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449B1 - 핸드카트 - Google Patents

핸드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449B1
KR102195449B1 KR1020190119928A KR20190119928A KR102195449B1 KR 102195449 B1 KR102195449 B1 KR 102195449B1 KR 1020190119928 A KR1020190119928 A KR 1020190119928A KR 20190119928 A KR20190119928 A KR 20190119928A KR 102195449 B1 KR102195449 B1 KR 10219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rear side
plate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
Priority to KR102019011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절첩할 수 있어서 적재공간을 넓혀서 사용하거나, 부피를 줄여 휴대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절첩 가능한 테이블을 구비한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핸드카트의 구성에 있어서는, 전후방 한 쌍으로 된 전후측판과 좌우에 한 쌍으로 된 좌우측절첩판으로 이루어져 부피를 키워 사용하거나 부피를 줄여 휴대할 수 있는 본체 및 신축손잡이를 포함하고, 전방 전후측판의 저단 좌우측에는 받침대가 구비되고, 후방 전후측판의 저단 좌우측에는 바퀴가 구비되고,
평판부재로 제공되는 테이블을 포함하고, 테이블은 비 사용시에는 세워져서 전후측판에 탈부착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눕혀져서 본체 위에 탈부착 고정되고, 테이블은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핸드카트 {HAND CART}
본 발명은 본체를 절첩할 수 있어서, 부피를 키워 적재공간을 넓혀서 사용하거나, 부피를 줄여 휴대할 수 있는 핸드카트(쇼핑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접이식 핸드카트에 관한 공개특허 제102565호(2019.09.04)가 개시되어 있는 바,
양측 세로지지대가 가로지지대에 의해 연결되고, 적재패널이 세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에 포개지게 접히거나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펼쳐지는 받침판;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메인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스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메인바퀴홀더; 지면과 접촉하며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보조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바퀴홀더; 및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베이스프레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손잡이부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베이스프레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핸들프레임; 및 핸들프레임의 상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프레임;을 포함한다. 한쌍의 메인바퀴홀더는,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세로지지대를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고, 한쌍의 보조바퀴홀더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세로지지대를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1의 예시와 같은 핸드카트 형태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바,
전후측판과 좌우측절첩판으로 이루어진 본체 및 신축손잡이를 포함하고; 전후측판은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판재로 제공되어서, 전방 전후측판의 저단 좌우측에는 받침대가 구비되고, 후방 전후측판의 저단 좌우측에는 바퀴가 구비되고; 좌우측절첩판은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판재로 제공되어서, 전후측판의 좌우단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신축손잡이는 후방 전후측판에 위아래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서,
휴대시에는 좌우측절첩판을 접어서 전후방 전후측판의 상호 이격을 좁혀 부피를 줄이고, 신축손잡이를 아래로 밀어넣어서 길이를 줄이고; 사용시에는 좌우측절첩판을 펼쳐서 전후방 전후측판의 상호 이격을 넓혀 적재공간을 만들고, 신축손잡이를 위로 잡아당겨서 길이를 늘이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핸드카트는 종래기술의 핸드카트 장점을 유지하면서, 핸드카트에 테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서, 지면에 수평하게 펼치면 테이블에 물건을 얹거나 사용자가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핸드카트는,
전후측판(110)과 좌우측절첩판(120)으로 이루어진 본체 및 신축손잡이(130)를 포함하고,
전후측판(110)은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판재로 제공되어서, 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에는 받침대(w1)가 구비되고, 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에는 바퀴(w2)가 구비되고,
좌우측절첩판(120)은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판재로 제공되어서, 전후측판(110)의 좌우단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신축손잡이(130)는 후방 전후측판(110)에 위아래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서,
휴대시에는 좌우측절첩판(120)을 접어서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상호 이격을 좁혀 부피를 줄이고, 신축손잡이(130)를 아래로 밀어넣어서 길이를 줄이고,
사용시에는 좌우측절첩판(120)을 펼쳐서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상호 이격을 넓혀 적재공간을 만들고, 신축손잡이(130)를 위로 잡아당겨서 길이를 늘이는 핸드카트에 있어서,
전후측판(110)은 상단턱(111), 본체힌지홈(112), 하단턱(113), 하단보조턱(114) 및 체결홈(115)을 더 포함하고,
상단턱(111)은 전방(front) 전후측판(110)의 상단 테두리가 그 전방으로, 후방(back) 전후측판(110)의 상단 테두리가 그 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본체힌지홈(112)은 상단턱(111)의 좌우측에 테이블힌지돌기(222)와 대응되는 홈이 패이도록 절개 형성되고, 여기에 테이블힌지돌기(222)가 개재된 후 본체테이블 힌지결합(h1)이 구성되고,
하단턱(113)은 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 각 모서리가 그 전방으로, 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 각 모서리가 그 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되, 그 각각의 상단은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타단 테두리의 좌우측이 각각 얹혀져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고,
하단보조턱(114)은 전방 전후측판(110)의 좌우측 하단턱(113)으로부터 더 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되,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의 타단 테두리 좌우측 형태에 각각 대응되는 홈이 패이고,
체결홈(115)은 전후측판(110)의 좌우측 테두리에 구비되며, 체결돌기(223)의 형태에 대응되는 홈이 패여 형성되고, 체결홈(115)으로부터 더 깊은 홈이 패여 걸림돌기(223a)에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홈(115a)을 포함해서, 걸림홈(115a)에 걸림돌기(223a)가 개재되어 본체와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체결이 이루어지고,
테이블(200)을 더 포함하고, 테이블(200)은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 및 지지대(230)을 포함하고,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은 평판부재로 제공되고 테두리측벽(211) 및 간섭방지 절개부(212)를 포함하고, 비 사용시에는 세워져서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 일단의 테두리가 상단턱(111) 아래에 접촉되고, 타단의 좌우측 테두리가 좌우측 하단보조턱(114)에 각각 개재되어 탈부착 고정되고, 테이블 모드로 사용시에는 눕혀져서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상단에 탈부착 고정되고,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의 테두리측벽(211)은,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의 테두리로부터 직각으로 꺽여서 이루어지고, 간섭방지 절개부(212)는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 테두리 중 어느 하나의 중간이 신축손잡이(130)의 상단과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 형성되고,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은 평판부재로 제공되어서, 그 일단이 전후측판(110) 상단과 굴절 가능케 결합되며,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테두리측벽(221), 테이블힌지돌기(222), 체결돌기(223) 및 고정돌기(224)를 포함하고,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테두리측벽(221)은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테두리로부터 직각방향으로 굴절하여 이루어지고,
테이블힌지돌기(222)는 좌우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되며,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일단 테두리로부터 본체힌지홈(112)에 대응되게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테이블힌지돌기(222)는 본체힌지홈(112)과 굴절 가능케 결합되어 본체테이블 힌지결합(h1)을 이루고,
체결돌기(223)는 좌우측 테두리에 배치되며,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테두리측벽(221)으로부터 체결홈(115)과 대응되게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수직방향으로 더 돌출 형성되고, 그 단부에 걸림돌기(223a)가 걸림홈(115a)에 대응되게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을 접을 시에 걸림돌기(223a)가 걸림홈(115a)에 개재되어 잠금 가능하고,
고정돌기(224)는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일단 좌우측의 배면으로부터 수직되게 각각 돌출 형성되어서 지지대(231)를 탈부착 고정하되 좌우측의 이격되는 거리는, 지지대(230)의 좌우측 이격 거리에 대응되고, 좌우측 주 고정돌기(224a) 및 좌우측 부 고정돌기(224b)를 포함하고,
주 고정돌기(224a)는 가운데가 주 지지대(231)의 몸체 형태에 대응된 홈이 패여 형성된 지지대 고정홈(e1)을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주 지지대(231)를 접을 시에 주 지지대(231)가 지지대 고정홈(e1)에 개재되어 탈부착 고정되고, 부 지지대(232)는 부 고정돌기(224b)에 접촉하여 마찰력으로 탈부착 고정되고,
테이블힌지홈(225)은,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각 타단 배면으로부터 수직되게 돌출부위가 형성되고 이 곳의 좌우측에 축 홈(e2)이 패여 형성되되, 그 좌우측 이격 거리는 지지대(230)의 좌우측 이격 거리에 대응되고, 테이블힌지홈(225)의 축 홈(e2)에 주 지지대(231)의 일단이 개재된 후 횡방향으로 놓이는 힌지축으로 꿰어져서 지지대 힌지결합(h2)이 구성되어고, 이를 통하여 주 지지대(231)의 절첩이 가능케 굴절하고,
지지대(230)는 주 지지대(231) 및 부 지지대(232)를 포함하여서, 테이블 모드 시에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주 지지대(231)는 좌우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파이프 부재로서 주 지지대힌지홈(231a), 주 지지대힌지축(231b) 및 주 지지대고정홈(231c)을 포함하고,
주 지지대힌지홈(231a)은 주 지지대(231)의 일단에 힌지축을 꿸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천공 형성되고, 주 지지대힌지홈(231a)이 테이블힌지홈(225)에 개재된 후 지지대 힌지결합(h2)이 구성되어서, 지지대(230)가 전후측 테이블판(220)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굴절하고,
주 지지대힌지축(231b)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 부재로서 좌우측 주 지지대(231)의 타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고,
주 지지대고정홈(231c)은 그 몸체에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의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게 횡방향으로 홈이 패여서, 부 지지대(232)를 접을 때에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가 개재되어 탈부착 고정되도록 제공되고,
부 지지대(232)는 좌우측 일단이 이격되고 타단이 횡방향으로 연결된 ㄷ 형태를 취하는 파이프 부재로서 부 지지대힌지홈(232a), 바닥접촉부(232b) 및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를 포함하고,
부 지지대힌지홈(232a)은 부 지지대(232)의 좌우측 일단이 주 지지대힌지축(231b)의 외주변에 대응되게 횡방향으로 천공 형성되어서, 주 지지대힌지축(231b)에 부 지지대힌지홈(232a)이 꿰어져 부 지지대 힌지결합(h3)이 구성되고, 이를 통하여 부 지지대힌지홈(232a)이 주 지지대힌지축(231b)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굴절하고, 바닥접촉부(232b)는 펼침시에 지면에 접촉하고 이를 통하여 전후측 테이블판(220)이 바닥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대(230)로부터 지지를 받고,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는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이를 통하여 지지대(230)를 접을시에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가 주 지지대고정홈(231c)에 개재되어 탈부착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핸드카트에 따르면, 절첩하여 부피를 키워 사용하거나 부피를 줄여 휴대할 수 있는 접이식 핸드카트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핸드카트에 절첩식으로 부착된 테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서, 펼치면 물건을 얹어 두거나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고, 테이블을 비 사용시에는 지면에 수직되게 접어서 핸드카트 본체에 밀착하고 핸드카트 본래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핸드카트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핸드카트 본체와 함께 테이블도 접혀져 있으므로 부피가 최소화 되어서 휴대,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 핸드카트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2는 휴대하기 위하여 본체를 접은 모습과, 적재공간을 사용하기 위하여 본체를 펼친 모습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테이블(200)을 사용하기 위하여 펼친 모습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체와 테이블(200)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테이블(200)과 지지대(230)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 핸드카트의 상세한 설명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핸드카트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전후방을 막는 전후측판(110) 및 좌우를 막는 좌우측절첩판(120)으로 이루어지며 아래를 막도록 절첩 가능한 저면판이 더하여져 본체를 이루고 여기에 신축손잡이(130)가 추가된다.
전후측판(110)은 종방향(핸드카트가 진행하는 전후방향)으로 한 쌍의 판재가 이격 배치(이격되어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구성된다. 전방(front)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에는 각각 받침대(w1)가 구비되어 바닥(지면)에 접촉하여 멈춤작용 및 지지작용을 수행하고, 후방(back)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에는 각각 바퀴(w2)가 구비되어 바닥에 접촉되어 구름운동을 수행한다.
좌우측절첩판(120)은 한 쌍의 판재가 횡방향(핸드카트가 진행하는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구성된다. 좌우측절첩판(120)은 각각 전후측판(110)의 좌우단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좌우측절첩판(120)의 중간이 위아래 방향으로 절단된 후 굴절 가능하게 힌지결합을 이룬다.
신축손잡이(130)는 후방 전후측판(110)에 장착되며, 위아래로 슬라이딩하여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핸드카트는 휴대시에 좌우측절첩판(120)을 접으면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상호 이격거리를 좁힐 수 있고, 신축손잡이(130)를 아래로 밀어넣으면 그 길이를 줄여 본체에 내장시킬 수 있어서 부피를 최소화로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시에는 좌우측절첩판(120)을 펼쳐서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상호 이격거리를 넓혀서 적재공간을 만들 수 있고, 신축손잡이(130)를 위로 잡아당겨서 길이를 늘여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게 제공된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한다. 본 발명 핸드카트의 전후측판(110)은 테이블(200)을 힌지 결합시키거나 탈부착 고정하기 위하여 상단턱(111), 본체힌지홈(112), 하단턱(113), 하단보조턱(114) 및 체결홈(115)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단턱(111)은 전방(front) 전후측판(110)의 상단 테두리가 그 전방으로 돌출 형성(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방(back) 전후측판(110)의 상단 테두리는 그 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단턱(111)의 형태는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일단 테두리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힌지홈(112)은 상단턱(111)의 좌우측에 좌우측 테이블힌지돌기(222)와 대응되는 홈이 패이도록 절개 형성(절개되어 형성)되어서, 본체힌지홈(112)에 테이블힌지돌기(222)가 개재된 후 힌지축에 꿰어져서(회전축 결합이 되어서) 본체테이블 힌지결합(h1)이 구성된다.
하단턱(113)은 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 각 모서리가 그 전방으로, 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 각 모서리가 그 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좌우측 하단턱(113)의 상단은 전후측 테이블판(220) 타단의 테두리 각 좌우측이 얹혀져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취한다. 도면에서, 하단턱(113)은 대략 삼각형상을 취하여 윗면이 전후측 테이블판(220) 타단 좌우측의 라운딩된 테두리 형태에 맞추어져 예시되고 있다.
하단보조턱(114)은 전방 또는 후방 전후측판(110)의 좌우측 하단턱(113)으로부터 더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도면은 후방 전후측판(110)에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의 타단 테두리 좌우측 형태에 각각 대응되는 홈이 패여 내부가 비어 있게 구성된다.
체결홈(115)은 전후측판(110)의 좌우측 테두리 대략 중간에 배치되며, 체결돌기(223)의 형태에 대응되는 홈이 횡방향으로 패여 형성된다. 여기에 체결홈(115)으로부터 더 깊은 홈이 걸림돌기(223a)에 대응되게 횡방향으로 패여 형성된 걸림홈(115a)이 구성되며, 이를 통하여 걸림홈(115a)에 걸림돌기(223a)가 개재되어 본체와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체결이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 핸드카트는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된 보관(휴대) 상태에서 수평으로 된 사용 상태(테이블 모드)로 펼쳐지는 평판 부재로 된 테이블(2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테이블(200)은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 및 지지대(230)를 구비한다.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과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은 함께 수평면(지면과 수평한 일면)에 배치되어 편편한 면을 제공한다.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은 평판부재로 제공되어서, 비 사용시에는 세워져서 전후측판(110)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단의 테두리가 상단턱(111) 아래에 접촉되고, 타단의 좌우측 테두리가 좌우측 하단보조턱(114)에 각각 개재되어(끼워져) 탈부착 고정(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전후측 테이블판(220)이 먼저 접혀져서 세워져 전후측판(110)에 평행하게 배치되면, 그 바깥에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이 부착되도록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이 테이블 모드로 사용되는 때에는 바닥에 수평되게 눕혀져서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상단에 탈부착 고정된다.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은,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부피감을 주도록 테두리로부터 직각으로 꺽여서 이루어지는 테두리측벽(211)이 형성되고,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 테두리 중 어느 하나의 중간이 신축손잡이(130)의 상단과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 형성된 절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은 평판부재로 제공되어서, 그 일단이 전후측판(110) 상단과 굴절하여 절첩이 가능케 힌지 연결된다.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은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테두리측벽(221), 테이블힌지돌기(222), 체결돌기(223) 및 고정돌기(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은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두 곳 모두에 또는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의 예시에서는 두 곳 모두에 설치되었다.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테두리측벽(221)은,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부피감을 주도록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테두리로부터 직각방향으로 굴절하여 형성될 수 있다.
테이블힌지돌기(222)는 좌우 한 쌍이 이격 배치되며(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일단 테두리로부터 본체힌지홈(112)에 대응되게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수평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테이블힌지돌기(222)는 본체힌지홈(112)과 굴절 가능케 결합되어 본체테이블 힌지결합(h1)을 구성한다.
체결돌기(223)는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좌우측 테두리에 배치되며,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테두리측벽(221)으로부터 체결홈(115)과 대응되게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수직방향으로, 더 돌출 형성된다. 체결돌기(223)의 단부에는 걸림돌기(223a)가 걸림홈(115a)에 대응되게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을 접을 시에 걸림돌기(223a)가 걸림홈(115a)에 개재되어 잠금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돌기(224)는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일단 좌우측의 배면으로부터 수직되게 각각 돌출 형성되어서 지지대(230)를 탈부착 고정하도록 제공된다. 좌우측 고정돌기(224)의 이격되는 거리는, 지지대(230)의 좌우측 이격 거리에 대응되고, 좌우측 주 고정돌기(224a) 및 좌우측 부 고정돌기(2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 고정돌기(224a)는 가운데가 주 지지대(231)의 몸체 형태에 대응되게 패인 홈이 형성되어 제공되는 지지대 고정홈(e1)을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주 지지대(231)를 접을 시에 주 지지대(231)가 지지대 고정홈(e1)에 개재되어 탈부착 고정 가능케 되고, 부 지지대(232)는 부 고정돌기(224b)에 접촉하여 마찰력으로 탈부착 고정이 이루어진다.
테이블힌지홈(225)은,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각 타단 배면으로부터 수직되게 형성된 돌출부위의 좌우측에 축 홈(e2)이 패여 형성되며, 그 좌우측 이격 거리는 지지대(230)의 좌우측 이격 거리에 대응된다. 테이블힌지홈(225)의 축 홈(e2)에 주 지지대(231)의 일단이 개재된 후 횡방향으로 놓이는 힌지축으로 꿰어져서 지지대 힌지결합(h2)이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테이블판(220)과 주 지지대(231)가 굴절 가능케 연결되어 절첩이 가능하다.
지지대(230)는 좌우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파이프 부재로서 주 지지대(231) 및 부 지지대(232)로 구성되고, 테이블 모드 때에는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대(230)는 테이블판(220)이 펼쳐져 설치되면 이를 지면(바닥)으로부터 떠받쳐 지지하도록 제공되며 이때, 바닥과의 높이를 조절하여 맞추거나 접히는 부피를 최소화 하여 테이블판(220) 면적 안에 가두기 위하여 지지대(230)의 중간을 절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바, 주 지지대(231) 및 부 지지대(232)가 그것이다.
주 지지대(231)는 주 지지대힌지홈(231a), 주 지지대힌지축(231b) 및 주 지지대고정홈(23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 지지대힌지홈(231a)은 주 지지대(231)의 일단에 구멍이 횡방향으로 천공(뚫려서 형성)되고, 주 지지대힌지홈(231a)이 테이블힌지홈(225)에 개재되면 힌지축으로 꿰어져 지지대 힌지결합(h2)이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전후측 테이블판(220)에 대하여 지지대(230)가 절첩 가능하게 굴절한다.
주 지지대힌지축(231b)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 부재로서 좌우측 주 지지대(231)의 타단을 서로 연결 고정한다.
주 지지대고정홈(231c)은 그 몸체에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의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는 횡방향의 홈이 패여서 제공된다. 이를 통하여, 부 지지대(232)를 접을 때에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가 개재되어 탈부착 고정될 수 있다.
부 지지대(232)는 좌우측 일단이 이격되고 타단은 횡방향으로 연결된 ㄷ 형태를 취하는 파이프 부재로서 부 지지대힌지홈(232a), 바닥접촉부(232b) 및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 지지대힌지홈(232a)은 부 지지대(232)의 좌우측 일단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주 지지대힌지축(231b)의 외주변에 대응되게 천공된다. 부 지지대힌지홈(232a)을 주 지지대힌지축(231b)에 꿰어서 축결합을 이루어 부 지지대 힌지결합(h3)을 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절첩 가능하게 부 지지대힌지홈(232a)과 주 지지대힌지축(231b)이 굴절한다.
바닥접촉부(232b)는 펼침시에 지면에 접촉하고 이를 통하여 전후측 테이블판(220)이 바닥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대(230)로부터 지지를 받는다.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는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이를 통하여 지지대(230)를 접을시에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가 주 지지대고정홈(231c)에 개재되어 잠금 고정된다.
전후측판(110); 좌우측절첩판(120); 신축손잡이(130);
테이블(200);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 지지대(230);

Claims (2)

  1. 핸드카트로서,
    전후방을 막도록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후측판(110)과, 좌우를 막도록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좌우측절첩판(120)으로 이루어지며, 아래를 막도록 절첩 가능한 저면판이 더하여져 본체를 이루고 여기에, 아래로 밀어넣으면 길이를 줄여 본체에 내장시킬 수 있는 신축손잡이(130)가 추가되고,
    좌우측절첩판(120)은 그 중간이 위아래 방향으로 절단된 후 굴절 가능하게 힌지결합을 이루어서, 휴대시에 좌우측절첩판(120)을 접으면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상호 이격거리를 좁힐 수 있고 반대로, 사용시에 좌우측절첩판(120)을 펼치면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상호 이격거리를 넓혀서 적재공간을 만들 수 있고,
    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에는 받침대(w1)가 구비되고, 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에는 바퀴(w2)가 구비되고,
    전후측판(110)은 상단턱(111), 하단턱(113), 및 하단보조턱(114)을 더 포함하고,
    상단턱(111)은 전방(front) 전후측판(110)의 상단 테두리가 그 전방으로, 후방(back) 전후측판(110)의 상단 테두리가 그 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하단턱(113)은 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 각 모서리가 그 전방으로, 후방 전후측판(110)의 저단 좌우측 각 모서리가 그 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되, 그 각각의 상단은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타단 테두리의 좌우측이 각각 얹혀져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고,
    하단보조턱(114)은 전방 전후측판(110)의 좌우측 하단턱(113)으로부터 더 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되,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의 타단 테두리 좌우측 형태에 각각 대응되는 홈이 패이고,
    테이블(200)을 더 포함하고, 테이블(200)은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 및 지지대(230)을 포함하고,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은 평판부재로 제공되고 테두리측벽(211) 및 간섭방지 절개부(212)를 포함하고, 비 사용시에는 세워져서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 일단의 테두리가 상단턱(111) 아래에 접촉되고, 타단의 좌우측 테두리가 좌우측 하단보조턱(114)에 각각 개재되어 탈부착 고정되고, 테이블 모드로 사용시에는 눕혀져서 전후방 전후측판(110)의 상단에 탈부착 고정되고,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의 테두리측벽(211)은,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의 테두리로부터 직각으로 꺽여서 이루어지고, 간섭방지 절개부(212)는 본체상단측 테이블판(210) 테두리 중 어느 하나의 중간이 신축손잡이(130)의 상단과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 형성되고,
    본체전후측 테이블판(220)은 평판부재로 제공되어서, 그 일단이 전후측판(110) 상단과 굴절 가능케 결합되고,
    지지대(230)는 주 지지대(231) 및 부 지지대(232)를 포함하여서, 테이블 모드 시에 전후측 테이블판(220)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주 지지대(231)는 좌우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파이프 부재로서 주 지지대힌지축(231b) 및 주 지지대고정홈(231c)을 포함하고,
    지지대(230)가 전후측 테이블판(220)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굴절하고,
    주 지지대힌지축(231b)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 부재로서 좌우측 주 지지대(231)의 타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고,
    주 지지대고정홈(231c)은 그 몸체에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의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게 횡방향으로 홈이 패여서, 부 지지대(232)를 접을 때에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가 개재되어 탈부착 고정되도록 제공되고,
    부 지지대(232)는 좌우측 일단이 이격되고 타단이 횡방향으로 연결된 ㄷ 형태를 취하는 파이프 부재로서 부 지지대힌지홈(232a), 바닥접촉부(232b) 및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를 포함하고,
    부 지지대힌지홈(232a)은 부 지지대(232)의 좌우측 일단이 주 지지대힌지축(231b)의 외주변에 대응되게 횡방향으로 천공 형성되어서, 주 지지대힌지축(231b)에 부 지지대힌지홈(232a)이 꿰어져 부 지지대 힌지결합(h3)이 구성되고, 이를 통하여 부 지지대힌지홈(232a)이 주 지지대힌지축(231b)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굴절하고, 바닥접촉부(232b)는 펼침시에 지면에 접촉하고,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는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이를 통하여 지지대(230)를 접을시에 부 지지대고정돌기(232c)가 주 지지대고정홈(231c)에 개재되어 탈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카트.
  2. 삭제
KR1020190119928A 2019-09-27 2019-09-27 핸드카트 KR102195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928A KR102195449B1 (ko) 2019-09-27 2019-09-27 핸드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928A KR102195449B1 (ko) 2019-09-27 2019-09-27 핸드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449B1 true KR102195449B1 (ko) 2020-12-28

Family

ID=7408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928A KR102195449B1 (ko) 2019-09-27 2019-09-27 핸드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44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204A (ja) * 1992-02-06 1993-08-24 Tootex Kk 手荷物用カート
JPH08282503A (ja) * 1995-04-11 1996-10-29 Remin Lab Inc 折りたたみカートに組み合わせる取り付け可能部材
JP2000335423A (ja) * 1999-05-25 2000-12-05 Pajiero Seizo Kk カート
KR200291573Y1 (ko) * 2002-05-11 2002-10-11 라찬하 다기능 핸드카
KR200321315Y1 (ko) * 2003-05-02 2003-07-28 이기원 절첩식 휴대용 쇼핑카트
KR20090092098A (ko) * 2008-02-26 2009-08-31 (주)현대후렘 가판대
KR20110005972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코치홀딩스 아이스박스
KR20110001255U (ko) * 2009-07-29 2011-02-09 (주) 아이마스트 의자겸용 캐리어
KR20170032721A (ko) * 2015-09-15 2017-03-23 (주)동인기연 다용도 캐리어
KR200486235Y1 (ko) * 2017-03-17 2018-04-19 박용호 등짐분무기 이송용 다용도 수레
JP2019026078A (ja) * 2017-07-31 2019-02-2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キャリーカート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204A (ja) * 1992-02-06 1993-08-24 Tootex Kk 手荷物用カート
JPH08282503A (ja) * 1995-04-11 1996-10-29 Remin Lab Inc 折りたたみカートに組み合わせる取り付け可能部材
JP2000335423A (ja) * 1999-05-25 2000-12-05 Pajiero Seizo Kk カート
KR200291573Y1 (ko) * 2002-05-11 2002-10-11 라찬하 다기능 핸드카
KR200321315Y1 (ko) * 2003-05-02 2003-07-28 이기원 절첩식 휴대용 쇼핑카트
KR20090092098A (ko) * 2008-02-26 2009-08-31 (주)현대후렘 가판대
KR20110005972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코치홀딩스 아이스박스
KR20110001255U (ko) * 2009-07-29 2011-02-09 (주) 아이마스트 의자겸용 캐리어
KR20170032721A (ko) * 2015-09-15 2017-03-23 (주)동인기연 다용도 캐리어
KR200486235Y1 (ko) * 2017-03-17 2018-04-19 박용호 등짐분무기 이송용 다용도 수레
JP2019026078A (ja) * 2017-07-31 2019-02-2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キャリーカ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903B1 (en) Adjustable table assembly
KR100207761B1 (ko) 절첩식 표시 테이블
TWI447324B (zh) 薄型折疊式收納腳架
US20140026788A1 (en) Adjustable worksurface with integrated display
TW201336550A (zh) 跑步機立架收折裝置
KR200491144Y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접이식 핸드카트
US9095193B1 (en) Wheeled suitcase
US11089866B2 (en) Folding stand for electronic device
KR102195449B1 (ko) 핸드카트
JP2017169942A (ja) 車椅子
CN209960169U (zh) 折叠式笔记本电脑支架
US20120228840A1 (en) Foldable laptop trolley
CN113892754A (zh) 伸缩折叠桌
GB2568960A (en) Folding trolley
AU2018100562A4 (en) Collapsible grill
US20210179156A1 (en) Folding Shopping Cart with Stable Structure
CN204378316U (zh) 一种可收拢式折叠的便携桌
KR200458938Y1 (ko) 독서대로 변형가능한 가방
JP2012148065A (ja) 携帯用載置台とキャリーバッグ
TWI622368B (zh) Folding mahjong table
KR20130049417A (ko) 접이식 악기 거치대
JP2003070548A (ja) テーブル、及びオプション部材
KR20120037056A (ko) 노트북 받침대 겸용 마우스 보드
KR101692536B1 (ko) 접고 펼칠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
CN210860435U (zh) 可折叠的档位式电脑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