원통부의 측방링크가 절개부를 통해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재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수평부와, 상기 적재수평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적재수평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받침부와, 일단이 상기 적재받침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보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퀴부는, 중심점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 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바퀴지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연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지지부는 중심적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멜빵부재를 더 포함하며, 바퀴부는, 상기 의자부 또는 상기 적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캐리어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적재부와; 상기 의자부 또는 상기 적재부의 하방에 결합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의자겸용 캐리어로서, 상기 의자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접힌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좌대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좌대의 전방측이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좌대의 하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좌대받침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캐리어에 의자의 기능이 포함되어, 여행 시 피로가 쌓인 경우, 어디에서든 의자를 펼치고 걸터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첩구조가 용이하여 어디에서든 간편하게 의자를 폈다 접는 것이 가능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겸용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겸용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의자겸용 캐리어는 물건이 올려지는 적재부(200), 상기 적재부 후방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부(300) 및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상기 적재부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접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의자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의자부(100)는, 일단이 상기 지 지대(110)의 전방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좌대(120)와, 상기 좌대(120)의 타단 근방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대받침대(130)를 포함한다.
지지대(110)는 수직으로 직립된 3개의 부재(111, 112, 113)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지지대(110)는,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중앙지지대(111)와, 상기 중앙지지대(111)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좌측지지대(112)와 우측지지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지지대(111)는 상기 좌측지지대(112) 및 우측지지대(113)에 비해 상부로 더 길게 연장되며, 상단에는 손잡이(140)가 결합되고, 그 하단은 횡부재(116)에 결합된다. 상기 횡부재(116)는 중앙에 상기 중앙지지대(111)의 하단을 고정시키며, 양 단부는 상기 좌측지지대(112) 및 우측지지대(113)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140)에는 버튼(141)이 결합되는데, 상기 버튼(141)을 누른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140)가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며, 버튼(141)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캐리어의 손잡이가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한 구성 자체는 주지의 기술 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좌대(120)는 상기 지지대(110)의 전방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며, 펼쳐졌을 때는 전방으로 상기 지지대(110)에 수직하게 돌출 연장되고, 접혀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대(110)의 전방에서 상기 지지대(110)와 거의 평행하거나 작은 각도를 이루며, 상방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좌대(120)는, 전방링크(121)와, 상기 전방링크(121)의 좌우 양측의 2개의 측방링크(122)와, 착좌부지지 링크(123)와, 착좌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링크(122)는, 펼쳐진 상태에서 최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측방링크(122)는 상기 전방링크(121)의 양단부에 상기 전방링크(121)와 수직하게 후방으로 연장, 결합된다. 2개의 상기 측방링크(12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전방링크(121)와 2개의 상기 측방링크(122)는 일체로 결합되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착좌부지지링크(123)는 상기 측방링크(122)의 후단 부근에서 2개의 측방링크(122)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전방링크(12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착좌부(124)는 사용자가 걸터앉을 때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상기 전방링크(121)와 상기 착좌부지지링크(123)에 견고히 고정되며, 가벼운 소재인 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대받침대(130)는,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좌대(120)의 전단 부근에서 하측에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메인받침부재(131)와, 일단이 상기 메인받침부재(131)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지지대(122) 또는 우측지지대(123)에 결합되는 보조링크(132)와, 링크고정부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받침부재(131)는, ㄷ자 형상의 양 단부가 상기 좌대(120)의 하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좌대받침대(130)는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좌대(120)에 거의 수직하게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접혀진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좌대(120)에 거의 평행하게 작은 각도를 이루며,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보조링크(132)는 일단이 상기 메인받침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대(110)의 좌측지지대(112) 또는 우측지지대(1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링크고정부재(133)는 상기 메인받침부재(131)에 결합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도 2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받침부재(131)와 상기 좌대(120)의 측방링크(122)를 고정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링크고정부재(133)는 원통부(133a)와 상기 원통부(133a)의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절개원통부(133b)를 포함하여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절개원통부(133b)는 원통형상에서 측면 일부가 절개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원통부(133a)는 상기 메인받침부재(131)를 내부에 삽입, 고정시키며, 상기 절개원통부(133b)는 좌대(120)와 좌대받침대(130)가 접힐 때에 그 내부에 좌대(120)의 측방링크(122)를 수용한다.
상기 절개원통부(133b)의 절개된 부분의 폭은, 상기 측방링크(1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측방링크(122)가 상기 절개된 부분을 통과할 때에는, 절개된 부분이 탄성에 의해 벌어질 수 있게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적재부(200)의 자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적재부(200)는 상기 지지대(110)의 후방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대(110)에 수직하게 후방으로 돌출되며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대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하는 적재수평부(201)와, 상기 적재수평부(201)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적재수평부(201)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며,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적재수평부와 거의 평행하게 상하로 길게 위치하는 적재받침부(202)를 포함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적재수평부(201)는 2개의 평행한 측방링크(201a)와 상기 측방링크(201a)의 후방단부에 결합되는 후방링크(201b)가 일체로 구성되어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적재받침부(202)는, 역시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ㄷ자 형상의 양 단부가 상기 적재받침부(201)의 측방링크(201b)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된다.
적재보조링크(203)는 일측이 상기 지지대(110)의 좌,우측지지대(112, 11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거나, 후술하는 바퀴부(300)의 중심축(30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적재받침부(202)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바퀴부(30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바퀴부(300), 바퀴지지부(301)와 상기 바퀴지지부(3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3개의 바퀴(303)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지지부(301)는 3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사이각을 가지며 연장되는 연장부(302)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연장부 각각에 상기 바퀴(30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좌우측의 2개의 바퀴지지부(301)는 중심축(304)을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 바퀴지지부(301)는 상기 중심축(304)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303)가 회전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바퀴지지부(301)도 중심축(304)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중심축(304)은 상기 지지대(110)의 좌측지지대(112)와 우측지지대(113)의 하방 단부 근방을 각각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보조링크(203)의 단부 근방을 관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재보조링크(203)는 좌측지지대(112) 또는 우측지지대(113)에 직접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신, 중심축(304)을 그 내부로 관통시켜 상기 중심축(30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캐리어는 바퀴부(300)가 의자부(100) 또는 적재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자부(100)를 구성하는 지지대(100)의 좌측지지대(112)와 우측지지대(113)의 하방 단부 근방을 각각 관통하는 중심축(304)의 양단부에는 너트캡이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304)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부(300)는 중심축(304)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너트캡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퀴부(300)는 탄력적으로 출몰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착탈결합수단에 의해서 상기 바퀴부(300)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중심축(304)의 양단부에는 탄력적으로 출몰하는 고정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이 돌출되는 구멍이 형성된 캡이 별도로 구비된다.
따라서, 바퀴부를 중심축(30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후에, 상기 중심 축(304)의 양단부에 구멍이 형성된 캡을 끼우면 중심축(304)의 고정핀이 캡의 구멍으로 돌출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이 되어, 바퀴부(300)가 이탈되지 않는다.
바퀴부(30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핀을 눌러서 일정한 깊이(높이)로 함몰시킨 다음, 캡을 잡고 빼내면, 중심축(304)으로부터 바퀴부(300)를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캐리어는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멜빵부재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멜빵부재는 사용자가 어깨에 걸어 메기 위한 멜빵과, 상기 멜빵의 양단에 설치되는 멜빵고리를 이루는 후크로 이루어져, 지지대(110) 양측에 설치되는 걸고리에 끼워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후크는 중앙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 내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 된 채 진퇴 이동되는 잠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잠금구를 당긴 상태에서 후크의 고리부를 걸고리에 끼워 걸은 후 당겼던 잠금구를 놓게 되면, 잠금구는 후크의 결합부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고리부가 걸고리에 걸려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멜빵의 양단에 멜빵고리를 이루는 후크 대신, 암, 수로 형성된 버클을 이용하여 결속 및 분리가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겸용 캐리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의자부(100)가 접히고, 적재부(200)는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가방 등의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20)를 접어 좌대(120)가 상기 지지대(110)와 거의 수평을 이루거나 작은 각도를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시키며, 좌대받침대(130)의 메인받침부재(131) 역시 상기 좌대(120)와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링크(132) 역시 상기 좌대(120)와 거의 평행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링크고정부재(133)의 절개원통부(133b)에는 좌대(120)의 측방링크(122)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적재부(200)는 펼쳐진 상태로 되며, 이 때, 적재수평부(201)는 상기 지지대(110)와 직각을 이루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적재받침부(202)는 상기 적재수평부(201)의 하방에서 비스듬하게 하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적재수평부(201) 위에 가방을 올린채 손잡이(140)를 잡고 캐리어를 이동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40)는 가방의 중앙 상단에 위치하는 고리부(501)를 관통하므로, 고리부(501)가 상기 손잡이(140)에 끼워져 가방이 적재부(200) 옆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의자부(100)와 적재부(200)가 모두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200)를 펼쳐 가방 등의 물건을 적재하고 이동 중, 의자를 펼치고 걸터앉고 싶을 때는, 손으로 상기 좌대(120)의 전방링크(121) 또는 측방링크(122)를 잡고 전방쪽으로 힘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측방링크(122) 후단과 상기 좌측지지대(112) 및 우측지지대(113)가 결합되는 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좌대(120)가 회전하여, 상기 지지대(110)와 직각을 이루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보조링크(132)는 일단이 상기 메인받침부재(131)에, 타단이 상기 좌측지지대(112) 또는 우측지지대(113)에 결합되므로, 상기 좌대(120)가 펼쳐짐에 의해, 상기 보조링크(132)가 상기 메인받침부재(131)를 전방으로 밀어 자동으로 펼쳐지게 하며, 이로 인해 상기 메인받침부재(131)는 상기 좌대(120)와 거의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착좌부(124)에 엉덩이가 위치하도록 걸터앉을 수 있다.
도 4는 상기 의자부(100)와 상기 적재부(200)가 모두 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캐리어를 창고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기 의자부(100) 및 상기 적재부(200)가 모두 접혀 전후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그 부피를 최소화한다.
펼쳐진 상기 의자부(100)를 접을 때에는 상기 좌대(120)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좌대(120)가 회전하여 상기 지지대(110)와 거의 평행을 이루거나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하며, 이 때, 상기 보조링크(132)가 상기 좌대받침대(131) 및 상기 지지대(1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메인받침부재(111) 및 상기 보조링크(132) 역시 자동으로 접혀, 상기 지지대(110)와 거의 평행을 이루거나 아주 작은 각도를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한다.
도 5는 적재부(200)는 접히고, 의자부(100)는 펼쳐진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가방을 적재하지 않고, 끌고 다니기 편한 휴대용 의자로만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캐리어를 끌어나 밀고 다닐 때에는 지면과 맞닿은 2개의 바퀴가 회전을 하며, 상대적으로 큰 장애물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바퀴지지부(301) 자체가 중심축(30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애물을 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겸용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겸용 캐리어에서 의자부는 접히고 적재부는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겸용 캐리어에서 의자부와 적재부가 모두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캐리어에서 의자부와 적재부가 모두 접힌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자겸용 캐리어에서 의자부는 펴지고 적재부는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의자부 110 : 지지대
111 : 중앙지지대 112 : 좌측지지대
113 : 우측지지대 120 : 좌대
121 : 전방링크 122 : 측방링크
123 : 착좌부지지링크 124 : 착좌부
130 : 좌대받침대 131 : 메인받침부
132 : 보조링크 133 : 링크고정부재
200 : 적재부 201 : 적재수평부
201a : 측방링크 201b : 후방링크
202 : 적재받침부 203 : 적재보조링크
300 : 바퀴부 301 : 바퀴지지부
302 : 연장부 303 : 바퀴
500 : 가방 501 : 고리부

Claims (9)

  1. 물건이 올려지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후방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부 및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상기 적재부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접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의자부를 포함하는 의자겸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는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접힌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좌대와,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좌대의 전방측이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좌대의 하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좌대받침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대받침대는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좌대의 하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받침부재와, 일단이 상기 메인받침부재에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좌대는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링크와, 상기 전방링크의 좌우 양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측방링크와, 상기 측방링크 사이를 연결하는 착좌부지지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받침부재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와,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통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절개원통부로 이루어진 링크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개원통부에는 상기 측방링크가 절개부를 통해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캐리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수평부와,
    상기 적재수평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적재수평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받침부와,
    일단이 상기 적재받침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보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캐리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중심점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바퀴지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연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지지부는 중심적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캐리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멜빵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캐리어.
  8. 삭제
  9. 삭제
KR2020090009936U 2009-07-29 2009-07-29 의자겸용 캐리어 KR200463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36U KR200463927Y1 (ko) 2009-07-29 2009-07-29 의자겸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36U KR200463927Y1 (ko) 2009-07-29 2009-07-29 의자겸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55U KR20110001255U (ko) 2011-02-09
KR200463927Y1 true KR200463927Y1 (ko) 2012-12-03

Family

ID=4420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936U KR200463927Y1 (ko) 2009-07-29 2009-07-29 의자겸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9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909B1 (ko) * 2019-04-11 2021-02-01 송홍전 테이블 기능을 갖는 운반용 카트
KR102195449B1 (ko) * 2019-09-27 2020-12-28 주식회사 다온 핸드카트
US11584413B2 (en) * 2020-07-14 2023-02-21 Farzin Kamal Convertible hand truck and chair device
CN112173503A (zh) * 2020-10-26 2021-01-05 西安西热锅炉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火电厂用灰尘辅助搬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398Y2 (ja) * 1991-11-11 1995-10-18 鄭 君哲 折り畳み可能な座席組立体を備えた運搬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398Y2 (ja) * 1991-11-11 1995-10-18 鄭 君哲 折り畳み可能な座席組立体を備えた運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55U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6304B1 (en) Inclined back support arrangement for folding furniture
US4605261A (en) Foldable portable reclining chair
US7240961B2 (en) Portable sling chair
US6926356B2 (en) Portable folding chair
CA1319939C (en) Combined trolley and seat unit
KR200463927Y1 (ko) 의자겸용 캐리어
US6398297B1 (en) Collapsible rocking chair
US10881211B1 (en) Collapsible chair
US20100078279A1 (en) Wheeled luggage and reclining chair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KR20210131080A (ko) 낚시용 좌대
CN106428181B (zh) 一种儿童手推车
US11805912B2 (en) Foldable camping chair
CN205854242U (zh) 一种儿童推车
CN106428179B (zh) 儿童手推车及其收车机构、收车折叠方法
US6953221B1 (en) Foldable chair
CN205728833U (zh) 一种带有脚踏板的折叠椅
US20130119739A1 (en) Foldable Chair
CN210204052U (zh) 折叠座椅
CN105534104B (zh) 一种快速折叠摇椅
CN212233848U (zh) 儿童餐椅
CN106428183B (zh) 儿童手推车及其推手杆、推手杆收折方法
CN214072581U (zh) 座椅
US2783825A (en) Folding chair
CN210095172U (zh) 折叠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